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생의 개인비전이 학습동기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sonal Vision on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0869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개인비전 실태를 파악하고, 개인비전이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 440명을 대상으로 20여일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408부가 연구를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개인비전과 학습동기 및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이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기에는 개인비전의 하위요인 중 자기이해, 방향성, 목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에는 개인비전의 하위요인 중 자기이해, 방향성, 가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석하면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자신의 목표를 정하고 이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 하며,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방향과 방법을 안내하는 교육이 바탕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개인비전 실태를 파악하고, 개인비전이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의 초등학교 5,6학년...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의 개인비전 실태를 파악하고, 개인비전이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B광역시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 440명을 대상으로 20여일에 걸쳐 설문을 실시하였고, 그 중 408부가 연구를 위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는 첫째, 개인비전과 학습동기 및 자기조절학습능력 사이에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동기에는 개인비전의 하위요인 중 자기이해, 방향성, 목표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학습능력에는 개인비전의 하위요인 중 자기이해, 방향성, 가치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해석하면 학습동기와 자기조절학습능력을 기르기 위해서는 자신의 목표를 정하고 이를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필요 하며, 목표달성을 위해 노력을 기울여야 하는 방향과 방법을 안내하는 교육이 바탕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how personal vision influence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the study, the subject was made up of 5th and 6th Graders in Busan. And conducted a survey on 4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vision and learning motivation as well a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ly, personal vision have an influence to motivation. Especially self-knowledge, direction, goal which are subfactor of personal vision have a lot of influence to learning motivation. Lastly, students personal vision have an influence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oo.
      Especially, self-knowledge, direction, value which are subfactor of personal vision have a lot of influence to self-regulated ability. In other words, students high personal vision can make their stro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o Schools should provide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personal vision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how personal vision influence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the study, the subject was made up of 5th and 6th Graders in Busan. And conducted a survey on 440. The results of this s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ind out how personal vision influences learning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For the study, the subject was made up of 5th and 6th Graders in Busan. And conducted a survey on 440.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vision and learning motivation as well as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econdly, personal vision have an influence to motivation. Especially self-knowledge, direction, goal which are subfactor of personal vision have a lot of influence to learning motivation. Lastly, students personal vision have an influence to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too.
      Especially, self-knowledge, direction, value which are subfactor of personal vision have a lot of influence to self-regulated ability. In other words, students high personal vision can make their strong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So Schools should provide education to develop students personal vision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 Ⅰ. 서 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방법
      • Ⅳ. 연구결과
      • Ⅴ. 결론 및 논의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보라, "학습동기, 자기조절학습, 부모학습관여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 김진희,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학습된 무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3 이효숙, "학습동기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학습부진학생의 학습동기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 이우경, "초등학생의 학습양식 유형과 자기조절 학습능력의 관계" 과학교육연구소 53 (53): 193-203, 2014

      5 김지연, "초등학생의 학습동기와 학교적응간의 관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6 윤연기,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 구성요인과 교과별 학업성취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2

      7 이승원, "초등학교 미성취 영재의 자기조절 학습능력 신장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교육연구원 28 (28): 165-187, 2012

      8 김은주,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지도성과 학생 자기결정성 학습동기의 관계 분석" 19 (19): 88-110, 2016

      9 정경훈, "초등학교 고학년의 개인비전 창출 프로그램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3

      10 정연숙, "초등 수학학습에서 자기조절학습에 작용하는 의지통제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1 김은영, "초·중·고등학생의 자기결정동기와 자기조절학습간의 관계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12 정수진, "청소년의 성취목표 및 동기유형과 학습몰입의 관계" 1 (1): 37-52, 2008

      13 조동협, "책임감 모형을 적용한 체육수업이 초등학생의 책임감 지각과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구은주, "중등과학 초임교사가 교직수행과정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31 (31): 153-163, 2011

      15 Zimmerman, B. J., "자기조정학습" 원미사 2000

      16 심보숙, "자기조절학습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수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성취동기와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경남대학교 대학원 2011

      17 이정숙, "자기조절학습과 성취목표, 학습의지통제가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8 이은미, "자기조절학습 프로그램이 자기조절학습력과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19 안경애, "자기조절 학습전략 훈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조절 학습능력과 학습전이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0 김세우, "인생을 성공으로 이끄는 셀프리더십 비전" 한솔아카데미 2007

      21 오승하, "소명의식이 지속학습활동에 미치는 효과 : 목표지향성의 매개효과와 조직의 학습지원인식의 조절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4

      22 진창욱, "성취목표지향과 노력조절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3 권아현,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개인비전과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24 Dominguez, L., "빛나게 일하는 법" 넥서스 BIZ 2005

      25 문병상, "미래목표, 성취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의 인과적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12 (12): 45-67, 2011

      26 정남숙, "동기강화 자기조절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자기조절기능 및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7 김예진, "독해력과 자기조절학습 전력 신장을 위한 초등학교 5학년 읽기 프로그램 개발 : 학습자 질문 생성 전략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8 Kotter, J. P., "기업이 원하는 변화의 리더" 김영사 2007

      29 김민지, "긍정적 피드백을 활용한 감사일기 쓰기가 초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30 강영미, "그림책놀이를 통한 프로젝트 수업이 아동의 비전 형성에 미치는 영향"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31 김용래, "교육심리학" 문음사 2000

      32 김용래, "교육심리학" 형설출판사 2006

      33 지승민, "과학내용지식과 교수방법지식의 측면에서 초등 초임 교사가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34 Strange, J. M., "The origins of vision : Charismatic versus ideological leadership" 13 (13): 31-38, 2002

      35 Boyatzis, R. E., "The ideal self as the driver of intentional change" 25 (25): 624-642, 2006

      36 Zimmerman, B. J.,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Theoretical perspectives" Erlbaum 2001

      37 Schunk, D. H.,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26 (26): 207-231, 1991

      38 Simons, J., "Placing Motivation and Future Time Perspective Theory in a Temporal Perspective" 16 (16): 121-139, 2004

      39 Pintrich, P. R.,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82 (82): 33-40, 1990

      40 Keller, J. M., "Motivational Design of Instruc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83

      41 Pintrich, P. R., "Motivation in educ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cations" Prentice-Hall 2008

      42 김경수, "Kolb의 경험학습에 기초한 청소년 비전교육 프로그램 프로토타입 개발" 안동대학교 2008

      43 Malphurs, A., "Developing a vision for ministry in the 21st century" Baker Book 1999

      44 Brophy, J. E., "Conceptualizing student motivation" 18 (18): 200-215, 1983

      45 Baron, K. E., "Achievement goals and optimal motivation : Testing multiple goal models" 80 (80): 706-722, 2001

      46 김효연, "ARCS 학습전략을 활용한 수업이 학습동기, 몰입,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47 Dweck, C. S., "A Social-Cognitive Approach to Motivation and Personality" 95 (95): 256-273,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