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MnZn ferrite의 자기적 성질에 미치는 하소조건의 영향(2)
조덕호 大田産業大學校 1996 한밭대학교 논문집 Vol.13 No.1
In this study, preparing the specimens of MnZn ferrites with the chemical composition of zero magnetostriction and zero magnetic anisotropy,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calcining conditions on the magnetic properties of MnZn ferrites. The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of sintered MnZn ferrites increases a little along with the calcining temperature, and the electrical resistivity of the ferrites increases with the calcining temperature to reach maximum value at about 900℃. The initial permeability, measured at 20℃, increases with the calcining temperature to reach maximum value at around 900℃, but successively decreases above 900℃. The coercive force decreases up to around 900℃, whereafter it successively increases with the calcining temperature. The power loss appears constant up to 900℃ with the calcining temperature, but abruptly increases above 900℃. From the above results, the optimum calcining condition for MnZn ferrites is considered to be 900℃for 2 hours.
A Study on the Building of Ubiquitous Computing Spatial Environment of Local e-Government
조덕호 대한지방자치학회 2007 한국지방자치연구 Vol.9 No.1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언제, 어디서나 내재하고 연결되는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은 점차 사회 전분야로 확대될 것이며, 이와 같은 환경은 정부업무수행에도 적용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이들 컴퓨터 관련기술이 정부업무수행, 특히 지방정부의 업무수행 및 정부구조의 변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방전자정부를 구축하기 위한 유비쿼터스 공간환경의 구현방안을 모색하고 이에 대한 정책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전자정부발달과정과 유비쿼터스 정부의 개념을 정립하고, 유비쿼터스 지방정부의 구현에 필요한 디지털기기, 네트워크, 콘텐츠 등 디지털 융합의 유형과 특성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현재 지방자치단체에서 추진하고 있는 유비쿼터스 구축사업의 특성 및 문제점을 분석하고, 향후 유비쿼터스 지방정부의 발전모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A Study on the Building of Ubiquitous Computing Spatial Environment of Local e-Government Cho, Deok-Ho Ubiquitous computing will be prevailed to most of areas in the social development processes. It will be applied to the government works. Therefore, we have to understand how this technology can be utilized in the area of government services, especially local government one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olicy alternatives for building the geospatial ubiquitous environment of local e-Government because ubiquitous computing is closely related with the provision of public services for the citizens in each city. It defines the concept of electronic and ubiquitous governments and reviews their development processes. Based upon these theoretical reviews, It builds the schematic model for building the ubiquitous local government and analyzes the ubiquitous projects which are implemented in the level of local government. It notes the ubiquitous geospatial environment which is a key component of local electronic government. It suggests the building scheme of ubiquitous geospatial environment and policy implication in order to build the ubiquitous local government.
농지연금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 경상북도를 대상으로
조덕호,임대봉 대한지방자치학회 2012 한국지방자치연구 Vol.14 No.2
본 연구는 농지연금제도가 지역경제(경상북도)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지역경제의 정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경상북도는 지역 내의 재정과 산업정책, 그리고 고용정책의 종합적인 관점에서 볼 때 정부의 재정을 완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특히 농림수산품과 도소매 부문에서 고용유발효과가 상당히 높게 나타나 농지연금의 활성화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이 제도를 통해 고용효과 뿐만 아니라 경북 지역의 산업구조를 고도화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판단한다. 경상북도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에서 농지연금의 가입비율이 2.6%일 경우에도 지역경제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 보다 높은 30.8%일 경우에는 더욱 큰 경제적인 파급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어 가입비율이 높으면 높을수록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파급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농지연금이 농촌노인들의 생활편익을 증진하는 것은 물론,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분석됨에 따라 정부는 농지연금을 보다 확충하여, 국가재정의 완화와 농촌노인복지 및 영농구조조정 뿐만 아니라 지역경제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 나가는 정책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