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BL적용수업에서 예비유아교사의 SNS활용이 플로우(FLOW)와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SNS Use by Prospective Early Childhood Teachers in PBL-Based Class on the Flow and Problem-Solving Skill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4415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PBL 수업에서 SNS를 활용함으로써 플로우와 문제해결력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유아사회교육 과목에 PBL 수업을 8주 동안 진행하여, 그 수업상황을 SNS 활용의 유용성, 플로우, 문제해결력의 인지력검사로 측정하였다. 측정값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BL 적용수업에서 SNS 활용은 플로우(Flow)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둘째 플로우(Flow) 또한 문제해결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셋째 SNS 활용이 문제해결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플로우(Flow)는 문제해결력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PBL 수업에서 SNS의 활용은 수업주제 혹은 문제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여 수업활동 및 동기부여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는 연구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PBL 수업에서 SNS를 활용함으로써 플로우와 문제해결력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4명을 대상으...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가 PBL 수업에서 SNS를 활용함으로써 플로우와 문제해결력에 어떤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유아사회교육 과목에 PBL 수업을 8주 동안 진행하여, 그 수업상황을 SNS 활용의 유용성, 플로우, 문제해결력의 인지력검사로 측정하였다. 측정값 분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성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으며 이를 위해 AMOS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PBL 적용수업에서 SNS 활용은 플로우(Flow)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둘째 플로우(Flow) 또한 문제해결력에 직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셋째 SNS 활용이 문제해결력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플로우(Flow)는 문제해결력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로 미루어 볼 때, PBL 수업에서 SNS의 활용은 수업주제 혹은 문제 상황에 대한 학생들의 관심과 참여를 높여 수업활동 및 동기부여에 기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고 하는 연구의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안지혜, "현장연구를 실행해 본 유아교사의 경험과그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5-35, 2013

      2 김현진,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권두승, "평생교육기관 실태조사분석을 통한 성인교육 참여율 제고방안" 교육부 1999

      4 윤갑정,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5-26, 2014

      5 이영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해결력, 추론능력간의관계" 8 : 137-150, 1999

      6 김은영,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7 박미순,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지속력과 귀인, 자아개념의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8 정연순, "중학교 진로교육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교육효과성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18 (18): 101-128, 2011

      9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10 전평국, "정의적 특성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30 (30): 25-38, 1991

      1 안지혜, "현장연구를 실행해 본 유아교사의 경험과그 의미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9 (9): 5-35, 2013

      2 김현진, "한국어 관용표현의 교수-학습 방법 개선에 대한 연구" 대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3 권두승, "평생교육기관 실태조사분석을 통한 성인교육 참여율 제고방안" 교육부 1999

      4 윤갑정, "초임보육교사의 웹기반 학습경험, 학습유형, 인터넷 자기효능감이 웹기반 학습신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지원학회 10 (10): 5-26, 2014

      5 이영주,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정의적 특성, 수학적 문제해결력, 추론능력간의관계" 8 : 137-150, 1999

      6 김은영, "지역아동센터 이용아동의 자아존중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1

      7 박미순, "중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학적 문제해결력, 지속력과 귀인, 자아개념의 관계분석"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7

      8 정연순, "중학교 진로교육에서 동영상 콘텐츠의 교육효과성 및 선호도에 대한 연구" 한국농촌지도학회 18 (18): 101-128, 2011

      9 서경혜, "좋은 수업에 대한 관점과 개념: 교사와 학생 면담 연구" 한국교육과정학회 22 (22): 165-187, 2004

      10 전평국, "정의적 특성이 수학적 문제해결에 미치는 영향" 30 (30): 25-38, 1991

      11 김진실, "전문대학 전공수업의 학습공동체 운영 효과 분석"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205-226, 2007

      12 홍기칠, "웹기반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적 학습력과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39 : 537-571, 2004

      13 박성익, "온라인 학습에서 학습몰입요인, 몰입수준, 학업성취 간의 관련성 탐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4 (14): 93-115, 2006

      14 김선구, "예비유아교사의 유아과학교육을 위한 PBL 교수학습 모형 개발과 적용"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1

      15 유병민, "보육실습에서 프로젝트접근법에 대한 예비보육교사의 관심 수준 변화 연구" 21 (21): 41-61, 2011

      16 조연순,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 문제로 시작하는 수업" 학지사 2006

      17 손미, "문제중심학습(PBL)의 학습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4 (14): 225-251, 2008

      18 조연순, "문제중심학습(PBL)의 이론적 기초 : 지식관과 교육적 가치" 한국교육학회 41 (41): 25-600, 2003

      19 김주환, "모바일 소셜미디어의 사회문화적 기능에 관한 이론적 시론: 대화이론을통해 본 스마트폰과 소셜미디어 결합의 의미" 한국인터넷진흥원 1 (1): 40-45, 2010

      20 박혜진, "메타인지, 몰입과 수학 창의적 문제해결력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학교수학회 13 (13): 205-224, 2010

      21 김애련, "대학평생교육원 성인학습자의 학습성과 인식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4

      22 최미나, "대학에서의 교수역량(teaching competency)분석을 통한 효과적인 교수역량 진단방안 탐색" (특집) : 2006

      23 최정임, "대학수업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 사례연구:성찰일기를 통한 효과성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육공학회 23 (23): 35-65, 2007

      24 김형관, "대학생의 사회문화적 배경요인이 학생성과에 미치는 영향" 12 (12): 117-154, 2001

      25 차승봉, "대학생의 Social Network Service 참여와 학습성과에 관한 구조방정식모델" 건국대학교 대학원 2011

      26 김경화, "대학교육의 수월성강화를 위한 대학수업의 질적 개선에 대한 사례연구" 한국열린교육학회 11 (11): 345-375, 2003

      27 강인애, "구성주의적 교수-학습의 원리와 적용" 8 (8): 23-44, 1998

      28 정미경, "교원양성교육에서의 좋은 수업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47-264, 2007

      29 조연순, "교과를 통한 창의적 문제해결력 교육방법 모색: 문제중심학습" 28 (28): 205-227, 2001

      30 김형진, "관심 주제 기반 SNS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 연구" 국민대학교 대학원 2013

      31 성행남, "e-러닝 학습몰입과 성과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9 (9): 107-138, 2009

      32 Pearson, D. X., "The perceptions of cross cultural student violence in an urban school setting"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Education 2010

      33 Hofmann, D. L., "The influence of goal-directed and experiential activities on online flow experiences" 13 (13): 3-16, 1996

      34 Heppner, P. P., "The development and implications of a personal problem solving inventory" 29 (29): 66-75, 1982

      35 Boud, D., "The challenge of problem-based learning" Kogan Page 1997

      36 Webster, J. H., "Teaching effectiveness in technology-mediated distance learning" 40 (40): 1282-1309, 1997

      37 Csikszentmihalyi, M., "Talented teenagers the roots of success and failu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38 Steinfield, C., "Social capital, self-esteem, and use of online social network sites : A longitudinal analysis" 29 (29): 34-445, 2008

      39 Mithaug, D. E., "Self-regulation theory: How optimal adjustment maximizes gain" Praeger 1993

      40 유병민, "SNS 활용 대학수업의 학습효과 관련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모델" 교육과학연구소 44 (44): 133-159, 2013

      41 김용환, "SNS 이용자의 모르는 사람(stranger)과의 사회네트워크 구축 행태에 관한탐구" 2009 (2009): 17-35, 2009

      42 원욱연, "SNS 웹사이트에 대한 실증연구 : 품질요인, 사용자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구전의도"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9

      43 서우종, "SNS 웹 사이트의 품질요인이 사용자 만족, 지속적 사용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 연구" 산업개발연구소 26 (26): 99-132, 2010

      44 Csikszentmihalyi, M., "Reflections on enjoyment" 28 (28): 469-497, 1985

      45 Torp, L. T., "Problems as possibilities :Problem-based learning for K-12education" ASCD 2002

      46 Barrows, H. S., "Problem based learning in secondary schools" Problem Based Learning Institute. Lanphier high School and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Medical School 1993

      47 Albanese, M. A., "Problem based learning : A review of literature on its outcomes and implementation issues" 68 (68): 53-81, 1993

      48 박정환, "PBL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수준에 따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15 (15): 55-81, 1999

      49 최정임, "PBL로 수업하기" 학지사 2010

      50 김선구, "PBL 교수학습을 적용한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유아과학교육 수업의 효과" 14 : 57-73, 2011

      51 Csikszentmihalyi, M., "Optimal experience in work and leisure" 56 (56): 815-822, 1989

      52 Eysenck., "Mind watching: Why we behave the way we do" MMB 256-, 1994

      53 Schmidt, A. M., "Learning within a learner control training environment : The interactive effects of goal orientation and metacognitive instruction on learning outcomes" 56 (56): 405-430, 2003

      54 Tringwell, K., "Judging university teaching" 6 (6): 65-73, 2001

      55 Delisle, R., "How to us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lassroom" Alexandria Virginia USA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1997

      56 Little, P., "From practice to theory: Reconceptualising curriculum development for problem-based learning, in problem-based learning: Educational innovations across disciplines" 2000

      57 Csikszentmihalyi, M., "Flow: The Psychology of optimal experience" Harper and Row 1990

      58 Csikszentmihalyi, M., "Finding flow: The psychology of engagement with everyday life" Harper Perennial 1997

      59 Levin, B. B., "Energizing teacher education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problem based learning"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2001

      60 Jackson, S.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do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18 : 17-35, 1996

      61 Kraiger, K., "Applications of cognitive, skill-based, and affective theories of learning outcomes to new methods of training evaluation" 78 (78): 311-328, 1993

      62 강인애, "(우리시대의) 구성주의 = Constructivism" 문음사 200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7 1.7 1.8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6 1.87 2.161 0.3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