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간 바람직한 상호작용의 질과 유아의 부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60052626
2011
Korean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1-18(18쪽)
49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간 바람직한 상호작용의 질과 유아의 부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간 바람직한 상호작용의 질과 유아의 부적응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은 여아가 남아보다 높았으며, 연령이 적은 유아일수록 연령이 높은 유아보다 교사와의 전반적인 상호작용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유아의 성별과 연령에 따른 부적응 행동에 대해 살펴본 결과, 불안행동과 위축행동, 의존행동은 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산만행동과 공격행동, 충동행동은 남아가 여아보다 높았다. 유아의 연령에 따른 부적응 행동에 대해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만 5세 유아가 다른 연령의 유아들보다 불안 행동, 위축행동, 의존행동, 산만행동, 공격행동, 충동행동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교사와 유아 간의 상호작용과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결과, 교사-유아 간 정서적 상호작용, 언어적 상호작용, 행동적 상호작용은 유아의 부적응 행동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교사-유아 간의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불안과 위축, 의존, 산만, 공격, 충동 및 전체적인 부적응 행동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quality of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to preschooler maladjust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gender and age of the preschool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the quality of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to preschooler maladjust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relationship of the gender and age of the preschoolers to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the preschool girls were more interactive than the preschool boys, and there were significant gaps according to gender. And the younger preschoolers interacted more with the teachers than the older ones overall.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 of the gender and age of the preschoolers to their maladjusted behaviors,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gender gaps in anxiety behavior, withdrawal behavior and dependent behavior. Distractive, aggressive and impulsive behaviors were more prevailing among the preschool boys than among their counterparts, and the gender gaps were significant. Concerning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by age, anxiety behavior, withdrawal behavior, dependent behavior, distractive behavior, aggressive behavior and impulsive behavior were more common among the preschoolers who were 5 years old than the other age groups. Third, as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and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ly negative correlation to the maladjusted behaviors of the preschoolers. More teacher-preschooler interaction led to less anxiety, withdrawal, dependent, distractive, aggressive, impulsive and overall maladjusted behavior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옥, "한국 영유아 보육 사업의 이념적 방향과 과제" 23 : 1-24, 2000
2 안수연,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3 서유현,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 조경자, "유치원 교사-아동 상호작용에서의 교사의 성차별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5 홍찬영,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이영숙, "유아의 적응행동 및 부적응행동과 관련된 변인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혜성, "유아의 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8 조재은, "유아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강혜경, "유아의 성별 및 연령과 어머니의 훈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이은해,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 창지사 1996
1 이옥, "한국 영유아 보육 사업의 이념적 방향과 과제" 23 : 1-24, 2000
2 안수연, "자유선택활동시간에 나타난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유아-유아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3 서유현, "유치원에서 교사-유아 상호작용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4 조경자, "유치원 교사-아동 상호작용에서의 교사의 성차별적 행동"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8
5 홍찬영, "유아의 정서지능과 정서적 부적응 행동과의 관계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이영숙, "유아의 적응행동 및 부적응행동과 관련된 변인연구" 세종대학교 대학원 2005
7 김혜성, "유아의 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언어적 상호작용에 관한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1993
8 조재은, "유아의 성별에 따른 교사의 상호작용"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9 강혜경, "유아의 성별 및 연령과 어머니의 훈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문제행동" 고신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10 이은해, "유아교육프로그램 평가척도" 창지사 1996
11 이기숙, "유아교육과정" 창지사 2002
12 구선라, "연령과 성별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행동연구"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13 김순정, "어머니의 정서표현 수용태도와 유아의 정서적 부적응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0
14 유희정, "어린이집 설립유형에 따른 질적 수준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15 최현정, "부모,교사가 인식하는 정서․행동문제 조사"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16 이선주, "미술활동 프로그램이 ADHD 유아의 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17 김운화,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유아의 부적응 행동변화에 미치는 효과" 명지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07
18 이지윤, "교사의 지도성향과 아동의 문제행동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19 이정숙, "교사경력과 유아연령에 따른 교사-유아의 상호작용"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0 윤주하, "걸음마기 아동의 문제행동과 보육교사의 어려움에 관한 연구" 20 (20): 171-186, 1999
21 Belsky, J., "Transition to school: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school experience" 5 : 106-119, 1994
22 Pianta, R. C, "The first two vears of school: Teacher-child relationships and deflections in children's classroom adjustment" 7 (7): 295-312, 1995
23 Thomas, A., "Temperament and development" Brunner/Mazel 1977
24 Kontos, S., "Teachers interactions with children: Why are they so important" 52 (52): 4-12, 1997
25 Klein,H.A,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Temperament and Adiustment to Kindergarten and Head start" 112 : 259-268, 1982
26 Howes, C., "Relation among child care quality, teacher behavior, children's activity in child care" 10 : 381-404, 1995
27 Pianta,R.C, "Patterns of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Kindergarten Teachers" 32 : 15-31, 1994
28 Lynch, M., "Maltreated children's reports of relatedness to theirs" 57 : 81-108, 1992
29 Clarke-Stewart,A, "In search of consistencies in child care research in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 20-27, 1987
30 Bredekamp, S., "How early childhood program accredited: An analysis of accredition decisions" 42 (42): 34-38, 1986
31 Bredekamp,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s in early childhood programs serving children from birth though age eight(expanded ed.)"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1
32 Becker-Textor,I, "Der offene Kindergarten-Vielfalt der Formen" Freiburg B & Oumlihm 1998
33 Aureli, T., "Day care experience and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83 : 45-54, 1992
34 NICHD, "Characteristics of infant child care: Factors contributing to positive caregiving" 11 : 269-306, 1996
35 Elicker, J., "Adult-child relationships in early childhood programs" 51 : 69-78, 1995
유아의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에 미치는 유아와 가족변인의 영향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조기영어교육 인식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명화에 기초한 도형 활동이 유아의 기하개념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3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4-24 | 학회명변경 |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Children`S Media -> Korean Association for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 ![]() |
2019-12-02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Korean Joural of Children's Media -> Journal of Children’s Media & Education | ![]() |
2019-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6-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6 | 1.6 | 1.93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86 | 1.85 | 2.256 | 0.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