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Edwin E. Gordon의 음악학습 이론을 적용한 스즈키 지도법

        이가원(Ka-w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는 고든의 음악 학습 이론을 스즈키 바이올린 교육에 통합하여 어린이들을 위한 바이올린 교수학습모델을 만드는 것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스즈키 교육에 음악 학습 이론의 원리를 적용하는 주된 목적을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개발에 두고 있으며, 스즈키 바이올린 교육과 고든의 음악 학습 이론 원리와의 관련성을 토대로, 스즈키 철학과 커리큘럼의 틀 안에서 오디에이션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는지 수업예시로 보여 줄 수 있도록 하였다. 이번 연구는 음악 학습 이론을 적용 할 수 있는 방법들 중 한 가지 가능성만을 제시하고 있으며, 스즈키 바이올린 교육에 음악 학습 이론을 체계적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제시된 수업계획의 효과와 강점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며 스즈키 레퍼토리에서 사용 된 조성 및 리듬 패턴에 대한 보다 완벽한 안내서가 필요하다. 악기를 연주하는 학생들의 오디에이션 능력이 함양된다면, 기계적인 움직임이 아닌, 그들이 듣고, 연주하고, 작곡하는 음악에 대한 이해를 더 깊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Understanding is the foundation of music appreciation, the ultimate goal of music learning.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reate a model for the integration and implementation of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principles into Suzuki violin instruction. This research shows how audiation can be taught within the framework of the Suzuki philosophy and curriculum. It is expected that Gordon’s music learning theory can provide Suzuki teachers with unique capabilities for teaching musical understanding, specifically through the development of audiation. Through an audiation-based approach to Suzuki instruction, thus, young violinists will be able to learn to comprehend the tonal and rhythmic aspects of the music they perform. Future researchers may wish to assemble a more complete guide to the tonal and rhythm patterns used in the Suzuki repertoire. Furthermore, additional lesson plans and activities can and should be developed that represent the application of music learning theory to Suzuki violin instruction.

      • 대학 합주 수업의 포트폴리오 평가 도구 개발

        이가원 ( Ka Won Lee ) 한국음악학회 2012 한국음악학회논문집 음악연구 Vol.48 No.-

        학습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현대 교육의 흐름과 함께, 결과 중심적인 기존의 평가 방법의 문제점이 제기되면서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변화 개혁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지필 평가와 표준화 검사뿐만 아니라 과업 수행의 과정과 사고 과정까지 아우르는 수행 평가가 도입되었으며, 아츠 프로펠의 포트폴리오 평가는 음악에서의 수행 평가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게 되었다. 이번 연구는 아츠 프로펠 모델에 기반을 둔 포트폴리오 평가 방법을 기반으로 하여 대학의 합주 수업 평가 모델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포트폴리오는 성찰 저널, 연주, 비평/비교,지필 시험, 리허설 태도, 자기 포트폴리오 평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내용에 따른 목표와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평가는 학생들에 대한 이해와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평가의 의미를 반영하는 것은 앞으로 더욱 효율적인 교수 방법과 교육 과정의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학생들은 자신의 학습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가짐으로써 학습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 기대한다. Recently, there has been in increased interest on the implementation of portfolio assessment in all levels of school. However, most teachers do not fully understand the procedure and tools of portfolio assessment. This study aims to develop assessment tools for the orchestra class of college level, which would more accurately evaluate students in the areas of perception, reflection as well as production. Tasks were created for reflective journals, individual performances, ensemble rehearsal critique, ensemble performance comparison, attitude, and portfolio self-assessment, based on the Arts PROPEL model. Portfolio assessment is difficult to practice in the traditional school system in terms of time, effort, cost, organization, and management. Students are needed to change their mind-set and teachers should keep their patience to persuade and encourage students, and detailed evaluation items and rubric have to be organized before implementation. The portfolio assessment tools developed in this study are not perfect but could present a direction. In order to make successful implementation,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is portfolio assessment tools in the real school system. It could be beneficial to both the teacher and the student. Also it is expected that it could increase student learning significantly and be a useful tool to improve classroom practice and pedagogy.

      • KCI등재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 교사 교육의 방향

        이가원(Ka-W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7

        21세기 세계인들은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과 만나고 소통할 기회가 많아졌다. 최근,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인 노동자의 유입으로 우리 사회는 다양한 국가와 인종, 민족들이 섞여 사는 다인종 국가(multi-ethnic society)로 급변하면서 “다문화주의”는 정부의 정책, 대중매체, 교육과정 의 방향설정의 역할을 하는 막강한 단어로 부상하고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중등 교사 양성기관의 다문화 교육 현황과 함께, 미국의 4년제 대학 10개를 선정하여 음악교육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교과과정과 함께 음악교과교육 영역에서 다문화 교육이 어떠한 콘텐츠를 가지고 실시되고 있는지 개론과정, 연주, 지역, 종족음악학, 지도법의 분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한국의 다문화적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인식과 필요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문화적 원칙에 근거한 음악 수업 방법과 내용을 포함하는 실질적인 교과관련 교사교육 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의 내용의 다양화를 위한 악곡의 선정이나 지도 방법적 측면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In the 21th century, world citizens have more chances to meet and interact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al or ethnic backgrounds than ever before. It is therefore inevitable that multiculturalism has become one of the integral part of music education. Educators in every field should make conscious efforts to provide opportunities and experiences for students so that they can adequately cope with these culturally diverse encounters. This study is to grasp the current state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Korea and America. Also it is aimed to figure out the current multicultural music course offerings available for undergraduate music education majors at the selected 10 American Universities.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may suggest an idea of multicultural-world music education in teacher education.

      • KCI등재

        온라인 원격 학위 과정에 대한 고찰

        이가원(Ka-won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7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7 No.2

        정보통신의 발달과 함께 평등한 교육기회를 제공해야 한다는 인식은 원격교육의 발달을 가져오게 되었으며, 이는 미래의 새로운 교육시스템으로 자리 잡고 있다. 학위 취득을 원하는 현직 교사들에게 온라인 원격교육은 시간적, 공간적 제약, 비용과 같은 걸림돌 없이, 전문성을 함양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고 있으며, 미국에서는 이미 음악교육 분야에서 온라인 석사학위과정이 운영되고 있다. 이에 National Association of Schools of Music(NASM)이 승인한 총 8개의 대학을 선정하여, 입학요건, 프로그램의 특징,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하였다. 온라인 원격교육의 편리함을 담보로 한 양적 팽창과 함께 온라인 교육과정의 질에 대한 우려도 계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온라인 교육을 위한 교수진의 재교육 뿐 아니라, 기술적 지원에 대한 문제, 지적재산권, 소유권과 같은 행정적인 문제, 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술적 문제, 온라인 교육과정의 계획, 개발, 평가를 위한 기준 마련 등 생각해야 될 부분이 많이 있다. 하지만, 다양한 관점에서의 연구를 바탕으로 교육이론과 실제사이의 격차를 줄여 나간다면 궁극적으로, 지리적, 시간적으로 소외된 계층에게 학습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가 경쟁력 강화에 이바지 할 것으로 기대된다. Online education is a new domain of learning that combines distance learning with the practice of face-to-face instruction utilizing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As technology continues to develop and the needs of teachers require better access to higher learning, online graduate degree programs can be a valid alternative. Some institutions in the United States have already offered graduate degrees in music education through the online distance learning. In this study, 8 accredited online graduate degree programs in music education were identified in terms of curriculum requirement, program requirement, and admission requirement. Online programs offer considerable benefits of convenience, while their drawbacks relates to the quality of learning, feelings of weaker interpersonal interaction. More researches need in order for online music programmers to achieve higher standards of instruction and to inform other disciplines in the fields of arts education and the performing arts.

      • KCI등재

        다문화교육을 위한 대학 음악교양교육과정 개발 연구

        이가원 ( Ka Won Lee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5 예술교육연구 Vol.13 No.3

        대학의 교양교육과목은 시대 변화와 대학의 철학 등에 영향을 받아 구성된다. 최근 들어, 다문화 소양교육, 다문화 이해 교육의 대상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인식이 확산되고, 음악이 다양한 문화를 전달하고, 표현하고, 이해하게 하는 매개체가 될 수 있다는 주장과 함께, 음악교육을 통하여 타문화를 소개하려는 시도들과 이에 관련된 논의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음악의 이해’와 같은 전통적인 교양과목에 현 다문화 시대의 요구를 수용하여 절충적이고 포괄적이면서도, 학생들의 삶과 연관되어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음악 교양교육 과정을 개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음악인류학적 관점을 적용하여, 음악의 사회적 기능에 따라 ‘음악과 종교’, ‘음악과 움직임’, ‘음악과 오락’, ‘음악과 지성’, ‘음악과 정치’, ‘음 악과 감정표현’의 6개의 영역으로 나누었으며, 각각의 영역은 클래식음악과 세계음악, 한국음악, 대중음악 등 영역에 맞는 다양한 음악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강의 중심의 일제수업을 지양하고, 학생들의 선행지식을 토대로 문제에 대해 통합적으로 접근하도록 하는 학습자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에 근거하였다. 수업은 미리보기, 지식결합, 그리고 통합과 반성의 세부분으로 구성하였다. 영역별 주제에 대한 질문과 토론으로 사고를 넓히는 것으로 시작하여, 자신이 알고 있는 음악적 지식과 배경들을 결합하여 주어진 문제에 접근하고, 마지막은 메타인지 과정으로 수업을 통한 활동 전체를 돌아볼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번 연구에서 개발된 음악교양과정은 다양한 장르와 다양한 문화의 음악을 자연스럽게 구조화 시켜, 그 음악이 향유되고 있는 사회의 역사적 경험과 문화적 가치에 대한 이해를 가능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curricular prototype for a college level music appreciation course that reconciles the traditional aesthetic education with the need for greater multiculturalism. The curricular prototype is based on the functions of music in society rather than the Western European historical approach. It consists of six units, which are ‘music and spirituality’, ‘music and entertainment’, ‘music and movement’, ‘music and the intellect’, ‘music and politics’, and ‘music as emotional expression.’ Each of units have multiple musical genres, which include multicultural music, popular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as well as western classical music. The Instructional frame places particular emphasis on the learner-centered approach of problem-based learning. It is divided into three section: ‘Looking ahead’, ‘Knowledge assembly’, and ‘Synthesis and reflection’. In the section ‘looking ahead’, students assess their interest in the topic and the learning activities are outlined. In the section ‘knowledge assembly’, students are given collaborative activities designed to help them gauge what they already know and formulate questions about what they need to know. In the last section ‘synthesis and reflection’, students construct their own understanding and present knowledge. This type of curricular design is expected to address the cultural diversity of today’s society and also shows students that music exists in a continuum of music enjoyed in real life rather than in an academic environment.

      • KCI등재

        다문화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개발방안 연구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육을 중심으로-

        이가원 ( Ka Won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4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3

        본 연구는 다문화 배경을 가진 아동을 위해 ‘문학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 개발 방법’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최근 다문화 아동의 수는 4만 6000명에 달하며 앞으로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다문화 아동 대상 교육 문제가 대두되고 연구 성과도 누적되고 있으나, 아직도 이들을 위한 여러 제반 조건들은 매우미홉한 상황이므로 다문화 아동을 위한 교재와 교수 학습방법 연구는 무엇보다도 시급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다문화 아동 대상 한국어교육은 단순히 언어교육과 문화교육만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의 특별한 상황으로 인한 심리적인 문제점들가지 고려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독서의 과정을 통해 문제점들을 긍정적으로 순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문학 텍스트를 활용한 한국어 교재의 개발은 매우 의미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다문화 아동들이 한국 문화와 역사에 대해 자연스럽게 접근할 수 있도록 역사동화를 포함한 문학 한국어 교재 개발을 제안하여 그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역사동화는 교훈성과 문학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한국문화와 역사에 대해 쉽게 이해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사실을 전달하는 설명적인 글을 읽을 때와는 달리 호기심과 문학적인 상상력을 발휘하여 감상할 수 있게 하기 때문이다. 다문화 아동을 위한 문학 한국어 교재는 다문화가정 아동에게 학습동기와 흥미를 유발하여 한국어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적이며, 학습자의 자신감을 신장시켜 적극적이고 긍정적인 사고방식을 기르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textbook geared toward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by using literary texts. There are lately 46 thousand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and the number of these children is expected to keep growing in the future. So how to educate these children is now one of social issues, into which prolonged research efforts have been directed, achieving results. In fact, however, their situations and environments can never be said to be good enough, and it`s urgently required to develop separate textbooks,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for their sak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likely to face psychological problems due to their peculiar situations, and developing a Korean reading textbook by utilizing literary texts is especially worth doing in that it`s possible for them to not only receive language education and cultural education but also cleanse their psychology in reading process. In this study, how to develop a literary Korean language textbook by using historical fairy tales to make Korean culture and history more accessible to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was suggested in detail. Historical fairy tales make it easier to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history dye to their lessons and literary value. Another reason is that learners are able to exert their literary imagination while they appreciate these fairy tales, which cannot happen when they read an expository writing that describes facts. A literary Korean language textbook for children with a multicultural background stirs up learning motivation and interest and thereby is effective at improving Korean proficiency, and that is expected to instill confidence in learners to foster their positive thinking as wel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과 제의성 연구 -「옛 우물」과「동경」을 중심으로-

        이가원 ( Ka Won Lee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6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49

        본 연구는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과 제의성에 관한 연구이다. 문학은 인간 삶의 반영이므로 작품 속에서도 죽음의 문제가 자주 다루어진다.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유한한 존재임을 알면서도 죽음에 대한 두려움과 회피의식을 갖고 있다. 그러나 오정희 소설의 인물들은 유난히 죽음을 민감하게 느끼고, 삶과 공존하는 죽음에 대해 예민하게 의식한다. 그들이 느끼는 죽음은 ‘단순한 두려움’이나 ‘더 이상의 것은 없는 마지막 과정으로서의 죽음’이 아니라 ‘삶과의 경계가 모호한 지점에 있는 죽음’이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오정희 소설에서 삶과 죽음은 대조적인 것이 아니라 자신의 입으로 꼬리를 물고 있는 뱀의 형상 우로보로스(Ouroboros)처럼 서로의 끝을 물고 있는 아이러니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이것은 오정희 문학에 담긴 신화적 상상력에서 기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오정희 소설의 한 특징을 작품에 나타난 신화적 상상력과 제의성으로 보고, 구체적인 재현 양상을「옛 우물」과「동경(銅鏡)」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 과정을 통해 신화로부터 시작되어 현대 소설로 이어지고 있는 신화적 상상력의 구현을 확인하고, 오정희 소설이 지니는 문학적 원형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오정희 작품에는 인간 존재에 대한 예리한 통찰력이 세밀한 묘사와 인물의 내면의식세계에 대한 천착으로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is a study on mythological imagination and rituality that were shown in Oh Jeong-hui``s novels. Oh Jeong-hui``s works are contained keen insight into human existence. This insight into a human being is being indicated as the investigation into the world of inner consciousness thr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What this study aims to take note is the death consciousness of the characters in Oh Jeong-hui``s novels. A person is the finite existence in which anybody is before death. But most people are living with failing to realize death. However, the characters in Oh Jeong-hui``s novels respond exceptionally sensitively to death. That is because the death of being felt by them is the ``death at the point with the ambiguous boundary with life,`` not the death as the last process that has no simple fear or nothing more. In other words, the life and the death in Oh Jeong-hui``s novels show paradoxical logic as saying that life and death are biting the mutual end like Ouroboros, which is a shape of a serpent that is eating its own tail with own mouth, not what is contrasting. This originates from mythological imagination that is contained in Oh Jeong-hui``s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about mythological imagination and rituality that were shown in「Old Well」and「Bronze Mirror(銅鏡)」with having regarded one characteristic in Oh Jeong-hui``s novels as archetypal symbolism and mythological imagination that were shown in works. Through this, it can be known how author Oh Jeong-hui``s mythological imagination is being indicated in her novels with figuring out the aspect of mythological imagination that has been continued in modern novel with beginning from myth.

      • KCI등재

        이윤기 소설에 나타난 삶의 은유와 아이러니 「숨은그림찾기1: 직선과 곡선」을 중심으로

        이가원 ( Lee Ka-won )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7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53

        이윤기는 소설가로서보다는 번역가로서 더 확고부동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수백 권의 번역서를 남긴 것과 `한국번역가상`을 수상한 경력은 그의 번역가로서의 위상을 잘 드러낸다. 반면 작가로서의 이윤기는 동인문학상과 대산문학상을 수상하는 등 활발한 문학 활동을 해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이러니하게도 문학작품으로는 별로 주목받지 못했다. 이윤기는 그의 작품을 통해 `삶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문학의 전통적 주제들을 진지하게 형상화하고 있는데, 이는 지나치게 설득적이고 논증적 성격이 강하다는 비판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이러한 주제적 접근은 단순히 논증적 담론의 차원에서만이 아니라 삶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며 진실 탐구의 한 방법으로 아이러니를 사용하고 있다는 점, 삶의 미묘한 정서나 정황을 세련된 문장, 주제의식이 뚜렷한 은유, 반전적 구성 등으로 다양하고 적절하게 담아내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번역을 많이 한 작가답게 상황과 맥락에 부합하는 화용론적 언어 구사를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도 그의 작품은 재조명되어야 한다고 본다. 본 연구는 이윤기 작품의 미학적 특성 밝히기를 시도한 글로서, 아이러니를 통해 삶의 진정성을 다룬 이윤기 작품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한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윤기 작품의 미학적 특성을 어휘의 적확성과 섬세한 삶의 은유, 그리고 세련된 아이러니에서 찾을 수 있었다. 특히 29회 동인문학상 수상작 「숨은그림찾기1: 직선과 곡선」은 작가 이윤기의 삶에 대한 은유와 아이러니의 소설적 구현 양상을 잘 보여주는 작품이므로 이 작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윤기 작품에 드러난 미학적 특징들은 아이러니를 단지 수사학적인 개념으로 한정지어 생각하지 않고, 인간 세상을 이루고 있는 어떤 구성원리와 원형으로 여기는 작가의 주제의식을 잘 드러내고 있다. 이윤기 소설에 나타난 삶의 은유와 아이러니는 작가가 추구하는 주제의 깊이 및 인생에 대한 성찰의 반영이다. This is a study on the aspect of irony that was shown in Lee Yun-gi`s novel. As irony is an objective concept of grasping a thing, it comprehensively designates a difference between what is outwardly revealed and what is substantial, and an outcome, which is opposite to expectation. Irony is a recognition method and an expression technique of fairly evaluating an object by grasping at intervals the appearance of a thing and the hidden reality with being not consistent between the truth and the originally inner meaning. This ironic technique is the effective one in clarifying ambivalence of life, criticizing reality of distorting truth, or disclosing truth, and has been expanded into many types. This study researched into an aspect and an effect of irony, which was shown in modern novel, focusing on Lee Yun-gi`s「Hidden Object Game 1」. Lee Yun-gi doesn`t remain just in using simply abundant vocabulary, befitting the author who translated much, but shows the advanced pragmatical language use that is most appropriate for a situation and a context. Especially,「Hidden Object Game 1」is the award-winning work for the 29th Dongin Literature Prize(東仁文學賞) and is a work of containing diverse forms in irony. It is a work that shows various ironic aspects and ironical effects such as the irony in self-disclosure & self-reflection and the dramatic irony including the irony in a word and the irony in a situation. Thus, the aim was to examine the aspect in irony that was shown in modern novel focusing on this work. Through this study, irony can be known to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effectively delivering a theme of a work. Irony leads to being offered an opportunity of recognizing and thinking of many potentials and the multilateral aspect in the world as well as the section of life. Hence, the novelistic application in irony can be known to become a very important element in writing a novel. A discussion about irony over the whole literature as well as a novel has been continued. It is difficult to divide its explicit boundary line yet. But the dramatic effect, the clarification in theme, and a broad sight on life, which are given by irony, cannot be denied. This study figured out many ironic forms, which were shown in Lee Yun-gi`s「Hidden Object Game 1」, and how effectively the irony was shown in modern novel. Based on this study, an attempt of applying this to actual creation is expected by clarifying which advantage a work of being disclosed irony has in the thematic aspect and the technique-based aspect unlike its opposite wor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