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재해 및 재난 구호시 요구되는 정신보건사회사업서비스에 관한 연구

        신선인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본 연구는 현재 우리 나라 공적 재해구호대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재해정신보건사업의 필요성을 강조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재해정신보건사업이 활성화되어 있는 미국에서 실시한 관련 전문가들에 대한 면접조사와 문헌조사를 통하여 재해정신보건체계에서 사회복지사가 중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한국과 미국에서 각각 실시한 주민면접조사에서는 한국 주민의 재해시 정신보건서비스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도가 미국 주민 못지 않게 높았으며 이를 위한 주요담당전문가로서 사회복지사를 선택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서 재해정신보건사업에 관한 사회복지적 대응이 매우 필요함이 파악되었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근거하여 우리 나라 재해구호체계에서의 정신보건사업의 활성화 방안과 정신보건사회복지사의 역할의 확대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attention to a disaster mental health system which has yet to be established in Korea, and to emphasize the role of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in this setting. The study was based on an overview of disaster mental health systems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views with disaster mental health workers and passers-by. Interviews were also done in Korea with locals of a disaster area and workers of the disaster relief system. Findings are discussed in terms of establishing a disaster mental health service program in the public disaster relief system in Korea. It is suggested that mental health social workers broaden their point of view on their role from limited psychiatric social workers for the chronically mentally disabled to disaster mental health workers, which enable them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prevention service system of community mental health.

      • KCI등재

        구성주의와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의 접목에 관한 연구

        고미영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정신보건 분야에서의 구성주의적 사회복지 실천은 아직 생소한 주제로 간주된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정신보건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해 의학과 심리학의 영향을 많이 받은 까닭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전통적인 사회복지 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의 입장을 밝히고 정신보건 실천 분야와 관련된 구성주의적 실천의 원칙과 함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는 모든 이론은 가치와 이념의 영향을 받고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고 이러한 과정을 실천에 반영하는 자아성찰적인 실천을 한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내담자와 실천가의 협동작업으로 현실에 대한 인식과 정의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의미와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이야기의 생성을 변화의 내용과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21세기를 맞이하여 전 학문 분야에서 일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과 영향력은 막을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을 이루어 인문 사회과학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사업 실천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학문적 영향에 힘입어 조심스럽게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의 논쟁이 시작되고 있으나 아직 정신보건과 관련된 사회사업 실천에서는 그러한 논의가 매우 미미하다. 그것은 정신보건 분야가 사회사업 실천에서 가장 의학적이며 심리학적인 전통에 입각한 실천을 해왔고 그 학문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는 점과 정신보건 분야의 뿌리가 과학적이며 객관적이라고 인정받는 경험론적 패러다임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포스트모더니즘과 구성주의적 논쟁은 모든 경험론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학문 분야에 강한 도전을 주었고 실용성과 유용성을 문제 삼아 비판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이때에 정신보건 사회사업도 그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명확하다. 구성주의의 도전은 이전의 전통과 이론들을 모두 말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아무도 제기하지 않았던 인식과 지식에 대한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실천에 주는 함의를 새로운 각도에서 도출하는 것이다. 이것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객관적 지식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에 대하여 회의를 가져보고 앎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실천한다는 것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특히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은 무분별한 서구 이론의 수용으로 한국적 상황에 적절한 실천 방법이 아직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리가 간과해버리기 쉽고 비판 없이 받아들인 많은 실천 개념과 방법들에 대한 반성을 요구하는 시점에서 구성주의적 논의는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구성주의적 시각이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가 어떻게 정신보건 사회산업과 연관되어 적절하며 대안적인 실천 방법을 제시하는 지 알아보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에 관하여 구성주의가 어떤 점을 시사하며 현재 사용되는 이론에 대하여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 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시대와 내담자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실천의 가치와 방향을 구성주의적 실천 원리에 입각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ory and the ways ideology becomes infused into social work theory and practice. Social work has been a value-laden practice through out its history. However, the narrowness of our conceptual frameworks does not allow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nd ideology behind the so-called scientifically based theory and knowledge. The constructivist approach in mental health suggests to move away from the narrow application of the diagnostic labeling and the upholding of normality. Instead, the reflecting practice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get involved in the client's experience and to create a meaningful narrative that provides a broader choice for the client's life.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관에서의 정신장애인 재활프로그램의 개발 필요성

        유수현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1 No.-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관이 기존 자원을 최대한 활용하고 일부 시설과 전문인력의 재배치와 보강을 통하여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프로그램을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타진하고자 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지역사회복지관의 프로그램 가운데 정신보건관련 프로그램의 수행현황을 제시하여 적용가능성을 알아보았고, 정신보건법상에서 요구하고 있는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재활프로그램의 설치 기준을 검토하여, 기존의 지역사회복지관이 그들의 조직과 인적ㆍ물적 자원체계를 최소한으로 보강함으로써 설치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지역사회복지관 가운데 시설규모와 인력규모에 있어서 이 프로그램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기관에서 정신질환자의 사회복귀프로그램을 설치ㆍ운영한다면 복합적인 사회적응 문제로 고통받고 있는 정신장애인과 그 가족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purpose of clarifying necessity to development of rehabilitation programs for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by utilizing their physical resources and relocation of professional social workers in this new programs. The initial section of this article briefly reviews current programs for helping people with mental disability at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and then bring up a legal standards and official requirements for the inauguration of a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After discussion and exploration of possibility to apply this program, finally, the community welfare center was recommended that mental rehabilitation program should be done as soon as possible since it has the requirements of mental rehabilitation center.

      • KCI등재

        약물남용 성인의 정신과적 증상과 관련 요인에 대한 연구

        김용석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2 No.-

        본 연구는 약물남용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그들의 정신과적 증상의 수준을 이해하고 이와 관련있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약물사용으로 인해 보호관찰하에 있는 총 104명의 약물남용 클라이언트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조사대상자의 정신과적 증상을 일반인과 비교한 결과 SCL-90-R의 9가지 증상차원 중 거의 모든 차원에서 조사대상자의 평균값이 높게 나와 약물남용 클라이언트가 보다 심한 정신과적 증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국내외에서 실시된 선행연구들과 마찬가지로 약물남용 클라이언트들이 약물사용의 문제와 더불어 정신건강상의 문제도 지니고 있다는 점을 입증하는 결과이다. 약물남용 클라이언트의 정신과적 증상과 관련있는 요인들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핵심목적이었으며 관련 문헌에 기초하여 성, 음주행위, 심리ㆍ사회적 자원을 고려하였다. 대부분의 요인들이 조사대상자의 정신과적 증상과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는데, 여성이 남성보다 더 심한 정신과적 증상을 경험하고 있었고 음주행위가 활발할수록 더 많은 정신과적 증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조사대상자가 그들의 가족, 친구, 주변인들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았다고 인식하는 정도가 높을수록 그들의 정신과적 증상은 감소하여 사회적 지지는 정신과적 증상과 부적 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를 위한 두 가지 제안을 하고 있다. 첫째, 조사대상자의 약물사용 동기 중 주위의 권유로 인해서 약물을 사용하게 되었다고 응답한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 약물남용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관계는 열악하며 주변으로부터 양질의 사회적 지지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본 연구에 고려한 사회적 지지의 기능적 측면과 더불어 후속연구를 통해서 사회적 지지의 구조적 측면을 연구하여 우리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약물남용 클라이언트의 사회관계망을 탐색하는 것도 매우 의미 있는 시도라고 생각한다. 둘째, 대처기술은 회귀분석에서 정신건강문제와 유의미한 관계를 보이지 못하였으나, 대처기술을 다른 요인들과 함께 고려하여 대처기술이 약물남용 클라이언트의 정신과적 증상의 감소에 어떤 관계를 가지는지 검증하는 것도 후속연구가 해결해야 할 과제이다. 중심단어 :약물남용, 정신과적 증상, 사회적 지지, 대처기술, 음주행위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understand the levels of psychiatric symptoms among substance abusing adult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the symptoms. A total of 104 respon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Below we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it was identified that respondents in this study suffered from more psychiatric symptoms than a community sample. Second, among factors included in this study, respondents' gender, drinking frequencies, and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ir psychiatric symptoms. To be specific, female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han male respondents to suffer from more symptoms,respondents who drank more frequently suffered from more symptoms than those who drank less, and respondents high in perceived social support were less likely than those low in perceived social support to suffer from psychiatric symptoms. Finally,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explore the structural aspects of respondents' social support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ir social relations with others and that the effectiveness of coping skills which were not found to be related to psychiatric symptoms be investigated in depth. Key Words : substance abuse, psychiatric symptoms, social support, coping skills, drinking behaviors

      • KCI등재

        현장과제를 활용한 정신장애인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 역량강화와 증상에 관한 훈련효과를 중심으로

        이용표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3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5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이 사회기술훈련으로 습득한 기술을 실제생활에 일반화하는 능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현장과제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것이 정신장애인의 역량강화와 증사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정신장애인 재활의 근본적인 문제를 병의 경험에 의한 사회적 소외가 인간의 내적 기재를 관통하면서 생성된 무기력이라고 보는 역량강화 이론의 관점에서, 행동주의 사회기술훈련에 실제 일상환경에서의 훈련이라는 역량강화 요소를 결합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다시 말하면, 역량강화의 관점에서는 정신장애인의 사회기술의 부족을 무기력 현상인 자신감의 결여로 파악하며, 사회기술훈련의 요소에 자신감을 증진하기 위한 실제 생활에서의 성취경험을 강조하고 있는데, 이를 중요한 훈련요소로 사회기술훈련에 통합시킨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자은 현장과제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집단 16명, 비교집단인 행동주의 사회기술훈련집단 11명 등 총 27명으로 구성하였으며, 훈련효과의 검증을 위해서 양 집단에 대하여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여 그 차이를 검증하는 비동일 통제집단비교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현장과제를 활용한 사회기술훈련은 행동주의 사회기술훈련보다 역량강화와 자신감 증진(p<.10 수준)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정신병리상의 우울증상 완화에도 효과적인 것(p<.10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증상을 독립변수로 하여 사회적 기능을 설명하는 전통적 정신장애인 재활모형의 제한점을 밝힘으로써 새로운 재활모형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 정신보건프로그램의 실천에서 지역사회가 단지 장소의 이동이라는 의미을 넘어, 그것을 프로그램 개발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여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 for person with mentally illness on empowerment and symptom. Two group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consisting of a total of 27 person with a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of 11, and a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s group of 16. The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s aimed for enhancing a level of empowerment. The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ke tasks aimed for enhancing a level of empower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s with mentally illness who had completed the program of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 significantly improved in their empowerment and self-efficacy in comparison with the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Second, persons with mentally illness who had completed the program of social skills training using real-life task significantly were alleviated in their psychiatric symptom in comparison with the behavioral social skills training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ore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is not a symptom but a empowerment.

      • KCI등재

        A Qualitative Study of Social Network Intervention for Young Adults with Mental Illness : Implication for Mental Health Professionals 정신보건 전문요원을 위한 함의

        Kang, Sun-Kyung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2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3 No.-

        사회연결망 중심의 개입이란 개인 각각의 연결망을 확대하여 그 개인의 사회연결망을 재구조, 재조직하며 개혁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비록 사회복지사들이 건전한 사회연결망의 가치를 알고 있고, 여러 해 동안 생태학적 사고에 입각하여 정신질환자 클라이언트를 평가해 왔으나, 실제로 이러한 연결망을 통한 개입은 쉬운 일이 아니다. 이러한 취지에 입각하여 어떻게 청년기 정신질환자들이 각자의 사회적 연결망을 이용하여 어떻게 도움을 받는가를 본 연구의 문제(research question)로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5명의 청년기 정신질환자와 3명의 사회복지사들을 인터뷰하였다. 문제의 성격상 본 연구는 연구 대상자들이 관련된 이슈들에 대한 문제들을 제기하는 질적 근거이론(a qualitative grounded theory)방법으로 이루어 졌다. 수집된 자료는 청년기 정신질환자들의 사회연결망이 이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문제들을 적절하게 대처하는 기능을 하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사회 혹은 그 지역에 성공적 적응을 위해서는 정신질환자 클라이언트의 사회적 연결망이 중요함을 보여주었다. 사회복지사들이 중심이 되어 사회연결망들의 고유한 기능을 강화시킴으로써 이러한 사회연결망을 클라이언트들이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의 적절한 개입을 위하여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보다 광범위하고 체계적인 임상적 관찰이 필요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사회연결망의 통합적인 기능을 통하여 청년기 정신질환자들이 공통적으로 갖는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나갈 수 있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Mental Health Professionals have long been aware of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environment for an individual's well-being. In recent years, one element of the social environment-the social network-has received an increasing amount of attention as a contributor to health, both physical and emotional. It has also come to be seen as an appropriate target for intervention on several levels through such mechanisms as enhancing of personal networks, volunteers linking, developing mutual aid networks, consulting with neighborhood helpers, and encouraging community empowerment. Network centered interventions aim to restructure, reorganize or reform an individual's network to improve the helping processes of the network, which then enlarges his or her access to social support. For this purpose, 5 young adults with mental illness aged 18~25 and 3 social workers were interviewed. The research questions was how young adults with mental illness can be helped to make optimal use of their existing social networks. The nature of the question led itself to qualitative research and was approached by interviewing the young adults and getting them to talk about their concerned problems: lack of self determination , hostility and resistance(or, difficulty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helplessness(or, deficiency in copying skills), and frustration and satisfactions(or, acute vulnerability to stress). Date were analyzed based on a qualitative, grounded theory through problems presentation to check whether the individuals have adequate social networks to deal with their common struggles-related problems. Overall, the study showed the significance of a client's social networks for a successful social and community adjustment. Social workers can initiate an intervention to elicit bigger support from the social networks, to effectively utilize the networks, and to integrate the networks, by reinforcing the unique function of each social network of an young adult patient. The results help clarify what professional care providers might do to promote social adjustment using the clients' natural sources of support. Through further study and systematic clinical observation, the knowledge necessary to identify appropriate interventions may become available. Also, there remains a great deal to be learned about how social networks may be integrated to help young adult patients better cope with their common struggles, regardless of their specific diagnosis and symptoms, i.e., including the problems such as acute vulnerability to stress, difficulty in making stable relationships, inability to get something good in their lives, and so on.

      • KCI등재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정신보건정책적 현황과 실행과제

        김규수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1998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6 No.-

        본 연구는 정신질환자의 병원중심의 치료형태에서 지역사회중심의 사회복귀시설과 프로그램개발을 목적으로 당면한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를 위한 정책적 쟁점과 지원을 논의한 연구이다. 먼저 우리나라의 정신질환자의 추정인원과 이들 중 정신의료기관과 정신요양시설의 전반을 점유하고 있는 만성정신 장애인으로서 그 문제점, 탈시설화를 주장하면서도 정신의료기관의 병상수의 증가와 이들 의료기관과 요양시설의 격리 수용비의 45%를 정부가 재정적 지원하는 점의 그 운영비의 비효율성을 지적하였으며, 중진료권에 약 281명이 재활치료가 요구되는 만성정신장애인을 위해서라도 지역사회 중심 및 그 이용시설 중심의 사회복귀시설, 지역사회에 정신보건센타 등의 확충에 정책적, 재원적 지원이 요구되고, 그리고 이들을 위한 정신사회적 재활을 위한 프로그램 즉 환자와 그 가족을 위한 정신 사회적 교육, 장애인의 기능회복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직업훈련과 취업알선 등의 과제를 제안한 연구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he extension of delivery system and finacial supports o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and rehabilitative programs in community based faciliti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chronic mental patients and study on political tasks and supportive approachs of rehabilitation mental patients. The political task have to trend mental hospital treatment of chronic mental patients change from institution based care to community based one. With the movement of deinstitutionalization, the political supports were need, the extension, various kind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for the chronic mental disorders or the discharged patient, community based rehabilitation needs to the development programs of the effective psychosocial intervention, such as family psychosocial education, patients education, and social skill training for discharge patient and chronic mental disorders, and their relatives at community based cent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