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권태감 및 여가 권태감과 청소년 약물남용과의 관계

        이영길(Young Khill Lee)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1990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7 No.-

        Drug abuse has increased markedly in Korea in the past decade, expecially among adolescents. Now, adolescents` drug abuse has become a serious national problem Korea, and the nation must deal with this problem effectively as soon as possible. Many constructive debate of this issue has been continued to explain and predict causes of adolescent drug abuse. Many studie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motive for durg abuse among adolescents is seeking pleasure or getting high. However, few research has suggested psychological reasons behind the pleasure seeking behavior through drugs among this population.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answer why Korean adolescents seek pleasure through drugs. Literature review shows that boredom is one of the reasons. That is, drug abuse is an alternative form of activities to seek pleasure for the bored adolescents who do not find intrinsic satisfaction in school and family where the emphasis is placed on the extrinsic mechanisms of grades and heavy school work. However, this study criticized that not all bored adolescents take drugs when they are bored. Studies show that boredom leads people to participate in leisure, and leisure allows them to get away from boredom. Some may seek leisure, while others pursue drugs. Thus, this study maintained that drug taking is an alternative form of leisure activity for bored adolescents who do not find their leisure intrinsically satisfying. Bored adolescents may seek leisure first. When they find the leisure experience is not satisfying, then they search for other form of activities such as drug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leisure boredom seem to have stronger explanatory power to predict adolescent drug abuses. What are the factors that cause leisure as boredom? Current study indicate that at least six factors are associated with leisure boredom: 1) lack of leisure awareness, 2) lack of leisure ethic, 3) high work ethic, 4) lack of leisure skills 5) high leisure constraints, and 6) low self-motivation. Based on this finding, it may be said that low leisure functioning (related to most of these factors) leads to leisure boredom, and drug abuse appears to be a by-product of malfunction of leisure. When adolescents does not know what to do and how to enjoy their leisure to excape from daily boredom, they have nothing but deviant alternatives (e.g., drugs). Based on the all of these assumptions, the new theoretical paradigm was created to explain adolescent drug abus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and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adolescent leisure policy.

      • KCI등재

        Toward a Globalization of Korean Leisure Research

        이영길(Young Khill Lee),양혜원(Hee Won Yang)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199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17 No.-

        한국 여가 문헌에 관해 대충적으로 검토해 보면 여가 연구의 지나친 북미 영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여러 북미(北美)의 이론적 모형들이 한국에서 소개 및 검증되어 왔다. 여가 연구의 어메리칸화는 한국에서 건전한 여가 연구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어메리칸 여가 연구를 이해하는데 있어 주요한 관점을 얻는 것 뿐만 아니라 여가 연구의 세계적인 인식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의도적으로 어메리칸 여가 연구를 유럽 여가 연구와 비교한다. 이 논문은 두 대륙간의 차이의 어떤 주요한 정적 및 부적인 분류들과 더불어 ①여가를 함의하는 언어, ②학문적 지향성과 연구 논제 그리고 여가 현상들을 고찰하기 위한 방법론적 접근방법들에 있어 두 대륙간의 여가 연구의 비교를 검토한다. 이 논문은 한국 여가 연구가들에게 여가 연구의 세계화에 대한 시사점들을 제시한다. 한국에서 여가 연구의 세계화가 제언되어 있지만 이 논문은 세계의 여가 연구를 한국 여가연구를 구체화시킬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에 특유한 연구 의제들을 개발하는 것에 역점을 둔다.

      • KCI등재

        Does Leisure Matter for Happiness? A Theoretical Discourse using a Positive Psychologist Perspective

        이영길(Young Khill Lee),전상희(Sang Hee Chun)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06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0 No.4

        본 연구는 행복이라는 개념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조사할 뿐 아니라 행복과 여가의 관계를 이론적으로 규명해 보려는 목적으로 쓰여졌다. 여러 학문분야에서 행복에 관한 연구를 해왔지만, 본 연구에서는 긍정심리학자들의 연구를 주된 자료로 사용하여 행복에 관한 이론의 틀을 추적해 보았다. 그 결과로 본 연구에서는 행복을 설명하는 다음의 세가지 요소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1) 긍정적 감정, (2) 활동에의 적극적 참여, 그리고 (3) 의미의 추구. 행복을 설명하는 세가지 요소를 여가이론을 통해 살펴본 결과, Kelly의 여가양식이론중 균형론(balance)과 핵심론(core)이 긍정적 감정에 매우 효율적으로 공헌하며, Csikszentmihalyi 몰입이론이 적극적 참여를, 그리고 Stebbins의 진지한 여가(serious leisure)가 의미의 추구에 직접적으로 공헌할것이라는 이론적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본 연구는 이곳에 제시된 이론적 가능성을 실증적 연구를 통해 검증해 볼것을 촉구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