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Korean children’s talks about the classic children’s book, the story of Babar

        Yi Hyun Jean(이현진) 한국육아지원학회 2011 육아지원연구 Vol.6 No.1

        「바바 이야기: 코끼리 왕 바바」 이야기는 소위 아동용 그림책의 고전으로 알려진 작품으로 1933년 이래로 수많은 언어로 번역되어 세계 여러 나라 어린이들에게 읽혀져 왔다. 그림책의 고전에 대한 사람들의 믿음에 대해 Dorfman(1983)과 Kohl(1995)는 「바바 이야기: 코끼리 왕 바바」가 순진해 보이는 이야기속에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자본주의의 메시지를 교묘히 숨기고 있기 때문에 어린이들에게 부적절한 영향을 미친다고 비판한다. 하지만, 그들의 비판은 그 이야기를 읽는 주체인 어린이들의 사고능력에 대한 고려나, 실제 어린이들의 목소리/의견의 포함 없이, 단지 텍스트 분석에 의한 비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연구는 Dorfman과 Kohl이 비판해 온 「바바 이야기: 코끼리 왕 바바」를 한국의 사회 문화적 맥락에서 한국 어린이들이 실제로 어떻게 읽어내고 있는 지를 살펴 본 연구로서, 어린이들의 대화를 분석한 연구이다. 서울에 위치한 어느 초등학교 1학년 한 학급의 어린이들이 연구에 참여하였고,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을 사용하여 어린이들의 자유로운 의견과 생각을 담고자 하였다. 어린이들 생활과 삶에 영향을 미치는 큰 흐름으로서 한국의 사회․문화적 맥락을 파악하는데 탈식민주의와 Bakhtin의 관점을 사용하여 분석하고, 어린이들의 사소한 표현과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 문학비평(literary studies)과, 비판이론, 정신분석이론으로부터 빌려온 관점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참여 어린이들은 「바바 이야기: 코끼리 왕 바바」에 대해 모순된 태도와 관점을 드러내면서, 그들이 속해 있는 한국 사회가 서구 문화에 대해 가지고 있는 양가적인 모습을 반영하고 있었다. 그런 한국 사회의 모습을 비추면서, 어린이들은 때때로 서구의 관점을 드러내기도 하고, 또 때론 이야기 내용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을 거부하면서, 저항과 수용, 굴복을 넘나드는 반응을 보였다. 따라서 다른 문화에서 형성된 이야기가 전혀 다른 사회․문화적 배경과 역사를 가진 한국 어린이들에게 읽혀질 때, 단순히 “그리고 그들은 그 후로 오랫동안 행복하게 잘 살았단다”와 같이 끝날 수만은 없음을 보여 주었다. The story of Babar has had a broad appeal around the world as one of classic children’s books. Against many adults’ expectation on the story of Babar as a famous classic story, Dorfman(1983) and Kohl(1995) expose hidden messages representing imperialism, colonialism, capitalism and so on under an innocent mask. Their criticism was however based on analyzing the text itself rather than young readers. Sticking to the texts only, they did not consider any curiosity about young children’s intellects, voices, or different possibilities of children’s interaction with the story of Babar. This study endeavored to listen to children’s voices about the story of Babar in order to learn how Korean children really respond to the story in their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Children in a first-grad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 was employed as a method. Data were analyzed through postcolonial and Bakhtinian theories to understand social and cultural contexts. Various theoretical perspectives borrowed from literary theory, critical theory, and psychoanalytic approaches were used as well to make sense of details of children’s utterances and responses. The children revealed the state of their society in the process of interpreting the story of Babar in their contexts. They exposed Western perspectives sometimes, but they also exhibited resistances to the blind acceptance of the text. They would swing back and forth somewhere between resistance and submission, reflecting their society.

      • KCI등재

        대안적 보육 프로그램에 관한 대화를 통해 본 한국 유아교육과 보육에 관한 담론들

        이현진 ( Hyun Jean Yi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0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17 No.1

        이 연구는 한 새로운 유형의 어린이집(공동육아)에 대한 대화를 통해서 변화하는 한국 사회의 유아교육과 보육에 관한 담론들을 드러내고, 분석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방법은 비디오를 매개로한 포커스 그룹 인터뷰(Video-cued focus group interview)가 사용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공동육아 프로그램 관련한 내부참여자 30명과 일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참여하는 외부참여자 38명이었다. 포커스 그룹 인터뷰에서 두 그룹의 논의를 통해 드러난 유아교육과 보육에 관한 담론들은 그룹 간의 대조적인 양상을 보였고, 각 그룹의 독특한 신념들을 드러냈다. 참여자들이 대화에서 주로 논의한 내용은 (1)교사의 이미지 (2)준비도에 관한 이슈 (3)혼합연령활동, 놀잇감, 안전에 관한 이슈를 포함하는 일상적인 교육실제에 관련된 내용들이었다. 이 내용들은 Bakhtin 이론과, Foucault의 관점, 유아교육의 재개념화 연구들을 배경 이론으로 하여 분석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expose discourses regarding ECEC in the changing Korean context through conversations on an alternative child care program, Gongdong-yugah. Video-cued focus group interview was employed as a method. Data were collected from 30 inside participants from Gongdong-yugah programs and 38 outside participants from general ECEC programs. Throughout the focus group interviews, discourses regarding issues on ECEC discussed by the two groups emerged, which contrasted and exposed unique beliefs within each group: (1) images of teachers, (2) readiness issues, (3) issues embedded in daily practices such as mixed-age activities, playthings, and safety. These discourses were analyzed through Bakhtinian theory, Foucault`s perspective, and the studies from the reconceptualiz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literature.

      • KCI등재

        공동육아 20년의 기록, 공동육아 회보 분석을 위한 이론적 모색

        이현진(Yi, Hyun Jean) 한국어린이교육문화비평학회 2018 영유아교육과정연구 Vol.8 No.2

        공동육아 어린이집은 1994년에 최초 설립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후 공동육아 어린이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그 과정에서 구성원들의 경험과 정보, 의견을 표현하고 공유하는 공동육아회보가 초창기부터 지금까지 발간되고 있다. 발간 20주년을 넘기면서 공동육아 회보 내용을 다시 읽고 해석하여 정리하고자 하는 요구와 열망이 내부 구성원들로부터 나타나게 되었다. 본 연구는 20년간의 방대한 기록물을 본격적으로 분석하고 해석하기에 앞서 어떤 관점과 이론적 틀로 접근해 야 할지에 대한 방향 모색과 고민의 과정을 정리한 것이다. 모색의 과정에서 구성원 간의 대화와 담론 형성의 기록이 회보에 담겨 있다는 점에서 이론적 틀로서 Bakhtin의 대화주의 이론과 담론분석 이론이 회보 내용 분석에 실마리와 통찰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 보았다. 또한 회보 자체가 갖는 역사적 기록물로서의 가치뿐만 아니라 기록의 과정을 통해 구성원이 과거 경험을 현재에 불러내고, 해석하는 지속적인 행위의 매개물로서의 의미를 고려할 때 현재의 관점과 문제의식 아래서 과 거를 새롭게 해석하는 적극적 가치 창조의 방법으로 역사를 탐구하는 관점과 태도의 수용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The first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 opened in 1991. Since then, the number of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s has been increased up to today. From the early era of the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s the members of the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s have expressed and share their experiences, view points, tips and so on through the bulletin of cooperative child care and education. It has been over 20 years. The members of cooperative child care centers ended up the goal to look back on the contents of the bulletin for the last 20 years. The members expect to learn what they have done so far. By doing so they seemed to expect to realize the meaning of what they did and to figure out what direction to go. This article is a sort of product from the preparing process for the interpreting and analyzing all the contents of the bulletin for 20 years. The following are what I sought for theoretical frames as the ways of approaching to the enormous contents. Considering the function of the bulletin for the members of the cooperative child care as a discourse community, I came to the ideas that the Bakhtinian perspectives and discourse analysis would be useful. In addition, looking at the retrospect and prospect practices of the members, the genealogical approach could be appropriate rather than the historical framework of positivism.

      • KCI등재

        어린이집의 사회자본에 관한 연구: 부모와 보육교사의 신뢰, 네트워크, 규범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이현진 ( Hyun Jean Yi ),김미애 ( Mi Ai Kim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5 아동교육 Vol.24 No.3

        본 연구는 교육공동체로서 어린이집의 사회자본이 어떠한지를 알아보기 위해 보육교사와 부모간의 사회자본(신뢰, 네트워크, 규범)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어린이집의 사회자본 형성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김태선(2007)이 중등교육기관을 대상으로 개발한 사회자본 측정도구를 어린이집의 실정에 맞게 수정, 보완하여 D시와 인접한 K도 지역에 위치한 어린이집을 무작위 표집하여 어린이집에 자녀를 보내는 부모와 보육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였다. 조사대상은 교사 231명, 부모 205명 총 436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독립표본 t검정과 χ2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신뢰에 대한 인식은 대인 신뢰, 제도 신뢰 모두 부모와 교사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신뢰의 하위요소인 교사에 대한 불만과, 유아에 대한 불만, 부모에 대한 불만, 한국교육에 대한 불만 인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둘째, 네트워크 형성에 대한 인식 중, 의사소통과 사회적 관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으나, 기관참여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셋째, 규범에 대한 인식 중, 호혜성과 사회적 통제에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recognition differences of social capital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Social capital can be defined as the characteristics within a shared organizational system. In this study, social capital consists of trust, shared values through interactions obtained within a network of people promoting cooperation in a variety of group activities.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developed and designed by Kim, T.S.(2007) for highschool level was utilized after being modified for the use of child care centers. The subjects were 205 parents and 231 teachers of child care centers located in D city and K province. t-test and χ2-test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of recognitions regarding trust was not significant, but when it comes to subcategories such as dissatisfactions with teachers, children, parents, and Korean education policy and system, th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were significant. Second, in terms of networks,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on communication and social relationships were significant. Third, regarding group norms, the differences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were significant.

      • KCI등재

        우량아 선발 대회와 운동회를 통해 본 한국 사회의 아동과 아동기 담론

        이현진 ( Hyun Jean Yi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2 아동교육 Vol.21 No.2

        어느 시대, 어느 사회에서나 어린이는 태어나고 자라지만 어린이의 성장과정을 어떻게 세분화하고, 각각의 과정에 따라 어떤 기대를 하고, 성인과 아동의 대우를 어떻게 달리하는지는 시대적, 사회적 맥락에 따라 달라진다. 즉, 아동기 또는 어린이는 고정불변의 확정된 개념이 아니라 역사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구성되는 개념이다. 한 사회가 다음 세대를 재생산하고 양육함에 있어 이런 성장 단계에 대한 인식과 제도는 핵심적인 틀이라 할 수 있다. 아동기를 어떻게 구분하느냐 하는 문제는 어린이를 어떻게 정의하고, 바라보는가와 연결되어 있다. 본 연구는 시대적, 사회적 변화에 따른 한국 사회의 아동기와 아동관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당대의 사회·문화적, 시대적 맥락을 잘 드러내는 매체인 신문 기사와 관련 연구를 통해 살펴보았다. ``어린이``이라는 용어가 사용되기 시작하고, 또한 어린이날이 제정되어 한국 사회의 아동관이 근대적 전환을 가져온 192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하였다. 특히, 어린이 관련 기사가 많이 보도되는 어린이날을 전후한 기사를 중심으로 보았으며, 어린이날 관련 기사 중 어린이날 대표적인 기념행사로 가장 빈번히 보도되고 현대까지도 이어져 오던 우량아 선발대회와 운동회를 통해 한국 사회의 아동기 인식의 변화를 탐색하였다. 미래의 주인공인 어린이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개최되었던 우량아 선발 대회와 운동회에 반영된 한국 사회의 아동기 담론은 어린이 자체 보다는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성인들의 달라지는 정치적, 상업적 목적이 어린이에게 투사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Childhood has been historically, socially, and culturally constructed rather than it has absolute, real, or transcendent meaning. The fact that child is born, grows older, and becomes an adult is identical throughout cultures and societies. However, in terms of how to specify the growing process, what to expect to each stage, and how to treat an adult and child, it can be various in accordance with historical and social contexts. The conception and systems for the growing process is a fundamental frame for a society to reproduce and raise next generations. How to differentiate childhood from adulthood is associated with how to view and define a child. This study explored baby contests and sports meetings as important events for children`s day from major newspapers between the 1920s and 2000s in order to learn how the Korean society views and defines childhood in its social and historical contexts. Both baby contests and sports meetings were held for children, celebrating children`s day, but unlike these superficial purposes, the two events were used to project the political and commercial desires on children`s bodies at the request of the times.

      • KCI등재

        어머니 상호작용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이현진(Hyun-Jean YI)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2 상담심리교육복지 Vol.9 No.6

        본 연구는 어머니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어머니 양육행동의 매개효과를 확인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2014년 제 7차 한국아동패널(PSKC)에 참여한 만 6세 남, 여 유아와그들의 어머니 각 1126명이며, JAMOVI 1.1.9.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어머니의 상호작용, 어머니의 양육행동, 유아의 학습준비도와 그 하위요인은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연구에서 사용된 변인 중 어머니의 온정적양육행동은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강력한 변인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어머니의상호작용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에 대한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넷째, 어머니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학습준비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어머니의 통제적양육행동의 매개효과는 없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유아의 학습준비도 대한 어머니의 상호작용과양육행동의 기초연구로서 어머니의 상호작용과 양육행동의 방향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effect of mother-child interaction on children’s schoolreadines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s of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For this study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JAMOVI 1.1.9.0program with the data of 1126 children from the 7th 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The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her-child interaction, mother’s child-rearing behaviors, andchildren’s school readiness shows all the positive relationships. Second, mother’s warmthparenting behaviors indicate as a strong variable to influence on children’s readiness for school. Third, in the effect of mother’s interaction with child, mother’s warmth parenting behavior haspartially mediating effect. Forth, mother’s controlling parenting behavior has no mediating effect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interaction and school readiness. The significance of thisstudy is to suggests the proper direction for mother’s interaction and child-rearing behaviors inrelation to school readiness.

      • KCI등재

        4차 산업혁명시대의 협력에 기반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효과

        김민정(Min-Jung KIM),이현진(Hyun-Jean YI)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2021 상담심리교육복지 Vol.8 No.5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시대가 요구하는 인재의 핵심 역량 중 하나인 문제해결력과 협력에 기반한 협동적 수학활동이 유아의 수학문제해결력과 정서지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보고 협동적 수학활동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를 마련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D시에 소재한 H어린이집 만4세 유아를 대상으로 실험집단(20명)은 김세루(2010)의 협동적 수학 활동을, 비교집단(20명)은 누리과정의 소그룹 수학활동을 각각 주 3회, 6주 동안 18회차 실시하였다. 수학문제해결력검사는 Ward(1998)가 개발하고, 류혜숙(2003)이 재구성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정서지능검사는 이병래(1997)의 정서지능검사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수학문제 해결력과정서지능에 대한 집단 간의 사전, 사후 차이 검사를 위하여 t검증을 사용하였고, 집단별 사후검사 점수차이를 증명하기 위하여 Ancova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 협동학습을 실행한 실험집단의 수학문제해결력과 정서지능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oint out the effects of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on their math problem solving abilities. In terms of math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find a base to develop program for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based on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collaboration which is a part of core competence in a period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e experimental group(20 person) from 4 years young childrens in H Children House at D city did collaborative math activities and comparative group(20 person) did math activities with small group according to NURI process. Each group did it 18 times for 6 weeks, 3 times in a week. I used the test tool developed by Ward(1998), reconstructed by Ryu Hae Sook(2003) to check math problem solving abilities. I used an emotional intelligence tool, developed by Lee Byung-rae(1997) for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nd I used t Test to check out difference before and after testing between groups about math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children and used Ancova point difference between groups after test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suggest that math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experimental group which executed collaborative study were improved.

      • KCI등재

        리좀적 관점에서 바라본 유아들의 바깥놀이

        김경민(kyoung Min Kim),이현진(Hyun Jean Y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2

        목적 본 연구에서는 바깥놀이에서의 경험과 배움의 과정을 리좀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리좀 지도를 통해 나타내 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바깥놀이의 진정한 가치와 놀이의 양상을 확인하고 현장에서 표피적인 가치로만 인식되는 바깥놀이에 대해 새로운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B시에 위치한 A유치원의 만 5세반 유아 52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시각적 연구방법을 진행하였으며, 참여관찰과 시각적 연구방법에서 파악하기 어려운 유아들의 놀이 전후 상황과 긴밀한 관계 파악을 위해 반구조화된 면담을 함께 진행하였다. 참여관찰과 시각적 연구방법, 면담을 통해 수집된 자료들의 분석은 김영천(2016)이 제시한 실용적 절충주의에 기초한 포괄적 분석절차에 따라 진행되었으며, Lincoln과 Guba의 ‘신뢰성’ 준거(1985)를 통해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결과 비 오는 날 산책길에서 달팽이와의 우연한 마주침으로 시작된 유아들의 놀이는 끊임없는 연결과 접속을 통해 생성되었다. 달팽이와 우연한 마주침으로 생성된 유아들의 놀이는 우연한 마주침, 우연의 유희, 연결과 접속 그리고 의미생성, 배움의 장으로 들어서기, 위치를 벗어나 함께 배우기, 새롭게, 그리고 한계 없이 사유하기로 범주화되었다. 유아들은 연결과 접속을 통해 생성된 놀이에서 영토화를 거부하고, 지금까지와는 다른 배치와 욕망을 추구하며 탈영토화를 시도하는 유목민으로 존재하였다. 그로 인해 유아들의 바깥놀이는 시작과 끝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땅속으로 수없이 파고들고 뻗어 가는 뿌리와 같이 비선형적이고 리좀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다. 결론 리좀의 특징을 지닌 유아들의 바깥놀이는 하나의 중심에 귀착되어진 수목형 관점으론 이해될 수 없으므로, 연결과 접속에 따라 정형화되지 않고 변화하는 리좀적 관점을 통해 바라보기 위한 교사와 성인들의 관점 변화가 필요하다. 그리고 유아들은 놀이공간과 시간, 놀이방법 등에 변주와 탈주의 가능성을 열어 두었을 때 비로소 놀이주체자로서 세계와 만나고 사유하며 배움을 생성해 갈 수 있다. Objectives This article aims at reviewing the processes of experiences and learning in outdoor plays with a rhizomatic perspective, drawing them through a rhizomatic map, confirming authentic values of outdoor plays and their apsects, and making new suggestions for outdoor plays which have been recognized as superficial values on site. Methods For thi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visual research methods were applied to 52 five-year-old young children of A Kindergarten in B city. And in order to figure out before and after the plays of the children, who cannot be figured out easily by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visual research method, and their close relationship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also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visual research method, and interview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inclusive analytic procedures based on the Pragmatic Eclecticism suggested by Young-cheon Kim(2016) and the validity was secured through the evidence of the ‘Credibility’ of Lincoln and Guba(1985). Results Young children’s outdoor plays starting from an accidental encounter with snails on the way to walk on a rainy day were created through endless connections and contacts. Their plays created by an accidental encounter with snails were categorized into an accidental encounter, recreation by chance, connections and connects, creating meaning, entering into the site of learning, dislocating and learning together, and thinking newly and without limit. Young children exist as nomads who reject territorialization, pursue new arrangements and desire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present time and try deterritorialization. Therefore, young children’s outdoor plays have neither start nor end and show non-linear and rhizomatic characteristics like roots digging into and stretching out underground endlessly. Conclusions Young children’s outdoor plays with the rhizomatic characteristics could not be understood with a tree-type perspective concluded with a center and they require teachers and adults to change their perspectives to the rhizomatic one which is not fixed but changing. And young children can meet the world, think and create learning as actors in plays when they have possibilities of changes and dislocation in play venue, time, play methods, etc.

      • KCI등재

        만2세 영아-교사상호작용과 영아의 놀이성이 영아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

        문성호 ( Moon Sung-ho ),이현진 ( Yi Hyun-jea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8 아동교육 Vol.27 No.3

        본 연구는 교사-영아상호작용과 영아의 놀이성을 통해서 입학초기 영아들의 어린이집 초기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둔 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구시 D지역 어린이집에 재원한 만2세 영아 299명을 보육하고 있는 담임교사 4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하여 Pearson 상관관계, 다중회귀 분석으로 통계처리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영아상호작용과 영아의 놀이성이 어린이집 적응간의 관계에서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린이집 적응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교사-영아 상호작용의 하위변인인 영아의 행동적 상호작용과 영아의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자발성, 신체적 자발성, 인지적 자발성이 높을수록 어린이집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영아의 어린이집 적응에서 교사-영아상호작용과 영아의 놀이성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하고 있다. 따라서 교사는 영아와 행동적 상호작용뿐만 아니라 영아의 놀이성이 증진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중재하여 초기 어린이집 적응에 도움을 주는 역할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learn the influences of teachers - 2-year old infants’ interactions and infant playfulness on how infants early adjust to child care centers. 2-year old 299 infants and 44 teachers from child care centers in Daegu City participated in the study.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Pearson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Teachers - infants’ interactions and infant playfulness appeared to have a positive relationship when infants adjusting to child care centers. Second, The influence of adjusting to child care centers' subscales of Teachers - infants’ interaction appeared to influence on infants’ behavioral interactions, and the subscales of infant playfulness such as social, physical, and cognitive spontaneity were significant that the higher the rate, the more positive influence on infants' adjusting to child care center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eachers - infants’ interactions and infant playfulness are significant factors regarding infants' adjusting to child care centers.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the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teachers - infants’ interaction and infant playfulness are provided in order to support infants' adjusting to child care center from the beginning.

      • KCI등재

        아동권리 부모교육에 대한 부모 변인별 참여 양상

        장혜진 ( Jang Hyejin ),이현진 ( Yi Hyun Jean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8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0 No.4

        본 연구는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의사와 참여불가 사유를 부모 변인별로 살펴보았다. D광역시와 G도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학하는 유아의 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x2 와 F검증, Scheffe 사후 검증으로 통계 처리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동권리 부모교육의 참여의사 측면에서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참여의사를 나타냈다. 이전의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경험 여부에 따른 향후 부모교육 참여의지를 보면 부모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집단의 참여의지가 더 높았다. 자녀수가 많아질수록 참여의사 수준은 낮아졌으며 전업주부의 참여의사가 생산/기능/노무직에 비해 높았다. 가정소득별로는 500만원 이상 가정이 300만원 미만인 가정보다 참여의사가 높았다. 둘째, 아버지와 어머니의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불가 사유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이전의 아동권리 부모교육 참여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답변 비율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아동권리 부모교육에 더 많은 부모가 참여하기 위해서 부모 변인별 접근방법이 달라져야 하고 특히 부모교육 참여의사가 낮은 집단의 요구를 이해하여 이들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learn about parents’ participation for parental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and reasons parents cannot participate in parental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522 parents from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are programs located in D city and G province. To analyze the data F-test, x2, and Scheffe test were utilized. The finding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ly, in terms of the status of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for parents’ education of children’s rights, fathers’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arental educatio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mothers. Parents with the experience of parental education before showed more becoming prospective participants. The fewer children they have, the higher possibility to participate in parental education. Full-time homemakers showed higher intentions to participate than production, technical workers/general laborers. Parents with the income of over five million KW suggests higher participation in parental education than ones with the income of under three million KW. Second, while fathers replied that they cannot attent the parents’ education due to the lack of time, mothers would not participate in parents’ education because parental education is not helpful. The full-time homemakers would not attend parents’ education because it is not useful. Parents with the experiences of parents’ education before answered rather not to participated in parental education, which was higher than parents with no experiences of parental education befo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