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 도덕교육에서 `아름다움` 교육에 관한 탐구

        이철주 ( Lee Chul-ju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7 초등도덕교육 Vol.0 No.57

        본 논문은 초등 도덕교육에서 `아름다음` 교육에 관해 탐구한 것이다. 먼저 고대 그리스인들과 동양 전통 속에서 아름다움의 의미와 특징, 그리고 미학의 역사와 아름다움과 관련된 낱말들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토대로, 아름다움을 도덕교육에서 의미 있게 활용하기 위한 몇 가지 기준을 제시해 보았다. 첫째, 아름다움은 도덕적인 선과 연결되어야 의미 있는 개념으로 작동할 수 있다. 둘째, 아름다움에 관한 지식은 신비롭고 절대적인 것이 아닌, 주관적인 체험을 통해 길러질 수 있다. 셋째, 아름다움의 종류는 크게 `외면적 아름다움`과 `도덕적 아름다움`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한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과 도덕교과서에 반영된 아름다움을 분석하여 개념의 모호성을 확인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아름다움의 내용을 성취기준과 도덕교육적인 측면에서 구성해보고, 그것의 교육방법 등을 제안해 보았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ducation of beauty in the elementary moral education. First of all, it is analyzed the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beauty in the ancient Greeks and Oriental tradition, the history of aesthetics, and the words related to beauty. Based on this, several criteria have been suggested for making meaningful use of beauty in moral education. First, beauty must be associated with a moral goodness and work as a meaningful concept. Second, knowledge about beauty can be raised through subjective experience, not mysterious and absolute. Third, kinds of beauty can be divided into `surface beauty` and `moral beauty`. In addition, it is confirmed the ambiguity of the concept by analyzing the beauty reflected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curriculum and moral textbook. Finally, it has constructed the content of beauty in terms of achievement standards and moral education, and suggested a method of education for beauty.

      • KCI등재

        초등도덕교육에서 도덕원칙의 적용에 관한 연구

        이철주 ( Chul Ju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최근에 고시된 “2015 도덕과 교육과정”은 ‘도덕함’이라는 개념규정을 통해 도덕교육이 실천을 지향해야 함을 명확하게 드러낸다. ‘함(doing)’을 강조하는 도덕함을 도덕교육에서 구현하기 위한 방법이 다양할 수 있지만, 본 연구는 도덕원칙을 활용하였다. 이에 도덕원칙을 탐구하고, 그것을 초등도덕교육에서 적용하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도덕원칙은 ‘규칙’과 ‘원칙’에 관한 검토를 토대로 탐구될 수 있으며, 이것은 도덕적인 문제 상황을 판단하거나 해결할 때, 또는 어떤 도덕적인 행동을 결정할 때 중요한 근거로 작용한다. 또한 도덕원칙은 규정성, 보편화 가능성, 우선성, 공지성, 실천 가능성 등의 특징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도덕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도덕원칙 몇 가지를 탐구하고, 그것들을 구체적인 상황에서 적용해 보았다. It is clearly revealed that moral education should aim to the practices in recently announced the 2015 curriculum of moral education through doing morality. There are many different ways to realize doing morality that emphasizes doing in moral education. This study utilizes moral principles. Hence this paper investigates moral principle, and is looking for ways to apply it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Moral principles can be explored on the basis of the examination of the ``rules`` and ``principles``. And they are important bases when we need to judge or resolve moral problem situations, or when we need to determine moral behavior. Also, they have features such as prescriptivity, universalizability, overridingness, publicity, practicability. This paper investigates some moral principles that can be utilized in elementary moral education, and it can be applied to them in the specific situation.

      • KCI등재

        교과내용학 :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보이는 "아포리아, Aporia"의 도덕교육적 의미 탐구

        이철주 ( Chul Ju Lee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4 윤리교육연구 Vol.0 No.33

        본 논문은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보이는 ‘아포리아(aπορiα)’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아포리아는 대체로 두 가지 역할을 하며, 하나는 정화나 카타르시스이고 다 른 하나는 특별한 문제나 퍼즐이다. 전자는 용기나 덕, 경건함, 절제 등과 같은 개념을 대상으로 하며, 그것들에 대한 정의를 요구하는 소크라테스의 질문에 의해 발생된다. 이것의 주된 목적은 대 화상대자의 가식을 제거하여 무지를 자각하게 하는 것이다. 여기서 아포리아는 당혹스러움이나 어 쩔 줄 몰라 함의 정신적 상태를 의미한다. 반면에 후자는 특별한 문제나 퍼즐에 관한 질문을 대상으로 한다. 그것의 원인은 ‘덕이 가르쳐질 수 있는지’와 같은 특별한 문제이거나 또는 명백한 모순 에서 비롯된 이해하거나 설명하기 힘든 퍼즐일 수도 있다. 이것의 목적은 탐구심을 갖고 나아가는 것으로, 이것은 특별한 탐구를 유발한다. 여기서 아포리아는 당혹스러움을 넘어 도덕적 탐구의 의 미로 확대된다. 아포리아는 전통적으로 정화나 카타르시스의 역할을 중심으로 논의되어 왔지만, 그것만으로 도 덕적 탐구를 이끌기에는 한계가 있다. 이것은 도덕적인 탐구를 이끄는 실제적인 질문으로 작용하 는 탐구의 아포리아로 극복될 수 있다. 이 두 가지 아포리아의 궁극적인 목적은 도덕적 탐구이므로, 이것에 관한 폭넓은 이해를 시도할 수 있다. 또한 소크라테스가 구현했던 교육의 모습을 탐구 해 볼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moral education significance of aporia in the Dialogs of Plato. The aporia mostly has two kinds of functions in the Dialogs of Plato. One is the purgation or catharsis and the other is the particular problems or puzzles. The object of the former kind of aporia is a concept such as courage, virtue, piety, temperance and so on. It is caused by Socratic demand for definitions of them. The main aim of the former kind is to purge the interlocutor of the pretence of knowledge and to recognize of his ignorance. The former kind denotes a mental state of perplexity and being at a loss. Whereas the object the latter kind of aporia is a question about the particular problems or puzzles. It is caused by the particular problem such as ``Virtue can taught`` or the particular puzzle originated from apparent contradiction which is difficult to understand or explain. The aim of the latter kind is to zetetic: generate particular searches. The meaning of zetetic aporia expands a mental state of perplexity into the moral inquiry. Traditionally the aporia has been discussed around the function of purgation or catharsis. However, there is a limit in the leading of the moral inquiry. It can be overcome by zetetic aporia as practical question that led to the moral inquiry. The final aim of these two kinds aporia is the moral inquiry, so it can be tried a wide understanding.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sought the appearance of education realized by Socrates.

      • KCI등재

        절제 교육에 관한 연구 : 『니코마코스 윤리학』을 중심으로

        이철주(Lee, Chul-Ju)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5

        This study analyzed the content of temperance in Aristotle’s Ethica Nicomachea and investigated methods of temperance education. Temperance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helping humans develop mature personalities and gaining necessary virtue for humans to live as members of a society. Aristotle’s “temperance” suggests moderation related to pleasure and is associated with physical pleasure. The scope and domain of moderation go beyond the pleasures of taste and touch. The parameters of temperance can be identified as the target, amount, and timing. Further, temperance and moderation can be compatible, and temperance can cultivate the virtues of moderation. Aristotle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habits to cultivate temperance. To foster temperance, this study suggests five steps for law of habit formation. 본 연구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니코마코스 윤리학』에서 나타난 절제에 관한 내용을 분석하고, 절제 교육 방법을 탐구한 것이다. 절제는 불완전한 인간을 성숙한 인격체로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하며 인간이 한 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덕목이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절제’는 즐거움과 관련된 중용이고, 신체적인 즐거움과 관련된다. 절제의 범위와 영역은 육체적 즐거움에서 미각과 촉각의 즐거움 이상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절제의 기준과 변수는 대상, 양, 그리고 시기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절제와 중용은 양립될 수 있으며, 절제를 통해 중용의 덕들이 함양될 수 있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절제를 함양하는 방법으로 습관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이에 절제 함양을 위해 ‘습관 설계 법칙’ 5단계를 제안해 보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서 불교의 적용가능성 탐구

        이철주 ( Chul Ju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4 초등도덕교육 Vol.0 No.4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도덕교과서에 반영된 불교서술에 관한 비판적 검토를 바탕으로 불교의 내용과 방법을 도덕교과서에 적용해 볼 수 있는 방안을 탐구하는 것이다. 도덕교과서에 반영된 불교서술에 관한 검토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불교내용 자체의 오류나 서술방식에서의 문제이다. 둘째, 도덕교과서에서 동양사상이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서 불교가 차지하는 비율이 적다. 셋째, 불교 관련 인물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 부분이 있다. 넷째, 불교의 전통과 문화유산들이 그것의 영향력에 비해 부족하다. 도덕교과서에 불교의 사상과 내용, 방법 등을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적용해 볼 수 있다. 첫째, 깨달음을 목표로 하는 불교 사상에 근거한 ‘성찰적 교육과정’이다. 둘째, ‘자비’를 도덕교과서에서 다양한 덕목내지 지도요소와 함께 활용할 수 있다. 셋째, 불교의 ‘명상’을 도덕교육방법으로 적용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investigating the plans that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Buddhism can be applied in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s on the basis of critical examination about the Buddhist description in moral textbooks. The critical examination results about the Buddhist description in moral textbooks reflected in the following issue. First, it is a mistake of the Buddhist content itself or a problem of the method of description of the Buddhism. Second, the proportion of the Buddhism is small compared to all proportion of the Orientalism in moral textbooks. Third, anyone who was involved in the Buddhism will be recognized that the negative part. Fourth, the Buddhist tradition and heritage are lacking compared to its influence. The content and method of the Buddhism in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s can be applied as follows. First, it is the ‘reflective curriculum’ based on the Buddhism that is aimed at awakening. Second, the ‘mercy’ can be used with various virtues and teaching element. Third, the ``Buddhism meditation`` can be applied to the methods of moral education.

      • KCI등재

        도덕적 지식에 관한 연구 - 플라톤의 ‘에피스테메’와 ‘테크네’를 중심으로 -

        이철주 ( Lee Chul-j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3

        본 연구는 플라톤의 대화편에서 드러나는 ‘에피스테메(epistēmē)’와 ‘테크네(tekhnē)’에 관한 분석을 통해, 도덕적 지식에 관해 탐구한 것이다. 먼저, 지식이나 앎으로 이해되는 ‘에피스테메’는 ‘지각’과 ‘참된 판단’, 그리고 ‘설명을 동반한 참된 판단’으로 구분되며, 나아가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과 연결된다. 또한 ‘기술’로 이해되는 ‘테크네’는 지식의 본성과 원인을 설명하고 지식의 기능과 목표를 제시하며, 방법적 지식과 지식의 성찰에 활용된다. ‘에피스테메’에 관한 분석을 통해, 도덕적 지식의 특징을 살펴보고 또한 도덕적 지식을 이론적 지식과 실천적 지식으로 구분해 보았다. 여기에 ‘테크네’에 관한 연구를 더하여, 도덕적 지식을 개념과 설명, 이론적 지식과 방법적 지식 및 성찰적 지식 등으로 구조화하였다. This study explores moral knowledge through analysis of 'episteme(ἐπιστήμη)' and ‘techne(τέχνη) revealed in Plato's dialogue. First, 'episteme', which is understood as knowledge or wisdom, is divided into 'perception', 'true judgment', and 'true judgment with explanation', and further connected to 'theoretical knowledge' and 'practical knowledge'. In addition, ‘techne’, understood as 'technology', explains the nature and cause of knowledge, presents functions and goals of knowledge, and is used as methodological knowledge and a reflection of knowledge. Through the analysis of 'episteme', the characteristics of moral knowledge were examined, and moral knowledge was divided into theoretical and practical knowledge. In addition to the research on 'techne', moral knowledge was structured into concepts and explanations, theoretical knowledge and methodical knowledge or reflective knowledge.

      • KCI등재

        기하 증명 읽기 이해 모델의 적용 효과

        철주,이지연,김선희,Hwang, Chul-Ju,Lee, Ji-Youn,Kim, Sun-Hee 영남수학회 2009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Vol.25 No.3

        In mathematics, the education of the geometry proof has been playing an important role in promoting the ability for logical thinking by means of developing the deductive reasoning. However, despite of those importance mentioned above, considering the present condi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geometry proof in middle schools, it is still found that most of classes are led mainly by teachers, operating the cramming system of eduction, and students in those classes have many difficulties in learning the geometry proof course. Accordingly this thesis suggests the other method that is distinguished from previous proof educations. The thesis of Kai-Lin Yang and Fou-Lai Lin on 'A Model of Reading Comprehension of Geometry Proof (RCGP)', which was published in 2007, have various practical examples based on the model. After composing classes based on those examples and instructing the geometry proof, found out a problem. And then advance a new teaching model that amendment and supplementation However, it is considered to have limitation because subjects were minority and classes were operated by man-to-man method. Hopefully, the method of proof education will be more developed through performing more active researches on this in the nearest future.

      • KCI등재

        소크라테스의 정의의 원칙과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미

        이철주 ( Chul Ju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9

        본 논문은 플라톤의 초기대화편에서 보이는 소크라테스의 정의의 원칙과 그것의 도덕교육적 의미를 탐구한 것이다. 특히 대화편『크리톤』에서 보이는 정의의 원칙은 크게 여섯 가지로 구분된다. 이러한 원칙들은 모두 어떤 경우에도 정의롭지 못한 짓을 해서는 안 된다는 원칙을 근거로 하고 있다. 그런데 당시의 보편적인정의는 보복적 정의로, 이것은 소크라테스의 정의와는 다르다. 보복적 정의는 상호성을 토대로 하며, 오랜 기간 널리 받아들여진 정의의 개념이다. 이것을 반대하는 소크라테스의 정의는 파격적이고 이상적인 주장이다. 그는 언제나 추론해보고 가장 좋은 것으로 보이는 원칙을 따른다. 소크라테스의 정의의 원칙을 통해 복수를하지 말아야 하는 근거를 찾아 볼 수 있으며, 용서와 화해를 통합하여 진정한 정의를 실현해 볼 수 있다. 또한 정의와 덕, 그리고 행복의 관계를 통해, 정의로운 사람은 덕을 갖춘 사람이며 행복한 사람임을 알 수 있다. 소크라테스의 정의가 비록 이상적일지라도, 인간의 도덕 수준을 더욱 성숙하게 만들어 줄 수 있다. This paper investigates the principle of Socrates`` justice and its moral educational significance in Plato``s early dialogues. In Plato``s Crito, principles of Socrates`` justice is classified into six. All of these principles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n any case not even just shouldn``t have done. However, the general conception of justice in that time is the revenge conception of justice. This is different from the Socrates`` justice. The revenge conception of justice should be based on mutuality, widely be accepted of a long period of time. Socrates`` justice objecting to the revenge conception of justice is unconventional and an ideal argument. Always after reasoning, he follows the principle seems to have the best. Through the principle of Socrates`` justice, it is found the evidence that should not be revenge, it can be realized the true definition by integrating the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justice, virtue and happiness, it can be seen the just man is a person with virtue and is a happy person. Even though the ideal of Socrates`` justice, it can make to the level of human morality more mature.

      • KCI등재

        도덕교육에서 `귀납추리`의 적용에 관한 연구 - 호프만(M. L. Hoffman) 이론을 중심으로 -

        이철주 ( Lee Chul-ju ) 한국윤리교육학회 2017 윤리교육연구 Vol.0 No.44

        본 논문은 귀납추리를 도덕교육방법에 적용한 것이다. 도덕규범을 내면화하고 도덕적인 행동을 이끄는 방법은 다양하다. 가장 널리 활용되었던 방법은 보상과 처벌일것이다. 보상과 처벌은 교육적인 효과가 즉시 발휘될 수도 있고 점차적으로 드러날수도 있다. 그러나 보상에 대한 기대감이나 처벌에 대한 두려움은 일시적이며 불안감을 유발하기에 한계를 드러낸다. 이에 호프만(M. L. Hoffman)이 주장한 귀납추리 방법을 탐구하였다. 호프만은 자녀에게 이루어지는 부모의 개입이 크게 `지배력의 행사`, `애정의 철회`, `귀납추리`로 구분되고 있음을 분석하였다. 지배력의 행사는 도덕교육에 오히려 해로운 영향을 미치고, 애정의 철회는 특별한 교육적 효과를 발견하기 어렵다. 이와 달리 귀납추리는 부모를 닮고 싶다는 욕망뿐만 아니라 도덕규범의 내면화와 공감능력의 활성화에 기여하였다. 귀납추리는 아이의 행동 결과와 다른 사람들의 의도나 욕망들을 언급하여 공감적 성향을 자극하고 활성화시켜 공감능력을 길러주고, 추론능력과 사고력 등을 길러줄 수 있다. 또한 귀납추리는 도덕적인 행동을 이끌 수 있는 효율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다. This paper applies induction to moral education methods. There are various methods to internalize moral norm and to lead moral behavior. The most widely used methods would be compensation and punishment. Compensation and punishment can either be immediate or revealing educational effects. However, the expectation of compensation or the fear of punishment is temporary and causes anxiety, thus revealing its limitations. Thereupon this paper investigates Hoffman`s theory of induction. Hoffman analyzed that parental involvement in children is largely divided into `power assertion`, `love withdrawal`, and `induction`. The power assertion has a rather harmful effect on moral education. And it is hard to find a particular educational effect in the love withdrawal. On the contrary, induction contributed not only to desire to resemble parents but also to internalization of moral norms and activation of empathy ability. By referring to the child`s behavioral outcomes and other people`s intentions and desires, induction stimulates and activates the emotional tendency. Thereby induction can develop empathy, reasoning, thinking ability and so on. Also induction can be used as an efficient method to lead moral behavior.

      • EAV 측정치(測定値)의 표준화(標準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성별(性別), 연령별(年齡別), 체질별(體質別))

        철주,이상룡,이의주,홍석철,김종원,고병희,송일병,Cha, Chul Ju,Lee, Sang-Ryong,Lee, Ui-Ju,Hong, Seok-Cheol,Kim, Jong-Won,Go, Byeong-Hui,Song, Il-Byeong 사상체질의학회 1996 사상체질의학회지 Vol.8 No.2

        1. Result As the study for standardization of EAV's measurement values according to constitution and sex and age, the questionnaire on QSCC and QSCC(I) and EAV were carried out to 603 general patients in east : west promotion health center affiliated to Kyung Hee Medical center.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reached as the result of statistical handling of the data of questionnaire and EAV. 1) Each standard scope of BAZ and CMP was suggested. 2) BAZ and CMP examined about constitution did not show any statistical difference. 3) The result of examination by sex on BAZ and CMP is such as followings. A meaningful difference was showed at the level of p<0.001 in HH, HEL, HFR, and FF in case of male on BAZ. meaningful difference were showed at the level of p<0.001 in R3, R4, R18, L3, L16 and L18 and at the level of P<0.01 In R5, R8, R12, L7, L9, L10, L11, and L13 and at the level of P<0.05 in R1, R2, R6, R11, R13, R14, R16, R17, R19, R20, L1, L2, L4, L5, L14, L17, and L19 in case of male on CMP.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R7, R9, R10, R15, L12, and L15. 4) In every measure point of both BAZ and CMP a meaningful difference was notified at the level of P<0.01 by age. 2. Suggestion 1)Environmental, examinee and examiner's factors which may cause error in EAV measurement should be excluded. 2)The factor of change by time and space should be clarified. 3)The correlation between disease and meridian should be learned. And scopes of BAZ and CMP according to disease should be studi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