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保存槪念에 關한 小考

        尹炳姬 慶尙大學校 1985 論文集 Vol.24 No.1

        This study aims at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conservation in context of Piagetian theory. Piaget's theory about developmental stages and conservation has been attacked by some psychologists. But we rarely find in him anything responsive to them. Probably it would be vain. Because there was no place for him to discuss with them together, who neglected the developmental approach. I tried to manifest the concept of the conservation and to answer implicitly the rebutals with the components of conservation to be analyzed by A. Pinard.

      • KCI등재

        우리나라 『교육학연구』의 연구주제 분석 및 관련쟁점의 제기

        윤병희 한국교육원리학회 2011 교육원리연구 Vol.16 No.1

        기존의 교육학이 학문적 정체성과 자율성의 문제에 봉착하고 있다는 선입견에 비추어, 본 연구는 여덟 가지의 개념유형으로 구성되는 분석의 틀에 근거하여 최근 11년간 우리나라 『교육학연구』에 수록된 530편 논문들의 연구주제와 범위를 그 제목에 사용되는 용어, 어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의 결과 개념유형의 예상 사례에 해당되는 ``교육``, ``학교``, 그리고 모학문 해당 용어 등이 학문이 갖춰야 할 이론적 구심점 없이 자의적으로 선택, 사용된다는 사실이 경험적으로 검증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용어와 개념의 난맥상과 더불어, 학문의 정체성에 관한 비판의식의 결여 문제와 메타포의 오남용 문제가 후속 논의를 위한 쟁점으로 제기되었다.

      • KCI등재

        解釋的 體驗과 敎育的 體驗

        윤병희 한국교육과정학회 1996 교육과정연구 Vol.14 No.1

        현재 교육이론은 고유한 이론적 맥락을 확보하지 못한채 실천이론이라는 명목하에 잡다한 '모학문'에 개념적, 방법론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학문적 정체성의 위기에서 탈피하기 위해서는 '교육적 체험'의 고유한 구조를 개념화하는 일을 교육이론의 우선적 과제로 삼아야 한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Gadamer의 해석적 체험 이론과 장상호 교수의 교육적 체험 이론을 비판적으로 비교, 대조함으로써 교육적 체험에 대한 새로운 개념화를 도출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시사점을 탐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Gadamer의 해석적 체험 이론의 핵심적 주제라 할 수 있는 대화 일반모형과 장상호 교수의 교육적 대화모형을 중심으로, 1)체험구조의 일반적 차이, 2)체험구조 안에서의 인간관계의 양상, 3)체험의 대상과 목적, 4)체험관계 형성의 배경, 그리고 5)체험관계에 개재되는 매기물이라는 다섯개의 하위 쟁점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많은 공통점이 발견되었으나, Gadamer의 이론이 강조하는 체험의 존재론적, 역사적 속성과 장상호 교수의 이론이 드러내는 교육적 대화의 인식론적 속성은 부분적으로 대립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대립상을 해소하고 더욱 명료하게 교육적 체험의 구조를 개념화하기 위해서는 많은 후속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This paper argues that educatioanl theory should identify it's own theoretical context focusing on the concept of 'educative experience' itself. The identity crisis involoved in educational theory has been created by the passive methodological and conceptual reliance on other 'mother' disciplines. One of the most conspicuous examples of such crisis is the multi-faceted disciplinary approach, called the 'Reconceptualization' in the USA. Based on this critique of the current status of the field, this paper purports to gain a renewed understanding of the essence and nature of educative experience through critical comparison and contrast between H.-G. Gadamer's concept of 'hermeneutical experience' and Sang-ho Chang's 'educative experience.' Particulary, the latter is regarded as a central concept in his 'Reconceptualization' of educational theory. The two forms of experience are assumed to be 'commensurable' in that both of them deal with a number of fundamental issues such as 'interactive understanding', 'dialectical process in communication', and 'validation of truth and knowledge'. An in-depth analysis of Gadamer's concept of human experience in gereral in conjunction with his dialogical model and with Chang's concept of educational dialogue model reveals that they share critical commonality in terms of epistemological perspective but, at the same time, differ from one another in the ontological structure of dialogue itself. The major themes considered for the analysis entail such issues as general feature of the structure of experience, the mode of human interaction involved in the experience, the object or purpose of experience, and the problem of medium or text in the interaction. In the final analysis, it is proposed that we need a more structured disciplinary attempt to bridge the conceptural gap between the ontological or historical dimension emphasized by Gadamer's theory and the epistemological dimension of Chang's theory, so that a renewed critical understanding of educative experience itself can emerge. More thorough and sophisticated studieds are necessary for the restructuring of educational theories that can overcome the epistemological, methodological impasse of the existing attempts for theorizing educational phenomena and that can harmonize the ontological dimension with the epistemological dimension.

      • KCI등재후보
      • 방향족 융합이절환식 시드논의 합성

        윤병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1980 延世論叢 Vol.16 No.2

        Sydno [3,4-a] quinoxaline-4-one, one of the fused-ring sydnones, was prepared through the reaction of 3- (2'-aminophenyl) sydnone with methyl lithium and ring clousing carboxylation reaction at-20℃ by R.H. Coburn et al in literature. In this study, two new synthetic methods of sydno [3.4-a] uinoxaline-4-one are examined, and successfully earned the product. The first synthetic scheme is the reaction of 3- (2'-aminophenyl) sydnone with ethyl magnesium bromide at 0℃, and the second one is the reaction of 3- (2'-aminophenyl) sydnone with isocyanate at 140℃. As result, the synthetic process of fusedrung sydnones is expanded by this study and the possible reaction path of new synthetic scheme is proposed.

      • 교육과정학 이론 수립의 현황과 발전 전망

        윤병희 숙명여자대학교 사회·교육과학연구소 2003 사회 교육과학연구 Vol.7 No.1

        교육과정학 이론화의 현황에 대한 비판적 관찰은 인식론적, 방법론적 난맥상을 드러낸다. 우리의 분야는 이론에 대한 이론의 맥락을 확보하지 못한 채, 역사의식과 학문공동체로서 마땅히 갖춰야 할 비판적 의사소통을 결여하고 있다. 실제와 응용에 대한 지극히 단순하고도 소박한 인식론이 지배적이며, 교육학과 그 하위 탐구영역의 개념적 혼란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과정학 연구의 접근들이라 할 수 있는 개발모형 접근, 논리철학 접근, 정책연구 접근, 재개념화 및 후기철학 접근, 그리고 교육본위 접근들에 대한 비판적 분석과 이론화의 가능성이 보다 심도 깊게 논의되어야 한다. 학문적 정체성에 기초한 이론의 맥락을 확보하고, 교육과정학 연구를 학교의 교육프로그램 연구와 개념적으로 차별화해야 하며, 학문공동체의 의사소통을 활성화하여 방법론적 자의식을 제고해야 한다. 이 때, 환원주의로서의 방법론적 자임 현상은 철저하게 배제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