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종희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바이오헬스대학원 2022 국내석사
Nutrition labeling on food packages is increasingly found to promote healthier food choices associated with lower risk of chronic kidney disease (CKD). To examine associations between nutrition labels use and CKD risk, we conducted a nationally representative cross-sectional study of 32,080 adults from the 2008–2019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Nutrition labels use was collected via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scertainment and severity of CKD was determined by estimated glomerular filtration rate or proteinuria. In multivariable-adjusted (MV) logistic regression models, increasing awareness and use of nutrition labels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lower CKD risk (MV-adjusted OR “nutrition labels aware and use” group vs. “nutrition labels unaware” group [95% CIs]: 0.75 [0.59–0.95], P-trend: 0.03). This inverse association varied with CKD’s risk to progression with 21% and 42% reduced risk observed for CKD subtypes with “moderate” and “high” risk to progression, respectively (all P-trend ≤ 0.04). Furthermore, the nutrition labels use and CKD risk association significantly differed by age, with 35% reduced risk observed in the older group aged 49 years or older, but not in the younger group (P-interaction < 0.001). Our results suggest increasing perception and use of nutrition labels may contribute to CKD prevention and its early asymptomatic progression, especially in older adults. 식품의 영양소 함량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식품 포장의 영양 표시는 만성 신부전(CKD)의 예방과 관련 있는 건강한 식품 선택을 촉진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하지만 영양 표시 사용과 CKD 위험의 연관성을 조사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2008-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KNHANES)의 19세 이상 성인 32,080명에게서 수집된 단면 연구 자료를 이용하여, 영양 표시와 CKD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영양 표시의 인식 및 사용에 대한 정보는 설문지(self-reported questionnaire)를 통해 수집되었으며, CKD 및 CKD 중증도는 추정된 사구체 여과율과 소변 스틱 검사의 결과로부터 추정된 단백뇨에 의해 결정되었다. 다변수 조정 로지스틱 회귀 모델에서 영양 표시의 인식 및 사용이 증가할 수록, CKD 위험도는 유의하게 감소하였다(Multivariable-adjusted OR “nutrition labels aware and use” group vs. “nutrition labels unaware” group [95% CI]: 0.75[0.59–0.95], P-trend: 0.03). 특히, 이 연관성은 CKD의 예후 진행 위험 정도에 따라 정의된 CKD 중증도에 따라 달라짐을 관찰할 수 있었는데, 영양 표시 사용하는 그룹은, 영양표시를 인지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저위험 CKD 및 고위험 CKD를 가지게 될 오즈가 각각 21%, 42% 감소하였다(모든 P-trend ≤ 0.04). 또한 영양 표시 사용과 CKD 위험 연관성은 연령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가 관찰되었다. 49세 이상의 고령자 그룹에서는 영양 표시의 사용하는 그룹에서, 영양표시를 인지 및 사용하지 않는 그룹에 비해, CKD 위험 오즈가 35% 감소됨을 볼 수 있었으나, 49세 이하의 그룹에서는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P-interaction < 0.001). 즉, 본 연구 결과는 영양 표시의 인지와 사용이 CKD의 위험을 낮추는데 기여할 수 있으며, 특히 그 효과가 연령이 높을 수록, 그리고 초기 CKD 예후 진행 예방에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박정희 정권의 정치이념과 체육정책의 내적 연관관계를 분석 해명하는데 역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한국 사회의 근대화 과정에서 부각된 박정희 대통령의 정치이념을 분석, 이러한 정치이념이 투영된 체육정책의 전개과정을 박 정권의 내셔날리즘적 논리 구조로 재해석하여 그 정책적 패러다임을 추출하였다. 이러한 정책적 패러다임을 기초로 해서 표출된 체육정책 전개양상의 현실적 의미를 밝히고 그 한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의 시대는 민족적 시련기였으며, 이념적 혼란과 동족상잔의 비극으로 얼룩진 좌절과 시련으로 점철되었다. 그는 약소 민족의 비애를 절감하였으며, 8․15 해방 이후 국권의 회복이 이루어졌음에도 소모적인 정쟁으로 근대화의 길을 열어 나가지 못하는 정치 사회현실에 군사쿠데타의 길을 택하게 된다. 그는 사회구조의 변혁과 자주적 국민의식 제고를 위해 새마을 운동을 전개하는 등 한국적 민주주의의 정착을 위해 총력을 기울이게 된다. 박 정권의 체육정책은 ’민족중흥을 위한 건민(健民) 사상‘을 바탕으로「체력은 국력」이라는 구호를 일반화하여 국민체육의 개념을 구체화하는 스포츠 내셔날리즘적 의미를 부각시켜 나갔다. 박 정권의 국민체육진흥정책은 국민체육시대 개막의 원동력이 되었으며, 국민체육진흥법의 제정을 통해 전국민을 위한 체육활동 생활화 즉 ‘sports for all' 이라는 정책적 방침을 구체화하여 각 직장 및 지역에 이르기까지 체육시설을 확충하는 명실상부한 국민체육시대를 열어 나갔다. 박 정권하의 국민체육진흥정책이 제도적 기틀을 마련할 수 있었던 것은 국민체육진흥법을 제정하고 이에 연관되는 제반 관련법을 정비하였으며, 정부 조직으로서의 체육행정 조직의 기초를 마련하고 민간조직으로서 대한체육회가 총괄적인 계획 수립 집행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뒷받침하였기 때문에 가능하였다고 하여도 과언이 아니다. 또한 박 정권은 학교체육 활성화에 결정적인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는 학교 교과과정을 통해 성장기에 있는 학생들의 체위를 향상시키고 체력을 증강하는 국민기본체력 유지와 증대를 가능하게 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최근 국민들에 대한 체력 검사 결과 식생활의 개선으로 체위는 향상되었지만, 청소년들의 체력이 상당히 약화되었다는 점을 주목해 볼 때 그 중요성이 크게 부각된다. 「체력은 국력」이라는 구호를 내세워 국력의 극대화 필요성을 국민총화의 개념으로 연결시키고자 한 정치적 의도의 소산이라고 하더라도 그 실질적인 의미는 평가 절하될 수 없다. 이런 의미에서 박 정권의 체육정책에 대한 객관적 이해와 접근 그리고 그 현실적 의미에 대한 체육사적 이론 정립이 요구된다. 특히 엘리트체육의 경우 박 정권은 체육정책에 있어 다른 어떤 분야보다 정책적 비중을 실어서 이를 통한 사회통합의 효과를 극대화하고, 스포츠 외교 강화의 수단으로 삼았던 것이 사실이다. 또한 스포츠 외교의 차원에서 국내외 경기대회를 운영하는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관련 체육시설의 확충과 스포츠과학 진흥에도 관심의 폭을 넓혔고, 그 결과 88서울올림픽의 성공적 개최와 함께 선진국으로 진입하는 한국 사회의 위상에 걸맞는 체육 인프라 구축에 성공할 수 있었다. 이러한 사실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정책적으로 접근하지 않고는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박 정권하의 체육정책이 지니는 시대성과 그 성과를 말해준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박 정권이 이처럼 근대화 추진의 성과를 가시화하고 남북한간의 스포츠경쟁을 통해 국민적 통합력을 제고시키려는 의도가 엘리트체육 위주의 지원체제로 기울어지게 하였다는 비판을 면키 어렵다. 그러나 엘리트체육의 활성화는 학교체육과 사회체육 전반에 활력을 불어넣어 80년대 이후 체육 융성의 기반을 다지게 되고, 90년대 사회발전을 상징하는 대중스포츠시대 개막의 원동력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소홀히 할 수 없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60~70년대 근대화과정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던 박 정권은 시대적 제약성에도 불구하고 스포츠 내셔날리즘의 기치를 앞세워 국민체육시대를 열고, 체육 행정과 재정 분야의 체제 정비 및 제도화를 통해 국민생활체육의 기틀을 마련하는 커다란 업적을 이룬 것이다.
청소년의 흡연예방교육에 대한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의 비교 연구
김종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흡연은 금연함으로서 완전히 예방가능한 반면에 가장 중요한 사망원인 가운데 하나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식이 보편화되면서 성인 남성 흡연율은 감소되는 추세를 보이게 되었지만 이와는 반대로 청소년의 흡연율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한편 인터넷의 발달로 정보에의 접근은 한층 쉬워졌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흡연예방교육에 대한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의 교육방법의 효과를 비교하여 알아봄으로써 청소년 건강증진을 도모하고 향후 이를 위한 보건교육을 하는데 있어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01년 9월 24일에서 2001년 10월 20일 까지 이루어졌으며, 연구 대상자는 서울시 동작구에 위치한 1개 고등학교에서 세 학급을 임의로 선정하여 두 학급은 실험군으로, 나머지 한 학급은 대조군으로 나누었다. 두실험군 학급 중 한 학급에는 강의식교육을 적용하고 다른 학급에는 온라인토론식 교육을 적용하였으며 대조군 학급에는 아무런 교육을 어떤 교육도 적용하지 않았다. 자료수집은 교육 전 사전조사, 교육 후 사후조사, 2주후 추후조사로 구분하여 이루어졌으며 연구자가 직접 시행하였다. 흡연예방교육은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으로 이루어졌으며 일주일에 두 번씩 총 네 번에 걸쳐서 시행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0.0 Win을 이용하였고 세 집단의 흡연관련 실태는 two-way ANOVA를 적용하여 검증하였고, 강의식교육집단과 온라인토론식교육 집단의 만족도에 대한 분석은 t-test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흡연예방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교육을 받지 않은 학생보다 흡연에 대한 지식 점수 변화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F=1.869, p>0.05) 둘째, 강의식교육을 받은 학생들은 온라인토론식교육을 받은 학생들보다 태도점수는 높았으나 통계상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온라인토론식 흡연예방 교육을 시행한 실험군이 강의식 교육을 적용한 실험군보다 추후조사에서도 점수가 높았다. 셋째,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 경우 흡연예방교육 전후 흡연량의 변화는 그다지 크지 않았다. 넷째, 온라인토론식 교육은 강의식 교육보다 솔직하게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고 타인의 생각을 공유하여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5) 다섯째, 강의식교육집단과 온라인토론식교육집단 모두 온라인토론식교육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고등학생 대상의 청소년 흡연예방교육은 교육방법에 따라서 흡연에 대한 지식 및 태도, 행위의 변화가 다르게 나타났으며 온라인토론식 교육방법을 선호하며 만족도가 크게 나타났다. 또한 강의식 교육방법을 실시한 실험군의 흡연지식 및 태도 변화에 있어서 흡연예방교육을 실시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교했을 때 효과가 있었다. 그러므로 흡연지식 및 태도, 행위를 변화시켜 흡연율을 낮추기 위해서 강의식과 온라인토론식 교육을 병행할 것을 제언하며 웹뿐만 아니라 다른 매체를 이용한 흡연예방교육 자료 개발이 좀 더 확대되야 할 것이다. Smoking can be completely preventive by quitting but is known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death causes. As this awareness is all-pervasive, the smoking rate of Adult has decreased. But the adolescence smoking rate has increased rapidly. At the same time, development of internet made be more easier to access to the health information. S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ompare with lecture and online discussion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nd this study was tried to offer the basic data for developing of health education , to serve health promotion for adolescence. The duration of data collection was from September 24, 2001 to October 20, 2001. The research subject students are selected at random from 3 classes of the first graders of high school where is DongJak-Gu, Seoul, Korea. Two classes are experimentation group for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that are devided by lecture-based and online discussion-based. One class is a control group that is not served any kind of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by measurement of knowledge, attitude, practice on smoking. The pre research is conducted before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nd post research were formed twice immediately after the education, 2 weeks later after the education. The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was served 4 times per 2 weeks. Collected data were analyzied by using the SPSS 10.0 for win program. Analysis on general characteristics of research subject students used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it used two-way ANOVA for analyses on the actual condition related smoking of three groups. And the t-test was used for analyzing degree of satisfaction both lecture-based group and online discussion-based.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1. Total of knowledge points in experimentation groups was more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its statistically difference is significant. 2. The students' attitude points in lecture-based group were higher than any other groups but their differences statistically is not significant. 3. Based o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smoking prevention education among three groups, the change of smoking rate was not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4. The smoking of lecture based was high than that of online discussion based 5.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online discussion-based was more higher than that of lecture-based. And it is statistically different.
비선형 부하 증가에 따른 고조파저감 및 전력품질개선에 대한 고찰
김종희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최근 산업의 고도화와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대부분의 전력전자기기는 다이오드, 트랜지스터, 사이리스터 등으로 만들어진 전원회로를 구성되며, 점차 선형부하의 비중에 비하여 비선형부하의 비중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런 경향 때문에 공장, 빌딩, 오피스, 공공기관청사 등 대부분의 건축물 전력계통에 고조파로 인한 영향으로 기기의 소손, 과열, 진동 및 소음 등이 발생되어 전원 공급의 신뢰성 및 양질의 공급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다. 고조파 전류는 전압강하를 일으키고, 이 전압강하는 전압왜형파로 왜곡시키며, 이 전압왜형파는 각종 계전기장치 오동작, 정밀 전력전자기기의 동작불량, 과열 및 기기손상 등은 물론 에너지 손실 등을 발생 시킨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능동고조파 필터, 수동필터, K-factor TR, 리액터 설치 등 다양한 방식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전력품질개선 및 고조파 저감을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하고 있으나, 이들 방식은 기존 변전설비에 추가설비를 함으로써 효과를 낼 수 있다. 지그재그 권선을 통한 하이브리드 변압기를 설치할 경우에, 고유의 변압기 기능과 더불어 고조파 저감효과, 불평형 감쇄기능 등이 가능하여 이를 통하여 가장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전력품질 확보가 가능한지를 실증을 통해 확인과 고찰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전력계통과 전기기기의 안정성을 확보하고 계통운영의 개선으로 고조파에 대한 장해를 최소화 하고자 한다. 본 논문은 수용가 전력계통의 고조파 저감을 통한 최적의 전력품질을 확보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기존 수용가 적용사례를 검토하고, 실증사례를 통해 실증결과를 분석하여, 전력품질이 개선될 경우 불필요한 전력손실은 억제할 수 있으며, 고조파로 인한 피해예방 뿐만 아니라 에너지 절약 등의 효과를 기대하며, 비선형부하 증가에 따른 고조파 저감 및 전력품질 개선의 실질적인 효과를 고찰하고자 한다. In recent years, with the advancement of industrial and semiconductor technology, most electronic devices consist of power circuits made of diodes, transistors, thyristors, etc., and the proportion of nonlinear loads is increasing rapidly compared to the proportion of linear loads. Due to this trend, harmonic effects on most building power systems, such as factories, buildings, offices, and public office buildings, have caused equipment burn, overheating, vibration and noise, causing serious problems in power supply reliability and quality supply. Harmonic current cause voltage drops, which distort them into distorted voltage wave, and which cause malfunction of relay devices, malfunction of precision power electronics, overheating and device damage, as well as energy loss. As a countermeasure, various methods such as active high-frequency filters, manual filters, K-factor TR, and reactor installation are being developed and applied to the site. Although it is implementing improvements in power quality and harmonic reduction in various ways, these methods can be effective by adding additional facilities to existing substation facilities. When a hybrid transformer is installed through zigzag winding, it is possible to reduce harmonics and reduce inequality in addition to its unique transformer function, so it is necessary to verify and consider whether the most efficient and economical power quality can be secured through this. Through this, it is intended to ensure the stability of the electricity system and electrical equipment, and to minimize disturbances to harmonics by improving the operation of the system. In order to secure and manage optimal power quality through harmonic reduction of the receptive power system, we review existing acceptance applications, analyze demonstration results, and expect unnecessary power loss to be suppressed if power quality is improved, prevent harmonic damage as well as energy savings.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첫째,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둘째, 본 연구에서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연구의 목적과 연구문제를 위하여 문헌연구를 고찰하고, 16명의 현장전문가와 20명의 경력단절여성에게 반구조화 된 질문을 통해 셀프리더십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내용을 추출하였으며, 경력단절여성 184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셀프리더십 요구조사 분석을 통해 프로그램 구성요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은 Manz와 Sims의 셀프리더십 이론을 바탕으로 전문가의 조언을 받아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구성내용은 첫째, 의식 바꾸기 단계로 참가자 간 친밀감과 신뢰성을 형성하고 사회환경 변화에 따른 셀프리더십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자신의 신념을 점검해보고 패러다임의 전환이 이루어지는 단계이다. 둘째, 자신감 가지기 단계로 자신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시간관리, 자기개발, 의사소통능력, 자기를 관리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단계이다. 셋째, 도전하기 단계로 긍정적인 자기대화와 성공적인 성취의 모습을 상상하면서 비합리적인 신념을 긍정적 사고와 자신감, 도전의식으로 바꿀 수 있도록 스스로 동기부여하며, 목적의식을 가지고 주도적으로 셀프리더의 삶을 실천할 수 있는 의지를 다지는 단계로 총 3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프로그램의 참가자는 B시에 거주하는 경력단절여성 중에서 자발적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한 24명을 선발한 후 이들을 각각 12명씩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으로 무선 배정한 후 실험집단은 2일 간 1회기 90분씩 총 10회기로 구성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프로그램이 실시되는 동안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았다. 본 연구의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이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구직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SPSS 19.0을 사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종속변인의 동질성은 t검증으로 분석하였고,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측정시기별 종속변인의 점수 차이는 혼합설계변량분석(mixed ANOVA)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실험집단이 작성한 경험보고서와 관찰자의 관찰보고서를 통해 프로그램 전 과정에 대한 변화 경험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셀프리더십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둘째,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자기효능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셋째,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구직효능감 점수가 유의미하게 높아졌다. 넷째,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변화경험 분석 결과,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구직효능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볼 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은 경력단절여성들의 셀프리더십, 자기효능감, 구직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데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을 실천함으로써 경력단절여성들이 취업장애 요인을 극복하고 자신감을 제고할 수 있도록 하며 직업의식 함양과 함께 인생구조전환과 새로운 삶의 진로개척 향상을 지원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되며, 경력단절여성들을 위한 영역에서 셀프리더십 프로그램의 확대 필요성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의의를 제공한다.
민주국가를 지탱하는 민주사회가 유지되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민주적 자질을 갖춘 시민과 시민참여의 민주적 정치문화가 필요하다. 특히 현대사회에서 다양하게 발생하는 당면한 사회문제의 해결을 위한 민주적 자질을 갖춘 시민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이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사회과 교육의 역할이 크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현재 학교에서의 민주시민 교육은 사회 과목을 통하여 민주주의 사상의 발아와 발전, 그리고 민주정치제도 발달과 전개과정만을 가르칠 뿐, 그 내용이 학생의 구체적인 생활 현장에서 어떻게 적용되어야 하며,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하는 점이 간과되고 있다. 즉, 민주적 삶의 원리가 학생들의 구체적 삶의 문제 상황과 괴리된 채, 민주시민 교육이 ‘학습’ 되고 있을 뿐이며, 이러한 교과목중심의 민주시민 교육은 민주시민성의 본령을 경험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시험에 나오는 답을 쓰기 위한 것에 그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회과 교육의 궁극적 목적을 바람직한 시민의 자질 육성이라고 보고 민주시민 교육과 관련된 문헌들과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또한 ‘2007년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을 살펴보고, 민주시민 교육 내용이 제7차 교육과정인 현행 중학교 사회과 교과서에 어떻게 나타나고 있는지, 정치와 관련된 단원을 중심으로 검토․분석하여 학교의 민주시민 교육의 개선점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민주시민 교육을 위해 다음과 같은 방안을 제시하고 싶다. 첫째, 민주시민 교육을 어떻게 실천할 것인가 하는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민주시민 교육을 전체적으로 개관하고, 그것에 대한 이해와 논의의 바탕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한데, 먼저 이념형으로서의 개념적인 준거모형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민주시민 교육에서 무엇보다 주안점을 둘 것은 사회적 책임성을 기르는 일이며, 시민성과 도덕성의 함양을 모두 필요로 한다. 셋째, 민주시민 교육은 학교생활의 모든 측면을 통하여 이루어지는 기본교육임을 고려하여 교과활동, 특별활동, 재량활동, 학교행사, 잠재적 교육과정 등의 학교생활의 모든 측면에서 민주시민 교육이 실행될 수 있도록 힘써야 한다. 넷째, 민주시민 교육이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처한 정치․사회적 맥락과 연관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우리는 ‘민주화 이후의 민주주의’ 성숙이라는 과제를 안고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민주주의 발전이 통일 추진의 역량이 되고 통일이후 사회통합을 위한 기반이 되도록 해야 하는 의무를 갖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민주시민 교육의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의 내용이 교수․학습방법이나 평가방법에서 제시된 대로 학교 현장에서 실천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교육방법에 대한 교사 교육이 우선 되어야 한다. 둘째, 학생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이끌어내고 경험중심으로 교육할 수 있는 교육방법의 혁신이 필요하다. 결국 사회과 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일관성 있는 교육정책과 민주시민에 관한 인식 그리고 교육방법에 관한 교사교육이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동시에 사회과 수업이 교사의 강의와 교과서만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고 학생 스스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학급과 학교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 To develop and keep democracy society for supporting democracy, democratical quality citizen and citizen participation, democratical politics culture is need. Especially in modern society to solve various occurred urgent society problem etc is to foster democratic quality citizen society education role concerned on this is very big part. In present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through society subject democratic idea germination. development and politics system development process is only taught. The content is student's concrete life field how to apply, what a certain near they have is not concern. Namely the principle democratic life is learning from student's detail life problem state and dispara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Like this under subjec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democracy citizen element not to develop but to write a good answer for test. According to this study is society education purpose is desirable citizen quality work up. so we researched bibliography and theoretical background concerned on democratic civic education. Also ‘2007 revision society education process’ ‘2007 revision society education course repletion’ 2009 society education process partical revision content examine together. Democracy citizen content is 7th education process present middle society textbook how to appear unit be associated with policy concentrate upon the subject. To research school's democracy education improvement wish this be based on. we have to solve this problem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following this first how to practi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o process look like this problem democracy education take a view of on the whole understand about that and discussion be based on a foundation to make is important. At fist as idealogical a conceptual give the authority to set up is need. Second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ais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ich social responsibility citizen desposition contemporary morality cultivation is need. Thir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under all school life to get basical education think about subject activity special activity discretion activity. school event potential education process etc. all school lif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e have to try an effort to execute. The fourth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connected with our country's politics and social intricacy. We have democracy after democratization development problem in the other hand to develop democracy is to unification propulsion capacity after unification a foundation for society unification. We have duty from this problem awarenes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s development the way is following like this. First we need various society answer the purpose subject process and education content not to all knowledge but to solve the problem we need to change the development effort about subject process. The second we need to lead unforced participation under the way experienced education. After all the important thing is about all of a piece education policy democracy education way which is need teacher education. Also we need to have discussion freely and to make class and school environment to solve any problem students by themselves.
수정된 쌍곡선법을 이용한 장기침하량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연약한 점성토로 구성되어 있는 해안이나 연안지역에 구조물을 축조하거나 성토를 하는 경우 오랜 기간에 걸쳐 상당량의 압밀침하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공이전 설계단계에서의 장기침하량예측은 기술적으로, 경제적으로 매우 중요한 사항이다. 일반적으로 장기침하량예측은 크게 Terzaghi의 1차원 압밀이론을 근거로 예측하는 방법과 현장 침하량계측을 통하여 장래의 침하량을 추정하는 방법이 있다. 전자의 경우 이론에 적용된 가정조건이 실제 현장의 지반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여 예측치와 실측치간의 차이가 크게 발생한다. 후자의 경우 실측된 계측자료를 근거로 이루어지는 방법이므로 현장 계측자료가 충분히 확보되어야 하며 또한 그 자료의 신뢰도에 따라 침하량 예측결과가 크게 영향을 받는 문제점이 있다. 그러나 현장침하량 계측자료를 통한 장기침하량예측기법은 간단명료하고 경제적인 기법이라 현재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 중 쌍곡선법(Hyperbolic Method)이 가장 널리 쓰이는 방법이지만 현장 계측치에 따라 가정 기본식의 선형성이 다소 뚜렷하지 못한 경우가 없지 않다. 이는 분석가에 따라 해석결과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기술 적용상의 어려움과 경제적 비용을 더욱 가중시키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현장 data 분석에 있어서 대표적으로 널리 적용되고 있는 쌍곡선법의 기본 가정식의 선형성 문제에 주안점을 두어 현장 침하계측자료 분석시 기본 가정식의 선형성을 확보하고 그 선형구간을 확장한 새로운 침하예측기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성토완료 직후의 현장 침하계측자료를 배수재가 설치된 지역과 배수재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으로 구분하여 최종 압밀침하량, 수직압밀계수 등을 기존예측기법과 비교 검토하여 제안한 새로운 침하예측기법의 적용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기존 기법보다 초기 직선 기울기의 선형이 확보되었고 또 그 구간도 확장됨을 알 수 있었다. If the soft ground located near the coast or river is used as building of structures or construction of embankment site, a large consolidation settlement would occur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fore the prediction of long-term settlement in the design procedure is technically and economically very important. Generally, the methods of the prediction of long-term settlement are classified into the method based on the Terzaghi's one dimensional consolidation theory and the method using in-situ measured settlement data. In the case of the former method, because the hyperthesis of Terzaghi's theory does not consider the effects of soil properties in the field, the predicted settlements are largely different from the in-situ measured settlements. In the case of the latter method based on the in-situ measured settlement data, it requires many measured settlement data and the predicted settlements can be influenced by the reliability of data. But, because of simple and economical procedure, it is widely used. Among methods using in-situ measured settlement data, the hyperbolic method is most widely used. But, this method does not have clear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settlement and time. Therefore, more and more, it heavily causes technical problems and economical costs. In this study, focused on securing the linear of basic hyperthesis and expanding the ranges of the linear, the application of the proposed new method was verified through comparing with that of different methods. As the result of analysis, it is known that the linear of the initial line of the proposed method is more apparent than that of others and the ranges of the proposed method are more expanded.
김종희 蔚山大學校 地域開發大學院 2000 국내석사
화석에너지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하나뿐인 지구가 거의 혼수상태에 빠져 들어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심각한 환경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필요 이상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화석에너지 사용으로 지구온난화현상에 의거 북극과 남극의 얼음이 녹아 저지대가 잠기고 기상이변 현상이 속출하고, 이에 더하여 산성비 문제가 지구 생물 터전 황폐화시켜 결국 생태계 교란으로 이어져 인간자체의 종말을 가져다 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에서도 환경문제의 심각성이 객관적으로 입증되었는데 지난 75년간 한반도의 연평균 기온이 1.1도 상승하여 아열대성 기후로 변해가고 있고, 서울 비원 수목의 종과 수에 있어 심각한 감소 현상이 보고된바 있다. 이런 와중에 세계무역기구 등장과 1992년 6월 리우 환경 회의에서 기후변화 협약 채택은 환경효율성을 둘러싼 국제간의 경쟁과 무역 규제가 보편화되어 가고 있다. 더군다나 선진국은 기후변화 협약을 앞선 기술력과 경제력을 바탕으로 미래 국제 시장 확보를 위한 일종의 그린 마켓팅 전략으로 활용할 계획으로 삼고 있으며, 에너지 효율 기준이나 ISO 14000계열 등과 같은 환경기준을 범세계적으로 적용하려 하고 있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는 국가는 오히려 경쟁력을 강화하거나 독점적 시장 점유를 확보할 수 있는 기회가 되고 반대로 이를 외면하는 국가는 시장에서 퇴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 직면해 있다. 따라서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하여 화석에너지 과소비의 원인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그 대책 방향을 찾아 실천해야 한다. 한국의 에너지 과소비구조의 원인은 정부정책의 요인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먼저 에너지 정책은 정부 부서의 경제성장 중심의 안정공급위주, 효율성 위주 정책으로 시장성을 간과한게 하나일 수 있다. 두 번째로 산업의 대외경쟁력 중심으로 지향하다 보니 에너지 가격 결정 역시 적정수준의 에너지 가격이 아닌 비 이상적 에너지 가격구조로 국민들로 하여금 에너지 소비를 억제하는데 도움이 되지 못했다. 세 번째로 산업 구조가 고부가가치 중심보다는 단순 조립 작업중심에다 생산공정 구조자체도 기술 및 투자부족으로 에너지 소비 절약에 뒤떨어진 면이 없지 않았음이 지적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국가 에너지 관리 조직이 현재 및 향후의 복잡 다단하고 광범위한 에너지 공급, 소비 구조에는 적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 나라 에너지 분야 문제점에 대한 대책 방향으로써 먼저 시장기능과 정부정책의 효율성을 적당히 안배한 합리적 정책이 필요하다. 두 번째로 시스템적으로 자연스럽게 에너지 소비가 적은 사회구조로 빠른 전환이 요구되며. 끝으로 공급보다는 수요위주의 에너지 관리 정책으로의 전환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즉, 화석에너지 사용을 지속 가능한 환경과 경제성장을 중심 축 으로 한 국가 전략과제로 삼아 발전 성장시켜야 할 것이다. It's not exaggeration that the earth has nearly fallen into a comatose status by using fossil energy recklessly. Owing to consumption of fossil energy emitting the carbon dioxide superfluously which has made the earth reach to the global warming, the arctic and antarctic ice melt away to have some low area submerged, consecutive weather abnormal phenomena would be easily expected. What's worse the acid rain will devastate the eco-life ground, finally eco-catastrophe will occur in front of the human beings' end. In fact, the environmental problem is clearly and objectively proved to be serious in the Korean peninsula that the annual average temperature has increased up to 1.1℃ changing the country into subtropical zone since the last 75 years. Also it's reported in an academic circle that kinds and quantity of those trees heavily have decreased by the pollution in the yard of BI WON, SEOUL. In this situation the WORLD TRADE ORGANIZATION came forth and the adoption of UNFCCC in Rio Declaration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 on Jun. '92. means that certain international competition and trade regulation appear universally to achieve the eco-efficiency. Additionally, the advanced countries are making use of this UNFCCC as a kind of green marketing strategy to secure a new rising international market on the basis of the leading technology and strong economic force. Furthermore, there is a tendency to apply the energy efficiency basis and the series, ISO 14000 to environmental criteria as international trade standards in the world. A country that uses the fossil energy efficiently has an opportunity to strengthen international comparative position of grabbing market monopoly , on the other hand a country that avoids the chance would be vanished away. Consequently the cause and problem of over fuel consumption should be made out transparently, be solved clearly for sustainable environment. The reasons of fuel fossil abuse in Korea can be easily found out in the government policy, first of all it is one of those that the energy policy has been done only in stable energy supply for just economic growth and efficiency then overlooking market function itself. the second, the energy price has not an influence on energy over consumption by the people because the energy price system is not an appropriate level for pursuing international competition, lagged behind in contrast with the consumption price one, the third, it's pointed out that the domestic industry structure is set up in simple assembly line rather than the high value added industry, also the production process itself has been out of date in technology and has been short of capital investment not to help energy save. Finally, the energy manage regime is not reasonable to lead now and future energy supply and demand structure which is really sophisticated, multi-stepped and wide. As countermeasure direction to energy part problems, it's essential that a reasonable policy is needed to mix the energy market function and the efficiency of government policy. It's necessary that the social structure should be naturally and promptly changed into another society which not overly use the fossil energy systematically. Also it is judged that the energy manage policy is needed changing into demand management system, not supply-centered management system. Now,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nergy policy should be the national corner stone that can be developed for the sustainable environment and economic grow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