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광자 인제대학교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문초록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 광 자 (지도교수 : 이 선 우) 인제대학교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본 연구는 취업장애인의 안정적인 직업생활을 위한 직업만족도를 제고시키기 위하여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규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직업만족도의 개념과 이론, 선행연구들을 고찰하여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인구사회학적 요인, 장애관련 요인, 직업관련 요인으로 구분하여 연구의 분석틀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자료는 한국장애인고용공단 고용개발원에서 조사한 ‘2009년도 제2차 장애인고용패널조사’ 원자료를 사용하였다. 분석대상은 제주지역을 제외한 전국의 만 16세 이상 76세 이하의 취업장애인 1,7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Ver. 14.0 for Windows를 이용하였으며, 취업장애인의 일반적 특성과 장애관련 특성, 직업관련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각의 요인에 따른 직업만족도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 F검증을 실시하였으며,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는 2.96으로 보통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세부 항목에서는 의사소통만족도/대인관계만족도가 가장 높았고, 임금만족도는 가장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 차이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연령별로는 20대가, 교육수준은 대졸이상이, 직장 내 장애차별 경험유무는 차별이 없을수록, 취업유형은 임금근로자가, 교육수준대비직무적합도와 기술수준대비직무적합도는 적합하다고 인식한 집단일수록, 지식및기능업무활용도는 높다고 인식하는 집단일수록, 월평균근로소득은 300만원 이상인 집단일수록, 근무환경안전도는 안전하다고 인식하는 집단일수록 직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았다. 인구사회학적 요인에서는 교육수준이, 장애관련요인에서는 신체외부장애가, 직장 내에서 장애차별을 경험하지 않은 경우에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업관련 요인에서는 임금근로자가, 교육수준대비직무적합도, 지식및기능업무활용도, 임금, 근무환경안전도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임금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먼저 임금과 교육수준의 향상을 위한 다양한 사회적 지원 정책의 뒷받침이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갖는 함의와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2요인이론에서 동기요인과 위생요인의 구분은 비장애인인 회계사와 기술자라는 전문직을 대상으로 구분하였기 때문에 이러한 구분이 전문직에서는 타당한 이론일 수 있으나, 장애인에게는 적합하지 않은 이론이라는 한계를 밝혀냈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 이론이 장애인에게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취업장애인들은 개인의 발전가능성이나 자아실현보다 취업자체 즉 임금 등이 직업만족도에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드러났기 때문이다. 그리고 2요인이론에서 임금요인은 불만족요인으로 아무리 충족되어도 근로자들에게 만족을 높일 수 없고 불만족을 감소시키는 요인이었다. 그러나 취업장애인들에게는 오히려 임금이 불만족요인이 아닌 만족을 증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한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에서 임금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입증했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중요한 의의가 있다. 둘째, 정책적 제언으로는 취업장애인의 직업만족도가 보통보다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기 때문에 장애인의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취업장애인의 교육수준 향상, 직장 내 장애차별금지, 임금수준 향상에 초점이 놓여 져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장애유형과 장애정도를 고려한 차별화된 교육지원 정책과 함께 유치원부터 대학교육까지 통합교육 활성화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또한 장애유형에 따른 다양한 직업만족도 향상방안의 필요성과 장애인이 직장에서 장애차별을 경험할 경우 장애인차별금지법을 통해 적극적으로 구제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 권리구제센터 등을 통한 사회적 지원이 제도적으로 뒷받침되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그리고 취업장애인들의 열악한 임금수준을 고려할 때, 장애유형별로 장애인들 개인에게 전적으로 전가되고 있는 장애로 인한 부가적인 지출비용의 지원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장애수당은 장애유형을 고려한 장애인들의 추가비용을 감당할 수 있도록 지원방식이 변화되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되었다. 따라서 장애인의 직업만족도는 가정생활과 일상생활, 사회생활과 관련성이 높은 요인임을 감안해 볼 때, 취업장애인의 교육수준 향상은 물론 교육수준이 낮은 현 상황에서 직업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직업생활에서 체계적인 교육․훈련기능의 강화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주제어 : 취업장애인, 직업만족도, Herzberg의 2요인이론, 직장 내 장애차별경험, 임금

      • 중국 대학생 및 학부모의 대학선택 영향요인 : 한국과 중국의 비교적 관점에서

        곽뢰정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Abstract Guo Leijing Department of Education The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In recent years, the competition of higher education market is increasingly fierce, and subjective awareness among students and parents is strengthened constantly. It has been widely concerned by admissions offices of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HEIs) and the whole society on how to recruit excellent students as well as how to choose suitable HEIs. In other words, the college choice is a decision influenced by a number of demographic, economic, social, political, and institutional factors. Different types of students and parents chose to attend certain universities on the basis of one or more factors that link directly to their characteristics and needs. However, whether in China or in South Korea, there is little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and parents' college choice. In the purpose of further analyzing the factors influencing Chinese students' and parents' college choice, this study adopted questionnaires on 199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200 parents from different resident regions and social-economic backgrounds. In order to make clear the disparity of these factors' influence, the disparity of Chinese students' and parents' final college choice and the disparity of Chinese parents' behaviors, the questionnaire was classified into 6 parts: general characteristics, cognitive factors, college's characteristic factors, social factors, family factors and college choice decision. After this, this study tries to provide some advice for HEIs to improve their recruit performance and education service. The main conclusions in this study include: First, Chinese parents held that if their children entrance into a university, not only they can keep face in front of acquaintances and other family members, but also their children could make more personal connections with many excellent professors. But on the other hand, these two cognitive factors were all of small statistical significance to Chinese students. Secondly, among the 7 college's characteristic factors, job prospects, school atmosphere, college's scale and distance between college and hometown were pro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also they were more important for Chinese parents than Chinese students. Thirdly, among the social factors, the college application guidelines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the college choice for Chinese students and parents. But the college application counselor's influence was the lowest. In addition, the disparities of non-human sourc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for objects of this study. Except the internet, the influence of college's promotional materials, application guidelines and magazines were more important for Chinese parents than students. Fourthly,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e better the social-economic backgrounds, the higher the communication frequency of students with their parents, moreover, the higher the cognitive degree of parents on their children's college choice. Fifthly, this study found that, Chinese students played a dominant role in the progress. Despite of the divergence, Chinese parents would like respect their children's college choice, then reach an agreement on college choosing issues. Keywords: college choice, influence factors, college choice decisions 국문초록 고등교육의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학생과 학부모들이 주체로서 인식이 강해지고 있다. 이로 인해 고등 교육 기관들과 사회 전체가 우수 학생 모집을 비롯하여, 학생 및 학부모의 대학선택에 대한 관심도 점차 커지고 있다. 그러나 중국에서든 한국에서든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 선택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과 비교하는 관점에서 중국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선택 영향요인에 대해 분석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선택 영향요인이 무엇이며, 학생과 학부모의 대학선택 결정의 차이가 무엇인지, 또한 학부모와 자녀의 대학선택 의견이 불일치할 경우, 그들은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는 행위를 선택할 것인지, 혹은 자신의 의견을 받아들이도록 자녀에게 권유하는 행위를 선택할 것인지, 그리고 이러한 행위 간의 차이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기 위해 199명의 중국 대학생과 200명의 중국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설문 문항들은 일반적 특성, 인식적 요인, 학교특성적 요인, 사회적 요인, 가정적 요인, 그리고 대학선택 결정의 6가지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아래 5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중국 학부모들은 자녀의 대학진학이 지인과 친척들 앞에서 체면을 세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녀가 대학에서 훌륭한 교수를 만나 인적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는 인식 등 인식적인 요인을 중요시 하였다. 반면에 중국 대학생들의 대학선택에 있어서 인식적 요인은 그다지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학교특성적 요인 중 대학 졸업생의 취업 전망, 학업 분위기 대학 규모, 고향과의 거리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는 학생에 비해 학부모에 대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요인 중 중국 대학생과 학부모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학 모집요강이다. 반면에 대학 입시 상담사의 영향은 가장 낮았다. 또한, 비인적 정보원 요인은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인터넷 정보를 제외하고, 대학 홍보물, 모집요강과 잡지 등의 요인은 학부모에 대한 영향이 학생에 비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가정의 사회경제적 배경이 좋을수록, 중국 대학생들은 부모와의 의사소통 빈도가 높아지고, 학부모들이 자녀의 대학선택을 인식과 이해하는 수준도 높아지는 경향을 보인다. 다섯째, 본 연구에서는 중국 대학생들은 대학선택 과정에서 절대적인 결정권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부모들은 자녀의 대학선택 결정을 존중하면서, 자녀와 상의한 후, 보다 일치하는 대학선택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선호함을 알 수 있다. 주요어 : 대학선택, 영향요인, 대학선택 결정

      • 일반의약품 구매결정영향요인 : 치료의약품과 예방의약품의 차이

        이동현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소비자가 일반의약품 선택 시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며 일반의약품 유형에 따라 구매결정영향요인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문제를 제기해봄으로써, 일반의약품 구매결정영향요인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향상의약품과 예방의약품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먼저 기존연구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조절초점이론인 향상초점과 예방초점을 기초로 하여 조절초점이 작용하는 시작점을 기준으로 조절초점이 작용하는 방향성에 따라서 일반의약품을 향상초점이 작용하는 향상의약품과 예방초점이 작용하는 예방의약품으로 분류하였다. 그리고 향상의약품은 향상초점이 작용하는 방향성은 같으나 향상초점이 작용하는 시작점의 차이에 따라서 치료의약품과 개선의약품으로 세분화 시켜 총 세 가지 일반의약품으로 분류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문의약품을 제외한 일반의약품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일반의약품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진통제, 감기약, 파스, 영양제, 구강청결제, 입술보호제 그리고 모기기피제로 제한하였다. 구매결정영향요인은 선행연구에서 진행되었던 구매결정영향요인들 중에서 본 연구와 관련 있는 구매결정영향요인들을 추출하여 가격, 안전성, 유효성, 성분 및 함량, 기업이미지, 광고, 약사조언, 구전으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해 일반의약품 구매경험이 있는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219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SPSS 18.0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의약품의 구매결정영향요인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성과 유효성이 가장 크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일반의약품의 성분 및 함량, 가격, 기업이미 그리고 광고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치료의약품의 구매결정영향요인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성과 유효성, 광고가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셋째, 예방의약품의 구매결정영향요인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안전성과 유효성, 구전, 그리고 기업이미지가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예방의약품과 치료의약품의 구매결정영향요인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공통적으로 안전성과 유효성이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고, 본 연구의 목적인 일반의약품 구매결정영향요인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향상의약품과 예방의약품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연구결과는 영양제를 제외한 향상의약품에 해당하는 치료의약품은 광고가 충성도에 영향을 주었고, 예방의약품은 구전과 기업이미지가 충성도에 영향을 주면서 일반의약품 구매결정영향요인이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은 치료의약품과 예방의약품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일반의약품의 제품유형에 따라 소비자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구매결정영향요인이 어떤 것인지 파악하여, 구매의도를 높이기 위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 조직통합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김천산 전북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702

        The health insurance policy was introduced in the system of decentralization in 1997, which has individual associations as the operational unit, for the reason that it was convenient to carry out. However as the decentralization policy was operated, some problems began to appear. Unlike the original intent, problems continued to appear such as the lack of equity in charge between regional and social stratums, low pay leveling caused by severe financial unbalance between associations and inefficiency coming from management by a number of associations. Thus the separation management of the independent profit system of decentralization Administrative methods related to health insurance enlargement policy began to be reviewed for minimizing the health insurance problems in 1980. However multi-insurer administrative method was decided to be kept according to the public opinion that employee's insurance bill would increase. The health insurance administrative system was operated separately in work place centered multiple job associations and regional associations of administrational regional units. Many problems caused by low charge, low pay structure were pointed out and the government kept trying to resolve them. In order to improve the structural problems, there was a controversy on the management system of unification and decentralization. Medical insurance association, which was preexisted insurer organization, was the insurer for employees and residents. Among them, 227 regional medical insurance associations were united with public official ․ school personnel medical insurance corporation starting 1st of October 1998 by the revision bill of December 1997 and it was founded a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139 job medical insurance associations were united with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on 1st of July 2007 and it was founded as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In the meantime health insurance organization had been operated separately by nonprofit associations and corporations and was forced to be operated by single insurer organization,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starting 1st of July 2000. However these three following questions are brought up about the simple facts. The first question is that why it took 20 years for the health insurance, which was started as decentralization in 1977, to reach the complete unification in December 1998. The second is that it can be assumed that there might have been strong influence that showed opposition to the policy change of unification even so the unification was realized against the resistance. What were th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overcoming the resistance from the opposing power and enabled the organizations to be united? The last question is that how the factors influence and facilitated the unification of organizations. For the answer to the first question, the intrinsic nature of the unification and decentralization needs to be examined. They had different values, so it was hard to find the interface between the two and they stood opposite each other having a divergence of opinion. In addition, political factors at the time also acted on this issue. There happened "a conspiracy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ety" in 1983 past the beginning of the argument on unification. The officials in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ety and executives of medical insurance association, who advocated the unification of organization, were framed corrupt officials on and dismissed and since then the debate on the unification had been taboo. The unification bill passed the National Assembly in 1989 when the president was Roh Tae-woo, but it went to pieces because of a presidential veto. As the officials dismissed for "the conspiracy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ety" got to play the leading role, the agreement for the unification progressed rapidly. The answer to the second question can be divided into these following two. First the structural factor of internal organization need to be mentioned. Organizations had a conservative tendency but self-motivative demand was one factor that contributed to the unification of organizations. The next factor is environmental one. The change in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surrounding the organizations played a role of catalyst material for the unification. The last factor is the participants who took part in the policy decision. There was competition and conflict between the participants over the principals and methods of insurance in the process of the argument of unification. There were internal conflict factors as well as superficial factors. In other words the advocates and opponents showed conflicts from their own interests as well as complications from different valuation and it was led to the unification as the justness was given to advocators. Lastly the participants' behaviors should be examined for the third question. The advocators and the opponents showed aggressive and argumentative or defensive and passive behaviors and sometimes exercised their influence with silence. The public support for the advocators was the crucial factor that helped to overcome the opposing movements. As sympathetic atmosphere was made for the unification, the organizations partially unified and were led to complete unification and then the argument on the unification put an end. This research does not aim at telling whether right or wrong of the arguments between the advocators and the opponents but at examining the process to the unification of organizations. For the convenience of research, the process of the unification is divided into four phases of commencement, dissemination, partial unification and complete unification.

      •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독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장해숙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2

        이 연구는 성장단계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독서의 양이 하락하는 원인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독서의 영향요인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3년 11월부터 2014년 5월까지 총 8개월 동안 연구를 실행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양적 연구를 모두 실행하는 혼합연구방법을 선택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독서할 때 경험하는 다양한 영향요인을 탐색하고 이를 근거로 독서 영향 요인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순차적 탐구전략 3단계 전략이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어 이를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경기도 안양시 소재 44개 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 1,320명으로, 1단계 질적 연구에서는 독서 영향요인 측정을 위한 설문지를 마련하기 위하여 포커스그룹 인터뷰와 문헌연구를 수행하였다. 대상으로는 학생 10명, 교사 3명, 학부모 3명 등 총 16명을 선정하였으며 2013년 12월 11일~2013년 12월 13일까지 개방형 질문지를 활용한 면담을 실시하고 수집된 면담자료는 근거이론 분석을 수행하였다. 2단계 양적 연구에서는 질적 연구에서 도출된 내용을 근거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구조화된 질문지를 제작하였다. 선정된 문항들은 8명의 전문가 집단을 이용한 독서교육 관련분야 교수 2명과 교사 2명, 심리학자 2명, 환경단체관계자 2명을 포함한 총8명의 전문가집단의 평가항목에 대한 적합성 검증을 위한 문항 내용타당도 평가와 문항정제작업을 거쳤다. 3단계 양적 연구에서는 측정도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소수의 학생을 대상으로 2회의 예비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28명으로 1차와 2차가 다른 대상자에게 2014년 3월 26일~2014년 4월1일까지 검사를 실시하여 최종문항을 확정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결과로는 4개 평가영역, 12개 평가항목, 44개 평가내용으로 재구성하였다. 예비조사에서 최종 확정된 문항으로 2014년 4월 1일부터 2014년 4월 15일까지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8.0의 통계프로그램패키지를 이용하고, 요인 측정도구의 신뢰도 분석은 Cronbach's Alpha값을 사용하였다. 요인구조를 알아보기 위한 요인분석방법으로는 주성분 분석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요인의 회전은 직교회전으로 실시하였다. 또한 요인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분산분석과 독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양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독서습관 및 태도”영역은 독서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독서효과와 독서태도가 부정적일수록 5학년 학생들의 독서가 감소하고 있었다. 둘째, “발달 단계적 특성”영역에서는 생리적 요소와 독서문제가 높고, 독서에 대한 인식이 낮을수록 5학년 학생들의 독서가 감소하고 있었다. 셋째, “학령 단계적 특성”영역에서는 학령 단계적 요인에 의해 독서량이 감소하고 독서교육에 부정적일수록 5학년 학생들의 독서가 감소하고 있었다. 넷째, “사회 환경적 특성”영역에서는 주위환경과 독서환경이 나쁠수록 독서가 감소하고 있었다. 5학년이 되어 독서량이 감소한 학생에게는 특히 사회 환경적 특성이 많은 요인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섯째,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서는 독서인식이 낮고 주위환경과 독서환경이 나쁠수록 독서가 감소하고 있었다. 특히 독서에 대한 인식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주위환경, 독서환경의 순으로 나타났다. 영역별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발달 단계적 특성”, “사회 환경적 특성”순이었다. 연구결과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요인과 긍정적 요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요인은, 독서 인식의 부족, 독서환경의 불충분, TV 및 휴대폰, 컴퓨터(전자매체)의 영향이 크고, 독서교육의 부정적인 영향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긍정적인 요인은, 독서의 필요성 인식, 과제해결방법을 위한 도서 활용, 여가 활동을 위한 활용, 독서 장소나 책 조달 방법으로 도서관을 이용하는 것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 초등학교 5학년이 되면서 독서 양이 급감하게 되는 원인과 이들의 독서에 영향을 미치는 부정적 요인 및 긍정적 요인이 밝혀졌다. 이 연구결과를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독서지도에 반영시킨다면 학생들의 독서습관 형성에 기여하게 되고, 평생 독자로 만들 수 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본다. 그리고 이것이 곧 미래 사회를 이끌어갈 인재양성의 첩경이 될 것이다.

      • 팀효과성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수정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2

        기업의 경영환경이 예전과는 달리 급속히 변화하고 있다. 기술변화가 점차 빨라지고 종업원이나 고객들의 욕구가 다양해지며 기업간 경쟁도 더욱 치열해지는 무한경쟁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또한 개성과 자기 주장이 강한 신세대들이 점차 노동인력으로 등장하고 있으며, 세계화 달성을 위한 기업들의 해외진출 증가로 인해 우리나라 기업들은 다양한 인력들을 관리해야 하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영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많은 기업들은 여러 혁신적 조직관리법을 도입하고 있는데, 팀조직은 이러한 방법들 중 하나로써 많은 기업들이 시행하고 있는 대표적 조직관리법이다. 그러나 불행히도 팀조직을 성공적으로 실시하는 것은 생각보다 쉽지 않다. 특별히 팀구성원들간의 이질성은 팀 효과성에 있어 기회이면서 동시에 위험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에, 이질인재가 더욱 중요시되는 요즘에는 더욱 어려움이 많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과업과 관련된 지식, 경험, 기술, 능력의 이질성에 대한 구성원의 지각이 팀효과성과 직간접적인 관계를 가지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팀구성원의 과업관련 지식, 경험, 능력, 기술의 이질성이 직접 팀효과성에 영향을 미치고 또한 집단효능감과 의사소통을 통하여 간접적으로도 팀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팀효과성 연구에 있어 일반적 모형인 “투입-프로세스-산출” 모형을 바탕으로 과업과 관련된 팀구성원들의 능력이나 기술, 배경의 이질성이 의사 소통과 집단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의사소통의 원활성” 변수와 집단효능감 변수가 팀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의사소통의 원활성” 변수와 집단효능감 변수가 팀구성원의 과업 이질성과 팀효과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지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팀구성원의 이질성 지각은 집단효능감, 의사소통의 원활성, 팀효과성 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팀구성원들이 팀원들의 과업과 관련된 지식, 경험, 능력, 기술의 이질성이 높다고 지각할수록 집단능력에 대 한 자신감의 정도나 의사소통의 원활성과 개방성, 팀효과성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둘째, 집단효능감은 팀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사 소통의 원활성 변수는 팀효과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팀구성원들의 집단능력에 대한 자신감 정도가 높을수록 팀효과성은 높아지지만,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개방적으로 이루어진다고 팀효과성이 증가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셋째, 팀내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개방적일수록 집단효능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팀효과성 모형의 일반적 틀인 “투입-프로세스-산출” 모형으로 팀효과성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여 팀효과성에 대한 보다 폭넓은 시각을 제공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과업설계나 조직상황과 같은 투입요소 들이 팀효과성을 높일 수 있는 조건을 갖추었다 하더라도, 팀구성원들은 팀 조직 내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과업을 수행하기 때문에 팀원들이 팀에서 얼마나 잘 조직되고 통합되며 생산적인 상호작용을 하는지 즉 프로세스 요인 들이 팀효과성이나 투입변수들과 어떻게 상호작용하는지는 팀효과성에 있어 중요하다. 따라서 “투입-프로세스-산출” 모형을 바탕으로 프로세스 변수들 과 투입 및 산출 변수들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팀효과성 영향요인들간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있어 의미 있는 연구이다. 둘째, 과업과 관련된 능력, 기술, 배경 등에 있어 팀구성원간 이질성이 높을수록 집단효능감, 의사소통, 팀효과성이 증가한다는 본 연구결과는 우리나라 기업들에게 팀관리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고 있다. 서구와는 달리 문화적 동질성이 짙은 우리나라의 기업환경에서 파업과 관련된 구성원들의 이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훈련기회의 제공과 같은 관리 방안이 절실하다. 또한 팀원을 구성할 때, 팀구성원간 다양한 경험이나 능력, 기술을 가진 팀이 되도록 하고, 팀구성원들이 자신의 팀 능력에 대한 긍정적인 신념을 가질 수 있도록 팀구성원간 의사소통의 원활성과 개방성 유지에 노력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팀효과성 연구에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집단효능감 변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집단효능감은 여러 팀설계변수 중 팀효과 성과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변수로, 기존 팀효과성 모형의 낮은 설명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변수이나, 측정의 어려움등으로 인하여 자주 연구되지 못한 개념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팀효과성과 가장 높은 연관이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집단효능감 변수를 팀효과성 모형의 한 변수로 놓고 팀효과성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실증연구를 하였다. 넷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팀효과성에 대한 모형을 수립하고 팀조직을 실시하고 있는 한국기업들을 대상으로 팀효과성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팀수준연구의 어려움으로 인하여 기존의 팀조직에 관한 연구들은 주로 팀제의 효율적 활용 방안의 제시나 특정 기업을 대상으로 사례 연구를 하는 정도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팀효과성의 영향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팀효과성의 영향요인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팀효과성의 영향요인 중 일부만 살펴보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팀 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본 연구에서 살펴본 변수 이외에도 과업의 자율성이나 상호의존성과 같은 직무특성변수들, 보상이나 교육시스템과 같은 조직상황변수들, 또 프로세스 요인들 중에서도 의사소통이나 집단효능감 이외에 신뢰, 응집력 등의 여러 변수들이 있다. 그러므로 팀설계요인이라든가 조직상황요인과 같은 팀효과성의 영향요인들을 첨가하여 보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팀효과성 모형을 수립해야 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팀구성원만을 대상으로 팀효과성을 측정하였다는 문제점이 있다. 팀효과성의 평가에 있어서 종업원, 조직의 관리자나 경영자, 조직전체와 같이 여러 자료원으로부터 자료를 얻지 못하고 팀구성원들만을 대상으로 독립변수와 종속변수 모두를 측정하고 있기 때문에 동일자료 출처에 의한 오류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팀구성원들뿐 아니라 팀을 평가하는 관리자를 대상으로도 팀효과성을 측정하거나 또는 팀성과에 대한 보다 객관적인 팀효과성 자료를 기업으로부터 직접 얻어 동일자료 출처에 의한 오류를 감소시켜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는 다른 산업에 비해 팀구성원들의 과업 이질성이 높은 광고대행사와 정보통신관련 기업들을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결과를 다른 산업에 속한 기업들에까지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에서 표본으로 선택한 산업이외에 다른 산업을 대상으로 팀효과성 모형을 검증하여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가 가능한지를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넷째, 본 연구에서 살펴본 변수들 중 특히 팀효과성과 집단효능감 변수간의 상관관계가 매우 높게 나왔다. 이는 본 연구의 응답자들이 집단효능감과 팀효과성 개념을 구분하지 못하고 하나의 개념으로 인식할 수도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므로 향후 연구에서는 집단효능감을 측정하는 항목들이 팀효과성을 측정하는 항목들과 높은 상관관계를 가지지 않는 설문문향을 선택하여 실증연구를 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기존 연구들과는 달리 본 연구에서는 의사소통의 원활성이 팀효과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In recent years, unprecedented revolution caused by the rapid pace of technological changes, newly defined global market, and ever-diversified needs of workers and customers suggests organizations to shift existing paradigms. Appearance of new generation, which is in the mainstream of work environment of today and characterized as strong personality and self-assertion, is another example of inevitable situation to our business organizations. To overcome these challenges successfully, many organizations have adapted work teams as one of the primary solutions.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work teams is extremely difficult unlike our expectations, especially when it is required for organizations to retain diverse work teams to get better solutions easily. Thus, it is useful for organizations to find proper ways to minimize undesired disadvantages while maximizing its benefits when organizations implement work teams because organizations are simultaneously exposed in the face of both opportunities and problems of heterogeneity in the team compos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previous studies, which are focused on team effectiveness, perception of diversity among team members, communications, and collective efficacy, and empirically to investigate relationships of these variables.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그림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Hypothesis 1. Higher the perception of heterogeneity among team members, higher the team collective efficacy. Hypothesis 2. Higher the perception of heterogeneity among teams members, higher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Hypothesis 3. Higher the team collective efficacy, higher the team effectiveness. Hypothesis 4. Higher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higher the team effectiveness. Hypothesis 5. Higher the effectiveness of communication among team members, higher the team collective efficacy. Hypothesis 6. Higher the perception of heterogeneity among teams members, higher the team effectiveness. Seventy-eight teams in total of 295 team members in telecommunications and advertising industries were completed the survey in the work setting. LISREL was used to examine 6 hypothe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erception of heterogeneity among team members influences collective efficacy,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nd team effectiveness. When team members perceive their teams are more heterogeneous than the others, the degree of collective efficacy,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nd team effectiveness is increased. Second, collective efficacy influences team effectiveness but communication effectiveness doesn't affect team effectiveness. When team members have higher self-confidence about their team capability, team effectiveness is greater but it isn't when communication is effective. Third, whe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is higher, collective efficacy is grea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this study using "input-process-output" model, which is a predominant framework for team effectiveness model, offers a broad perspective of team effectiveness. Although input variables like task design, team composition, and organizational contexts are sufficient to improve team effectiveness, it is crucial to show how team members harmonic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for team effectiveness because they work through interacting processes in team. Thus, it is useful to study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cess variables and team effectiveness or input variables using "input-process-output" model. Second, one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that collective efficacy, communication effectiveness, and team effectiveness are also increased when the degree of task-related skill, experience, and knowledge gets higher. It suggests some perspectives for Korean business organizations. Management plans that can improve task-related heterogeneity of team members are necessary for Korean business organizations, which may encounter a high cultural similarity. It is also necessary to posit people in teams so as to make diverse teams, and to keep trying to facilitate communications. Third, this study examines collective efficacy that few studies have concerned on. Collective efficacy is highly correlated with team effectiveness among many team design variables and has potential to explain a significant amount of unexplored variance in measures of team effectiveness. In spite of these benefits, collective efficacy has received relatively little attention due to difficulty of its measurement. This study, however, chooses collective efficacy as a mediator between team member's perception of heterogeneity and team effectiveness. Fourth, contrary to previous studies of team effectiveness in Korea, which had usually paid attentions to effective management implementations for teams or case studies, this study empirically tested determinants of team effectiveness. However, this study also has some limitations as follow; First, limitation comes from partly selected variables. Even though variables used in this study were major factors to team effectiveness, including other variables would help us to build more integrated team effectiveness model. Second, survey samples were composed of team members only. To get more precise result, domain of survey should be enlarged to contain other important sources as well. However, chances of common method bias may increase because this study selected only one source, that is team members, as a sample. Third, participated companies for the survey were known to have higher heterogeneous than other companies. Because of this, generalizing this theory might not be appropriate for other business organization in different industries. Fourth, correlation of team effectiveness and collective efficacy is ranked very high. It is possible that responders may be considered as one when they perceived those two different constructs. In the future study, survey questions about collective efficacy have to be selected very cautiously. Finally, because this study shows that effective communication is not a direct determinant of team effectiveness, additional study on this subject is suggested.

      • 귀촌 영향요인에 따른 정주의식에 관한 연구 : 귀촌정책과 사회적 관계를 중심으로

        왕재억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2

        도시민이 농촌으로 이주하는 귀촌현상의 증가는 인구감소와 고령화된 농촌사회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귀촌인의 유입은 농촌지역의 경제적․사회적․문화적인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농촌지역 발전을 위해서는 귀촌인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정착이 중요하다. 그러나 귀촌인 중에는 정착에 성공한 사람이 있는 반면, 정착에 실패하여 도시로 재이주하는 경우도 발생하고 있다. 귀촌가구의 재이주는 개인적인 비용의 손실뿐만 아니라 국가적으로 많은 사회적 비용이 낭비된다. 따라서 귀촌인이 농촌사회에 정착하기 위해 이주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점과 이주 후 정착과정에서 발생되는 갈등요인들을 파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귀촌인의 정착에 필요한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귀촌인의 이주결정 및 정착과정에서 구성변수들의 인과관계를 규명하고, 귀촌인의 특성에 따라서 정주의식의 차이를 밝혀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귀촌인의 이주결정 과정의 중요한 영향요인으로는 귀촌동기를 채택하였으며, 동기의 구성변수를 도시압출요인과 농촌흡인요인으로 구분하여 책정하였다. 외부적 영향요인으로는 귀촌지원정책을 채택하였으며, 내부적 영향요인으로는 귀촌준비를 채택하였다. 그리고 귀촌인의 정착과정의 영향요인으로는 사회적 관계를 채택하였다. 채택된 요인들이 정주의식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귀촌정책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귀촌정책은 귀촌동기를 추동하여 정주의식을 높이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촌정책은 도시민이 귀촌을 결정하는 데 있어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을 감소시키고, 성공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심어줌으로써 귀촌하고자 하는 동기를 추동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규명하였다. 둘째, 귀촌동기의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구성변수인 농촌흡인요인에 대한 욕구가 강할수록 귀촌준비를 철저히 하게 되며, 귀촌 후 사회적 관계형성을 위해 적극적인 노력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사실은 결과적으로 정주의식을 높이는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그리고 도시압출요인에 대한 해결 욕구가 강할수록 귀촌준비를 적극적으로 하여 정주의식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되었다. 셋째, 귀촌준비는 사회적 관계형성과 정주의식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는 귀촌준비를 철저히 할수록 농촌주민과의 사회적 관계형성에 적극적인 자세로 임할 수 있어 긍정적인 관계형성이 가능하다는 결과이다. 그리고 철저한 귀촌준비가 정주의식을 높여줌으로써 안정적인 정착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귀촌인의 사회적 관계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귀촌인의 사회적 관계는 정주의식을 높이는 요인으로 밝혀졌다. 특히 사회적 관계는 공동체의식 형성과 지역애착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촌인의 거주지역에 대한 애착심과 공동체 의식을 제고하는 것이 지속적으로 정착하고자 하는 의지를 향상시키는 핵심적인 요인임을 규명하였다. 다섯째, 귀촌의 목적이 다양화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하여 귀촌인의 귀촌동기를 바탕으로 압출형, 무동기형, 전원형, 영농형 등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유형별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류된 귀촌유형에 따라 인구학적 특성이나 귀촌행태, 귀촌정책과 귀촌동기, 귀촌준비, 사회적 관계, 그리고 정주의식에 있어 각각의 차이를 보였다. 귀촌인들은 유형별로 색다른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이들이 농촌사회에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각각의 유형에 적합한 귀촌정책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여섯째, 귀촌유형별 귀촌정책, 귀촌동기, 사회적 관계가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형과 관계없이 정책지원은 귀촌동기를 추동하고, 귀촌동기는 귀촌준비를 촉진하여 사회적 관계형성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회적 관계는 정주의식을 높여줌으로써 성공적인 귀촌생활에 있어 핵심적인 요인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귀촌인들은 유형별로 다른 특징과 영향력의 차이를 보이고 있다. 이는 귀촌유형에 따라 귀촌을 결정하는 동기요인과 준비요인, 그리고 추구 목적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이다. 귀촌인이 농촌사회에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서는 각각의 유형에 적합한 귀촌정책 수립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귀촌정책, 귀촌동기, 귀촌준비, 사회적 관계, 정주의식 간의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귀촌결정과 실행 과정, 그리고 성공적 정착까지의 통합된 관점에서 이론적․경험적으로 규명하였다. 그리고 귀촌에 관한 연구에 있어 귀촌동기와 유형에 따라 보다 세부적인 분석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귀촌인의 귀촌유형을 분류하고 그 특성을 분석하여 정주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의 차이를 규명함으로써 귀촌인의 성공적인 정착을 위한 차별화된 지원정책의 필요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increase in the back-to-village phenomenon of city dwellers migrating to farming villages plays an important role in revitalizing the farming village whose population is reducing and becoming aged. The inflow of back-to-village people can become a good opportunity to contribute to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development of the rural area. Accordingly, the stable and continual settlement of back-to-village people is important to enable the rural area to develop. But some of them have succeeded in getting settled and others have failed and remigrated to cities. The remigration of the back-to-village households is not only the loss of their individual costs but the waste of large social costs at the national level. So there is a need to grasp both the problems raised in the process of migration to rural areas for back-to-village people to get settled in the rural community and the conflictual factor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getting settled after migration to the rural area. And it is very important to grasp influencers on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needed for back-to-village people to get settled.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 variables in the process of back-to-village people's migration decision and settlement and clarify a difference in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For this purpose, it adopted the back-to-village motive as the important influencer on the process of back-to-village people's migration decision and set the component variable of the motive by dividing it into the urban push factor and the rural pull factor. It adopted the back-to-village support policy as the external influencer and back-to-village preparation as the internal influencer. And it adopted the social relationship as the influencer on the settlement process of back-to-village people. It set and empirically analyzed the research hypothesis that the adopted influencers would have an effect on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First, it was found that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 back-to-village policy, it contributed to giving an impetus to the back-to-village motive and enhancing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It was found that the back-to-village policy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lending an impetus to the motive for city dwellers to get back to the farming village by reducing the uncertainty of the future in their decision-making process and giving them a feeling of self-confidence in successful settle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in relation to the influence of the back-to-village motive, a stronger desire for the rural pull factor of the component variable led back-to-back people to make thorough back-to-village preparation and active efforts to form the social relationship after getting back to the farming village. This fact consequently came to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enhancing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And a stronger desire to resolve the urban push factor came to act as a factor of leading back-to-village people to make active back-to-village preparation and enhance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Third, back-to-village preparation was found to be an fact of exerting a positive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This indicates that thorough back-to-village preparation enables back-to-village people to take an active attitude towards the formation of the social relationship with rural residents,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a positive relationship. And thorough back-to-village preparation was found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leading back-to-village people to get settled stably by enhancing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Fourth, it was found that back-to-village people's social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in enhancing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In particular, the social relationship was found to have a great effect on the formation of the community spirit and regional attachment. It was found that enhancing back-to-village people's attachment and community spirit to the residential area was a core factor of improving the will to continue getting settled. Fifth, an attempt was made to reflect the diversified reality of the purpose of back-to-village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f the types of back-to-back motive by dividing it into squeeze-out, amotivational, pastoral and farming type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demographical characteristic, back-to-village behavior, back-to-village policy, back-to-village motive, back-to-village preparation, social relationship and settlement consciousness according to classified back-to-village types. Back-to-village people show different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back-to-village motives, and the need of the back-to-village policy appropriate for each type is required for back-to-village people to succeed in getting settled in the rural community. Sixth, analysis showed that the back-to-village policy and motive, and social relationship had an effect on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by back-to-village typ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regardless of types, policy support lent an impetus to the back-to-village motive, which promoted back-to-village preparation, thereby contributing to the formation of the social relationship. And the social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a key factor in leading a successful back-to-village life by enhancing the consciousness of settlement. Finally, there was a difference in other characteristics and influences according to back-to-village types. This is because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motivational and preparation factors determining to get back to the farming village, and in the purpose of pursuit according to back-to-village types.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the back-to-village policy appropriate for each type for back-to-village people to get settled in the rural community. Like this, this study attempted to make a theoretical and empirical investigation into back-to-village decision-making and implementation process, and successful settlement from an integrative perspective by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among back-to-village policy, motive and preparation, social relationship and settlement consciousness. And it presented the need for a more detailed analysis of back-to-village motives and types in future relevant research. It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the need for differentiated support policy for back-to-village people to succeed in getting settled by classifying people's back-to-village types, analyzing its characteristics and inquiring into a difference in their effect on settlement consciousness. Key Words : Back-to-village people, Back-to-village influencer, Back-to-village type, Social relationship, Back-to-village policy, Back-to-village motive, Back-to-village preparation.

      • 지방교육인사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연구

        김영덕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and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ersonnel and staff with respect to environmental influential factors on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the subjects for inquiry are as follows. Firstly, how much is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 Secondly, what ar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influencing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Thirdly, why is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Fourthly, how does an educational organization change when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are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 And fifthly, how can the effect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be reduced?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educational officials in Korea regional education administrative agencies and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s in public and private schools. The subject was chosen from a national population, divided into 2 groups, persons in charge of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and persons directed by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Data were collected with questionnaires, and to confirm the result of date analysis focus group talk and in-depth meeting were done. 1319 subject were analyzed comparatively by three background factors (subject, sex, and native place), and data analyzed with SPSS 12.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egree of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being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 is 3.25 point in Likert 5point criterion, and personnel administration in educational administrative institutions is more influenced than that in unit schools, appointment or reward administration more than training or punishment administration, and in appointment administration promotion, transfer and change of occupation are more than recruitment and assignment to position. Second, the external environment influencing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is political, economical, socio-cultural, and scientific technical, and the influential factors are blood ties, school ties, territorial ties, value and ethics of those who have authority over personnel affairs, request, external pressure, and regional public, etc, and influence group is higher institutions of those who have authority over personnel affairs, regional politicians, regional government leaders and masterminds of personnel affair administrators, etc. Third, the reason for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being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 seems to be the special cultural aspects of Korean society, that is attribute of educational society which is vulnerable to power, public and external pressure, and general practice and evil customs of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the political desire of regional educational organization leaders or personnel affair administrators, and ethics of personnel affair administrators, etc. Forth, as the principle of educ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is damaged in the effect of external environment on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fairness, clarity, and reliability is decreased, trend of mutual distrust in educational society is created, and conflict arises in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change is made in the negative way, however, positive changes are made such as the secure of needed cooperators and able man power in management of regional educational organization. And fifth, ways to decrease the effect of external environment on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are the improvement of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such as an open personnel administration, relevant regulation modification, personnel administrator professionalism improvement, personnel committee member contest, conducting a hearing for leading regional educational personnel, and the continual effort of educational society for renovation of close relationship ills such as blood ties, school ties, and territorial ties, and for reinforcement of independence and ethics of personnel administrators. From the above analyses,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First of all,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has been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These factors include surrounding network such as kinship, regionalism, and school ties. Other type of factors such as moral standards and values of authority holder over human resources, pressure from outer sources, regional public opinion, and requesting special consideration for a job position do influence this administrative process. The reasons why the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process has been influenced by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re Korea’s unique educational system that is vulnerable to authority, public opinion, and external pressure. Korea’s unique paternalism that is spread throughout the society also plays important role as the main reason, and lack of moral standards among the authority holders is also one of the key reasons. When the regional education personnel administration process is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change in educational structure turns out to be negative, rather than positive. The members of educational structure hold negative perceptions on such external factors. Secondly, it is revealed that the person directly concerned, and women hold relatively stronger negative perception on those external factors, than authority holders and men. This phenomenon implies the perceptual gap between different groups within the structure, and such gap means that a tendency of mutual distrust is rampant in the educational administrative system, due to the lack of proper communication. Tendency of mutual distrust within the educational structure also indicates that the regional educ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is advantageous to men and authority holders and somewhat disadvantageous to women, and people directly involved with the process. Lack of proper communication produces unnecessary miscommunication, distrust and makes people’s experience as faculty members less pleasurable. Thirdly, members of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have to make constant effort in order for negative perceptions members have to be vanished and in order for inter-group trust to be enhanced. Efforts to minimize the impact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need to be made to improve fairness, clarity and reliability. Proper communication is also needed to avoid unwanted misunderstandings and distrust. Authority holders or administrators in the regional educational organizations need to throw away the status-seeking attitude and connection-oriented thoughts and establish adequate administrative values and moral standards. In addition, improvement on the educational personnel administration system, modification of related laws, and minimizing the impact of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are definitely needed. Political approach to this administrative process should be prohibited. Rational and educational approach should be encouraged and supported.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교육인사행정의 환경영향요인 문제에 대한 교원과 교육전문직의 인식을 파악하는 것이고,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교육인사행정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어느 정도 영향을 받고 있는가? 둘째, 지방교육인사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환경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지방교육인사행정이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는 이유는 무엇인가? 넷째, 지방교육인사행정이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으면 교육조직의 변화는 어떻게 되는가? 다섯째, 외부환경이 지방교육인사행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방안은 무엇인가? 이 연구의 대상은 한국 지방교육행정기관의 교육전문직과 공립 초‧중등 교육기관의 교원이다. 연구대상자는 지방교육인사행정담당자와 대상자 두 집단으로 구분하였고, 전국을 모집단으로 하여 표집하였다.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결과를 다시 확인하기 위하여 초점집단면담과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1,319명으로, 대상별, 성별, 출신별 3개 배경변인에 따라 비교분석하였고, 자료는 SPSS 12.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처리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교육인사행정이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는 정도는 Likert 5점 척도에서 3.25점으로 교육행정기관이 단위학교보다 더 크고, 임용이나 포상행정이 연수나 징계행정보다 더 크며, 임용행정 중에서는 승진, 전직, 보직임용이 신규나 전보임용에 비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방교육인사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외부환경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문화적, 과학기술적 환경이고, 영향요인은 혈연․학연․지연, 인사권자의 가치관과 윤리의식, 청탁, 외부압력, 지역사회 여론 등이며, 영향력 실체는 인사권자의 상급기관, 지역정치인, 지자체지도자 및 인사행정가의 배후인물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방교육인사행정이 외부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는 이유는 권력‧여론‧외부 압력에 취약한 교육사회의 속성, 온정주의 등 한국사회의 특수한 문화적 측면, 지방교육인사행정의 관행과 폐습, 지방교육조직의 지도자나 인사행정가의 정치적 욕망, 인사행정가의 윤리의식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지방교육인사행정이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으면 교육인사행정의 원칙이 훼손됨에 따라 인사의 공정성‧투명성‧신뢰성이 저하되고, 교육사회의 불신풍조가 조성되며, 교육조직은 갈등이 유발되는 등, 교육조직의 변화가 부정적으로 되지만, 긍정적인 변화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지방교육인사행정에 대한 외부환경의 영향을 줄이는 방안은 인사행정의 공개, 인사행정 법규의 정비, 인사행정가의 전문성 제고, 인사위원회 위원 공모, 주요 지방교육인사 청문회 등, 지방교육인사행정제도를 개선하는 것이며, 혈연․학연․지연 등 연고주의 병폐를 쇄신하고, 인사행정가의 자주성과 윤리의식 강화를 위하여 교육사회가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교육인사행정은 외부환경으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다. 영향요인은 혈연․학연․지연 및 인맥과 같은 연고주의적인 것이고, 인사권자의 가치관과 윤리의식, 청탁, 외부압력, 지역사회 여론 등의 요인도 중요하다. 인사권자의 상급기관, 일부 지역정치인, 지자체지도자 및 지역언론인 등이 영향력을 행사하여 인사의 공정성․투명성․신뢰성을 저하시킨다. 지방교육인사행정이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는 이유는 권력‧여론‧외부 압력에 취약한 교육사회의 속성과 온정주의 등 한국사회의 특수한 문화적 측면이고, 지방교육조직의 인사권자나 인사행정가의 행정가치와 윤리의식이 확고하지 못한 탓도 있다. 지방교육인사행정이 외부환경의 영향을 받으면 교육조직의 변화는 긍정적이기보다는 부정적이다. 둘째, 지방교육인사행정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에 관한 교육조직구성원들의 인식은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다. 이와 같은 인식은 지방교육인사행정담당자보다 대상자가, 남보다 여자가 더 부정적이고 비판적이다. 이와 같이 동일한 문제에 대하여 인식의 차이가 크다는 것은 교육조직의 집단 간에 격차가 있고,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불신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방교육인사행정제도가 지방교육인사행정담당자나 남자에게는 유리하고, 대상자나 여자에게는 불리한 점이 있어 불만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인사행정에 관한 각종 정보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하여 인사행정에 대한 오해와 불신이 생기고, 따라서 교직생활은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셋째, 지방교육인사행정에 대한 교육조직구성원들의 부정적이고 비판적인 인식이 불식되고, 각 집단 간에 신뢰가 증진될 수 있도록 교육사회는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한다. 우선 지방교육인사행정의 공정성․투명성․신뢰성을 제고하기 위해서 외부환경의 영향을 줄이는 노력이 필요하고, 인사문제에 대하여 불필요한 오해와 불신이 생기지 않도록 소통을 원활하게 해야 한다. 지방교육조직의 인사권자나 인사행정가는 연고주의 및 엽관주의적 사고를 버리고, 행정가치와 윤리의식을 올바르게 확립해야 한다. 인사행정제도를 개선하고 법규를 정비하여 지방교육인사행정에 대한 외부환경의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해야 한다. 영향력 실체들은 지방교육인사문제에 대하여 정치적 의도를 배제하고 교육적으로 접근해야 한다.

      • 임파워먼트 影響要因에 관한 實證的 硏究

        우중석 牧園大學校 産業情報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2

        리더십 전문가 에드 루게로는 그의 미 육군사관학교 교관경력을 통하여 사관학교에서의 훈육담당관의 역할을 "교육내용을 말해주고, 이해하기를 기다리고, 필요할 땐 보강하고, 방해되지 않게 물러서 있어야한다. "라고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임파워먼트의 이론을 군 교육환경인 사관학교에 적용하여 훈육담당관과 사관생도간의 훈육과정에서 임파워링을 통한 자기효능감의 증진을 바탕으로 긍정적인 태도와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하였으며, 실증연구를 위하여 사관생도 125명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그 중 117부가 회수되었고 102부를 최종분석에서 활용하였다.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alpha에 의한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결과분석을 위하여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 다항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증진에 있어서 자아존중감과 직무성숙도라는 개인특성변수가 보다 영향력 있는 변수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효능감 고양에 외적환경보다 개인차원 변수의 역할이 보다 중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임파워먼트 잠재력요인이 임파워먼트 과정에 있어서 더 중요한 몫을 차지한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임파워링 요인으로 가정되었던 변혁적 리더십은 자기효능감 증진 과정과 태도 및 성과간의 유의성 측면에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변혁적 리더십에서 부하가 리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행동하는가 하는 카리스마적인 측면이 리더의 재인적인 배려나 지적자극보다 상대적으로 영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에서 변혁적 리더십의 역할이 자기효능감에 큰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가정되고 있음을 볼때, 사관학교와 같은 군 교육기관에서 훈육담당관의 리더십 유형에 대해서는 다시 검증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보상제노는 직접적으로 종속변수인 태도 및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나, 자기효능감 과정을 통한 효과성은 설명력이 낮게 나타났다. 넷째, 모든 독립변수들이 내부 심리변수인 자기효능감을 거쳐서 결과변수에 도달할 때, 보다 커다란 증폭효과를 나타낼 것이라고 기대했으나,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되는 요인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자기효능감에 대한 우선적인 이해의 과정이 선행된 후 태도 및 성과 관계를 고려하여 임파워링을 실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군 교육환경에서 임파워링 요인인 자기효능감 배양을 통한 태도 및 성과의 향상을 가져오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잠재적 요인인 자아존중감이나 직무성숙도의 증진이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이를 위하여 훈육담당관은 일방적인 명령과 지시보다는 장교교육에 부합하는 자율성의 부여와 솔선수범을 통한 모범을 보이는 리더의 자세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연구대상 설정, 영향요인 변수의 설정, 임파워먼트 과정의 분석 수준 등에 있어서의 문제점들이 나타남으로써, 자기효능감을 중심으로 한 임파워먼트 과정이 군 장교 교육상황에서 어떻게 전개되어야 할 것인지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를 위해서는 본 연구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향에서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정신장애인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상신 대구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mental illness people attending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and to gather material needed for finding out factors which have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level of rehabilitation service and then to offer service focused on the user. To attain these purposes, a survey was conducted on 226 people who are currently using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in Daegu regarding satisfaction with it's rehabilitation service;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kind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actors having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The analysis on the survey result is as follows ; First, it has been found that in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rehabilitation service, overall the service was a little satisfactory. And average of satisfaction was 3.87. Second, it has been shown that in the subcategory of satisfaction, average of satisfaction with rehabilitation programs was 3.75, average of satisfaction for facility environment was 3.96, average of satisfaction for the staff was 3.89 and average of satisfaction for overall was 3.98. Third,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research center's facilities it has been noted that there was some difference of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according to the research center special facilities. There was som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for the staff and on the whole. And the weekly rehabilitation facilities gave the users the highest satisfaction and occupation rehabilitation facilities was followed by. And nursing facilities was lowest. Fourth, it has been shown that in terms of a peculiar property of the research center's facilities, the using fee per month for the center was a key factor which had significant effect on the rehabilitation service satisfaction. The using fee was the factor which had an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staff at the center and in all its aspect, too. Fifth, in the characteristic of the research persons, general characters had no factors significant influenced upon the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In the special character of research persons related the mental illness,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 has been significant factor which influenced on both the whole satisfaction and general satisfaction of rehabilitation service. And in the characteristic of research persons related to the service using, the period of using the facilities has been found the factor under the significant influence up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rehabilitation service. That influenced on the satisfaction on the whole, too. Sixth, the degree of user's opinion reflex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atisfaction degree of program, facility environment, staff and general satisfaction and on the whole satisfaction.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is study suggest to some ways of the rehabilitation service which set up the user as the central figure. In order that the satisfaction degree steps forward to affirmative direction continuously, it is necessity for improvement the mental health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and for equalization of satisfaction by the kind of facility and keeping on a special study and development about chronic mental illness person's service. Also it will be satisfactory service (for the mental illness person rehabilitation service users) to offer services based on their desire and to keep on trying to strengthen their opinion reflex in the process of providing services. As the result, In the level of the satisfaction for the mental illness person attending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y, the problems (=task) are to decide a proper fee on the ground of the legal fee and to develop many sided rehabilitation programs for the chronic mental illness persons, I think.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 중심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대상으로 현재 실시되고 있는 정신장애인 재활서비스의 만족도를 분석하고, 재활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데 필요한 자료를 얻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대구광역시의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 226명을 대상으로 현재 이용하고 있는 사회복귀시설 재활서비스에 대한 만족도와 시설의 종류에 따른 만족도의 차이 그리고 재활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분석해 보았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신장애인 재활서비스 만족도는 전체적으로 ‘약간 만족스럽다’는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만족도의 평균은 약 3.87이었다. 둘째, 재활서비스 만족도의 하위 범주에서 살펴보면, 프로그램 만족도의 평균이 3.75, 시설 환경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이 3.96, 직원에 대한 만족도의 평균이 3.89, 전반적 만족도에 대한 평균이 3.98이었다. 셋째, 연구대상 시설의 특성으로 시설의 종류에 따른 재활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이에 직원에 대한 만족도와 전반적인 만족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주간재활시설이 만족도가 가장 높았으며, 직업재활시설, 입소시설의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대상 시설의 특성으로 재활서비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월 이용료로 나타났다. 월 이용료는 직원만족도와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연구대상자의 특성 중 일반적 특성은 재활서비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정신장애와 관련된 특성 중 재활서비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입원횟수로 나타났다. 입원횟수는 전반적인 만족도와 전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연구대상자의 서비스 이용과 관련된 특성 중 재활서비스 만족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시설이용기간으로 나타났다. 시설이용기간은 전반적인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이용자의 의사반영정도는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 시설환경에 대한 만족도, 직원에 대한 만족도, 전반적인 만족도 그리고 전체만족도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이용자 중심의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기위한 방안을 제시해 보면, 이용자만족도가 지속적으로 긍정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의 변화와 시설의 종류 따른 만족도의 평준화, 만성정신장애인 서비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정신장애인 사회복귀시설 법정이용료에 근거한 적절한 이용료를 결정하고 만성정신장애인 재활프로그램 매뉴얼을 개발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서비스 이용자들의 욕구에 기초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비스제공과정에서 그들의 의사반영을 강화시키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