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기업의 위기대응전략에 대한 소셜 미디어 이용자의 반응 연구

        김보라,김우희,정윤혁,Kim, Bora,Kim, Woohee,Jung, Yoonhyuk 한국빅데이터학회 2017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2 No.1

        The importance of online communication is getting increased by the rapid growth of smartphone supply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use. Catching up with the trend, firms are actively use SNS to improve brand image, promote products, and communicate with customer. On the one hand, SNS is the channel for firms' marketing activities, but on the other, it is also the channel where the events related to the firms propagate in real time. Firms are led to unexpected state of crisis, when events are quickly spread out on SNS. Then firms are assessed their image by the way they deal with the state of crisis. This paper proposes to figure out user response on SNS according to each crisis response strategies by analyzing event-related twitter data when crisis situations of firms arise. We classify crisis response strategies into response attitude, defensive and accommodative response, and response speed, fast and slow response. This paper suggests optimal crisis response strategy to firms regarding state of crisis propagated on SNS. 기업은 자사의 브랜드 이미지 제고, 제품의 홍보와 고객관리를 위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나아가 기업의 위기상황에 대한 실시간 대응 채널로서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용은 확장되고 있다. 특히, 기업의 예상치 못한 위기상황이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 전파되는 경향이 있다는 점에서 기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한 위기대응은 효과적이다. 이러한 대응은 소비자의 기업의 이미지 형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기업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대응 사례를 태도(수용적 vs. 방어적)와 속도(빠른 대응 vs. 느린 대응)로 구분하여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상의 위기 관련 트위터 버즈의 지속기간을 분석하였다. 12개의 기업 위기 대응 사례에 대한 트워터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기업의 위기대응 전략 수립 및 위기별 대응전략 수립에 기본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AI 스피커 목소리 특성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 연구

        백승주(Seung Ju Paek),정윤혁(Yoonhyuk Jung)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2

        본 연구는 AI 스피커 목소리의 3 가지 특성(인간 유사성, 목소리 높낮이, 발화 속도)과 사용자의 호감도와의 관계를 탐색한다. 음성 분석 및 합성 소프트웨어인 Praat(프랏)을 활용하여 AI 스피커 목소리를 변조하여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환경을 구현하였고, 84 명이 실험에 참여하였다. 분석결과, AI 스피커 목소리에 대해 인간 유사성이 높다고 인식할수록 호감도가 높아졌고, 발화 속도가 빠르다고 인식할수록 호감도는 낮아졌다. 목소리의 높낮이와 호감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결과값이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AI 스피커에 대한 사용자의 반응을 목소리 특성에 기반하여 분석함으로써 사람과 AI 플랫폼 간의 음성 기반 상호작용에 대한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한다.

      • 프로모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프랜차이즈 외식 산업의 SNS 버즈 분석을 중심으로

        정민서,이철진,윤지희,정윤혁,Jeong, Min-Seo,Lee, Cheol-Jin,Yoon, Ji-Hee,Jung, Yoonhyuk 한국빅데이터학회 2017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2 No.2

        프랜차이즈 경쟁의 심화에 따라 기업은 프로모션에 상당한 재원을 투자하고 있으며, 이에 프로모션의 효과 측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프랜차이즈 외식 산업에서 이러한 프로모션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해 대표적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인 트위터 데이터를 경험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프로모션의 간격과 기간, 그리고 계절이 프로모션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통계적으로 입증했고, 나아가 각 요인별로 프로모션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배경을 파악하여 외식 산업 내 기업의 업종에 따른 프로모션 전략을 제안하였다. Companies has been investing enormous resources in promotion as the market keeps changing rapidly. Therefore, there are growing needs to measure the impact of a promotion on revenue growth.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romotion in franchise food service industry,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ext data from Twitter, one of the dominant social network services. Our findings show that a gap between promotions, promotion duration, and season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a volume of twitter buzz, which represents a promotion effect in our study. Next, we tried to analyze the reason why those factors were related to the promotion effect. Finally, we suggested promotion strategies related to each influential factor depending on types of business in food service industry.

      • KCI등재후보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의 프라이버시 위험 대응에 있어 사용자 감정(Affect)의 역할

        박종화 ( Jonghwa Park ),정윤혁 ( Yoonhyuk Jung ) (사)한국빅데이터학회 2020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5 No.2

        위험에 대한 인간의 반응은 인지적 요인뿐만 아니라 정서적 요인에도 유의미한 영향을 받는다는 경험적 연구에도 불구하고, 정보 프라이버시 연구에서는 감정적 요인의 역할이 제대로 규명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정서적 관점에서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사용자의 프라이버시 위험에 대한 대응행위를 탐색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세 가지 유형의 개인정보 위협(수집, 해킹, 2차 사용), 두 가지 감정적 반응(걱정, 분노) 및 대응행위(지속적인 사용의도)의 관계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사용자 552 명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특정 개인정보 위협에 대한 인식과 특정 감정적 반응의 결합이 지속적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데이터마이닝 기법 중 하나인 연관규칙(association rule)을 활용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위험에 대한 인식과 정서적 반응의 결합에 따라 사용의도에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체로 개인정보의 2차 사용에 대해 분노의 감정이 유발될 경우 사용의도가 가장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보 프라이버시 사용자 연구에 감정적 요인을 포함함으로써, 기존의 인지적 접근방식 편향을 보완하고 프라이버시 대응행위에 대한 포괄적 이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Despite empirical research that the response to human risk is significantly influenced affective factors, the role of affective factors has been unexplored in information privacy research.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ivacy behaviors of location- based service (LBS) users from an affective point of view. Specifically, the study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ree types of privacy threats (collection, hacking, secondary use), two affects (worry, anger), and a coping behavior (continuous use intentions). The structured survey was conducted with 552 user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combination of perception of particular privacy threats and particular affects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use, association rules, one of the data mining techniques, was employed. As a resul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intention to use according to the combination of the perception of risk and affect responses, an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ntention is when the second use of personal information was combined with anger. This study has significant theoretical contribution in that it includes affective factors in the research of information privacy users, complementing the biases of existing cognition-oriented approaches and providing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privacy response behavior.

      • KCI등재
      • KCI등재

        혐오음원에 대한 사용자 인식 연구: 혐오표현 음원과 혐오가수 음원 비교

        김서영(Seoyoung Kim),정윤혁(Yoonhyuk Jung) 한국정보사회학회 2021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22 No.3

        음악 콘텐츠의 디지털화는 다양한 음악을 손쉽게 즐기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최근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는 ‘혐오음원’에 대한 접근 역시 용이하게 하고 있다. 혐오음원은 ‘혐오표현 음원’과 ‘혐오가수 음원’으로 구분되며 특정 집단에 대해 편견과 차별을 조장하는 등 다양한 사회문제를 야기한다. 이에 본 연구는 ‘혐오표현 음원’과 ‘혐오가수 음원’ 사이의 사용자의 인식의 비교를 통해 혐오음원에 대해 탐색하고자 한다. 국내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사용자 225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전반적으로 응답자는 혐오표현 음원을 혐오가수 음원보다 더 부정적으로 인식하였고, 성별과 연령, 자기효능감에 따른 혐오음원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혐오음원 연구에 기초적인 지식을 제공함으로써 음원 스트리밍 플랫폼 사용자 연구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플랫폼 사업자에게 혐오음원 관리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With the rise of digital music, ‘hate music’ containing discrimination and hatred of specific groups are emerging as a social problem Hate music is used to spread intolerance, bias, prejudice, and disdain for particular groups held in low esteem by certain segments of society. Hate music is generally divided into ‘hate content’ and ‘hateful conducts.’ Hate content refers to lyrics that explicitly promote or defend hate or violence against a specific group or individual based on characteristics such as race, religion, gender identity, gender, ethnicity, nationality, and region. Hateful conducts, or delinquent music artists, indicate artists who commit hate crimes such as murder, strangulation, sexual offenses, violence against children, and fraud Hate music causes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promoting distorted prejudice and discrimination in specific groups, targeting the vulnerable social minority group. However, there are few academic studies that address this issue, despite the magnitude of hate music. Therefore, more empirical studies are needed to understand its impact, particularly users’ responses to hate music.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sers’ perception of hate music by comparing the perception of ‘hate content’ and ‘hateful conducts. It is assumed that users of music streaming services, who directly consume hate music, may suffer mental and physical pain as the primary victims. In addition, due to the increasing spread of smart devices and the advent of the digital era, more users are likely to become potential victims in that the accessibility to music has been improved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hate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who can be potential victims. Since previous studies on online hate have pointed out a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hate content depending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pers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gender, age, and self-efficac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with users of domestic music streaming platforms for two weeks. A total of 225 people participated in the online survey testing the perception of hate music by comparing hate content and hateful conduc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hate content and delinquent singers, and users perceived hate content more negatively than hateful conducts. Additionally, the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hate music according to gender, age, and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Specifically, only female users had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hate contents and hateful conducts, unlike male users. It was recognized that female users were more affected by hate contents than hateful conducts. When it comes to age, 10s were less sensitive to hate contents than those in their 20s and over 30s, and 10s were also less conscious to hateful conducts than those in their 20s. Lastly, only the group that perceived a low degree of self-efficacy showed a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hate content and hateful conducts. They recognized the harm of hate content was more severe than hateful conducts. This study not only contributes to the research domain of hate music but also provides guidelines for managing hate music to music platform operators.

      • KCI등재

        음성 센서를 활용한 팀 의사결정 과정에서 팀원의 영향력 연구

        홍운기 ( Woonki Hong ),우한균 ( Han-gyun Woo ),정윤혁 ( Yoonhyuk Jung ) 한국생산성학회 2021 生産性論集 Vol.35 No.3

        Organizational scientists have started a new journey to re-examine the previous findings of behavioral patterns and actions of employees with the lens of new technology and analytic methods. Following this, the current paper introduced and developed a verbal activity detection sensor badge, named Human Matrix for predicting team member influence in the team decision-making process.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team members’ expertise level and members’ familiarity with others will be positively related to the members’ perceived and actual influence on team decision-making outcomes. Further, this paper hypothesized that the duration of members’ speaking time is positively related to the members’ perceived and actual influence, whereas the frequency of members’ short response to other members is negatively related to the members’ perceived and actual influence in team decision-making process. Using a survival simulation experiment, we collected verbal activities (i.e., duration of speaking time and frequency of short responses) using the Human Matrix badges from 35 teams with 142 student members. We found that team members’ expertise levels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members’ actual influence in team decision-making. Also, our results indicated that members’ familiarity with other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members’ perceived influence in team decision-making. Further, we found that the duration of members’ speaking time and the frequency of members’ short response to other members could predict both the members’ perceived and actual influence in the team decision-making process. This paper developed and validated the verbal sensor technology (i.e., Human Matrix) by testing the member influence in team decision-making from the survival simulation experiment. Our findings demonstrated that the Human Matrix or a sensor technology in general might help organizational scholars to capture real-time interaction patterns for investigating team behaviors. We discuss the implication of our results for the research.

      • KCI등재

        프라이버시 계산모형 관점에서 스마트 웨어러블 기기 사용의도에 관한 연구

        채수연(Sooyeon Chae),이윤구(Yoonku Lee),정윤혁(Yoonhyuk Jung),최세정(Sejung Marina Choi) 한국정보사회학회 2016 정보사회와 미디어 Vol.17 No.2

        사물인터넷 기술이 제공하는 광범위한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그 기술에 의한 사생활 침해에 대해 사회적 관심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개인정보 수집과 활용이 어느 기술보다 용이한 사물인터넷 서비스에 대해 사용자의 개인정보 유출에 대한 취약성은 더욱 커진다고 할 수 있다.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에 대한 염려가 정보기술 사용에 심각한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연구결과를 고려했을 때, 이러한 염려는 사물인터넷의 확산에 큰 장애물이 될 수 있다. 최근 사물인터넷 기술의 한 종류인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대한 사용과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사용자의 사생활 침해 염려가 정보기술의 수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프라이버시 계산모형(Privacy Calculus Model)에 기초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 수용을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다양한 사생활 침해 관련 위험발생 요인들과 기술이 제공하는 가치 요소들을 연구모형에 포함하고, 그것들의 사용의도에 대한 영향력을 검증함으로써, 기존의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확장하였다. 기존 모형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의 연구모형은 다양한 위험발생 요인, 즉 외부환경적 위험발생 요인(정보기술, 서비스제공자, 법제도적 요인)과 사용자 내적 위험발생 요인(위험성향, 사생활 침해 경험) 등을 포함하였다. 또한, 정보기술이 제공하는 가치의 다면성(multi-dimensionality)에 기초하여 유희적, 효용적, 사회적 가치가 웨어러블 디바이스 사용의도에 대한 영향을 검증하였다. 565명의 사용자가 온라인설문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생활 침해의 특징을 가진 사물인터넷 서비스의 사용자 수용을 이해하는 데에 유용한 지식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본 연구는 다양한 위험발생 요소들과 다면적 가치측면을 포함하는 연구모형을 제시하여 기존 프라이버시 계산모형을 확장했다는 점에 그 가치가 있다. Despite tremendous potentials of Internet of Things (IoT) services, the technology causes concern of wide collection and disclosure of personal information. Considering that prior findings that the user’s privacy concer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intention to use information technology services, IoT privacy issue can be a substantial barrier to diffusion of the technology. In spite of the recent high interest in wearable devices that is a subset of IoT technology, there is little research on users’ response to the ubiquitous risk of privacy.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factors, which can affect users’ intention to use wearables, from the perspective of a privacy calculus model. This study improved the model by encompassing various risk and value factors. The research model broadly consisted of risk and value factors, as does a privacy calculous model. To elaborate the privacy calculus model, risk factors in our research model encompass extrinsic risk components (risk on the technology, service providers, and regulation) and intrinsic risk ones (risk propensity and past privacy hazard experience). We also use a multi-dimensional value concept, consisting of utilitarian, hedonic, and social value. Five hundred sixty-five Korean participated in online survey. Findings of the study are valuable in understanding user adoption of IoT services, which make users feel vulnerability to privacy leaks. The study also makes contribution by extending a privacy calculus model with diverse risk and value factors.

      • KCI등재

        The Role of Content Services Within a Firm’s Internet Service Portfolio: Case Studies of Naver Webtoon and Google YouTube

        Jiwon Choi(최지원),Wooje Cho(조우제),Yoonhyuk Jung(정윤혁),YoungOk Kwon(권영옥)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022 지능정보연구 Vol.28 No.1

        최근 몇 년간 많은 인터넷 대기업이 인공 지능 기술을 기반으로 한 개인화 서비스를 제공하여 온라인 사용자를 끌어들이는 자체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의 온라인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콘텐츠 서비스의 역할을 분석한다. 네이버의 서비스 포트폴리오에서 전문 제작 콘텐츠로 특징지어질 수 있는 웹툰의 역할과 구글 서비스 포트폴리오에서 사용자 제작 콘텐츠로 구분될 수 있는 유튜브의 역할을 확인한다. 네이버와 구글 서비스 이용에 관한 설문 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방향성 계량 서비스 네트워크를 분석한다. 온라인 서비스 네트워크에서 노드는 온라인 서비스를 나타내고, 노드 간의 관계는 포트폴리오 내의 특정 서비스를 순차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 연구 결과, 웹툰과 유튜브 모두 내향중심성보다 외향중심성이 더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콘텐츠 서비스는 기업의 양방향 네트워크에서 도착 서비스의 역할보다 시작 서비스의 역할을 수행할 가능성이 높다. 유튜브의 외향중심성과 내향중심성의 차이는 웹툰의 외향중심성과 내향중심성의 차이보다 상대적으로 적다. 구글의 서비스 포트폴리오에서 유튜브의 높은 중심성은 엔터테인먼트 위주였던 초기 역할에서 검색 플랫폼으로 성장하였음을 보여준다. In recent years, many Internet giants have begun providing their own content services, which attract online users by offering personalized services based on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i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role of two firms’ content services within the firms’ online service network. We examine the role of Naver Webtoon,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a professional-generated content, within Naver’s service portfolio, and that of Google YouTube, which can be characterized as a user-generated content, within Google’s service portfolio. Using survey data on viewers’ use of the two services, we analyze a valued directed service network, where a node denotes an online service and a relationship between two nodes denotes a sequential use of two services. We found that both Webtoon and YouTube show higher out-degree centrality than in-degree centrality, which implies these content services are more likely to be starting services rather than arriving services within the firms’ interactive network. The gap between the out-degree and in-degree centrality of YouTube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Webtoon. The high centrality of YouTube, a user-generated content service, within the Google service network shows that YouTube’s initial role of providing specific-content videos (e.g., entertainment) has expanded into a general search service for us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