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 An analysis of music-related activitiesin the Nuri Curriculum teacher guidebooks for age 5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5773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developing musical concepts, behaviors and attitudes through music-related activities presented in the guidebooks for teachers of South Korea`s Nuri Curriculum for 5 year-olds. A total of 85 musical activities from 11 guidebooks, published in Feburary 2012,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objectives of the musical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musical concepts, musical behaviors and musical attitudes addressed. The instructional methods used in the musical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relationships to musical concepts and behaviors. The study finds that the musical objectives rarely include musical concepts, and that the majority of the musical behavior involves singing activities. Also, enjoyment of the creative expression process is mostly limited to being a part of musical attitude. With regard to the instructional methods employed in the musical activities, musical concepts are rarely presented and singing is the most frequent musical behavior. Musical attitudes are rarely presented in the instructional methods employed for musical activities. In the art experience area, musical expression is most often presented.
      번역하기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developing musical concepts, behaviors and attitudes through music-related activities presented in the guidebooks for teachers of South Korea`s Nuri Curriculum for 5 year-olds. A ...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objectives and instructional methods for developing musical concepts, behaviors and attitudes through music-related activities presented in the guidebooks for teachers of South Korea`s Nuri Curriculum for 5 year-olds. A total of 85 musical activities from 11 guidebooks, published in Feburary 2012,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objectives of the musical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 musical concepts, musical behaviors and musical attitudes addressed. The instructional methods used in the musical activit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their relationships to musical concepts and behaviors. The study finds that the musical objectives rarely include musical concepts, and that the majority of the musical behavior involves singing activities. Also, enjoyment of the creative expression process is mostly limited to being a part of musical attitude. With regard to the instructional methods employed in the musical activities, musical concepts are rarely presented and singing is the most frequent musical behavior. Musical attitudes are rarely presented in the instructional methods employed for musical activities. In the art experience area, musical expression is most often presen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은주,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 윤소연, "학령기전 아동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김미정,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에 기초한 유아의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443-467, 2008

      4 김미정,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와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65-88, 2012

      5 김소향, "음악 교육내용 영역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수방법 실제에 대한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36 : 29-58, 2009

      6 이영주, "유치원 음악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양지애,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 음악적 개념, 행동,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03-226, 2011

      8 손미이,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노래의 수준별 특성 및 지도 방법" 한국육아지원학회 4 (4): 133-152, 2009

      9 손미이,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노래의 수준별 특성 및 교수·학습방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0 김명순, "유치원 교육과정 표현생활영역의 이론적 정립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123-142, 2007

      1 장은주,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7

      2 윤소연, "학령기전 아동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연구"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3 김미정,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에 기초한 유아의 정서지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미래유아교육학회 15 (15): 443-467, 2008

      4 김미정,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태도와 사회․정서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열린교육학회 20 (20): 65-88, 2012

      5 김소향, "음악 교육내용 영역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수방법 실제에 대한 연구" 한국음악교육학회 36 : 29-58, 2009

      6 이영주, "유치원 음악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7 양지애,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서의 음악 관련 활동 분석 : 음악적 개념, 행동,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203-226, 2011

      8 손미이,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노래의 수준별 특성 및 지도 방법" 한국육아지원학회 4 (4): 133-152, 2009

      9 손미이,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에 수록된 노래의 수준별 특성 및 교수·학습방법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10 김명순, "유치원 교육과정 표현생활영역의 이론적 정립을 위한 탐색 연구" 한국유아교육학회 27 (27): 123-142, 2007

      11 엄정애, "유치원 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인식 및 활동 수행 정도" 교과교육연구소 12 (12): 471-492, 2008

      12 안경숙, "유아의 음악적 태도와 음악적 행동, 음악적 개념에 대한 교사의 평가 실태 분석" 한국음악교육학회 31 : 63-87, 2006

      13 구미란, "유아음악교육에 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교육환경과 교육의 실제" 수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4 임성미, "유아음악 능력 평가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13 (13): 129-150, 2004

      15 김명순, "유아를 위한 음악 교육의 이론과 실제" 다음 세대 2000

      16 신은수, "유아교육과정의 설계와 실행을 위한 구성 요인 분석 : OECD 국가의 유아교육과정 비교를 기반으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71-91, 2012

      17 박은영, "유아교사의 음악교수능력 평가도구 개발" 한국음악교육학회 37 : 35-59, 2009

      18 정현주, "유아 음악교육의 현장 실태 연구"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19 김혜연, "유아 음악개념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5 : 157-182, 1999

      20 홍혜경, "유아 사회교육과 수학교육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기초연구" 21 (21): 27-49, 2001

      21 김선아, "요소중심의 탐색적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언어능력에 미치는 효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2 이민정, "노래부르기 통합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245-260, 2009

      23 김효진,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이 음악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4 박근배, "교육부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자료집에 수록된 노래 조사연구" 서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25 이정욱, "교육과 보육의 통합. 유네스코 정책 세미나 : 유아교육과 보육정책 조정을 위한 전략과 과제" 71-74, 2011

      26 박은영, "교사용 유아 음악적 태도 검사도구 개발" 한국예술교육학회 10 (10): 15-29, 2012

      27 엄정애, "교사를 통해 본 유치원 현장의 음악교육과 실행의 어려움" 한국유아교육학회 29 (29): 133-158, 2009

      28 교육과학기술부,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29 김영연, "개정 유아음악교육론" 학지사 2002

      30 김진영, "ㅂ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양서원 2007

      31 이옥주, "‘학습주기’를 고려한 노래 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4 (4): 85-103, 2007

      32 박미경, "‘새노래부르기’ 활동에서 다루고 있는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과 지도의 어려움" 한국아동학회 29 (29): 93-113, 2008

      33 MENC, "The school music program; Description and standards" MENC 2005

      34 MENC, "The school music program; A new vision" MENC 1994

      35 OECD, "Starting Strong Ⅲ; A quality toolbox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2012

      36 OECD, "Starting Strong Ⅱ" 교육과학기술부․육아정책개발센터 2006

      37 OECD, "Starting Strong Ⅰ;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OECD 2001

      38 Campbell, P. S., "Music in childhood: From preschool throughthe elementary grades" Schirmer Books 2006

      39 Thomas, R. B., "Manhattanville music curriculum program(MMCP): final report. Washington, DC. Office of Education, Bureau of Research. Educational document"

      40 Haines, B. J. E., "Leading young children to music" Merrill 2000

      41 Gordon, E. T, "Guiding you child's musical development" GIA 1990

      42 Lee, Y., "Current Music Practices and Teachers' Needs for Teaching Music in Public Preschools of South Korea" University of Missouri-Columbia 2008

      43 Greta, J., "An introduction to Music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Thomson Delmar Learning 2006

      44 Gordon, E. T., "A Music Learning Theory for New born and Young Children" GIA 1997

      45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해설서"

      46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침서"

      47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9" 교육과학기술부 2012

      48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8" 교육과학기술부 2012

      49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7" 교육과학기술부 2012

      50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6" 교육과학기술부 2012

      51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5" 교육과학기술부 2012

      52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4" 교육과학기술부 2012

      53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3" 교육과학기술부 2012

      54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55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 교육과학기술부 2012

      56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0" 교육과학기술부 2012

      57 교육과학기술부,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 교육과학기술부 2012

      58 박은혜, "2011 국제표준교육분류 0단계(ISCED 0)에 기초한 누리과정의 유아교육제도로서의 의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41-356, 2012

      59 최지원,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용 「유치원 지도서」의 유아 음악 활동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8-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72 2.72 2.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74 2.67 3.087 0.5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