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인문학의 길

        박찬인 ( Pak Chan 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학연구 Vol.56 No.3

        “인간은 태어나서, 살다가, 죽는다.”라는 단순한 생물학적 전기를 거부하는 데서 인문학은 출발한다. 즉 우리의 출생은 우리의 선택사항도 결정사항도 아니지만, 그렇다고 삶에 대한 나의 책임, 당신의 책임, 우리의 책임이 면제되는 것은 아니다. 탄생 이후 우리 삶은 우리가 감당해야 할 사건이다. 여기에서 인간에 대한 인간의 책임이 나오고 인문학적 사유의 첫 번째 과제가 탄생한다. 인간이 잘나서가 아니라 인간이 자기 존재와 삶의 방식에 대해 지고 있는 책임을 생각하고 따지는 것이 인문학의 중요한 출발점이라는 말이다. 인간에 관한 사유와 실천으로서 인문학은 예술과 문화 등에 대한 무슨 고급 소양이나 교양 같은 것들을 스펙 쌓듯 쌓아가는 것을 능사로 하지 않는다. 인간에, 사회에, 역사와 문명에 대한 책임의 문제를 부단히 사유하고 그 중요성을 사회에, 사람들에게 부단히 환기시키는 것이 인문학의 책임이다. 인간에게는 `성찰`이라는 특별한 능력이 있다. 성찰이란 뒤돌아보기이다. 잘 왔는지, 옆길로 새지는 않았는지 되돌아보는 것이다. 그런데 그렇게 되돌아보는 것은 미래를 내다보기 위해서이다. 그렇다. 인간의 성찰이란 뒤돌아보기(retrospection)이면서 내다보기(prospection)인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탁월성이기도 한데, 인간은 지금 여기에 매여 있으면서도 그 운명을 넘어 다른 것을, 여기 `너머`의 것을, 지금 `너머`의 것을, 보는 특별한 능력을 갖고 있다. 지금을 넘어 과거와 미래를, 여기를 넘어 다른 곳, 다른 세계, 즉 `저기`를 보는 것이다. 아니 단순히 보기를 넘어 여기와 저기를 연결시킨다. 이 연결이 바로 인문학적 상상력이다. 창의력을 통해 창조로 나아갈 수 있는 인간의 상상력, 인문학적 상상력의 가치를 드높이는 길, 공존의 정의와 타인의 고통을 흡수할 줄 아는, 공감능력을 가진, 아름다운 인간의 길을 인문학이 선도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인문학적 가치야말로 인간을 인간답게 하는 유일한 조건인 것이다. 결론적으로 말해서 인문학이 중요한 것은 그것이 추구하는 가치가 곧 인간으로서 존재하는 우리 자신의 가치이기 때문이다. Humanities depart from the rejection of the simple biological biography of "Man is born, living and dying." Our birth is not our choice or decision, but it does not mean to get a exemption of my responsibility, your responsibility, our responsibility for life. Our life after birth is an event we have to deal with. Here human responsibility for man comes out and the first task of humanistic reason is born. It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of humanities not to be humble but to consider and appreciate the responsibility that humans have for their being and way of life. As thoughst and practices on human being, the humanities do not advance the accumulation of specifics such as advanced literacy and culture of arts and culture. It is the responsibility of the humanities to constantly consider the question of responsibility for human beings, society, history and civilization, and to constantly remind people of its importance to society. Human beings have a special ability of `reflection`. Reflection is a look back. It is looking back whether it came well or was not leaked to the side. But the aim of looking back is that it sees the future. Yes. Human reflection is both retrospection and prospection. This is also the excellence of the human being, who is now bound here, but has the special ability to see beyond that destiny, beyond that, beyond that now. It is beyond the present to see the past and the future, beyond this, another place, another world, that is, there. Actually, it simply goes beyond the view and links here and there. This connection is the humanistic imagination. Humanities should lead the way of a beautiful human being with human imagination that can go into creation through creativity, the way to enhance the value of humanistic imagination, to know a justice of coexistence, and a sympathetic ability to absorb the pain of others. In this sense, humanistic value is the unique condition that makes human beings human. In conclusion, humanities are important because their value to pursue is our own value as a human being.

      • KCI등재

        프랑스와 미국 다문화 가정 이주민의 언어와 문화적 갈등과 극복 -대안으로서의 다문화 교육 및 정책을 중심으로

        박찬인 ( Chan In Pa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4 No.4

        교통과 통신의 발달 그리고 급속한 산업화 등으로 인해 지구촌이 하나의 세계가 되고 있다. 특히 프랑스와 미국은 오랜 식민지 지배와 서부개척 등의 근대사로 인해 많은 외국인이 유입되어 인종, 종교, 문화 등의 다양성으로 집약된다. 이러한 문화의 다양성은 프랑스와 미국뿐만 아니라 21세기 전 세계의 특징 중의 하나로 자리 잡았고, 이러한 다양성은 충돌, 폭력, 인권침해의 형태로 점점 더 사회를 고통 속에 빠트리고 있어 이주민과의 상호협력, 커뮤니케이션, 이해력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문화 사회에서 더불어 살면서 시민의식을 함양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다문화 교육의 틀에서 유기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 프랑스와 미국에서는 사회와 문화의 다양성에 대해 어떠한 교육정책으로 이주민의 문화적 갈등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무엇인지 살펴본다. 다양한 인종과 문화로 대표되는 프랑스와 미국은 이주민의 언어와 문화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해 문화의 다양성 제고에 대한 국가차원의 지속적인 노력을 바탕으로 한 다문화 교육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Due to rapid industrialization and development of global transport and communication, all countries on the earth became one world. Especially France and the United States has a long colonial rule and the frontier spirit from modern history. These two countries have cultural diversity such as their race, religion, cultural diversity. In our 21st century, Cultural diversity is not only French and American characteristics but also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world. At the same time human rights violations in the form of conflict and violence settle down. So human community needs increasingly bilateral cooperation, understanding, comprehension is badly needed. Therefore, in order to live together in a multi-cultural society, what is necessary, above all, is to promote civic spirit. and the system as a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framework is important to form an organic relationship. To that end, the US and France which have a long concern and research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Especially education of primary and middle school focus on the assimilation, unification of alternatives that can transform the policies aimed at happy society. To overcom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natives and immigrants, France and America, at the national level, concentrated every effort which provides a variety of multicultural education of mutual understanding for language and culture.

      • KCI등재

        과학도시 대전에서 자연치유 인문학의 가능성 -길의 인문학

        박찬인 ( Chan In Pak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학연구 Vol.52 No.2

        21세기의 길은 문화, 생태환경, 미래 혹은 박애, 자비, 사랑 등등 많은 의미를 갖는 함의를 구축하고 있다. 전통적으로 인식해온 길의 피상 너머에 심오한 이해를 요청하는 새로운 의미들과 속성들이 정착해 있음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때문에 본 연구는 대전이라는 21세기 최첨단과학도시를 가로지르는 몇몇 길들을 연구사례로 들어, 오늘날 길은 전통적인 의미로서의 길이 아니라 온갖 문화적 열망들이 꿈틀거리는 길로, 자본주의의 병폐에 저항하는 참살이의 환경조성 길로, 한 도시의 미래적 전망을 담는 상징적 길임을 확인해보았다. 이를 위해서 길에 대한 해석을 사회과학적이거나 도시공학적인 관점에서 벗어나 길을 인문학적 관점에 적용해보았다. 그로 인해서, 대전의 몇몇 길들이 갖는 함의가 복합적인 의미체계로 이야기될 수 있음을 이해하였다. 한국철도의 중심부 역할을 하는 철길의 건설과 함께 탄생한 도시라는 역사성을 극복하고, 오늘날 문화, 생태환경, 미래라는 함의를 구축한 길들을 통해 대전이란 도시에 내재한 문화적 잠재력을 엿볼 수 있었다. 즉, 현대적 대전의 실존성에는 일종의 역사적 트라우마가 깔려있다고 볼 수 있는데, 대전을 가로지르고, 둘러싸고 있는 여러 길들에 대한 인문학적 고찰을 통해서 그 역사성을 극복하고, "삶이 재미있고 풍요로운 도시, 전통과 다양한 문화의 도시, 과학의 도시 미래의 도시"로서의 미래적 전망을 기대할 수 있다. Against this backdrop, by taking examples of some case studies on roads passing through the cutting edge cities in the 21th century, this study identified the fact that free from their traditional meaning, the meaning of roads in the present time is moving forward toward: having enthusiasm for all kinds of cultures; creating an environment for well-being lives struggling against the capitalist malaise; and being a symbolic place containing the future prospect of a city. To this end, humanities`` approaches, instead of social science and urban engineering ones, were applied to interpret their meanings, through which it is found that implications of some roads have more complex meanings. And this study allowed us to take a good look at cultural potentials inherent in Daejeon through roads credited with building cultural, eco-environmental and futuristic implications That is to say, historic trauma inherent in the existence of modern city of Daejeon can be overcome through humanities studies of roads in the city, and that the city has future potentials as "a prosperous and fun city, traditional and a variety of cultural city, science and future city." In terms of humanities perspective, getting lost means getting lost in maze, leading to death. On the other hand, finding roads or making roads to go means life itself, leading to hope for life. In this respect, walking slowly around Dullersan-gil, getting breaths, contemplating the harmonies of mountains, water and lights on Hoban-gil, inhaling energy from the earth to exhale it to the sky and in turn inhaling energies from the sky to exhale to the earth of Hwangtot-gil, Deajeon citizens are truly leading happy lives

      • KCI등재

        프랑스 예술 스쾃(Squats) 사례와 비교한 대전·청주의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방안

        박찬인 ( Pak Chan-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 프랑스 예술 스쾃(Squats) 사례와 비교한 대전·청주의 문화예술적 도시재생 방안 >은 인문학적 시선에 의한 도시 공간의 문화 예술적 공유를 목적으로 하는 연구이다. “일상생활”, “도시의 권리”, “사회적 공간”에 대한 비평 개념을 정립해준 프랑스 사회학자 앙리 르페브르(Henri Lefevre)를 비롯하여, “일상생활의 창조성”을 주창한 프랑스 철학자 미셀 드 세르토(Michel de Certeau), 시민의 일상생활 면면에 침투한 도시 속 “공간이 사회학의 중심적 대상”이라는 장 레미(Jean Remy) 등의 개념에 의한 ‘도시 공간’과 ‘현대인의 일상’에 대한 문헌연구를 우선 개진하였다. 1980년대부터 시작된 예술가들의 도시 빈 공간 무단점유를 의미하는 ‘squatting’은 단순히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반(反)자본주의적 저항이 아니다. 이 운동은 정치적 이념을 떠나서 ‘박탈당한’ 예술가들 그리고 개인들이 도심 속에 폐허처럼 방치된 빈 공간을 발견하고, 그곳을 각자의 창작 욕구로 채워나감으로써 공허를 채움으로 전환한 것이다. 결국 이 채움은 다른 수많은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 창조를 유도하는 삶의 운동인 것이었다. 프랑스의 스쾃(Squats) 운동을 주도하고 있는 프랑스 파리의 몇 사례를 통해, 대전시와 청주시 일대의 문화예술 공유공간을 남다른 시선(regard eloigne)으로 바라보며 비판적으로 반성하고 새로운 모델을 제안할 수 있었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the ideas of French social philosophers like Henri Lefèvre, Michel de Certeau, Jean Rémy, who were interested in the city, daily life, social space, space right, sharing space etc. and to explain the success of artistic squats in France influenced by these philosophers, and to present the characteristics and benefits of artistic squats. This research ultimately demonstrates the means of artistic and cultural rehabilitation of Daejeon and Chongju based on the examples of French artistic squats. ‘Art-cloche’, originally Cloche Art, is a Parisian artistic group created in the years 1981-1988. The main animators of the group were Jean Starck, Nicolas Pawlowski, Alexandre Sacha Putov and Henri Schurder. "Le 59 Rivoli" welcomes in its legendary walls, in the heart of Paris, more than 30 artists in residence. The 59 wants to be, in essence, an artistic pole around which singular expressions, languages of art and varied creativity revolve. 59 Rivoli is above all a vehicle for a cultural journey that is both alternative and institutionalized, anchored in the tourist landscape of Paris. La Générale is above all a disciplines are developed there: plastic arts, theater, citizen science, literature, dance, video, cinema, music, photography, politics ... 'La Générale' was also a place of dissemination: exhibition galleries and rooms theatrical, audiovisual and musical performances are occasionally open to the public. The activities of the squats open the possibility of alternative art in the space of the city. Based on the successful practices and operations of French squats,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artistic associations must meet the two conditions of freedom and autonomy in the free spirit of artists, whether at Art Residency Temi, Temiorai, Jeongdong Village, or at Dongbuchangko Warehouse in Cheongju, or anywhere. We'll have to let them run. It may not be the same as the French art squat movement, but one should not always forget the proposition: “Civil servants support but do not interfere.”

      • KCI등재

        지역문화 중심의 도시재생 연구

        박찬인 ( Pak Chan-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인문학연구 Vol.60 No.1

        본 연구는 시민들의 삶을, 삶의 품격을 높이는 지역문화 중심의 도시재생을 모색할 것이다. 아울러 그 토대 위에서 시민들이 다시 돌아오는 공동체를 만드는 방안을 찾고자 한다. 국내외 지역문화 중심의 도시재생 혹은 문화예술적 도시재생의 성공 사례가 발전소든, 항구든, 철공소 거리, 폐기된 철길이든 성공한 도시재생으로 이끈 요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리한 덧씌우기식 디자인보다는 예전의 모습을 최대한 보존, 유지하고 그 지역이나 공간의 특색을 활용하면서 문화예술공간 혹은 휴식문화 공간으로 탈바꿈시켰다는 점이다. 둘째, 예술가와 전문가만의 공간이 아니라 지역주민의 삶이 녹아든 상태에서, 함께 만들고 향유하고 정체성을 수립해 나가는 공간이 되었다는 것이다. 또한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혹은 기업의 후원이 지속적이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도시재생지역을 지역문화의 중심으로 만드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지역의 가치를 발굴하고 공유하며 확산하여 문화적으로 재생하여야 한다. 아울러 문화적 특화를 고려하면서 균형 있는 도시발전, 즉 지역 격차를 해소하는 도시발전을 인양해야 할 것이다. 위와 같은 사업이 이루어진다면 자연스럽게 창조적 지역관광이 활성화될 것이다. This study will seek urban regeneration centered on local culture that enhances the lives of citizens and the dignity of life. In addition, based on that foundation, it seeks to find a way to create a community where citizens return. We will have to learn the common denominator of success from domestic and international success stories. Whether it is a power plant, a port, a street of an ironworks, or an abandoned railroad, the factors of successful urban regeneration are as follows. First, it was transformed into a culture and art space or a resting culture space by preserving and maintaining the former appearance as much as possible, and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or space, rather than an overlying design. Second, it is not a space for artists and experts, but a space for creating, enjoying, and establishing an identity together in a state where the lives of local residents melt. In addition, the suppor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or corporations of company must be sustained. To this en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find a way to make the urban regeneration area the center of local culture. Second, it is necessary to discover, share, and spread the values o f the region to reproduce culturally. In addition, balanced urban development, that is, urban development that bridges regional gaps, should be promoted while considering cultural specialization of regeon. If the above projects are carried out, creative local tourism will naturally be activated.

      • KCI등재

        사람의 조건으로서 공간의 스펙트럼

        박찬인 ( Pak Chan-in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1

        인간은 태어나는 순간부터 일정한 시공간을 점유한다. 그 짧지만 짧은 것도 아닌 시간의 연속선상에서 인간은 공간을 바꾸면서 자라나고 방랑하고 정착한다. 평생을 통하여 인간은 길 떠남과 돌아옴 그리고 정착하여 살기를 반복한다. 공간의 변화는 더디기도 하지만 때로는 극적으로 자주 변하기도 한다. 여기에서 공간이라는 변화무쌍한 환경이 인간을 구속하고, 인간은 그 구속에 순응하기도, 저항하기도 한다. 한마디로 인간은 공간을 통해 자신이 어떤 사람이고, 우리가 누구인지를 드러낸다. 따라서 공간과 시간은 늘 인문학의 탐구 대상이었다. 시공간의 좌표 위에서 인간이 그리는 삶의 흔적이 곧 문화고 문명이며 인간 자신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의 다양한 스펙트럼이 인문학에 어떻게 투영되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인간은 변화하고 공간을 바꾸면서 자신을 유지하고 자신이 누구인지를 잊지 않으려 한다. 다른 사람과 구분되는 차이와 다름을 지속적으로 추구하며 사람으로서 나다움, 즉 ‘사람으로서 자기 정체성’을 유지하려고 한다. 떠나고 돌아오는 길이라는 공간에서 보이는 인간의 다양한 모습과 함께 머물면서 경쟁하고 다투는 정주공간의 스펙트럼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이때 현대인이 머무는 추상적 공간은 사회이고 구체적 공간은 대개 도시이다. 도시라는 공간은 어찌 보면 다양한 생각의 융합을 만들어내는 용광로이기도 하지만, 도시, 특히 대도시라는 공간에서 우리 인간은 놀랍게도 모두가 사람다운 사람으로 사는 게 아니었다. 사람으로 대우 받는가 그렇지 않은가, 즉 사람으로 인정 되는가 아닌가의 문제는 바로 공간을 당당하게 차지하는가의 문제이기도 하였다. Humans occupy a certain space-time from the moment of birth. Humans grow, wander, and settle down in space, changing their space. Throughout life, human beings repeat their journey, return, and settle down. Changes in space are slow but sometimes change dramatically. Here, the ever-changing environment of space contains human beings, who both conform and resist. In short, human beings reveal who they are and who we are through space. Thus, space and time have always been the subject of humanities’ inquiry. This is because the traces of life drawn by humans on the coordinates of time and space are culture, civilization, and human self. This paper examines how various spectra of space are projected on the humanities. Human beings maintain themselves by changing and changing spaces and try not to forget who they are. A man constantly seeks differences and distinctions from others, and tries to maintain his own self-identity, his identity as a person. In the space of leaving and returning, we looked at the sedentary space where we stayed and compete with each other. At this time, the abstract space where modern man stays is a society, and concrete space is usually a city. The space of the city is a furnace that creates a convergence of various ideas, but in the space of the city, especially the big city, we are not surprisingly all human beings. The question of whether it is treated as a person or not, that is, whether or not it is recognized as a person, is also a matter of taking up the space fairly. Many studies and data warn that the fragmented and alienated cultural state of today, and the polarization of space brought about by the polarization of the rich and poor, must be healed in a hurry. We are diagnosing that we must build a culture of community with healthy neighbors. The aspirations and cultural desires of each individual’s life should not be the pressure to push each other, but the imagination to seek coexistence by facing each other’s faces. In this article, we studied the humanities by mobilizing a few poems about the space to leave and return. Now we dream of a prospect in which the human dignity of each citizen is respected in the space of this city, and everyone lives next to each other as a member of the community.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16세기 프랑스 의학에서의 프랑스어 어휘

        박찬인 한국현대언어학회 2003 언어연구 Vol.19 No.1

        Chan-In Pak. 2003, Etye kexuqye frabc¸ais dans la me´decine du XVI^e sie`cle. The Jornal of Studies in Language 19-1. 41-56. Cet article porte sur l'e´tude lexique franc¸ais dans la me´decine du XVI^e sie`cle. D´abord, nous avons observe´ qu'au XVI^e sie`clex, la me´ecine franc¸aise est une science dominante. Cette importance est illustre´ par le fait que beaucoup d'humanistes ont e´tudie´ la me´dencine et qu'ils l'ont pratique´e: c'est le cas par exemple de F. Rabelais (romancier, chirurgien et professeur). On conside´rait donc que la me´decine franc¸aise du XVI^e sie`cle est dans l'ordre des science humaines la plus e´leve´e en dignite´. Et puis, dans le domaine me´dicale, le franc¸ais a acquis une place privilgie´e. Cela prouve qu'a` Montpellier et a` Lyon, on donne le cours en langue vulgaire et d'anciens ouvrages franc¸ais de chirurgie sont imprime´s. Ensuite, le progre`s du franc¸ais a surtout pour cause la ne´cessite´ de faire connal^tre a` un public les me´thodes curatives(peste, le`pre et syphilis) rendues par le de´plorable l'e´tat sanitaire de l'e´poque. C' est enfin A. Pare´ qui est fide`le a` sa langue maternelle et a renouvele´ la me´decine franc¸aise. Il a e´crtit beaucoup de livres me´dicales en franc¸ais, contre toute tradition latine. Alors qu'il a bien contribue´ l'installation du lexique franc¸ais dans la me´decine franc¸aise, en particuler physiologie, pathologie, anatomin et the´rapeutique, il n'a pas fait mention de de´sinfection ni me^me de proprete´. Alors il est certain que la the´rapeutique reste encore dans l'enfance, la sante´ plus qu'aujourd'hui est und pre´occupation constante.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