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교육서비스품질이 전공만족, 전공몰입,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f College Students on Major Satisfaction, Major Commitment,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708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oday's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The quantitative growth of universities and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students present new challenges for some universities. At present, the university is undergoing a lot of change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such a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admissions due to the liberalization of the university establishment, and the withdrawal of the university due to poor management. In order to cope with the crisis of education, some universities receive ISO certification and service quality certification to improve the operation of various educational services and to improve the level of educational service provi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university provid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to maximize college students 'self-esteem. They have confidence in college students' majors, have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y have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helping them prepare for the right career path and employment. In this study, it was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n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f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val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nd satisfaction of major were analyzed. All the factor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major satisfaction. Second,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nd commitment to majors were analyz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ll factors were significant in self - evaluation. However, in the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planning,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the educational service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were not significant. Fourth, all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Fifth, al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majors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is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the major satisfaction, major mobil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번역하기

      Today's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The quantitative growth of universities and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students present new challenges for some universities. At present, the university is undergoing a lot of cha...

      Today's university education service environment is changing rapidly. The quantitative growth of universities and the decline in the number of students present new challenges for some universities. At present, the university is undergoing a lot of change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such a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due to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high school graduates, the decrease in the number of admissions due to the liberalization of the university establishment, and the withdrawal of the university due to poor management. In order to cope with the crisis of education, some universities receive ISO certification and service quality certification to improve the operation of various educational services and to improve the level of educational service provision.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 of college students, the university provid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environment to maximize college students 'self-esteem. They have confidence in college students' majors, have career decision self efficac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y have an important role to play in helping them prepare for the right career path and employment. In this study, it was necessary to study the effect of major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n career decision according to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of college students.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firm whether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quality has a positive valu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nd satisfaction of major were analyzed. All the factors showed significant results in major satisfaction. Second, th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and commitment to majors were analyzed. Thir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service quality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all factors were significant in self - evaluation. However, in the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planning, there w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dministrative service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but the educational service and the possibility of development were not significant. Fourth, all facto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Fifth, all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ajor majors and career decision self - efficacy. Therefore, it is analyzed that the service quality of education service is an important factor to increase the major satisfaction, major mobility and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college studen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현재 대학은 고교졸업생의 감소에 따른 대학입학정원의 축소, 대학 설립의 자유화에 따른 입학정원의 축소, 경영부실에 따른 대학의 퇴출 등 대·내외 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대학에서는 교육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교육서비스의 운영과 교육서비스 제공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일부 대학에서는 ISO인증과 서비스 품질 인증을 받고 있다. 대학교에서는 대학생에게 맞는 전공교육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그에 맞는 교육시설과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 전공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갖고,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이에 맞는 진로 및 취업준비를 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교육서비스품질에 따른 전공만족과 몰입이 진로결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고, 교육서비스품질에 따라 전공만족, 몰입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교육서비스품질의 제공이 긍정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인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관계를 검증 분석결과 모든 요인들이 전공만족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 관계를 검증 분석결과 모든 요인들이 전공만족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관계에서는 요인 중 자기평가에서는 모든 요인이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계획수립에서는 행정서비스와 물리적환경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교육서비스, 발전가능성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만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관계에서는 모든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공몰입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관계에서는 모든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전공만족, 전공몰입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서비스품질의 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실증분석 되었다.
      번역하기

      현재 대학은 고교졸업생의 감소에 따른 대학입학정원의 축소, 대학 설립의 자유화에 따른 입학정원의 축소, 경영부실에 따른 대학의 퇴출 등 대·내외 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

      현재 대학은 고교졸업생의 감소에 따른 대학입학정원의 축소, 대학 설립의 자유화에 따른 입학정원의 축소, 경영부실에 따른 대학의 퇴출 등 대·내외 적으로 많은 변화를 겪고 있다. 이에 대학에서는 교육의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각종 교육서비스의 운영과 교육서비스 제공 수준의 향상을 도모하고자 일부 대학에서는 ISO인증과 서비스 품질 인증을 받고 있다. 대학교에서는 대학생에게 맞는 전공교육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그에 맞는 교육시설과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대학생들 전공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여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갖고,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결정하고 이에 맞는 진로 및 취업준비를 해 나갈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가지고 있음을 알아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교육서비스품질에 따른 전공만족과 몰입이 진로결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고, 교육서비스품질에 따라 전공만족, 몰입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함으로써 교육서비스품질의 제공이 긍정적 가치를 지니고 있는 것인지 확인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그 결과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만족 관계를 검증 분석결과 모든 요인들이 전공만족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서비스품질과 전공몰입 관계를 검증 분석결과 모든 요인들이 전공만족에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서비스품질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관계에서는 요인 중 자기평가에서는 모든 요인이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하지만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계획수립에서는 행정서비스와 물리적환경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교육서비스, 발전가능성에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공만족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관계에서는 모든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전공몰입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관계에서는 모든 요인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학생의 전공만족, 전공몰입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서비스품질의 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이라는 것이 실증분석 되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반태현, "회계전공 대학생의 교육성과와 전공몰입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국제회계학회 (70) : 349-374, 2016

      2 박인주, "호텔관광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고객지향성, 서비스내면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22 (22): 433-449, 2018

      3 김혜영, "호텔․관광 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호텔리어이미지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전공만족 및 전공몰입, 전공분야 진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4 이형룡, "호텔, 외식, 관광 전공 대학생의 진로 장벽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전공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13 (13): 79-105, 2010

      5 임성은, "항공사 기내 사무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육서비스품질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185-205, 2018

      6 김태희,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 및 학과만족, 그리고 대학 및 직업위상에 대한 인식이 전공 관련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1) : 69-78, 2007

      7 이승렬, "청소년의 동아리 활동과 진로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9 박현희, "직업체험프로그램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푸드스타일리스트 직업체험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10 오나라, "직업전문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1 반태현, "회계전공 대학생의 교육성과와 전공몰입이 취업의지에 미치는 영향: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국제회계학회 (70) : 349-374, 2016

      2 박인주, "호텔관광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고객지향성, 서비스내면행동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관광경영학회 22 (22): 433-449, 2018

      3 김혜영, "호텔․관광 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호텔리어이미지와 자아이미지 일치성이 전공만족 및 전공몰입, 전공분야 진출의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관광대학원 2017

      4 이형룡, "호텔, 외식, 관광 전공 대학생의 진로 장벽이 진로 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 전공 만족도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외식경영학회 13 (13): 79-105, 2010

      5 임성은, "항공사 기내 사무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육서비스품질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관광산업학회 43 (43): 185-205, 2018

      6 김태희,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 및 학과만족, 그리고 대학 및 직업위상에 대한 인식이 전공 관련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31) : 69-78, 2007

      7 이승렬, "청소년의 동아리 활동과 진로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4

      8 김선중, "진로장벽, 희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이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9 박현희, "직업체험프로그램 만족도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푸드스타일리스트 직업체험중심으로"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10 오나라, "직업전문학원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교육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5

      11 정진철, "지각된 서비스 품질이 조직 및 전공몰입을 통해고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산업경제학회 20 (20): 761-785, 2007

      12 왕용, "중국유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가 전공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대학생활적응의 조절효과" 한국관광산업학회 41 (41): 83-111, 2016

      13 최동규, "전통시장 상인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상인의식과 판매전문성의 이중경로를 중심으로"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3

      14 노준석, "전자미디어의 몰입경험과 여가만족의 상관성 분석: TV와 internet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방송학회 18 (18): 116-173, 2004

      15 남순현, "전공몰입과 직업가치: 성별, 지역별, 계열별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심리학회 19 (19): 223-242, 2005

      16 이미라, "전공만족도, 자아탄력성 및 취업준비스트레스와의 관계"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4

      17 이은경, "자기효능감이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1

      18 이지선, "자기효능감이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9 이정애, "자기효능감과 직업가치 및 직업획득 가능성이 진로목표 추구활동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대학원 2009

      20 박선영, "자기효능감과 자아존중감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21 정한상, "일반계고등학교 위탁직업과정 학생의 진로의사결정유형과 진로성숙도가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2 천태중, "의료관광 관련 학과 대학생들의 전공선택 동기가 전공만족도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영교육학회 30 (30): 217-242, 2015

      23 박중환, "우리나라 호텔기업 서비스의 국제경쟁력 제고를 위한 외국인 호텔 고객의 서비스품질요인 개발 및 만족도 제고에 관한 실증적 연구" 9 : 339-363, 1998

      24 손은령, "여자대학생이 지각한 진로장벽 요인에 관한 연구" 2 (2): 251-262, 2001

      25 이성식, "여대생이 인식한 진로장벽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및 진로결정수준의 인과모형" 한국농·산업교육학회 39 (39): 83-109, 2007

      26 오상현, "서비스지향성과 서비스가치가 학생만족과 대학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대학교육 서비스 경쟁력 강화방안을 중심으로" 한국전략마케팅학회 19 (19): 23-42, 2011

      27 장재윤, "상사와의 학력일치가 R&D 전문가의 조직 및 전문분야몰입에 미치는 효과" 10 (10): 79-103, 1997

      28 임문정, "사회복지전공 선택동기와 만족도에 관한 연구 : 대학원을 중심으로" 강남대학교 대학원 2001

      29 김수리, "부모 지지, 진로결정 자기 효능감 및 역기능적 진로사고가 청소년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5

      30 이은주, "몰입에 대한 학습동기와 인지전략의 관계" 15 (15): 199-216, 2001

      31 이태정, "몰입 경험이 진로 태도 성숙 및 진로 결정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4

      32 양태식, "대학의 교육서비스 품질이 학생만족 및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05

      33 구본길, "대학서비스에 대한 외식·조리전공 학습자인식요인이 만족과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1

      34 조계화, "대학생의자아효능감이우울과만족도, 죽음태도에미치는영향" 한국간호과학회 38 (38): 229-237, 2008

      35 김계현, "대학생의 학과(학부)만족의 요인에 관한 연구" 1 (1): 7-20, 2000

      36 이현주,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따른 인지양식 차이" 38 (38): 235-257, 2000

      37 하혜숙, "대학생의 전공학과만족과 학교만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0

      38 정진철, "대학생의 전공몰입이 진로탐색효능감과 직업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7 (27): 229-250, 2012

      39 김현지, "대학생의 전공몰입이 진로목표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행정대학원 2014

      40 전혜경, "대학생의 동아리 활동 특성에 따른 진로미결정 및 생활만족도와의 차이" 한국청소년학회 17 (17): 25-54, 2010

      41 양정호, "대학생의 대학 전공만족도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5

      42 조현재, "대학생의 개인특성이 진로미결정,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직업교육학회 33 (33): 103-127, 2014

      43 박슬기, "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 및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 호텔관광분야 전공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 동북아관광학회 12 (12): 219-235, 2016

      44 최요섭, "대학생들의 전공 만족도와 진로결정수준과의 상관분석" 목포대학교 대학원 2002

      45 한예정, "대학생들의 가치관에 따른 전공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 외식·조리 전공 -" (사)한국조리학회 19 (19): 76-92, 2013

      46 조호현, "대학교육시스템에서 교육서비스과정 품질과 교육성과품질간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상품학회 25 (25): 61-72, 2007

      47 이경철, "대학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대학이미지 및 긍정적 행동의지에 미치는 인과모형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2 (22): 287-310, 2004

      48 박주성, "대학교육 서비스품질 요인이 학생만족, 재입학의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학회 4 (4): 51-74, 2002

      49 최덕철, "대학교육 서비스 마케팅 모형 구축에 관한 연구" 6 (6): 339-366, 2000

      50 노동연, "대학 태권도학과의 교육서비스품질이 학생만족 및 재등록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2 (22): 719-731, 2013

      51 백정희, "대학 무용전공자의 신체자신감과 학습태도 및 전공만족의 관계" 한국체육대학교 대학원 2007

      52 황복주, "대학 교육서비스 품질 측정과 학생인고객만족도 제고에 관한 연구" 한국경영교육학회 (27) : 2002

      53 양성경, "국공립대학교와 사립대학교의 교육서비스품질에 관한 비교 연구"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08

      54 정유리, "교육서비스품질, 학생만족 및 학교충성도간 관계 연구: 관광관련학과 특수대학원생을 중심으로" 대한관광경영학회 23 (23): 139-155, 2008

      55 박종희, "교육서비스에서 학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조직시민행동을 중심으로" 한국소비문화학회 7 (7): 103-124, 2004

      56 홍금순, "교육서비스 품질의 각 차원이 고객만족과 고객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대학 교육서비스 품질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2006

      57 최규환, "관광교육 서비스 평가, 만족,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소비문화학회 8 (8): 135-152, 2005

      58 박명심, "고등학생용 진로자기효능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8

      59 김성회, "고등학생용 진로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 7 (7): 385-397, 2006

      60 서홍원, "경연대회 참가동기에 따른 전공만족, 몰입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대학원 2016

      61 강호계, "敎育서비스 品質과 敎育成果의 期待一致 與否가 行動意圖에 미치는 影響 : 大學 外國語敎育院의 토익敎育 實證硏究" 대전대학교 대학원 2013

      62 Roth, J. L., "Youth development programs : Risk, prevention and policy" 32 (32): 170-182, 2003

      63 Hackett, G., "The relationship of career related self-efficacy expectations to perceived career option in college woman and men" 28 : 377-410, 1981

      64 Allen, N. J., "The measurement and antecedents of affective, continuance and normative commitment to the organization" 63 (63): 1-18, 1990

      65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 Hall 1986

      66 Parasuraman, A., "SERVQUAL : A Mutiple-item scale for measuring customer perceptions of service quality" 64 (64): 12-37, 1988

      67 박주희, "Q-방법론을 이용한 관광관련 직업에 대한 직업이미지 유형화와 직업이미지가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관광산업학회 42 (42): 117-147, 2017

      68 Trivellas, P., "Organizational culture, job satisfaction and higher education service quality : The case of technological educational institute of larissa" 21 (21): 382-399, 2009

      69 Athiyaman, A., "Linking student satisfaction and service quality perceptions : the case of university education" 31 (31): 528-540, 1997

      70 이진영, "HEdFERF 교육서비스품질차원을 이용한 학생만족 및 충성도에 관한 관계연구 -4년제 관광관련전공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한국관광레저학회 29 (29): 437-455, 2017

      71 Bandura, A., "Gaug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judgment and action" 4 (4): 263-268, 1980

      72 Betz, N. E., "Evaluation of a short from of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cale" 4 : 47-57, 1996

      73 Csikszentmihalyi, M., "Beyond boredom and anxiety" Jossey-Base 1975

      74 Taylor, K. M., "Applications of self-efficacy theory to the understanding and treatment of career indecision" 22 (22): 63-81, 1983

      75 한아름, "2년제 항공관련학과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관한 연구 : 전공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12

      76 통계청, "2019년 2월 고용동향"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5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취소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0-15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 Korean Tourism Industry Research Association KCI등재후보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2 2.12 1.8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72 1.69 2.283 0.3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