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 사건의 재판실무상 제문제

        양종찬 중앙법학회 2020 中央法學 Vol.22 No.2

        Foster care to children who were protected in a protected facility established by law on guardian duties of minors in protective facilities is steadily in progress and the use of a child guardianship system to improve the fostering environment of foster families is also increasing. However the establishment of judgment criteria is a remarkably insufficient situation. Since 2015. the Central Family Consignment Support Center, the Korea Family Law Office, and the law firm Chung-Shin filed a lawsuit in collaboration, and among the cases, problems in trial practice were identified. In this manuscript, I would like to review the issues of jurisprudence in each case. First, is the Child Welfare Act a special law on civil law? If the mayor is likely to make a senior claim to be a minor guardian under the Children's Welfare Act, can the claimant set by the Civil Act not sue? Second, the guardianship system for minors operates under the Civil law and the Child Welfare Act, law on guardian duties of minors in protective facilities, Can a person designated as a guardian nominated by mayor under law on guardian duties of minors in protective facilities be the same as the guardian prescribed by the Civil law? What is the method of appeal when a foster parent is appointed as a new guardian when no guardianship designation has been canceled? Third, if the paternity is unable to exercise paternity due to unknown location, must it be declared a loss of paternity and request the appointment of a minor guardian? Is it possible to appoint a guardian without losing parental rights by analogy by applying other laws? In response, the court first determined that the Child Welfare Act is a special law to the Civil law, and if the Mayor is likely to make a claim, the civil law cannot make a claim. Second, the guardian determined by the law on guardian duties of minors in protective facilities and the guardian determined by the civil law are the same, In order to designate a foster parent as a guardian it must be filled alteration lawsuit. Third, it is impossible to request a guardianship without loss of parental rights if both parents are unknown whereabouts, and Other laws cannot be applied by analogy. The court's judgment In the case above is reasonable, but other judgments are possible. So I will criticize the court's judgment, and I will propose other criteria. 보호시설에 있는 미성년자의 후견 직무에 관한 법률에 따른 보호시설에 보호되던 아동에 대한 가정위탁이 꾸준히 진행되고 있으며, 위탁가정의 양육환경 개선을 위한 미성년후견제도의 이용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재판실무상 미성년후견제도에 대한 법리 연구와 일관된 판단기준의 정립은 현저히 부족한 실정이다. 2015. 이후 중앙가정위탁지원센터와 한국가정법률사무소, 법무법인 청신이 협업하여 진행하였던 다수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 사건 중에서도 법리 오해와 선례 부족으로 인한 재판실무상의 문제점이 확인되었는바, 수원지방법원 안양지원 2018느단100182호 사건, 수원지방법원 2018느단50818호 사건, 대법원 2019스561호 사건의 사례가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한다. 이하 본고에서는 위 각 사건에서 문제되었던 법리 쟁점을 검토하고자 하는바, 첫째, 아동복지법 제19조 제1항이 민법 제932조 제1항에 대한 특별법의 지위에 있다고 볼 수 있는지, 이로 인해 아동복지법 제19조 제1항에 따른 시·도지사 등이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를 할 가능성이 있다면, 민법 제932조 제1항이 정한 청구권자는 별도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를 할 수 없는 것인지 문제되었다. 둘째, 현행 미성년후견제도는 민법 이외에도 아동복지법, 보호시설에 있는 미성년자의 후견 직무에 관한 법률 등에 근거하여 운영되고 있는바, 보호시설에 있는 미성년자의 후견 직무에 관한 법률 제3조 제2항에 따라 그 보호시설의 소재지를 관할하는 시장 등에 의하여 후견인으로 지정된 자의 지위를 민법상 미성년후견인과 동일하게 볼 수 있는지, 동 법률 제7조에 따른 후견인 지정 취소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위탁부모 등을 새로운 후견인으로 선임하고자 하는 경우 구체적인 소의 방법은 무엇인지 문제되었다. 셋째, 민법 제928조는 미성년자녀에게 친권자가 없거나 친권자가 친권상실 등으로 친권의 전부 또는 일부를 행사할 수 없는 경우를 미성년후견개시사유로 정하고 있는바, 만약 친권자에게 소재불명 등 친권을 행사할 수 없는 중대한 사유가 있는 경우 민법 제928조가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지 아니함을 이유로 반드시 친권상실선고를 거쳐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를 하여야 한다고 보아야 할 것인지 또는 부모의 협의 또는 법원의 심판으로 단독친권자가 정해졌던 미성년자녀의 경우에 관한 민법 제927조의2를 유추적용함으로써 친권상실선고를 거치지 않더라도 곧바로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가 가능하다고 볼 수 있는지 여부가 각 문제되었다. 위 각 쟁점에 대하여 법원은 첫째, 아동복지법 제19조 제1항은 민법 제932조 제1항에 대한 특별법이라는 전제하에, 아동복지법 제19조 제1항에 따른 시·도지사 등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의 가능성이 있다면 민법 제932조 제1항에 따른 별도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는 허용될 수 없다는 입장에 기초하여 재판절차를 진행하였으며, 둘째, 보호시설에 있는 미성년자의 후견 직무에 관한 법률 제3조 제2항에 따라 후견인으로 지정된 자는 민법상 미성년후견인과 동일한 지위에 있다는 전제하에 위탁부모가 새로운 미성년후견인으로 선임되기 위해서는 기존 보호시설 장으로부터 위탁부모 후견인을 변경하기 위한 민법 제940조에 따른 후견인변경청구의 소를 제기하거나, 미성년후견인 선임청구의 소를 제기하되 소제기 전 또는 소송계속 중 기존 보호시설 장에 대한 후견인 지정이 취소되어야...

      • KCI등재

        “외톨이야” 사건 - 음악저작물 표절에 대한 판단 기준 - 서울중앙지방법원 2011. 4. 13. 선고 2010가단86875판결의 평석

        이재경 중앙법학회 2011 中央法學 Vol.13 No.4

        Plagiarism in music industry becomes a social issue through all the years, especially when popular rock band "CN BLUE"(the song "Loner") had a copyright issue with independent band "Y Not"(the song "Blue Bird") in early 2010, the latter eventually took the case to the court . The court held in favor of "CN BLUE" on April, 2011, meaning no copyright infringement found, but standard for the music plagiarism still remains in controversy. Standard for the music plagiarism needs two-step test. First, the direct evidence of access and then second the indirect evidence of access and striking similarity. Plaintiff has tremendous burden of proof for the access by direct evidence. Therefore, indirect evidence of access and striking similarity between 2 songs, it can assume replication. When the defendant is assumed to copy the plaintiff's work, the court should determine whether there is substantial similarity between the songs casued by the defendant's replication and illegal use. Only with the assumption of the defendant's replication, the court cannot approve his copyright infringement. Replication without substantial similarity can be seen as a new sepression where the defendant added creativity. Also, in a case where the access is approved but striking similarity is not approved therefore replication is not assumed but substantial similarity is approved, copyright infringement can be approved if independent creation is not approv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unconscious replication. Above all, the importance of the preventive measure against plagiarism should be noted among the public by the private independent committee which is consist of experts in music industry, other than the court, which might lack the expertise in music plagiarism case.

      • KCI등재

        실효적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를 위한 입법과제

        윤석진 중앙법학회 2019 中央法學 Vol.21 No.2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안전규제는 시설 이용자의 생명, 건강, 신체의 보호 등 보편적 인권보장을 위한 사회복지분야의 사회적 규제에 해당한다. 그래서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는 중앙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서로 협력하여 체계적으로 계획되고 집행, 관리되어야 할 필요성이 크다. 연구결과 현행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제도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계획의 비체계성, 안전점검 과정에서 중복규제의 발생, 안전관리 비용보조 제외 시설의 존재에 따른 안전관리 사각지대 발생, 복잡한 규제전달체계에 따른 사회복지시설 유지관리의 혼선 등의 문제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의 현안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우선 보건복지부에게는 사회복지시설에 대한 종합적 안전관리 계획 수립권을, 지방자치단체에게는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시행계획 수립권을 부여할 것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여러 부처에서 시행 중이서 복잡하기만 한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기준을 단순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이 경우 보건복지부가 주도적으로 통합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기준을 설정·공표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고 지방자치단체는 보건복지부의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기준을 기초로 하여 지역현실을 감안한 세부적인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 기준을 정하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그리고 중앙정부와 더불어 지방자치단체가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에 주도적 권한을 담당하게 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게 사회복지시설 안전관리에 관한 조례제정권한을 부여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Safety management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corresponds to the social regulation of the social welfare sector in order to guarantee universal human rights such as the life, health and the body protection of users of facilities. Therefore, the safe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needs to be systematically planned, enforced and manag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in cooperation with each other.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current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ystem is composed of the non-systematic safety management plan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 occurrence of duplicate regulation in safety inspection process and confusion in the maintenance and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erefore, in this paper, in order to solve the pending issue of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all grant the right to establish comprehensive safety management plan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right to establish safety management plan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to local governments suggested. And proposed simplifying the complicated social welfare facility safety management standards that are being implemented by various government department. In this cas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hould set up and announce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integ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In addition, local governments have suggested measures to establish detailed safety management standards for social welfare facilities based on local community safety management standards of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o this end, this paper proposes a plan to grant local governmen's the right to municipal ordinances on the safe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 KCI등재

        일본의 국가경제발전을 위한 기술실증제도의 개혁과 그 시사점

        김경석 중앙법학회 2017 中央法學 Vol.19 No.2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brings enormous economic effects and the most important part of it or process is merchandizing beyond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tself. Considering the situations of vigorous global competition, the national support for the technology development is not an option, but an absolute must and it should include the stage of merchandizing. All the countries suggest a variety of policies to lead so call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ssence of them is mitigating regulations and private-initiation. The general trend is that a government mitigates the regulations to help corporates develop technology and merchandize. As mentioned above, Japan is one of the countries that makes much efforts to help its corporates getting more competitive via various supporting systems for new technology development and merchandizing. This effort will eventually make the country more competitive. The supports are localized based on multiple locations rather than centralized. The technology development requires tons of money/capital and time and merchandizing includes numerous risk factors. Therefore, the systematic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make one country competitive in the global market nowadays. Even though there are laws and regulations that ordain the national support for the advanc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uth Korea, it is believed that practical supports lack (are not good enough). Thus, urgent efforts are required to mitigate the regulations and enable various support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or technology with local bases. Through all these efforts, the technology development and merchandizing of products with global competitiveness can be realized. 새로운 기술의 개발은 막대한 경제적 효과를 가져오며, 그 과정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단순한 기술의 개발을 넘어서 이를 제품화하는 것이다. 세계적으로 심화되는 경쟁상황 속에서 국가가 기술개발을 위해 최대한의 지원을 하는 것은 선택이 아니라 필수이며, 그러한 지원속에는 개발된 기술을 제품화하는 단계도 포함되는 것이 명확할 것이다. 세계 각국은 이른바 4차 산업혁명의 주도권을 잡기 위해 다양한 정책들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중 대표적인 것은 규제완화와 민간주도라고 할 수 있다. 즉, 규제완화를 통해 기업들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제품화하는 것을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최근 세계 각국들의 일반적인 흐름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일보 인터넷 신문, 2017년 4월 25일.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7042501030803018001 위에서 살펴본 것처럼 일본은 새로운 기술의 개발과 이를 제품화하는 실증단계에 적용되는 다양한 지원제도를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이를 통해 국가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지원은 중앙에 집중된 것이 아니라, 각 지방을 거점으로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다. 기술의 개발도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지만, 이를 제품화하는 것도 수많은 리스크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은 우리나라의 경쟁력 향상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본의 사례에서 우리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먼저, 국가는 기술의 개발이 제품화로 이어질 수 있는 제도를 마련하고 이를 지원할 필요가 았다. 두 번째, 이러한 지원은 구체적인 법제도를 통해 마련되어야 한다. 세 번째, 구체적인 지원방안은 규제의 완화와 금전적인 지원 등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마지막으로 실제 실증시설이 위치하고 있는 지역의 경제발전에 기여할 수 있도록 지역적인 특성을 반영한 제도가 마련되어야 한다.

      • KCI등재

        EU 암호자산시장법(MiCA)에 관한 고찰 - 암호자산 규제법으로서의 포괄성과 그 한계를 중심으로 -

        심인숙 중앙법학회 2023 中央法學 Vol.25 No.4

        수년간의 입법과정을 거쳐 2023년 6월 드디어 유럽의 ‘암호자산 시장에 관한 법률’(Regulation(EU) 2023/1114 Markets in Crypto-Assets, 이하 “MiCA”라고 한다) 이 공포되어 2024년 본격 시행을 앞두고 있다. 암호자산에 관한 포괄적인 맞춤형 단독 법률을 마련한 입법으로서 세계 최초의 사례라고 할 만하다. MiCA의 출현은 EU 시장에서의 영향은 물론 전 세계적으로도 암호자산에 관한 입법 모델로서 다른 나라의 규제체계 구축에 지대한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글에서는 MiCA가 모든 암호자산에 관한 모든 문제를 포섭할 수 있을 정도로 ‘포괄적’인지 그 ‘한계’는 어디까지인지에 집중한다. MiCA는 총 9편(titles) 149조(articles)로 이루어진 본조문(enacting articles)과 119개 항목의 전문(recitals) 및 6개의 부속서(annexes)로 구성된, 249페이지에 이르는 방대한 법률이다. MiCA는 EU 법체계상 “법률(regulation)”로서, 개별 회원국의 입법조치 없이 MiCA가 발효되면 바로 구속력 가지고 회원국 전체에 대하여 직접 효력을 미친다. 즉 EU 전체에 동일한 법률이 적용되고, 그 집행은 개별 회원국별로, 그러나 개별 회원국의 인가 등의 혜택은 다시 전체 EU에 미치는(소위 “EU여권 (EU Passport)”) 규제체계이다. MiCA는 EU 전체의 암호자산 시장을 하나의 시장(single market)으로 묶어서. 암호자산 관련 서비스 제공자에 대한 인가체계를 도입하고, 암호자산을 공모하거나 시장에 유통시키려는 행위에 대하여서도 공시제도를 도입하였으며, 소위 스테이블코인에 해당하는 자산준거토큰이나 이머니토큰에 대하여는 엄격한 규제 체계를 마련하였고 불공정거래행위 규제도 규정하는 등 EU내 암호자산 거래 전반을 규율하는 체계를 제시한 방대한 법률이다. 기본적으로 업계와 시장이 친숙한 기존 금융규제법령 체계(MiFID II)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아직은 미숙한 단계에 있는 암호자산시장의 현실과 디지털 특성을 감안하여 기존 체계를 그대로 적용하지는 아니하고 규제 대상에 따라 ‘포괄적인’ ‘맞춤형’ 입법을 하였다고 평가할 수 있다. 또한 MiCA 시행 이전에 발행된 기존 일반암호자산이나 자산준거토큰 및 암호자산 서비스업자에 대하여서도 MiCA가 부분적으로 적용될 수 있도록 시간적 포괄성도 어느 정도 구현하였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MiCA는 암호자산 시장 참여자에 대한 행정규제법적 성격을 가지는 금융규제법으로서, 암호자산을 대상으로 하는 권리의무관계에 관한 사법적 측면(도산법‧국제사법 포함)이나 자금세탁방지법제 측면 등은 그 대상으로 하고 있지 아니하다는 점에서 그 포괄성에 한계가 있다. 또한 금융규제법적 측면에서도 모든 암호자산에 대하여 MiCA가 망라적으로 적용되도록 설계된 것은 아니다. 무엇보다도 MiCA의 정의에 따른 암호자산이라 하더라도 기존 금융규제법령이 우선 적용되고 MiCA는 기존 규제체계가 적용되지 아니하는 암호자산에 관한 사각지대를 메우는 보완적 역할을 할 뿐이라는 결정적 한계가 있다. 게다가 기존 금융관련법령의 적용대상인지 아니면 MiCA 적용대상인지의 분류기준은 여전히 모호하다. 또한 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등도 적용대상이 아니고, 게다가 NFT, De-Fi 등 최신 기술 발전에 따른 영역은 대체로 MiCA 적용 범위에서 제외하고 있어, MiCA의 포괄성은 상당히 제한적이다. EU의회가 이러한 미흡한 점을 어떻게 보완할지, 또한 내년 6월말, 내년 말까지로 예정되어 있는 MiCA 시행을 위 ...

      • KCI등재
      • KCI등재

        미국 디지털자산의 포괄적 규제를 위한 「책임있는 금융혁신법안」에 관한 소고

        심인숙 중앙법학회 2022 中央法學 Vol.24 No.4

        최근 미국 내에서는 디지털자산 관련한 입법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데, 그중 2022. 6. 7. 미 의회에 제출된 「책임있는 금융혁신법(Responsible Financial Innovation Act, 이하 “RFIA”라 한다)」을 중심으로 간략히 고찰한다. 현재까지 디지털자산 전반을 포괄적으로 규율하기 위한 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입법은 이루어지지 아니하였고, 기존 법체계 내에서 개별 사안별로 해당 규제당국의 유권해석에 따라 법적용 및 집행 여부가 결정되는 상황이어서 법적 불명확성에 따른 예측가능성 확보의 어려움이 지적되어 왔고 또 다른 한편 규제의 사각지대 발생에 따른 투자자보호 및시장 리스크 전이 위험에 제대로 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미 의회 상원에서 양당 공동으로 발의된 최초의 포괄적 입법안인 RFIA는 현재 제안된 내용대로 입법화될 것으로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디지털자산과 관련하여 그간 제기된 제반 문제를 거의 망라적으로 다루고 당장 구체화하기 어려운 문제는 적어도 장래 숙제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앞으로 미국 내 디지털자산 관련 입법에 있어 적어도 논의의 출발점으로 기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RFIA는 총 8편(title) 54절(section)로 구성되어 있는데 기본적으로 금융법적 시각에서 바라본 다양한 쟁점을 다루고 있다. 그 규정체계면에서는 독립된 새로운 법을 제정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법체계 틀을 전제로 다수의 법령을 개정하는 방식을 채택 하고 있고, 포괄적 규제권한을 가진 감독당국을 신설하지 아니하면서 기존 규제당국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거나 조정하는 방식으로 규제권한을 가진 자를 명확히 하고 있다. RFIA에 포함된 무수한 쟁점 중에서 이 글에서는 다음 세 가지 주요 쟁점을 분석하고 소개한다. 첫째, RFIA는 논란의 중심에 있어온 핵심적 문제인 디지털자산의 분류기준, 즉 디지털자산이 증권법상 ‘증권’으로서 증권거래위원회(SEC)의 규제대상인지 아니면 상품거래법상 ‘상품’으로서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 규제대상인지 아니면 양자 중어디에도 해당하지 아니하는지를 구분하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한다. 증권적 속성을 가지지 아니하는 대부분의 디지털자산을 상품거래법상 ‘상품’으로서 CFTC의 배타적 규제권한에 속함을 명시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상품에 속하는 디지털자산을 거래할 플랫폼을 디지털자산 거래소로 등록할 수 있도록 제도권 내로 포섭하고 동 거래소에 적용할 핵심원칙을 규정하였으며 거래소 파산시 거래소 고객이 다른 채권자에 우선권이 있음을 명시하고 있다. 둘째, RFIA는 지급결제형 스테이블코인(payment stabelcoins, PS)에 대하여 ‘증 권’이나 ‘상품’과 별개의 규제체계를 도입하였다. 예금취급기관이나 별도 승인을 받은 자가 PS 발행 등 관련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고, PS 발행인에 대하여 100% 기발행 PS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준비자산 보유를 의무화하고 파산시 PS 보유자가 우선권을 가지도록 함으로써 투자자 보호를 꾀하였다. 셋째, RFIA는 디지털자산 관련 다양한 과세문제에 대한 해결을 시도하였다. 디지 털자산 거래에 대하여 미화 200불 최소 면세기준을 도입하고 DAO의 세법상 지위를 명시하였으며 디지털자산 대차거래시 비과세, 채굴 및 스테이킹으로 인한 소득의 이연 과세, 세법상 보고의무자인 중개업자 개념 등을 명확히 하였다. 그리고 국세청 (IRS)에 대하여 기타 디지털자산 관련 과세 가이드라인을 제정할 ... On Ju ne 7, 2022, U.S. Senators Cy nthia Lu m m is(R) a nd Kirsten Gillibrand(D) introduced the Lummis-Gillbrand Responsible Financial Innovation Act(hereinafter the “RFIA”), the first bipartisan attempt to bring stability and clarity to digital assets industr y through the comprehensive legislative proposal that would create a regulator y framework for digital assets in the United States. Even though it is unlikely that the RFIA will be legislated in its current form in the near term, the bill touches myriad of issues relating to taxes, securities, commodities, consumer protection, payments and stablecoins, banking laws and interagency coordination involving digital assets and will serve as a benchmark and starting point for negotiations for future legislation. The RFIA consists of eight titles and 54 sections and integrates digital assets into the existing legal framework by way of long and detailed amendments to tax, securities, commodities, banking and other laws and clarification, expansion and adjustment of the jurisdictions of the existing agencies over digital assets. In this article, the author focuses on, among others, three main elements of the RFIA. First, the RFIA proposes a clear standard to determine whether a digital asset is deemed a “security” or a “commodity”-an important distinction because securities are regu lated by the Securities and Exchange Commission(SEC) under securities laws and commodities are regulated by the Commodities Futures Trading Commission(CFTC) under the Commodity Exchange Act. Under the bill, most digital assets including “ancillary assets” would be considered to be commodities, not security, unless those have security-like characteristics, and the CFTC would have “exclusive” jurisdiction over such assets, although it would preserve certain SEC reporting requirements. Also it provides a robust framework for digital asset exchanges to register with the CFTC and clarifies certain points regarding the treatment of digital assets in bankruptcy of such exchanges. Second, the RFIA proposes a set of regulations covering the “payment stablecoins”(PS), separate from the securities or commodities regime. The bill would authorize depository institutions(DI, both insured by the FDIC and uninsured) to issue, redeem, and conduct all incidental activities relating to PS, subject to obtaining prior approval from federal or state banking regulators, neither the SEC nor the CFTC. Notably PS issued by a DI would not be regulated as a commodity or a security. It mandates that all issuers of PS maintain 100% backing of any issued PS in highquality liquid assets and provides that the claims of the PS holders would have priority over claims of all other creditors including depositors. It also provides that regulated entries that are not depository institutions would not be prohibited from issuing and redeeming PS and engaging in related incidental activities, subject to the asset maintenance, disclosure and redemption requirements applicable to DI issuers. Third, the RFIA attempt to modify existing tax law treatment with respect to digital assets. It allows for a de minimus exemption for purchases with virtual currency and establishes that decentralized autonomous organizations(DAOs) are business entities for U.S. tax purposes and digital asset lending transactions should generally not be taxable. It also provides for a deferral of income tax on digital assets obtained from mining and staking until the time of the disposition of such assets. It establishes that digital asset miners and validators should not be considered brokers for income tax purposes. Further it requires the Treasury(i.e., IRS) to adopt guidances on taxation of digital assets. The author concludes that in Korea ther is currently no comprehensive regulatory framework on digital assets and we need to be prepared for the upcoming legislations in conformity with the international standards including those in ...

      • KCI등재

        미국에서의 대통령에 의한 규제심사

        김대현(Dae Hyun Kim) 중앙법학회 2010 中央法學 Vol.12 No.1

        The U.S. presidential regulatory review system has been developing over 30 years. Occasionally, this system was criticized by many people including academics because of its abuse by the political power group. Nevertheless, the review system have been stabilized and institutionalized over time. This article overviews development of the presidential review system of federal rulemaking and its particular aspects. After selecting some of meaningful legal issues, which raised by critics in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U.S. review system, this article analyzes them and seeks possible implications for korean case. Some of conclusions in this article are as follows: First, in light of "take care clause" and "opinion clause" of the U.S. constitution, the president is not the agency, but the executive branch which taking care of and consulting with agencies. Agencies`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is allocated and imposed by the Congress according to U.S. constitution article 8, 18(necessary and proper clause). The president persuasively is an "Overseer", not a "Decider". Accordingly, OIRA should function as a "Counsellor" or "Coordinator", not as a "Gatekeeper". This position is much more consistent with the current executive order 12866. In Korea,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ident and agency is not the crucial legal issue. That`s because Korean constitutional law definitely gives the president, as a chief of the executive, an ultimate decisive authority. Second, executive order 12866 provides transparency clauses with unprecedented strict standard which requires OIRA to obey. This is a defending installation against the most secret regulatory review in Reagan administration. In light of korean experience, this kind of transparency clauses adversely need to apply to agencies rather than regulatory review institute. The U.S. regulatory review tracking system and "reginfo.gov" would be worth of taking a close look for improvement of our regulatory review information service. Third, delay in the regulatory review system is not likely to have significant problems except the case of Reagan administration`s unduly use. Rather, delay in the entire rulemaking process have more problems. Lots of procedural and analytical requirements of rulemaking and two time`s review(proposed rules and final rules) should be simplified. In korea, delay is not the major concern and adversely "too hurry" sometimes makes problem. Fourth, newly incorporating independent regulatory agency`s rules into the scope of individual review by OIRA seems to be unsuccessful because of Congress` opposition and legal disputes in court. One of possible alternatives is to lead independent regulatory agencies to participate in the OIRA regulatory analysis review program on their own initiative. This is a story which is far from the case in Korea. Finally, attempting to incorporating "significant guidance documents" into the scope of regulative review by OIRA, I think, is a step in the right direction under the condition of limiting to only significant guidance documents which have almost the same legal effect as that of rules. This argument definitely apply to Korean guidance doc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