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섬, 역사적 장소와 공간의 상징

        남진숙(Nam, Jinso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5 島嶼文化 Vol.0 No.46

        본고는 섬이 역사적 장소와 공간으로서 어떤 의미와 상징을 지니는가 하는 점을 밝힌 논문이다. 연구 대상인 세 시인(이생진, 박희진, 문충성)은 섬과 바다에 대한 시를 지속적으로 창작하였고, 섬에 대한 역사를 텍스트에 표상하고 있다는 공통성을 지닌다. 섬의 역사적 장소와 사건, 인물, 공간 등이 어떻게 상징화되는지 그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섬에서의 역사적 경험은 집단 경험으로 나아가면서, 개인의 경험으로 축소되지 않고 오히려 확장된다. 결국 개인의 경험적 장소가 역사적 장소로 변화하고 확장되면서 섬의 특정장소는 상징화된다. 둘째, 섬은 지리적 고립성으로 인해, 역사적으로 유배지로 많이 사용된 장소이다. 섬에 살았던 역사적 인물과 유적지를 돌아보면서, 역사적 사건과 인물 등을 상상하며 과거-현재-미래로 시공간을 넘나든다. 이때 섬은 역사에 대한 정보와 새로운 상상력을 갖게 해주는 문화적 공간으로 상징된다. 셋째, 섬은 민족, 국가, 영토, 역사, 주권 등으로 상징화된다. 한 예로 ‘독도’는 곧 한국인에게 있어 한국 그 자체이며, 한국의 혼이다. 이는 섬이 갖는 특수한 지리적 공간의 고립성을 넘어선 가장 강력한 상징성을 지닌다. 이처럼 섬은 역사적 장소로서 다양한 공간적 상징을 드러낸다. This is a paper discussing how islands have meaning as, and are symbols of, historical places and spaces. The underlying study examined the work of three poets (Lee Saeng-jin, Park hee-jin, Mun Chung-sung) who have frequently created poems on islands and the sea. Their poems have in common that they represent the history of islands, using symbolic interpretations of features such as historical places, events, people, spaces, and so on. First, the historical experience in islands refers to a collective experience and is not to be reduced to a personal experience. After all, individuals’ empirical places change and expand as historical sites, and certain places on islands are symbolized. Second, islands were historically used as places of exile because of their geographical isolation. By looking at historical figures who lived on the islands at historic sites, we can imagine historical events and figures and go back and forth in time and space between the past, present and future. Currently, islands are symbolized as cultural spaces that contain information and feed new imagination about history. Third, islands are symbolized as nations, countries, territories, histories, sovereignties, and alike. For example, "Dokdo" is Korea itself to Koreans and Korea"s soul. It has the most powerful symbolism that goes beyond islands being special geographical spaces due to their isolation. As such, islands show a variety of spatial symbols as historical places.

      • KCI등재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섬의 공간 및 그 의미

        남진숙(Nam, Jinsook) 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소 2013 島嶼文化 Vol.0 No.42

        본고는 한국 현대시에 나타난 섬의 공간이 갖는 의미와 상징성을 연구한 논문이다. 섬을 주요 소재로, 혹은 주요 모티프 및 이미지로 삼은 텍스트를 그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섬은 인간의 삶과 매우 밀접한 연계성을 지니며, 기표와 다양한 기의를 내포하고 있다. 그러므로 섬과 그 공간성을 파악하는 것은 인간의 삶과 가치관 및 철학적 사유를 연구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이에 본고는 섬이라는 공간에 대해 시인이 어떻게 인식하고 체험하여 형상화하였는지 그 특징을 살펴보았다. 첫째, 섬은 인간 삶의 터전을 온전히 보여주면서 인간 삶과 매우 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체험공간이다. 이 때 체험공간은 심리적이거나 공상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지리적으로 고립되어 실재하는 섬으로서, 섬 사람들의 삶의 터전 그 자체를 상징한다. 둘째, 섬은 육지 사람들에게는 정신적ㆍ육체적 피로와 상처를 치유하는 낯선 공간이면서 휴식의 공간으로 존재한다. 또 바닷가 사람들에게는 추억을 상상하고 그 추억을 재생산하는 공간으로서 정서적 안정과 희망을 주는 공간이다. 셋째, 섬은 현실에 존재하는 실재의 섬과 존재하지 않는 비실재의 섬, 두 가지를 통해 상상의 공간으로 추상화 되어 형상화되거나, 심미적인 공간으로서 인식을 지배하고, 인식에 관계한다. 이 때 섬은 인간의 근원적 정서인 외로움, 고독, 쓸쓸함, 삶의 반성 등을 드러내는 공간으로 자리한다. 넷째, 섬은 천연의 자연생태공간으로 아름다움과 신비성, 인간과 자연의 일체성을 이루며 생명력을 이어가는 천연 공간으로 자리한다. 이상, 섬은 지리적으로 언제나 그 자리에 존재하지만, 시인의 인식 속에는 입체적인 공간으로 작용하며 다양한 가치와 의미를 지닌다. 해양문학의 공간으로서 섬을 인식하고, 은유하는 것은 문학의 창작과 연구의 저변을 넓히는 일이기도 하다. 해양문학은 어촌과 섬은 물론, 인간이 바다를 체험하고, 그 주변 것들이 인간의 삶을 중심축으로 하여 독특한 삶의 체험을 아우르는 것을 말한다. 그러므로 섬을 포함한 그 섬에서의 직간접적인 체험이 어떻게 이루어졌고, 섬을 통한 시적 인식과 세계관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하는 점을 연구하는 것은 해양문학의 연구를 더욱 깊이 있게 하는 것이고, 이 논문도 그런 점에서 맥을 같이한다. This is a research paper studying on the meaning and symbolism of island in the Korean modern poetry. The significant portion of the study is the texts describing the image and motif of the island. The island is very close linkage of human life and various meanings and symbols are included in it. So, to understand the spatiality of island is very useful to study the human values and philosophical thinking. This paper examined the features how poets recognized and shaped the space of island. First, the island is the experience space that forms a very intimate relationship with human life by showing human livelihoods. At this time, the experience space that is not a psychological or fantasy but a geographically isolated island, is the symbol of their livelihoods. Second, the island for land people is the unfamiliar area to heal mental and physical fatigue, at the same time it is a rest place. Also, for those who live by the sea it is a space that gives emotional stability and hope as a space imaging and reproducing memories. Third, the island is concerned with the perception by exposing the imaginary space through two kinds entities that exist or not, or by dominating perception as aesthetic space. At this time, the island is located as a space revealing the fundamental human emotions such as loneliness, solitude, reflection of life and so on. Fourth, the island is located as the natural space in harmony with the beauty and mystery of the natural ecological space, the unity of man and nature. Over, the island geographically always present, but in poet"s recognition it has various meanings and dimensional spaces. The recognition and metaphor on island as ocean literature will broaden the base for the creation of literature and research. Ocean literature can be referred to as fishing villages, islands, the human experience of the sea, as well as the things around the axis of human life including the unique life experience. Therefore, to study the island, including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what was done in island, the formation of the poetic perception and worldview through island is to broaden the ocean literature, this paper is also in line at that point.

      • KCI등재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사례 연구 및 나아갈 방향성-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 입문(入門)>을 중심으로 -

        남진숙 ( Nam Jinsook ),이후경 ( Lee Huekyoung ),이임정 ( Lee Yim Ju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인문학연구 Vol.55 No.4

        본 논문의 목적은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실태 조사 분석 및 그 특징을 통하여 청소년 인문학 강좌에 대한 하나의 객관적 자료를 마련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청소년 인문학 강좌의 활성화 및 효과적인 운영 및 지원 방향성에 대해 제안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를 위해 2015년 청소년 대상 시민인문강좌, <찾아가는 인문(人文), 찾아오는 입문(入門)>에 대한 사례 연구를 통하여, 프로그램에 대한 내용 및 방법 등 그 특징과 효과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인 청소년 인문강좌는 크게 두 가지로, `찾아가는 인문`과 `찾아오는 입문` 으로 구성하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전자는 고등학교에 대학교 교강사를 직접 파견하여 일정기간 지속성을 갖고 문학, 예술, 역사 등 다양한 주제의 인문학 강좌를 진행한 프로그램이다. `찾아오는 입문`은 동국대학교에 중고등학생들이 직접 와서 예술, 과학, 철학, 역사, 문화 등 연속적으로 특강을 자유롭게 수강하는 형태로 희망 학생들을 받아 진행하였다. 이 두 강좌의 특징은 학생들의 자발적인 요구와 참여에 의한 인문학 강좌라는 점과 연속성과 내용의 다양성을 들 수 있다. 한편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이 강좌에 대한 만족도가 전반적으로 매우 높았다는 점에서 프로그램의 내실성도 확인할 수 있다. 인문학 강좌는 장기적으로 학교 `교육적 측면에서 인문교양교육과 인성교육을 보완하는 역할`도 담당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 청소년을 위한 인문학 강좌에 대한 연구와 강좌 확대는 필수적이다. 청소년 인문학 강좌 역시 지속적이고 체계적이며, 일회성이 아니라 내실 있고 일관된, 그리고 인문학의 본 취지에 맞는 방향으로 가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므로 일관된 정책과 지원이 전제되어야 하며, 이에 따라 현실적으로 재정적 지원이 뒤따라야 할 것이다. 이는 일선 학교와 청소년들이 인문학에 대한 강좌 수요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수요를 다 채워줄 수 없었다는 점 즉, 국가적 지원이 매우 적었다는 측면을 확인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청소년 인문학 교육을 설계하는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은 청소년 인문학 강좌는 일반 시민인문강좌와 똑같이 생각할 수 없다. 인문학 강좌를 통해 인문학적 지식의 확장과 함께 그러한 사유를 통하여 친구, 선후배간의 관계 및 진로, 인성, 삶의 가치관을 키우고 정립해나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다르다. 이는 청소년 인문학 강좌를 통해 거대 담론에 앞서 본인들이 직면한 문제를 하나씩 인지하고, 더 적극적으로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objective data on youth, humanities courses through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situation and characteristics of youth humanities courses. Also, it is the main purpose to propose the activation, effective operations and support direction of youth humanities courses. For this purpose, analysis were focused on the features and effects, and more information on the program through the case of citizen humanities courses, < Visiting Humanities (人文), coming introduction(入門) > targeting youth in 2015. The youth humanities courses were largely conducted by configuring the visiting humanities and coming introduction in two ways. The former is a Humanities course that university lectures has dispatched directly to the high school a period of time and proceed humanities courses on various topics such as literature, art, history programs. In case of coming introduction, high and middle school students came directly to the Dongguk University and attended the classes such as art, science, philosophy, history, and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wo classes can be a point of continuity and the diversity of the content, the humanities courses required by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students.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in the courses was very high. In the long term, humanities courses will be able to play a role that complements the liberal arts education and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 educational aspects. Expanding lectures and research on humanities courses for young people to do so are essential. Youth humanities courses have to be ongoing, systematic, and consistent, and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purpose of going in the direction of the humanities. To do so consistent policy and support should be premised, and then realistic financial support has to be made. Even though schools and young people had a lot of demands for humanities courses, it was hard to fill all those needs because the national support was not enough. Finally, It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ing a youth liberal arts education that the youth humanities courses can not think the same way as ordinary citizens humanities courses. Through humanities courses youth are able to extend the humanistic knowledge and continue to grow friends, career, personality, values of life and so on. This is to ensure that youth has to aware of the problems what they are facing through the youth humanities course prior to the grand discourse and it can make them participate more actively in the progra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