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남은 음식물사료와 생균제가 산란체의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앙철주(chul-Ju yang),D. Uuganbayar,박일철(Il-Chul Park),김광현(Kwang-Hun Kim),고흥범(Hong-bum Koh),이봉주(Bong Joo Lee) 유기성자원학회 2003 유기물자원화 Vol.11 No.1
본 실험은 산란계에서 남은 음식물사료에 생균제를 첨가할 경우 난의 생산율과 생산성에 미치 는 영향을 일아보는데 연 구의 목적이 있다. 사양시험은 일반 사료만으로 구성된 대조구와 Food 30% + Protein 30% + Probiotics (0%, 0.5%, 1.0% 및 1. 5%)로 구성된 첨가구로 총 5처리 4반복으로 반복당 6수로 120수를 6주간 사양시힘을 실시하였다 산란률은 생 균제 1. 5%첨가구가 평균 산란율 97.9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P<0.05) 대조구와 생균제 첨기구들 사이의 난중은 통계 적 인 유의자는 없었다 (P)0. 05) 산란량은 생균제 0% 첨가구가 60.40으로 가장 높은 산란량을 보여주었다 (P<0.05). 생균 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록 백색도 (1) 적색도 (a) 황색도 (b)대조구에 비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적색도 (a)에서 는 생균제 0%, 0.5%, 1.0% 및 1. 5% 첨가구가 각각 5.35, 6.25, 5.23 및 4.75로 대조구 -0.17에 비해 커가란 차이 가 있었다 (P<O.05) 하우 유니트(HU)는 생균제 1.5% 첨가구의 수치가 63 . 41로 가장 높았으며 생균제 첨가수준이 증가할수 록 하우 유니트(HU)는 증가하였다 (P<0.05)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food waste and probiotics supplementation on productive performance and εgg composition oflaying hens. Total120 layers (Brown Tetran) 22 weeks old were divided into fìve groups with 4 replicates for each treatments and raised in battery cage. The experimen때 design was completely randomized. The egg production rate was signifìcantly increased in layer supplemented with 0%, 0.5%, l.0% and l.5% of probiotic supplemented diets compared to control (P<0.05). At feeding with food waste and probiotic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on the egg shell strength (P>0.05). Haugh unit of the eggs was signifìcantly increased in layers fed with l.5% of probiotic supplemented diet (p<0.05). The different levels of inclusion of the food waste and probiotic supplementation had not effect on egg shell color, blood spot and a1bumen index of the eggs (P<0.05).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 all acceptability, juiciness, rexrure and color of the eggs from layer fed with differenr !evels of wood wasre and probiotic supplemenration. The appearance and flavor signifìcantly deteriorared in eggs from layers fed with probiotic diets compared to control (P<0.05).
황철주,이지연,김선희,Hwang, Chul-Ju,Lee, Ji-Youn,Kim, Sun-Hee 영남수학회 2009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25 No.3
In mathematics, the education of the geometry proof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ability for logical thinking by means of developing the deductive reasoning. However, despite of those importance mentioned above, considering the present condi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geometry proof in middle schools, it is still found that most of classes are led mainly by teachers, operating the cramming system of eduction, and students in those classes have many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geometry proof course.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s the other method that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proof educations. The thesis of Kai-Lin Yang and Fou-Lai Lin on 'A Model of Reading Comprehension of Geometry Proof (RCGP)', which was published in 2007, have various practical examples based on the model. After composing classes based on those examples and instructing the geometry proof, found out a problem. And then advance a new teaching model that amendment and supplementation However, it is considered to have limitation because subjects were minority and classes were operated by man-to-man method. Hopefully, the method of proof education will be more developed through performing more active researches on this in the nearest future.
고대 희랍철학에서의 노모스(Nomos)와 퓌시스(Physis)의 의미 탐구
이철주 ( Chul Ju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09 윤리교육연구 Vol.0 No.18
본 논문은 그리스 전통 속에서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일차적으로 노모스(Nomos)와 퓌시스(Physis)를 탐구한 것이다. 인간의 삶이 신화의 시대를 지나 합리화의 과정을 통해 이성의 시대로 전환하고, 또한 인간의 사고를 지배하는 정신의 대상이 자연세계에서 인간으로 전도(顚倒)되면서 인간들의 정신적인 삶은 풍요로워졌다. 이러한 정신의 풍요 속에서 인간은 자연에 관한 고찰보다는 삶과 행위에 관한 실천적인 문제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그 중심에는 소크라테스를 포함하는 소피스트들이 있었다. 그들은 다양한 분야에 관심을 기울였는데, 특히 기원전 5세기 후반에 진행된 노모스와 퓌시스의 논쟁은 인간의 삶과 행위의 기준을 제시해 줄 뿐만 아니라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를 보여주며, 또한 도덕과 도덕교육에 관한 새로운 인식의 틀을 제공해 준다. 노모스(Nomos)는 법과 관습을, 퓌시스(Physis)는 자연을 지칭하는 희랍어이다. 노모스는 절대적인 삶의 기준이었는데, 그리스 사회의 시대적인 변화로 인해 가변적이고 인위적인 속성을 드러내게 된다. 그 결과 절대적인 원칙인 퓌시스에 대한 탐구로 이어졌다. 퓌시스가 여러 의미를 지니지만 절대적인 원칙으로 작용하는 것은 본성으로서의 퓌시스이다. 오늘날의 교육은 다양한 교육적 가치들이 뒤섞여있거나 그 본질이 왜곡되어 혼란스럽다. 이에 노모스와 퓌시스의 연구를 토대로 교육의 본질에 대한 심도 있는 탐구를 전개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Nomos and Physis chiefly to recognize what essence of education is within Greek tradition. Spiritual life of humans became rich as life of human convert age of mythology into age of reason through process of rationalization and an object of mind that control thought of human changes from the nature world to human. Human paid attention in problem of practice about life and action than investigation about nature in plenty of these minds, there were sophists including Socrates in the center. They paid attention in various field, argument of Nomos and Physis gone in B.C. late 5th century specially shows what essence of education is as well as present life of human and standard of action. And It also offers paradigm of new realization about moral and moral education. Nomos calls law and custom in Greek, Physis calls nature. Nomos was standard of absolute life, but exposed variable and artificial attribute by Greek social period change. As a result, it was connected to research about Physis which is absolute principle. Physis has several meaning, but it is Physis as nature to work on absolute principle. Nowaday education is confused because various educational values have been mixed or its essence is distorted. Hereupon, I wish to unfold deep research for essence of education on the basis of research on Nomos and Physis.
교과내용학 :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보이는 "아포리아, Aporia"의 도덕교육적 의미 탐구
이철주 ( Chul Ju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보이는 ‘아포리아(aπορiα)’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아포리아는 대체로 두 가지 역할을 하며, 하나는 정화나 카타르시스이고 다 른 하나는 특별한 문제나 퍼즐이다. 전자는 용기나 덕, 경건함, 절제 등과 같은 개념을 대상으로 하며, 그것들에 대한 정의를 요구하는 소크라테스의 질문에 의해 발생된다. 이것의 주된 목적은 대 화상대자의 가식을 제거하여 무지를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아포리아는 당혹스러움이나 어 쩔 줄 몰라 함의 정신적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에 후자는 특별한 문제나 퍼즐에 관한 질문을 대상으로 한다. 그것의 원인은 ‘덕이 가르쳐질 수 있는지’와 같은 특별한 문제이거나 또는 명백한 모순 에서 비롯된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힘든 퍼즐일 수도 있다. 이것의 목적은 탐구심을 갖고 나아가는 것으로, 이것은 특별한 탐구를 유발한다. 여기서 아포리아는 당혹스러움을 넘어 도덕적 탐구의 의 미로 확대된다. 아포리아는 전통적으로 정화나 카타르시스의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지만, 그것만으로 도 덕적 탐구를 이끌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것은 도덕적인 탐구를 이끄는 실제적인 질문으로 작용하 는 탐구의 아포리아로 극복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아포리아의 궁극적인 목적은 도덕적 탐구이므로, 이것에 관한 폭넓은 이해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소크라테스가 구현했던 교육의 모습을 탐구 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oral education significance of aporia in the Dialogs of Plato. The aporia mostly has two kinds of functions in the Dialogs of Plato. One is the purgation or catharsis and the other is the particular problems or puzzles. The object of the former kind of aporia is a concept such as courage, virtue, piety, temperance and so on. It is caused by Socratic demand for definitions of them. The main aim of the former kind is to purge the interlocutor of the pretence of knowledge and to recognize of his ignorance. The former kind denotes a mental state of perplexity and being at a loss. Whereas the object the latter kind of aporia is a question about the particular problems or puzzles. It is caused by the particular problem such as ``Virtue can taught`` or the particular puzzle originated from apparent contradiction which is difficult to understand or explain. The aim of the latter kind is to zetetic: generate particular searches. The meaning of zetetic aporia expands a mental state of perplexity into the moral inquiry. Traditionally the aporia has been discussed around the function of purgation or catharsis.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e leading of the moral inquiry. It can be overcome by zetetic aporia as practical question that led to the moral inquiry. The final aim of these two kinds aporia is the moral inquiry, so it can be tried a wide understanding.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sought the appearance of education realized by Socrates.
도덕교육에서 `귀납추리`의 적용에 관한 연구 - 호프만(M. L. Hoffman) 이론을 중심으로 -
이철주 ( Lee Chul-j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4
본 논문은 귀납추리를 도덕교육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도덕규범을 내면화하고 도덕적인 행동을 이끄는 방법은 다양하다. 가장 널리 활용되었던 방법은 보상과 처벌일것이다. 보상과 처벌은 교육적인 효과가 즉시 발휘될 수도 있고 점차적으로 드러날수도 있다. 그러나 보상에 대한 기대감이나 처벌에 대한 두려움은 일시적이며 불안감을 유발하기에 한계를 드러낸다. 이에 호프만(M. L. Hoffman)이 주장한 귀납추리 방법을 탐구하였다. 호프만은 자녀에게 이루어지는 부모의 개입이 크게 `지배력의 행사`, `애정의 철회`, `귀납추리`로 구분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지배력의 행사는 도덕교육에 오히려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애정의 철회는 특별한 교육적 효과를 발견하기 어렵다. 이와 달리 귀납추리는 부모를 닮고 싶다는 욕망뿐만 아니라 도덕규범의 내면화와 공감능력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귀납추리는 아이의 행동 결과와 다른 사람들의 의도나 욕망들을 언급하여 공감적 성향을 자극하고 활성화시켜 공감능력을 길러주고, 추론능력과 사고력 등을 길러줄 수 있다. 또한 귀납추리는 도덕적인 행동을 이끌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applies induction to moral education methods.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internalize moral norm and to lead moral behavior. The most widely used methods would be compensation and punishment. Compensation and punishment can either be immediate or revealing educational effects. However, the expectation of compensation or the fear of punishment is temporary and causes anxiety, thus revealing its limitations. Thereupon this paper investigates Hoffman`s theory of induction. Hoffman analyzed that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ren is largely divided into `power assertion`, `love withdrawal`, and `induction`. The power assertion has a rather harmful effect on moral education. And it is hard to find a particular educational effect in the love withdrawal. On the contrary, induction contributed not only to desire to resemble parents but also to internalization of moral norms and activation of empathy ability. By referring to the child`s behavioral outcomes and other people`s intentions and desires, induction stimulates and activates the emotional tendency. Thereby induction can develop empathy, reasoning, thinking ability and so on. Also induction can be used as an efficient method to lead moral behavior.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과 지향점 탐구 -도덕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철주 ( Lee Chul-j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8 초등도덕교육 Vol.0 No.60
본 논문의 주된 목적은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과 지향점을 탐구하는 것이다. 초등 도덕교육은 주당 1시간 교과이며 초등 교사가 전 교과를 가르치고 있기에,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이나 그것이 지향하는 바를 명확하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초등 도덕교육의 정체성이나 지향점에 관한 탐구는 학교 도덕교육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도덕과 교육과정을 토대로 가능하다. 이에 먼저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드러난 초등 도덕교육의 특징이 ‘통합적 인격’과 ‘도덕적 실천’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검토하여 재정립하고, 이것을 초등 도덕교육에서 구체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characteristics and orientation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Elementary moral education is only one hour per week, and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teaching all subjects. So it is necessary to clear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its direction. The inquiry into the identity and orientation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can be based on the mor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directly affects school moral education.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characteristic of elementary moral education revealed in the course of moral education lies in 'integrated character' and 'moral practice'. After reviewing these characteristics and reestablishing them, I would like to suggest ways to actualize them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