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른 유아의 신체활동과 어머니의 신체활동 신념에 관한 연구

        김길숙(Gilsook Kim),김상림(Sang Lim Kim) 융복합지식학회 2020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8 No.1

        본 연구는 어머니의 취업유무에 따라 유아의 신체활동과 신체활동에 대한 어머니의 신념 차이, 유아의 신체활동과 어머니의 신체활동에 대한 신념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 대상은 만 5세 유아 총 161명이었으며 신체활동에 대한 어머니 신념은Timmons, B. W. et al. (2012)의 Parents’ Beliefs about Physical Activity for their Preschooler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 21.0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Pearson의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미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해 자녀와 놀이터를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취업모가 취업모에 비해 자녀와 신체활동 수행을 더 많이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신체활동 제공에 대한 효능감이 높았다. 셋째, 유아의 놀이터 이용시간은 어머니의 ‘신체활동 제공에 대한 효능감’과 낮은 정적 상관을 보였고 유아의 놀이터 이용횟수는 어머니의 ‘신체활동 수행’과 ‘신체활동 제공에 대한 효능감’과 다소 높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유아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어머니의 신체활동 수행과 신체활동 제공에 대한 효능감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physical activities of preschooler depend on employment status of mothers, what the differences are in the beliefs toward physical activities of their children, and whether or not the physical activities of the children and the dispositions of the mothers are related, by examining empirical evid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61 five-year-old children and a questionnaire was Parents’ Beliefs about Physical Activity from Timmons, B. W. et al. (2012). For analyzing, SPSS 21.0 was used to calculat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unemployed mothers use playgrounds with their children more than employed mothers. Second, it was found that unemployed mothers were more likely to do physical activities with their children compared to employed mothers, and they have more effectively provided physical activities to their childre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ength of time playgrounds were used by children had a low bu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ffectiveness of mothers in ‘providing physical activity’ to children, and that a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times children used playgrounds and the ‘execution by mothers of providing physical activities’ as well as the ‘effectiveness of mothers of providing physical activity’ was somewhat higher. In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physical activity of preschoolers, it was found necessary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mothers in providing physical activity and provision of physical activities.

      • KCI등재

        유치원 · 어린이집 교사 권익관련 법인식 실태 연구

        김길숙 ( Kim Gilsoo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유치원과 어린이집 교사의 권익관련 법인식 현황과 설립유형별 법인식에 차이가 있는지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유치원 교사 601명, 어린이집 교사 906명으로 총 1,507명이었으며 SPSS 21.0을 사용하여 백분율, 일원변량분석, Scheffe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립 유치원 교사들이 사립 유치원 교사나 어린이집 교사에 비해 법에 보장된 교사의 권익에 대한 사항들을 더 많이 알고 있었다. 둘째, 공립 유치원 교사가 사립 유치원 교사보다 5개 권리 영역 모두에서 권익 관련 법조항을 더 잘 알고 있었으며 어린이집 교사는 전문직으로서의 교육권 및 자율권, 근무여건 개선 및 생활보장 요구권, 복지후생제도 요구권에서만 설립유형별 차이를 보여 민간과 가정 어린이집 교사가 직장이나 국공립 어린이집 교사보다 권익 관련 사항을 잘 모르고 있었다. 따라서 유치원·어린이집 교사의 권익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사회적 인식 제고뿐만 아니라 교사들 스스로 법에 보장된 교사 권익에 대한 법인식을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or not there is a difference between kindergarten and day-care center teachers in terms of understanding of the laws regarding rights, as well as whether or not there are difference in understandings of the laws depending on establishment type. The subjects in the study were 601 kindergarten teachers and 906 day-care teachers, for a total of 1,507 teachers. Using the data, percentages calculations, one-way ANOVA, and Scheffe post-tests were performed using SPSS 21.0.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public-kindergarten teachers were found to be more knowledgeable about the rights of teachers guaranteed by the law, compared to private-kindergarten teachers or day-care teachers. Second, the public-kindergarten teachers were more knowledgeable than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bout the laws related to rights in all 5 rights-related areas. The teachers of private and family day-care centers were shown to be less knowledgeable than the public-kindergarten teachers as indicated by the differences according to establishment type shown only in the areas of rights to education and professional autonomy and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s and guarantee of benefits. The private and day-care center teachers were less knowledgeable about the rights than the teachers at workplace or public day-care center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interest in kindergarten and day-care teachers, it is necessary not only to raise social awareness but also to raise teachers` understanding itself about the rights of teachers guaranteed by the law.

      • KCI등재

        영유아 체력 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김길숙(Gilsook Kim),이영미(Youngmee Lee) 융복합지식학회 2021 융복합지식학회논문지 Vol.9 No.2

        본 연구는 영유아 체력 관련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앞으로 유아 체력 관련 연구의 방향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12월까지 발표된 영유아 체력과 관련된 논문 226편을 연구 시기, 연구주제, 연구방법, 연구 결과의 내용별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영유아 체력에 관한 연구는 2000년대 이후 가장 많이 연구되었으며 석사학위논문으로 가장 많이 발표되었다. 연구주제별로 분석하면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고 다음으로 발달 ‧ 측정과 평가, 변인 관계, 도구 개발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아 체력 관련 연구의 연구 방법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고, 연구유형은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 실험연구가 가장 많았다. 연구 결과 내용은 체력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이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체력 관련 연구는 대부분 2000년대 이후부터 이루어졌으며 체력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졌음을 볼 때 영유아 체력 관련 연구가 다양한 영역과 연구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research on physical fitness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related to the topic. To this end, 226 papers related to young children fitness that had been published by December 2020 were analyzed based on research time periods, topics, methods, and results. The analysis revealed that studies on early childhood fitness were published the most in the 2010s. Additionally, the trends that were studied the most in this area were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physical fitness programs, followed by the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development, analysis of variable relationships, and tool development; additionally, most of the programs were performed and analyzed in relation to infants. The most common type of research performed was experimental research on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Moreover, in the trends analyzed in the study, the most effective verification methods in early childhood fitness were determined. Th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showed that most studies on early childhood fitness were conducted from the 2000s onwards, and that the studies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fitness program and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as to expand it into different areas and determine more varied research methods.

      • KCI등재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현황 및 내용분석 연구

        김길숙 ( Kim Gilsook ) 열린부모교육학회 2017 열린부모교육연구 Vol.9 No.4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에서 정부의 지원금으로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자녀 연령에 따른 부모기별, 가족특성별로 나누어 분석함으로써 현행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정리하고 향후 수정·보완되어야 할 부분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자녀의 생애주기별 부모교육 프로그램 28종류, 가족특성별 부모교육 프로그램 17종류로 총 45종류였다. 생애주기별로 살펴보면, 예비 부모용 4종류, 영유아기 부모용 12종류, 아동기 부모용 4종류, 청소년기 부모용8종류였으며 가족특성별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가족폭력·아동학대가족 1종류, 다문화가족 1종류, 맞벌이가족 1종류, 저소득가족 3종류, 이혼가족·이혼위기가족 1종류, 입양가족 2종류, 한부모가족 1종류, 그 외 조부모교육 1종류, 아버지 교육 5종류, 온라인 부모교육 1종류였다. 본 연구는 현행 개발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자녀의 생애주기별, 가족 특성별로 나누어 개발 기관, 부처,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현행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한 눈에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따라서 본 연구는 추후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써의 활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larify the current parent education programs, developed with the funding support of the Korean government, according to child age and family characteristics and to suggest areas that need changes and improvement.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45 different kind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of which 28 were programs according to child age and 17 were programs according to family characteristics. Examining by child age, there were 4 programs for prospective parents, 12 programs for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4 programs for parents of children, and 8 programs for parents of adolescent children. Parent education programs according to family characteristics included a program dealing with family violence and child abuse, a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ies, a program for dual-income families, 3 programs for low income families, a program for families that have parents who are divorced or are threatened by divorce, 2 programs for families with adopted children, a program for single parent families. In addition, there were a program for educating grandparents in the family, 5 programs for educating fathers, and an online parent education progra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the current status of the parent education programs can be grasped at a glance due to having analyzed the development agencies, departments, and the nature of the programs by examining the programs according to child age and family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very useful in that it provides basic data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내용 분석: 신체활동과 영양교육을 중심으로

        송신영(Shinyeong Song),김길숙(Gilsook Kim) 삼육대학교 미래사회와기독교연구소 2023 융합학문과 기독교 Vol.4 No.2

        본 연구는 유아의 신체 건강과 관련하여 국가 수준의 초기 누리과정을 근거로 한 연령별 누리과정 해설서와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신체활동과 영양교육 관련 내용 범주를 영역별로 살펴보고 관련 활동이 얼마나 포함되어 있는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누리과정에서 신체 건강 관련 내용과 활동을 분석하기 위해 2013년 교육과학기술부와 보건복지부에서 보급한 누리과정 해설서와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으며 빈도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신체활동과 관련된 내용은 신체운동⋅건강 영역과 예술경험 영역에 포함되어 있었으며 신체활동과 운동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 범주는 ‘신체 인식하기’와 ‘신체 조절과 기본 운동하기’, ‘신체활동에 참여하기’이었고 예술경험 영역에서는 ‘예술적 표현하기’ 중 ‘움직임과 춤으로 표현하기’이었다. 또한 영양교육에 대한 내용은 신체운동⋅건강 영역에서 다루어지고 있었으며 ‘건강하게 생활하기’ 내용 범주 중 ‘바른 식생활하기’와 관계되어 있었다. 둘째, 5세 누리과정에서 신체활동을 다룬 활동은 총 101개이며, 4세는 147개, 3세는 120개로 4세 과정에 가장 많은 신체활동 관련 활동이 다루어지고 있었다. 영양교육 활동은 3세 24개, 4세 29개, 5세에서 22개의 활동이 제시되어 있어 4세의 경우 29개의 활동으로 가장 많이 제시되어 있었으며 5세가 22개로 가장 적은 영양교육 활동을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한 국가 수준의 교육과정을 개정할 때, 유아의 신체 건강 증진을 위해 어떤 부분이 부족하고 개선해야 할지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ontent categories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nd nutrition education by area and analyze how much related activities are included in the early Nuri course at the national level related to physical health of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Nuri course commentary by age and the teacher's guide.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s and activities related to physical health in the Nuri course,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the Nuri course commentary and the Nuri course teacher's guide distribu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2013, and the frequency was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study, content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was included in the physical exercise/health area and the art experience area, and the content categories directly related to physical activity and exercise were ‘body recognition’, ‘body control and basic exercise’, and ‘body control’. ‘Participating in activities’ and ‘Expressing through movement and dance’ among ‘Artistic expression’ in the field of art experience. In addition, the contents of nutrition education were covered in the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area, and it was related to ‘healthy living’ content category. Second, there were a total of 101 activities dealing with physical activity in the 5-year-old Nuri course, 147 activities in the 4-year-old and 120 activities in the 3-year-old, and the most physical activity-related activities were covered in the 4-year-old course. As for nutrition education activities, 24 activities were presented for 3 years old, 29 for 4 years old, and 22 activities for 5 years old.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on what parts are lacking and need to be improved to improve the physical health of young children when revising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