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대학 글쓰기에서의 첨삭 프로그램 현황과 개선 방안 -한성대학교를 중심으로

        나은미 ( Eun Mi Na ),권정현 ( Jung Hyun Kwon ),김인경 ( In Kyung Kim ),이현주 ( Hyun Joo Lee ),정원채 ( Won Chai Jeong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09 漢城語文學 Vol.28 No.-

        본 논문은 한성대학교 온라인 첨삭 프로그램의 구축 및 발전 과정과 <첨삭 기준안>의 마련 과정을 소개한 것이다. 또한 그 과정 속에서 발견된 문제점들의 검토를 통해 온라인 첨삭 프로그램의 보다 효율적인 개선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대학에서 첨삭을 담당하는 기구들의 규모와 첨삭 프로그램의 현황을 검토했다. 국내 9개 대학을 대상으로 첨삭을 담당하는 기구의 첨삭 대상, 첨삭 담당자, 첨삭과 관련된 주요 활동을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한성대학교 온라인 첨삭 프로그램의 현황을 소개했다. 한성대학교 첨삭 프로그램의 운영 방법에 대해 살펴보고, 한성대학교 온라인 첨삭 프로그램의 진행 절차와 첨삭 방법 등을 소개했다. 또한 한성대학교 첨삭 프로그램의 <첨삭 기준안> 마련의 목적과 구축과정, <첨삭 기준안>에 근거한 첨삭의 실제 사례를 소개했다. 4장에서는 구체적으로 첨삭의 정도·기준 문제, 첨삭 담당자의 교육 프로그램 문제, 영역별 지도 방안의 문제, 첨삭의 피드백 문제 등 첨삭 프로그램의 개선방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an online program construction for writing correction, developmental process thereof, and devising a `standard for correction.` Problems occurring during such process were managed aptly so that an efficient improvement plan of the online writing correction program can be designed. Accordingly a size of the institutes performing corrections in university and a current status of the correction programs are evaluated in chapter two of this study. A review was made on nine domestic universities to examine objects of correction, responsible personnel for correction, major activities related with correction. A current status of the online correction program of Hansung University was introduced in chapter three. Examined were the methods of operation, operation procedures, and correction methods of the Hansung University`s correction program. Moreover purpose and constructing process of devising a `standard for correction` were reviewed. Subsequently a case study of the correction based on the devised `standard for correction` was illustrated. Considerationin chapter four as follows: specific degree and parameter of correction; training program for the personnel performing correction; and correction feedback.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한성대학교 글쓰기 대회 현황 및 대학생 글쓰기 대회를 위한 제언

        나은미 ( Eun Mi Na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5 漢城語文學 Vol.34 No.-

        한성인 글쓰기 대회는 2015년 현재 10회 대회를 열었다. 이 대회는 2006년 < 사고와 표현 > 교과과정과 연계된 비교과프로그램으로 마련된 것으로 1학기에 개최된다. 대회의 공고에서 심사까지는 약 한 달가량이 소요되며, 예심, 중심, 본심을 거쳐 수상자를 선정한다. 대회 문제는 학문의 연관성과 시의성을 고려하되 대학생으로서 사유하고 자신의 의견을 개진할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한다. 대학 글쓰기 대회가 글쓰기 교과와 연계된 비교과과정으로 운영되는 것이라면 기초교육과 실용교육에 소외된 교양교육으로서 정체성과 시대적요구를 적절하게 반영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대학 글쓰기 대회는 현대적 의미의 교양인으로서 관심을 가져야 다양한 주제를 제시함으로서 교양인으로서의 사유를 촉발하도록 기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학 수학기간에 배운 다양한 전공 지식을 융합하고 통합할 수 교육적 체험의 장이 되어야 할 것이다. Hansung University Essay Contest has hosted 10 essay contests as of year 2015. This contest is arranged as a part of extracurricular program in connection with the regular course called ‘Thoughts and Expressions’ in 2006 and is hosted in spring semester. It takes about a month from announcement to evaluation of the event and prize winners are selected through the process of preliminary, intermediary and final evaluations. Essay questions are chosen from various topics in consideration of relevance and timeliness of a study, on which college students are able to contemplate and present their opinions. Essay contests, if provided as part of extracurricular program, need to have the identity of liberal education somewhat alienated by basic education and practical studies and the needs of the contemporary times appropriately incorporated into them. Therefore, college essay contests should be planned to trigger profound thoughts of cultured persons by presenting a variety of topics that deserve attention of cultured persons in the contemporary. In addition, it should serve as an opportunity of educational experiences where students are able to integrate a variety of knowledge in major field of study accumulated during their academic years.

      • KCI등재후보

        대학 신입생의 글쓰기 능력에 대한 학생 자신의 인식 분석 -한성대학교 2014년 신입생을 대상으로-

        나은미 ( Eun Mi Na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4 漢城語文學 Vol.33 No.-

        이 연구는 대학 신입생을 대상으로, 학생 자신의 글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을 조사 분석한 것이다. 조사 대상은 2014년 한성대학교 <사고와 표현> 수강생이며, 조사는 3월, 수강 전에 이루어졌다. 설문 조사는 어문 규범 능력, 글의 구성 및 전개 능력, 다양한 유형의 글 수행 능력, 자기 조절 능력 및 지속적 가능성, 글쓰기 중요성에 대한 인식 등 5개 유형에 대해 총 24개 문항에 대해 이루어졌다. 글쓰기 능력에 대해 학생 자신이 생각하는 점수는 평균 66.22점으로 나타났다. 어문 규범에 대한 능력에 대해서는 ‘그렇다’는 응답이 가장 높은 반면, 글의 구성 및 전개 능력에 대해서는 ‘조금 그렇다’가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다. 어문 규범 중에서는 띄어쓰기와 문장 부호의 사용을 맞춤법보다 어렵게 느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문대를 제외한 25%의 학생들이 글의 목적과 독자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고, 다양한 유형의 글을 수행하는 능력에 대해서 ‘조금 그렇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글쓰기 과정에서 쓰기 과정 및 자신을 조절하는 능력에 대한 믿음은 ‘별로 그렇지 않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글쓰기를 잘할 것이라는 막연한 믿음은 높은 데 반해 글쓰기를 잘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은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 조사 결과는 글쓰기 능력에 대한 학생 자신의 인식을 분석한 것이다. 쓰기 능력에 대한 인식이 글쓰기 능력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므로 결과의 해석 및 수용에 주의가 요구된다.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self-awareness of writing skills by college freshmen students. The subjects are attendees of <Thought and Expression> at Hansung University in 2014, and the study was conducted in March, before the lecture began. The survey was composed of total 24 questions in 5 categories such as language standard ability, composition and expansion ability, ability to compose various types of writings, ability of self-adjustment and continuous possibility, and awareness of significance of writing. The self-evaluated score for composition by students was 65.22 on average. While the response of “Very Likely” was the most frequent response from the ability of language standard, the response of “Likely” was the most frequent response from the ability of writing and expansion. Among the language standard, students felt more difficult in spacing among words and use of punctuation marks than in spelling. The 25% of students excluding those in liberal arts school showed insufficient consideration regarding purpose and readers of writings, and the response of “Likely” was the most frequent response from the ability of conducting various types of writings. The response of “Not Likely” was the most frequent from the ability of self-adjustment and writing steps. On the other hand, vague trust of performing good writing was high, while there was no active effort to write good writings. The result of this survey is to analyze self-awareness of writing skill by students. Since awareness of writing skills is not equivalent to the actual ability of writing, one shall be aware of analyzing and accep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 인터넷 환경하에서의 가상대학 시스템 설계

        김영웅 漢城大學校 1999 論文集 Vol.23 No.3

        최근 들어 정보화 수준에 따라 대학을 평가해 차등 지원하려는 정책과 사회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어 각 대학들의 정보화는 반드시 추천해야 할 과제로 부각되고 있다. 이를 위해 대학마다 기존의 단순 전산 시스템을 정보시스템으로 교체하고 새로운 교육환경과 교육방법을 지원하는 정보시스템 구축에 접근하려는 노력이 가시화 되고 있다. 가상대학(Cyber University)의 경우 전국 70여 개의 대학이 직·간접적으로 가상대학 구축 및 운영에 참여하고 있지만 일부 강좌에 국한하여 원격교육만을 시행할 뿐 가상교육을 위한 콘텐츠가 극히 빈약하여 기존 교육내용과 차별화 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논문은 21세기에 전개될 가상대학 운영을 위한 제반 기술의 이론을 적용하고, 사이버 공간에서의 가상대학 운영을 위한 입학/수강/강의/평가/학적 등의 제반 절차를 정립하고 이를 구축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 소프트웨어 구조, 원격교육 서비스, 학사관리 서비스 구축에 필요한 요소기술과 적용시나리오를 설계하여 향후 시스템 구축시 활용 할 수 있도록 가상대학 구현을 위한 설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어 교재의 요약하기 관련 활동 분석 연구 -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과 관련성에 주목하여 -

        최수현 ( Choi Soo-hyu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7 漢城語文學 Vol.37 No.-

        본 연구는 대학 입학 전 언어교육기관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에서 학문 활동을 하는 데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요약하기 능력에 대한 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조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국내 대학 부설 언어교육원에서 폭넓게 쓰이고 있는 교재 중에서 고급 단계의 교재 4종을 선택하여 요약하기 관련 활동을 분석하였다. 대학 입학 전 사용하는 한국어 교재를 대상으로 요약하기 관련 활동을 분석한 결과, 세 가지 측면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먼저 요약 대상 텍스트는 대부분이 읽기 텍스트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대학 생활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강의` 혹은 `발표`에 관한 텍스트가 제시되기는 했지만 그 비중이 매우 적어 실제 강의를 듣고 요약하거나 발표를 듣고 요약하는 능력을 키우기에는 부족하였다. 다음으로 요약하기 활동에 관한 측면에서는 내용을 추출하는 활동과 구조를 파악하거나 새롭게 구조화하는 활동, 그리고 요약할 때 표현적인 지식을 교수하는 활동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대부분 내용을 찾아 요약하는 활동에 치중되어 있었다. 전체 글의 내용을 파악하기보다 특정 정보만을 찾아 요약하는 활동이 대부분이었다. 반면에 구조와 표현에 대한 활동은 너무 적어서 학습자가 요약을 할 때 구조를 파악하거나 어떤 표현을 쓸지에 대한 능력을 키우기 어려워 보였다. 마지막으로 대학에서 필요한 `복수텍스트 요약하기`와 관련된 활동이 한 개 제시되기는 했지만 활동이 너무 단순해서 실질적으로 복수 텍스트를 요약하는 능력을 키우는 데에는 부족해 보였다. 교재 분석 결과 대학에서의 요약하기 활동이 제시되고 있기는 하지만 전체적으로 그 숫자가 매우 부족하며 내용 또한 단순하여 외국인 학습자가 대학에서 요약하기 활동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키우는 데에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basic ability of university students is to understand, analyze, and utilize knowledge. It is very closely related to the summary activities. Summarizing means identifying the content structure and format of text and selecting a central content and reorganizing it with new text. Therefore, it is a very difficult activity for Korean students as well as foreign students.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foreign students need to be educated how to summarize. However, research has not shown that foreign students before entering university how to be educated. Therefore, it analyzed the textbooks used by the Korean language institutions, which are used by institutions in the Universities. And studied summary activities that helped them perform academic activities in college. we wanted to find out how much education is happening to foreign students who enter a university, which is a very important but difficult way to learn about foreign students. Seeking to extract summaries related to learning activities that are helpful to foreign students and analyze the activities involved in the university, we wanted to find out how much education is happening to foreign students who enter a university, which is a very important but difficult way to learn about foreign students. As a result, there was a summary of summaries, but there were a number of summary activities that were targeted mostly for read text and not various summaries, such as listening and summarizing frequently used in college. Also, the type of text was focused on reading text. Only two activities concerning the background of college life. Also there was only a few activities in the books that to find out the structure. There was also a very small amount of activity in understanding the structure of long texts. Although there was one problem with using two text messages, the problem was that the problem was not enough to prepare a complex text summary in the university. Through this study, it has become an opportunity to learn about the summary that should be provided to academic learners in the future.

      • 북한의 외국어로서 조선어 교육과정 연구 - 유학생 A의 학습 경험을 중심으로 -

        김지예 ( Kim Jiyea ),조염정 ( Zhao Yanting ),최유진 ( Choi Yu-jin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9 漢城語文學 Vol.41 No.-

        본고는 북한 조선어교육의 면모를 확인하고자 한다. 이는 북한의 조선어교육이 외국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한국어교육의 한 분야로서 연구의 가치를 지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북한 김일성종합대학에서 외국어로서 조선어교육을 경험한 유학생 A를 대상으로 자서전적 글쓰기와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추가적으로 조선어교육 관련 실물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연구의 완전성을 도모하였다. 이를 통해, 본고는 북한의 조선어교육 중에서도 중국인 장학생의 실습생 교육 프로그램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중국인 장학생들은 1년 단위로 60명가량이 7개월간 북한의 김일성종합대학 혹은 김형직사범대학으로 파견되었다. 북한의 교육과정은 언어 교육의 목표와 체제 선전의 목표를 동시에 갖고 있었으며, 조선어과목 외에 다양한 내용 교과를 운영하고 있었다. 조선어교육은 하루에 180~270분 정도로 이루어지며 김일성종합대학교에서 개발한 7종의 조선어 교재를 활용하였다. 교사 중심의 강의식 수업이 이루어졌으며 주된 연습활동은 낭독이었다. 교육과정 내에서 평가는 성취도 평가가 기말에 1회 이루어졌다. 유학생 A는 북한의 유학 경험이 자신의 인생을 풍부하게 하는 경험이었다고 회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heck the aspects of Joseon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 because it has the value to research as one sector of Korean education conducted for foreigners. To achieve it, autobiographical writing and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for A foreign student who experienced Joseon language education in Kim Ilseong Univ. of North Korea. Also, completion of this research was additionally promoted by analyzing Joseon language education related real materials and precedent researches. Therefore, this thesis could reorganize the program of Joseon language education of North Korea, especially, trainee educational program of Chinese scholarship student. About 60 Chinese scholarship students of each year are dispatched to Kim Ilseong Univ. or Kim Hyungjik College of Education in North Korea for 7 months. North Korean curriculum had goals of linguistic education and system propaganda at the same time and managed diverse subjects other than Joseon language. Joseon language education was conducted for 180~270 minutes per day and used 7 kinds of Joseon language materials developed by Kim Ilseong Univ. Lecture classes focusing on teachers were conducted and main practice was recite. In the curriculum, achievement evaluation was conducted 1 time at the end of the term. Foreign student A looked back that studying in North Korea enriched his or her life.

      • 한성대학교 2001학번과 2002학번 신입생의 컴퓨터교육에 관한 연구

        이재득 漢城大學校 2002 論文集 Vol.26 No.1

        1981년 PC가 세상에 시판되어 선보인지 벌써 20년이 넘어가고 있다. 1965년 인텔의 공동 설립자인 고든 무어는, 집적 회로에 있는 트랜지스터의 숫자는 매년 두 배로 늘어날 것이라고 예측했다. ‘무어의 법칙’으로 명명된 그의 관측은 얼마 뒤 매년에서 ‘18개월마다’로 바뀌었고, 이 법칙에 따르면, 같은 값에 살 수 있는 컴퓨터의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씩 뛰어오른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컴퓨터의 가격도 매년 하락하여 지금은 각 가정마다 컴퓨터가 전화기같은 가전제품처럼 취급을 받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최근 삼성전자 황창규 반도체부문 사장은 이른바 ‘황의 법칙’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으며 그 법칙은 "앞으로 메모리 반도체의 최대 수요처는 PC가 아니라 정보기기이며 칩의 성능은 18개월마다 2배로 향상되지 않고(무어의 법칙) 시황과 관계없이 고부가가치를 창출한다"는 것이다.[1] 매년 새학기가 되면 전국의 많은 대학에는 신입생을 상대로 기초 컴퓨터과목의 교양 강좌가 개설이 된다. 또한 신입생들은 본인의 컴퓨터의 능력과는 관계없이 이러한 컴퓨터 강좌를 교양과목으로 수강하여야 한다. 신입생간의 컴퓨터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의 격차가 매년 증가함에 따라 신입생간의 위화감도 형성이 되고 가르치는 강사의 처지에서도 내용의 조정에 어려움을 느끼게 되는 것도 피할 수 없는 현상 중의 하나이다. 이에 2001학년도에 한성대에 입학한 신입생 중 공과대학 소속의 산업 및 기계시스템공학부 학생 142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기본적인 컴퓨터 지식과 그들이 생각하고 있는 컴퓨터에 관한 생각을 조사하였고 2002년에도 159명의 신입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신입생들의 컴퓨터에 관한 생각을 좀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그들에게 맞는 cyber 강좌를 포함한 교과과정을 개발 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획득할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대학 글쓰기 교육의 비판적 검토 및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

        나은미 ( Eun Mi Na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3 漢城語文學 Vol.32 No.-

        이 논문은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학술 글쓰기 중심 교육과 전형성에 대한 교육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을 고찰한 것이다. 검토와 제안은 다음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지식 기반 사회에 필요한 새로운 글쓰기 방식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지금까지 대학 글쓰기는 학술 글쓰기, 특히 계열별 글쓰기 교육을 지향해 왔다. 하지만 분과 학문 중심의 연구 결과들을 통합하고 융합하는 학제적 연구의 시대에 여전히 이러한 소통 방식이 유효한지 검토하고 새로운 연구 방법에 기여하는 소통 방식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둘째, 전형성의 문제는 이분법적 사고를 넘어 정도성의 문제로 바라볼 필요가 있다. 의사소통 목적에 따라 전형성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유형이 있는 반면 전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는 유형도 있기 때문이다. 또한 장르의 전형성을 회피의 대상이 아니라 해체 및 융·복합의 대상으로, 즉 창발적 쓰기의 토대로 관점을 바꿀 필요가 있다. 셋째, 대학 글쓰기가 나를 살리고, 세상과 소통하는 글쓰기도 수용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유형의 글쓰기는 쓰기에 대한 부정적 체험을 바꾸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며, 더 나아가 쓰기 활동이 자신의 삶을 보살피는 데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체험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다. This paper is aimed at critically examining the academic-writing-centered education in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and typicality education, and considering the direct of university writing education in knowledge-based society. This paper`s review and proposal are organized as three matters as follows: First, it`s necessary to be agonized about a new writing method needed for knowledge-based society aiming for knowledge convergence. Up to the present, university writing has aimed for academic writing, and specially, departmental writing education. However, we have to examine whether such a stereotyped communication method is really valid in the era of the interdisciplinary study which integrates and converges the departmentalscience- centered research results, and also give in-depth thoughts on the communication method that contributes to a new method of research. Second, it`s necessary look upon the dichotomous thinking in relation to typicality as an issue of degrees. In other words, it`s necessary to switch our existing viewpoint to the one by thinking of writing (a genre used as a simple communicative tool, and a genre as a medium of individual; creative thinking) as an issue of degrees. In addition, it`s also necessary to change our standpoint that typicality of a genre is not the object of evasion but the object of dissolution and convergence, or the basis of emergent writing. Third, university writing is required to accept both the writing that saves me and the writing that communicate with the world. The writing of such a typ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hanging one`s negative experience in writing, and further students may deeply feel that writing is helpful in caring for their own life after graduation.

      • KCI등재후보

        한국 근현대소설에 나타난 성북동, 낙산 일대의 형상화 고찰

        이정숙 ( Jung Sook Lee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4 漢城語文學 Vol.33 No.-

        한국 근현대 소설 가운데 서울 도심지가 배경인 소설이 상당수 있다. 그 가운데 성북동 낙산 일대가 배경으로 그려진 소설은 얼마나 있을까. 1936년 돈암지구로 형성된 성북천 일대는 한양도성의 동소문인 혜화문과 서울성곽의 동측에 있고 선잠단, 성락원 등 중요한 유적들이 있어서 현재는 역사문화 컨텐츠와 함께 한옥밀집지역으로 가치가 높다. 성북천과 이어진 삼청동이나 삼선교는 모두 도교적 명칭인데 이러한 신선 사상이 워낙 산악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만큼, 성북동 뒤의 북한산과 삼선동에서 이어지는 낙산이라는 지리적 환경이 중요한 의미가 있을 것이다. 이 일대에는 예술가들이 많이 살면서 당시의 모습을 그린 작품들도 있는 만큼 이 일대, 즉 한성대학교 근처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찾아 구체적으로 지역이 언급되어 있는 성북동 일대와 삼선교 일대를 배경으로 한 소설을 중심으로 한성대 근처가 어떻게 형상화 되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성북동 일대를 배경으로 한 이태준의 소설과 삼선교 낙산 일대를 배경으로 한 최정희의 <인정> 연작, 김동리의 <혈거부족>이 대상이 되겠다. 이태준의 성북동이 배경인 소설들은 일제 강점기에 발표된 작품들로 1930년대 작가가 성북동에 살았던 시기가 그려져 있고, 낙산 일대가 배경인 김동리의 <혈거부족>은 해방 이후 정부 수립 전이 배경이며, 최정희의 <인정> <정적일순>은 6.25가 시대적 배경이다. 이태준은 성북동에 십여 년 이상 살면서 성북동을 배경으로 한 서민들의 삶을 그린 작품이 여러 편 있고 그의 대표작들이 대개 이때 쓰여졌다. 작가 이태준이 살았던 시절인 1930년대 성북동 일대가 그렇게 넉넉하지 않았던 서민들이 살던 곳, 아직 인정이 남아있는 성 밖 마을이었고, 작가는 배우지 못해 어리석지만 악하지는 않은 하층민들에게 애정을 느끼면서 주로 자전적인 면들을 바탕으로 관찰자의 시각에서 그리고 있다. 김동리의 <혈거부족>은 해방 후 삼선교 한성 여중 일대에 산 위에 뚫려 있는 굴에 모여 사는 사람들이 제목으로 강조되고 있는데, 이 굴은 일제말기에 미군의 공습을 피하기 위해 조선총독부에서 판 것으로, 작품 모두(冒頭) 에 공간적 배경이 삼선교 돈암교 일대라고 구체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최정희의 <인정>은 6.25 와중의 낙산이 배경이고, <정적 일순> 은 <인정>과 연작으로 보이는 작가의 자전적인 면이 그려져 있는데 낙산의 지형적 사회적 특징이 6.25의 혼란과 함께 잘 그려져 있다. 낙산은 경복궁을 중심으로 좌청룡 우백호에서, 좌청룡에 해당하는 산으로 도성을 둘러싸고 있는 내사산-북악산(백악산), 남산, 인왕산, 낙산-가운데 가장 지대가 낮아 산 주변에 서민 주거지가 쉽게 형성된 곳이다. 현재 성북동이나 낙산 일대는 과거와는 매우 다른 만큼 이곳의 변모 양상을 살펴보기 위해서는 관련 작품을 찾아보는 일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There are lots of stories which back space is Seoul in Korean modern novels. Among them, how many stories are their back ground is sungbukdong and nak-san area? And how they are described in those novels? It is the taoistic name that Samchung-dong and Samsun-gyeo(bridge) which follow the beside Sung buk chun(stream). Originally the taoistic name came from the mountains. So we can guess the geographical environment which located behind the Bukhan-mt, and Nak-mt. is meaningful, Around these area, several writers lived there, but not so many works which describe or make figuration. In this thesis, I focused on the works which are described near by Hansung university. Lee tae jun, who had been lived Sungbuk-dong over 10 years in 1930```s , wrote many works around there include his representatives. In his works, he described common people`s life in this area at that times under the perspective with affection in the view point of observer. Kim dong ri wrote <혈거부족 the tribe who live in cave> which describe the people who live caves on the hill around Samsun-gyeo(bridge), near by Hansung girl`s middle school. The caves were built under the end of Japanese colonialism to avoid an air attack of U.S. It is also described the poor people after liberation from Japan, Choi chunghi`s 2 works, <인정 Human nature> <정적일순 Quiet at that moment> are described common people who did not take refuge during the Korean War living at the bottom of Nak-san. In this novel, we can guess the exceptional situation of this area in Seoul. It also expressed the author`s biographical situation and states of confusion under the war. Nowadays the aspects of these areas are changed completely. So we need to research the works which recently described on this area to study the changed aspects.

      • KCI등재후보

        국어교육,한국어교육 : 대학 글쓰기의 교육 현황 검토와 교육 방향의 설정

        이희영 ( Hee Young Lee ) 한성대학교 한성어문학회 2013 漢城語文學 Vol.32 No.-

        이 연구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에서 논의되는 여러 가지 개념들을 논의하고 대학 글쓰기 교육의 특성과 현황을 살펴본 후, 대학 글쓰기 교육이나아갈 방향에 관하여 논의하였다. 대학 글쓰기 교육에 대한 관심과 논의는 2000년대부터 증가하여 현재는 90퍼센트 이상의 대학에서 신입생 글쓰기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행하고 있고, 많은 대학들이 글쓰기 교재를 계열별로 발행하고 있으며, 일부 대학에서는 계열별 글쓰기 심화 강좌를 개설하고 있다. 현재의 대학 글쓰기 교육의 방향은 계열별 교육을 지향하고 있는데, 본격적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이 계열별로 분화되기 이전에 몇 가지 검토해야 할 사항들이 있다. 우선, 대학생들의 글쓰기 수준을 점검해야 한다는 점이다. 대학 글쓰기는 대학 이전과 대학 이후의 글쓰기를 모두 포괄하는 개념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둘째로는 ‘계열별’이라는 기준을 재검토해야 한다는 것이다. 학제적인 계열 분류보다도 각 학술적 글쓰기의 특성에 맞는 분류 기준의 재설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전공 유형별로 글쓰기의 특성을 파악하고 조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업을 바탕으로 하여 대학에서의 단계별 글쓰기 교육이 가능하며 구체적인 수업 방안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a general overview of current college writing and its features including several issues about college writing. Studies and discussions about college writing has been widespread since 2000. FYC(First Year College) writing course is mandatory to all of freshmen in 90% of Universities, and some Universities started to manage writing courses which are related with specific majors such as science and engineering, social science, humanities. College writing education is being carried out by division of departments. However, that division is based on school system not on features of majors. Some majors has their differences although they belong to the same department. In order to educate students write for their academic needs in their majors, writing styles and features of each majors should be researched. Basic writing classes for freshmen and advanced writing classes for groups of majors could be planned, and specific writing systems could be arranged according to the writing features and styles of maj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