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한국의 학교수준 교육과정 개발(SBCD) 유형특징의 연구 : "재량활동"에 있어서의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을 중심으로 A Point of Teacher`s Curriculum Activity in the Optional Activities

        정영근 한국교육과정학회 2002 교육과정연구 Vol.20 No.3

        본 연구의 목적을 국가 교육과정 기준완화에서 보여지는 한국의 SBCD의 유형특징을 제7차 '교육과정'의 '재량활동'에 따른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에 주목하여 검토하고자 하는 데 있다. SBCD의 실천에 따라 교사의 여러 가지 교육과정 활동을 지적할 수 있지만, 본 고에서는 특히 교육과정 요소와 관련한 활동을 나타낸다. 또한 SBCD는 그 실천에 있어서 국가 및 학교에 따라서 다양한 형태를 띠게 되는데, 본 고에서는 한국의 경우는 어떠한가를 검토하고 있다. 본 고에서는 한국의 사정을 생각하면서 갖게 되는 다음 2가지 의문에 주목하고 있다. 하나는 국가 교육과정 틀 내에서 다루어지고 있는 SBCD는 어떤 유형으로 파악될 수 있을까 하는 것이다. 또 하나는 한국적 SBCD에 따라 교사들은 교육과정 활동을 행하고 있으며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 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고에서는 다음의 4가지 사항을 다루고 있다. 첫째, 논의의 초점을 맞추기 위해서 SBCD의 아이디어와 유형에 대해서 고찰한다. 둘째, Coodlad의 교육과정 공통요소에 기반을 두고 다룬 Brady의 교육과정 요소에 따른 모형을 검토하여 교사의 교육과정활동을 검토한다. 셋째, 국가 교육과정의 기준완화에서 보여지는 한국적 SBCD의 동향을 검토하여 그 특징을 구명한다 넷째, '재량활동'의 계획수준에서 교사들이 행하는 교육과정 요소에 따른 교육과정 활동의 특징을 학교자료 및 질문지 조사를 통해서 밝힌다. 위와 같은 사항에 따라 검토한 결과 다음의 사항이 밝혀졌다. 첫째, 국가 교육과정에 의해서 도입되고 있는 한국적 SBCD에서 그 기본적인 틀을 중앙에서 연구·개발되어 마련되고 있고, 그 틀 내에서 교사는 교육과정 활동을 행하고 있다. 재량활동에서 보면 재량활동의 기본적 영역까지는 중앙에서 결정하고 그 영역에서 무엇을 어떻게 행할 것인가는 각 학교가 정하고 있는 이분화(二分化)의 특징이 보여졌다. 둘째, 한국적 SBCD의 실천에 따라 교사가 정말로 교육과정을 다루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교과영역에 대해서는 이직 논의의 여지가 있고, 재량활동에 대해서는 제한적이긴 하지만 교사 스스로 교육과정 활동을 행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졌다. 셋째, 재량활동 계획에서 볼 수 있는 교사의 교육과정 활동에는 상당히 목표지향의 경향을 띠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vestigat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BCD(School Based Curriculum Development) based on teacher's curriculum activity during the Optional Activities in Korea where the criteria of national curriculum is loosening. Teacher plays diverse roles based on the practice of the SBCD. This study focuses on teacher's activity relating curriculum elements. The major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dea and type of the SBCD have been reviewed. Second, the trend of the SBCD after 6th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in Korea has been reviewed. Third, teachers'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plan level of the Optional Activities have been analyzed to find how the SBCD has been applied in each in Korea. For this study, annual education plan for the Optional Activities has been collected form 33 elementary schools in Busan, and analyzed. And 169 teachers in 25 elementary school in Busan have been surveyed using the scale that is revised from Brady's CMQ to match with plan situation of the Optional Activities, and analyzed using factor analysis. Traditionally, school curriculum has been decided by the Course of Study of the Ministry of Education because the Ministry of education carries legal restrictive force. The Course of Study has been revised seven times according to strengthening and loosening curriculum. The idea of the SBCD has been included into the national curriculum from the 6th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and it is strengthened at th 7th revision. The Optional Activities becomes an area of the Course of Study, in which schools construct and implement their curricula according to their situation. The Optional Activities was introduced to 3rd, 4th, 5th, and 6th grades in the 6th revision of the Course of Study, and expanded to 1st, 2nd, and 7th thru 12th grades in the 7th revision. Conclusions based on the purposes and research questions of this are as follows: The idea of the SBCD is consider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curriculum, and it has been developed under the slogan of decentralization of authority in the curriculum decision-making. The terms, `curriculum construction and implementation in school level, have been used from the 7th revision of Course of Study, and now it is easy to find teachers' curriculum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BCD in Korea are as follows: First, the basic framework of the SBCD is provided by nation in Korea because the SBCD is introduced by national curriculum. Teachers perform curriculum activities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curriculum. Korean government decides the basic area of the Optional Activities, and each school decides sub-areas, contents and methods. Second, it is considered that teachers perform curriculum activities in the Optional Activities in Korea. However, it is still under discussion whether or not teachers perform curriculum activities in subject areas. Third, as a result of the facto analysis, there was goal-oriented tendency in the plan of the Optional Activities as teachers' curriculum activity.

      • KCI등재

        교육과정 학회지 연구 동향 분석: 2011년부터 2020년을 중심으로

        윤옥한 ( Okhan Yo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교육과정 학회지에서 발행하는 교육과정연구 논문을 2011년부터 2020년까지 총 330편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10년 전(2000-2010) 연구 동향과 비교 분석하여 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을 살펴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의 경우 총 59편(18%), 교육과정 이론은 총 65편(20%), 둘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10년(2011년~2020년)의 연구 방법별 연구 동향은 문헌 또는 이론연구가 총 209편(63%)으로 가장 많았으며, 질적연구는 총 85편(26%), 양적 연구가 총 36편(11%)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학회지의 과거 10년(2000년~2010년)과 현재 10년(2011년~2020년)을 비교한 연구 동향은 전체 논문 편수는 10년 전총 365편에서 10년 후(2011-2020) 총 330편으로 35편(10%) 감소하였다. 연구주제별로 보면 교육과정 개발 및 설계 분야가 총 64편(52%) 감소하였다. 문헌 및 이론연구의 경우 총 34편(14%)이 감소하였으며, 양적 연구의 경우 총 12편(50%)이 증가하였고, 질적연구의 경우 총 12편(12%) 감소하였다. 향후 교육과정연구 학회지뿐만 아니라 한국통합 교육과정학회, 교육학회 등 인접 학회지와 비교 연구와 더불어 단행본, 석·박사학위논문 등도 함께 살펴볼 필요도 있다. This study’s purpose wa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330 curriculum research papers published by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urriculum Studies and compare these with research trends 10 years ago to study the direction of curriculum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 trends by subject for 10 years were 59 articles (18%) on curriculum development and design, and 65 articles on (20%). Second, in the same 10-year period of the curriculum journal research trends relating to methodology were most frequently identified with 209 articles (63%) on the literature and theoretical studies, 85 articles (26%) involving qualitative studies, and 36 quantitative studies (11%). Third, another research trend emerged when comparing the past 10 years and the current 10 years of the curriculum journal. In the first decade examined, 365 articles were published, whereas 10 years later 330 were, indicating a decrease of 35 (10%). In the future, it will be necessary to review not only journals for curriculum research, but also books, master's and doctoral dissertations, as well as comparative studies with adjoining journals such as that of the Korean Society for Integrated Curriculum and Education.

      • KCI등재

        학교의 공동체적 가치에 기반한 학교교육과정 개발 가능성 탐색

        이형빈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20 통합교육과정연구 Vol.14 No.2

        This study explores the possibility of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community values ​​of schools. This study analyzed the school curriculum of middle school A according to the theory of Posner(2004). The A middle school “Peace Curriculum” is composed of students' ways of exploring and expressing various subjects, centering on the school's unique value of “peace”. In addition, school curriculum documents are central to educational activities. The subjects for students to explore have a spiral curriculum structure that is hierarchized by grade level, and grade level curriculum is organized by backward curriculum design. This curriculum ensures that students reach a authentic understanding and have a learning experience appropriate for their developmental stage. From this analysis, the following conditions are necessary to develop a school curriculum. First, teachers must share the value of school education. Second, a deliberation process is needed based o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of teachers. Third, the process of finding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 problems facing the school is necessary. Fourth, the school curriculum of secondary school should be implemented as a grade curriculum. Fifth, in order to develop the school curriculum,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the curriculum is organized. Furthermore,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simplified and more empowerment should be transfer to schools and teachers. 이 연구는 학교의 공동체적 가치에 따른 학교교육과정 개발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모범적인 혁신학교로 인정받고 있는 A중학교의 학교교육과정을 Posner(2004)의 교육과정 분석이론에 따라 분석하였다. A중학교의 ‘평화교육과정’은 학교의 고유한 가치인 ‘평화’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고 표현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학교교육과정 문서가 형식적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 학생, 학부모 모두가 공유하는 교육활동의 중심적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학생들이 탐구해야 할 주제들이 학년별로 위계화되어 있는 나선형 교육과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학년별 교육과정은 백워드 교육과정 설계 방식에 의해 체계화되어 있다. 이러한 교육과정을 통해 학생들이 다양한 주제에 대한 진정한 이해에 도달하고 발달단계에 적합한 학습경험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A중학교 학교교육과정의 사례를 통해 볼 때, 학교의 고유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조건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첫째, 학교교육의 고유한 가치를 교사들이 공유해야 한다. 둘째, 교사의 집단지성을 바탕으로 한 숙의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가 처한 문제를 극복하는 대안을 찾는 과정이 필요하다. 넷째, 중등학교의 고유한 학교교육과정은 결과적으로 학년교육과정으로 구현되어야 한다. 다섯째, 학교교육과정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구성 방식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나아가 이러한 학교교육과정 개발이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국가교육과정을 대강화하고 학교와 교사 차원에 더 많은 권한이 이양되어야 한다.

      • KCI등재

        교사의 교육과정 사용을 둘러싼 문제점과 그 해결책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7 교육과정연구 Vol.35 No.1

        본 연구는 초등교사가 교육과정을 사용하는데 어떤 문제점이 있으며, 이것을 해결하기 위한 해결책은 무엇인지 찾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사가 교육과정과 만나는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현상이 발생하는지 그 장면을 기술하였으며, 의미 있는 여러 상황을 통해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문제점은 두 가지 차원에서 드러났는데, 교사 차원에서는 실질적인 교사연수가 없었으며, 교육과정 문서 차원에서는 교사가 주 독자가 아니었다. 이에 대한 해결책 찾기에서는, 교사 차원에서는 교육과정 전달자로서의 교사, 교육과정 사용자로서의 교사, 교육과정 개선자로서의 교사, 교육과정 개발자로서의 교사로 나아가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교사 연수 과정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교육과정 문서 차원에서는 교실 수업을 바로 안내하는 방식의 교육과정 문서, 초등학교급에 알맞은 교과 교육과정 문서 형태, 여러 교과의 교육과정 문서를 읽어야 하는 초등교사에게 적합한 교육과정 문서의 형태가 어떠한지 그 구체적인 모습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roblems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have using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solutions that are needed to solve them. To discover these problems, this paper investigated various situations in which teachers encountered the curriculum. There were two types of problems: there was no specific teacher training about the use of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 national curriculum was not made for teachers. The solutions are as follows. It is necessary to develop specific teacher-training courses: teacher as curriculum transmitter, teacher as curriculum user/consumer, teacher as curriculum developer, teacher as curriculum maker. The form of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also be appropriate for the classroom lesson, phase of schooling, and us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 KCI등재

        교육과정학의 학문적 성격 재개념화를 위한 비판적 시론

        윤병희 한국교육과정학회 1999 교육과정연구 Vol.17 No.2

        교육과정학이 방법론적 자율성을 갖춘 하나의 분과 학문으로서의 학문적 위상을 갖추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육과정 연구의 양식과는 단절을 감수해야 한다. 기존의 교육과정 연구는 학교 교육과정 현상이라는 자의적, 임의적 연구 대상을 상식 또는 다른 분과 학문의 방법론에 기초하여 이해, 설명, 처방하는 데에 주력하여 왔다. 교육과정 연구를 포함한 기존의 교육학을 독립적 학문 분야의 하나로 보기 어렵다는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많은 증상들이 식별되고 있다. 새롭게 출현하는 교육과정학의 연구 과제와 방법론은 생활세계에 편재하는 교육이라는 고유한 현상을 이론화, 개념화하는 일을 과제로 삼는 새로운 교육학으로부터 연역적으로 도출되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교육과정학은 교육학의 한 하위 탐구영역으로 그 명실상부한 학문적 위상을 정립할 수 있다. 기존의 교육과정 연구는 '학교학'의 한 하위 영역으로서의 '학교 교육과정학'으로 계속 존립, 발전 할 수 있다. 그리고 자율적, 독립적 이론체계를 구성하는 교육과정학과 학교학 사이에는 목적과 역할상의 갈등이 존재할 필요가 없다. 새로운 교육과정학의 구성을 위해서는 분야 자체의 학문적 특징과 성격에 대한 보다 급진적인 비판과 아울러, 교육과 교육과정 자체의 개념적 관련성에 대한 심도 깊은 탐색이 요구된다. 새롭게 출현하는 교육과정학의 연구과제와 탐구방식은 우리의 진지한 학문적 노력에 의하여 점진적으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될 것이다. This paper proposes a radical critique of the existing modes of curriculum inquiry. The field of curriculum study lacks the epistemological rigor any branch of discipline requires. Evidence abounds to show that the field is ill-defined and conceptually misguided. At this moment, we do not have strong theoretical grounds sufficient to argue that it is qualified as a science or discipline. If we want a new independent field called "Curricularlogy" to emerge, we have to abandon the maintream epistemologies that have prevailed in the field. They have taken for granted unwarranted apporaches that arbitrarily defined various school-curriculum phenomena as the object of inquiry and indiscriminately accepted methodological pluralism as the valid method of inquiry. In this process, numerous other independent disciplines are employed to understand and explain what is happening in the school under the suspicious, spurious, and dubious title of an academic descipline called educational research or curriculum inquiry. We should not reduce the studies of schooling to those of education. The subject matter and modes of inquiry of Curricularlogy should be deduced from a totally reconceptualized field of educational studies. It is a field that attempts to reconceptualize the universal but unique phenomenon called education in the lived-world in a radically different way, while maintaining its methodological autonomy and disciplinary identity. The new discipline does not and need not emulate the epistemologies of the "traditional" educational studies. curricularlogy must be drawn from a new conception of educational studies as a subfield and must establish its academic qualifications according to its disciplinary structure and conceptual, theoretical orginization. The existing school-curriculum inquiry, however, may function to serve as a subfield of the existing educational sutudies and may survive as long as it does what it is supposed to do. Curricularlogy and the research on school curriculum have their own puroposes and roles. The theoretical construction of Curricularlogy requies not only a new educational epistemology which examines the conceptual relations between education and curriculum, but also more radical and holistic critiques of the crrrent status of curriculum studies. The prospective features of the subject matter and modes of inquiry of the new Curricularlogy are expected to emerge as we devote our academic passion and commitment to the new field.

      • KCI등재

        국제비교를 통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 탐색

        박희경 ( Hee Kyung Park ),최진영 ( Jin Young Choi ),이경진 ( Kyung Jin Lee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4 교육과정연구 Vol.32 No.4

        본 연구는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범교과 학습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 핀란드, 캐나다 퀘벡 주, 미국의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여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 나타난 범교과 학습의 의미, 주제, 그리고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관련 교육과정 문서의 개선 방안에 대해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 문서에 범교과 학습의 의미를 명료하게 진술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은 범교과 학습이 개인 및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성공적인 삶과 밀접하게 연관되는 실제적이고 유의미한 학습이어야 하며 또한 교육과정 상의 여러 교과들의 경계를 가로지르는 종합적이고 통합적인 학습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역시 시대적, 사회적 요구의 반영 뿐 아니라 통합적 교육과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고 이를 교육과정 문서에 명료하게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범교과 학습의 의미에 적합하도록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여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할 필요가 있다. 해외 교육과정에서 공통적으로 제시되고 있는 범교과 학습 주제로 공동체적 시민성, 환경 교육 및 지속 가능한 발전, 개인적 발달, 문화적 정체성 및 다양성, 건강과 안전, 그리고 미디어와 기술공학이 도출되었다. 이러한 주제들을 기반으로 우리나라 범교과 학습 주제를 정련하였다. 마지막으로, 범교과 학습과 관련된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의 개선이 필요하다. 해외 교육과정 문서에는 범교과 학습에 대한 체계적이고 상세한 안내가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도 주제만 나열할 것이 아니라 범교과 학습이 본래의 의미를 실현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 문서 제시 방식이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ays to improve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through international comparison(UK. Finland, Canada Quebec, and the U.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cross-curricular themes, and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several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document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South Korea are discussed. First, the significance of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stated clearly by reflecting the needs of the nation and society and the nature of integrated learning. The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in foreign countries emphasized the following two aspects: practical and meaningful learning to enable the students to be successful as individuals and members of society and integrated learning cross subjects. Secondly, cross-curricular themes should be refined. The cross-curricular themes commonly suggested by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were communal citizenship, environmental educ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personal development, cultural identity and diversity, health and safety, and technology and media. Based on this result, cross-curricular themes in South Korea were refined. Finally, the presentation of curriculum documents related to cross-curricular learning should be improved, as the curriculum documents in foreign countries included detailed guidelines for cross-curricular learning.

      • KCI등재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 관한 초등교사의 비판 양상 탐구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0 교육과정연구 Vol.3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가 국가 교육과정 문서를 읽는 비판적 양상과 그들이 생성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는 어떠한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비판‘을 교사가 발휘하는 교육과정 문해력으로 보고, 텍스트학으로부터 교육과정 비판 범주를 추출하여, 교사의 교육과정 비판 행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사는 교육과정 비판 범주인 미시구조적 차원, 거시구조적 차원, 초구조적 차원, 즉 모든 차원에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적으로 읽고 있었다. 교사들은 자신이 처한 교육과정 외적 세계를 기반으로 교육과정 문서를 비판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비판적 읽기의 결과물로 대항적 교육과정 문서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로써 교사의 비판적 교육과정 문해력은 교육과정 문서에 대항하여 자신만의 문서를 형성하는 것까지 포함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both teacher's critical reading of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and curriculum documents that teachers create. To this end, ‘criticism’ was assumed as a teacher's curriculum literacy, and the category of curriculum criticism were extracted from textwissenschaft.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teachers read the curriculum documents critically at all levels of criticism categories: micro-structure, macro-structure and super-structure. Teachers criticized the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external world of curriculum, and created their own curriculum document as a result of critical reading.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critical curriculum literacy of teachers includes creating their own documents against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 KCI등재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 논의를 통한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일고: 교사교육과정 정책을 중심으로

        정윤리 ( Yulli Jeong ),임재일 ( Jae-ill Lim ) 한국교육과정학회 2021 교육과정연구 Vol.39 No.4

        본 연구는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에 대한 논의를 살펴봄으로써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을 강조하고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그간의 교육과정 자율화 정책을 분석하고,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에 주체적으로 참여하는 ‘교사교육과정’ 정책을 교사의 교육과정 전문성, 교육과정 개발 및 실행에 관한 담론들로 설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진단·분석하고, 교사의 교육과정 자율성 확대가 담보된 ‘교사교육과정’ 정책이 차기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포함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구체적으로 차기 국가교육과정은 첫째, 교사의 행위주체성(teacher agency)이 담긴 문서가 되어야 하고 둘째, 교육과정 교육내용, 즉 성취기준에 관한 자율권을 보장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국가교육과정 개발에 있어 ‘교사교육과정’을 넘어 ‘학생교육과정’으로 교육과정 자율화 논의의 범위가 확장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autonomy of teachers’ curricula by examining the discussion of the curriculum autonomy policy and to suggest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To this end, we analyze the curriculum autonomy policy and explain the teachers’ curriculum policy in which teachers actively participate in curriculum development with discourses on teachers’ curriculum expertise and curriculum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n this basis, we diagnose and analyz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rgue that the ‘teachers’ curriculum’ policy that guarantees teachers’ curriculum autonomy should be included in the development of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Specifically,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a formatted as a document containing the teacher agency and should guarantee teacher autonomy over educational content (i.e., achievement standards). Finally, we suggest that the scope of the discussion on curriculum autonomy should be expanded to ’students’ curriculum’ beyond ’teachers’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a n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외국의 음악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에 대한 시사

        석문주 ( Moon Joo Seog ),최미영 ( Mi Young Choi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1 교육과정연구 Vol.29 No.2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방향에 따라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4개국(미국, 영국, 핀란드, 일본)의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최근의 세계적인 동향을 파악하고, 향후 우리나라의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하여 각국의 다양한 교육과정 문서와 문헌 자료를 수집하여 각국의 음악과 교육과정에 대한 문서체계, 목표, 내용, 평가 영역을 분석한 후, 각국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음악과 교육과정 개발 및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대한 논의 및 시사점을 토대로 하여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교육과정 총론에서 강조하는 ``글로벌창의인재`` 양성을 위해 음악과에서 창의성 교육을 더욱 강조하고 이를 음악과 성격과 목표에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음악과 내용은 ``활동``영역을 중심으로 최소 필수 학습내용과 학습요소를 제시하고, 내용-성취기준 방식으로 제시한다. 셋째, 고등학교 음악선택과목에 대하여 재정비를 하여야 한다. 마지막으로 음악과 평가는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내용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system, objectives, contents, and evaluation on music curricula of four different countries(the United States, England, Finland, and Japan), and ultimately to understand their latest international trends and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revision of Korean music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each country`s various documents and literature related to curriculum were collected, reviewed, and analyzed.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bjectives will place more emphasis on creativity in music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global, creative persons`` highlighted in a general introduction of the curriculum which was revised in 2009. Second, contents should provide the minimum essential key concepts and skills in music emphasizing on musical activities, and suggest them in the way of contents-achievement standards. Third, music electives in high school ought to be restructured and reorganized. Fourth, evaluation should focus on its practical use in music classrooms. Finally, it is necessary to set up the guidelines for managing creative experience activities.

      • KCI등재후보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의 실행 양상에 대한 이해 : 초등학교 국어과 사례를 중심으로 The Case of Korean Language Course

        소경희 한국교육과정학회 2003 교육과정연구 Vol.21 No.1

        이 연구는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이 실제 학교현장에서 어떻게 이행 혹은 적용되는지 그 실행과정을 들여다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그 구체척인 사례로서 제 7차 교육과정에서 새로이 도입한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되고 있는 초등학교 국어과를 선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는 첫째,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이 교사들에 의해 실행되는 양상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취할 수 있는 관점을 탐색해 보았다. 둘째,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새 교육과정의 도입 의도를 이해하기 위해 국가수준의 문서를 분석해 보았다. 셋째, 새 교육과정이 교실에서 교사들에 의해 어떻게 실행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관점으로는 널리 알려진 '충실도' 관점과 '상호적응' 관점이 논의되었다.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새 교육과정의 의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총론, 국어과 교육과정, 국어과 교과서 등이 분석되었다. 그리고 교사들의 실행 양상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는 초등학교 5학년 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자기기술 및 면담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국가수준에서 개발된 교육과정은 그것이 실제로 적용되는 맥락에서 교사들에 의해 해당 교실 학생들의 학습능력 및 흥미 정도, 교사들의 교직 경험에서 유래한 전문적 판단 등에 따라 해석 혹은 적응의 과정을 거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점은 국가 교육과정을 평가하거나 차기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함에 있어서 상호적응의 관점이 좀 더 적극적으로 반영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7th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Korea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to schools. One of the major changes found in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s to introduce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in some subject matt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in-depth and supplementary differentiated curriculum' is being implemented in school levels. In more detail, the aims of the study are to: 1) Examine some theoretical views, fidelity and mutual adaptation, that can be employed to understand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n class levels. 2) Analyse som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such as the general guidan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Korean language curriculum and Koran language textbooks, in order to identify the formal intention of the government. 3) Explore how teachers implement the national curriculum in class level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eaching cases in the classroom gathered from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e analysed. For the analysis of the cases, self reports and interviews are adopted. The result found in the study largely indicates that teachers tend to adapt the national curriculum to fit classroom situations such as learning competency, students' interests and teachers' theory in practice. It is suggested that a view of mutual adaptation needs to be taken into account significantly in developing and evaluating the national curriculu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