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충청지역 구석기 유적의 다양성

        유용욱(Yoo, Yongwoo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18 충청문화연구 Vol.21 No.-

        충청지역에서는 지금까지 다수의 지점에서 구석기가 확인되었고 대부분 금강 하계망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본고는 금강유역 제4기퇴적층의 형성 과정을 복원하고 이 지역 고인류의 점거 양상에 대한 초보적 고찰을 하고자 한다. 금강유역은 상류, 중류, 하류 각 세 지역이 지형적으로 독특하게 구별되는 특성이 있다. 금강유역이 관통하는 충청지역의 구석기 유적 입지 유형은 1) 금강 중·하류 지역과 2) 충남·전북 접경 지역의 충적대지로 크게 구분할 수 있다. 각 지역의 대표적 유적들은 금강 중·하류역의 본 하계망과 지류의 유역 형성 과정을 반영한다. 또한 퇴적층 내에서 발견되는 석기는 대부분 후기 홍적세에 해당한다. 충청지역 구석기시대 고인류는 현재 청원군, 대전 일대의 남한강과 미호천이 마주보는 지역을 기점으로 해서 금강유역을 상류역과 하류역의 두 갈래 방향으로 점거해 나가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은 현재까지 축적된 절대 연대 자료와 석기군의 변천상을 볼 때 후기 홍적세의 후반부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Chungcheong area, especially around the Geum River Area(the GRA hereafter), has yielded many palaeolithic localities until now. In spite of numerous studies on individual sites and lithic assemblages, their general formation processes are yet to be understood in a larger scale concentrating on the terrain and landscape of the Geum River channels. This article attempts to observe the principal process of hominid occupation during the Pleistocene era on a macroscopic scale. The GRA is characterized by uniquely distinguished terrains from upstream, midstream to downstream area respectively and this can be one of major factors responsible for the different geomorphological formation processes of palaeolithic sites across this area. The sub-area of the GRA can be suggested two territories: 1) mid-and downstream territory of Chungcheong province; and 2) floodplain territory at the border between Chungcheong and Jeolla province. Each territory assumes unique depositional environment reflecting the influence of different terrains and river channel energies, of both main Geum River and tributary channels; lithic artifacts discovered in situ are generally dated Upper Pleistocene(mostly from MIS 3 to 2). Given the available chronometric dates and lithic assemblage characteristics, the hominid occupation might have initiated at least during the later phase of Upper Pleistocene and continued to the MIS 2.

      • KCI등재

        중부 서해안 구석기유적 예보

        유용욱(Yongwook Y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고는 한반도 서해안 일대 구석기 유적을 파악함으로서, 현재까지 뚜렷한 양상이 확인되지 않은 이 지역의 홍적세 시기 동안의 고인류 점거 양상을 드러내는데 목적이 있다. 서해안 일대는 홍적세 최말기까지 해수면의 후퇴로 인하여 현재의 서해 수역은 육지로 남아 있었고 중국 대륙과 연결된 상황이었다. 대부분의 구석기 유적은 바닷물에 침수된 상태라서 구석기 유적이 양적, 질적으로 빈약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2000년대 들어서 본격적으로 조사되기 시작한 이 지역은 한강 하류의 김포 및 인천광역시 내의 불로동·원당동·가정동 유적의 조사와 더불어 구석기 유물상이 본격적으로 확인되고 있다. 김포 지역의 경우 인접한 한강 및 임진강 유역의 구석기와 비슷한 양상이 드러나고 있다. 인천 및 도서 지역의 경우 자료 자체는 산발적이지만 소형 석기 위주의 공작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가정동 유적에서 발견된 대형 주먹도끼의 경우 주목할 만한 유물로서 가치가 있다. 현재까지 발견된 고고학 자료로 볼 때 이 지역의 구석기 문화상은 한반도 내륙의 구석기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는다. 석영계 석재의 우세함 및 대형 석기 형식은 한강 및 임진강 유역의 유물상과 흡사한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차후 본격적인 조사 및 인근 도서 지역의 홍적세 층위가 확인된다면 더 많은 구석기 유물이 발견될 것으로 기대되며 한반도 내의 고인류 점거에 대한 새로운 견해를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intends to survey the palaeolithic features of the western maritime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The western maritime region, including Gimpo and Incheon area, has been a region of land bridges between??China and Korea as a result of sea level regression until terminal Pleistocene/initial Holocene period; most??potential palaeolithic occupations are currently submerged and relevant archaeological data are not easily??attained. As of 2000s, archaeological research has been vigorously conducted in this region and several??palaeolithic localities been identified in Gimpo and Incheon area such as Bullo-dong, Weondang-dong, and??Gajeong-dong sites. It is noteworthy that, although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se palaeolithic industries are??identical to the rest of the Korean Peninsula, their raw-materials and tool-type composition are quite different??from those of contemporary Chinese palaeolithic assemblages. It is expected that future research will furnish??more implicative data on the issue of hominid's occup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via the connected route??from the continental Asia.

      • KCI등재

        남한강-미호천 유역 구석기 공작의 성격 고찰 : 석기군의 특성과 고인류 점거 과정을 중심으로

        유용욱(Yoo, Yongwook) 호서고고학회 2021 호서고고학 Vol.- No.50

        본고는 한반도 구석기의 핵심 지역인 남한강과 미호천 유역 구석기 유적 및 유물군의 전반적 성격을 고찰하는 광역적 연구이다. 그리고 이 지역의 연구를 더욱 진작시키기 위하여 배경 지식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 지역은 충청북도 및 남한강의 지류와 미호천이 파급하는 강원도와 경기도, 대전광역시 일부를 포함한다. 한반도에서 가장 많은 유적들이 분포하는 지역을 통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크게 6개의 세부 지역군을 설정하고, 이 지역에서 발견된 구석기 유물군의 형성 과정 및 전반적 석기군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남한강–미호천 유역 구석기 유적의 유물군과 연대치 및 유적 형성 과정을 검토한 결과, 이 지역 구석기 유적은 중기갱신세까지 소급하는 유적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후기갱신세의 연대를 가진다. 고인류는 MIS 5기부터 남한강 하류를 기점으로 꾸준히 이 지역을 점거해 나갔으며 소백산맥 부근의 남한강 상류역 및 충주호 일대에서 인구 확산의 병목 현상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수양개와 남한강 지류 최상류의 영서지방 유적들은 상당히 높은 고도에 위치하는데, 이 유적들은 후기 구석기 단계에 양질석재와 동물자원의 확보에서 비롯하는 고지대 점거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늦은 시기에 단순한 Mode 1 공작이 유지되는 근거에 대해 석기 이외의 다른 유기물 도구가 석기를 대체하는 핵심 도구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석기는 이러한 핵심 도구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보완재의 성격만 유지했으며, 이러한 보완재 성격의 석기는 심각한 시간과 노동력이 투입될 근거가 없기 때문에 편의적 수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설은 차후 실험 제작 및 직접 검증 가능한 중위이론의 고안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laeolithic assemblages from the South Han-Miho River Area(SHMRA), a core area of Korean palaeolithic research. It also intends to build a frame of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by synthesizing and summarizing fragmentary descriptions of individual sites as well as lithic assemblages. The SHMRA is located at the central zone of South Korea surrounded by the South Han River and the Miho River (a major tributary channel of the Geum River). In order to be approached at a wider regional scale, the SHMRA is divided into six sub-regions according to clustering patterns of sites; then the lithic assemblages of each sub-region are examined with emphasis on their formation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ype variability. The examination of formation processes and relevant published chronometric dates leads to a generalization that the SHMRA assemblages belong to Late Pleistocene. It can be reconstructed that the hominin groups of the SHMRA have begun to occupy this area from as early as MIS 5 along the stream channels of the South Han and the Miho Rivers. They might have continued to occupy the area until they underwent a bottle-neck at the upstream zone of the South Han River where the Sobaek Mountains blocked their southward propagation. This caused a sort of accumulated large population pool around the Chungju Lake and enabled some divergent movements up to the mountainous zone to the east and break-throughs to the south. The hominin occupation of high altitude zones was possibly initiated from the late MIS 3, as part of the emergence of the Upper palaeolithic in this area. This behavioral change corresponds to the strategic settlement and migration incurred by such changes as beginning of regular animal resource exploitation and of high-quality lithic raw material procurement. The lack of large pointed tools (handaxe and pick) and the dominance of simple chopper and polyhedron in the SHMRA assemblages indicate that pre-Upper palaeolithic assemblages of this area are categorized as a Mode 1 technology of East Asia. The anachronism of the SHMRA assemblages-very simple and crude toolkits in a quite young chronological context-arouses a question: what were the ultimat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young-but-unsophisticated Mode 1 assemblages. A hypothetical explanation can be made that stone tools in the SHMRA served as complementary items for making perishable primary living items out of organic materials and that local hominins were not obliged to be sedulous on such subsidiary items as stone tools. As a result, the nature of the SHMRA assemblage looks apparently unlabored and expedient. This hypothesis-stone tool as a complementary item for other important producer goods-needs proper middle-range theories that will be tested with available archaeological experimental data sets in the future.

      • KCI등재

        충남대학교 박물관 소장 전곡리 석기들의 고찰

        유용욱(Yongwook Yoo),김형준(Hyoungjun Kim),김민수(Minsu Kim),김진울(Jinul Kim) 한국구석기학회 2022 한국구석기학보 Vol.- No.45

        충남대학교 박물관에 소장중인 전곡리 수습 석기군의 입수 경위와 석기군 양상을 소개하였다. 그리고 동시기에 발굴 조사된 초창기 전곡리 발굴 성과를 다시 한번 검토하면서 향후 전곡리 구석기 연구에서 나아갈 바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작업의 결과, 석기 형식분류의 용어를 보다 명료하게 재정의할 수 있었으며, 전체 지표수습 석기군을 기존의 분석틀로 계량적 검토를 한 결과 지표수습품이라는 한계를 제외한다면 기존의 전곡리 석기군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현재까지 퇴적층 내에서 발견된 주먹도끼에 대한 다양한 입장 및 견해들을 다시 한번 짚어 보면서 전곡리의 주먹도끼 연대가 잘못 파악될 수밖에 없었던 근본적인 이유를 지적할 수 있었고, 이러한 점을 극복할 수 있는 차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그리고 최근 발견된 전곡리 85-12 지점을 사례로 들며, 앞으로 다양하고 흥미로운 해석이 이루어질 수 있는 가능성을 보이지만 선행 연구가 감수해야 했던 시행착오를 다시 반복해서는 안 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This article is a substitute for an official report of the lithic assemblage stor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Museum (CNUM). The assemblage was originally acquired by previous museum personnel through several field trips at Jeongokri in 1979. Taking advantage of introducing the Jeongokri assemblage at CNUM, we also reviewed and examined the result of the past Jeongokri Excavation sessions during the earliest phase from 1979 to 1981 in order to suggest some future issues about the archaeological research of the Jeongokri site. A total of 196 lithic specimens were observed and re-classified according to a more refined typological scheme; their quantitative attributes were compiled and analyzed with the same method as adapted on the previously excavated Jeongok ACF assemblage. The result is that: 1) even though the CNUM Jeongokri assemblage is of very cursory and fragmentary surface collection, the assemblage characteristics are quite similar to those of other previously excavated Jeongokri assemblages, 2) and that more clearly defined lithic categories can be established and a new tool type—the pestle—can be suggested to successfully replace the previous ambiguous type—the handplane. In addition, we closely evaluated the context of discovered handaxes within sediments and approached the fundamental reason why the age of the Jeongokri handaxe was wrongfully understood and miscalculated so far. Taking an example of the recently discovered new Jeongokri 85-12 locality, we summoned a caution that the age estimation of the Jeongokri assemblage need to be clearly based on more rigorous designation of typologically genuine handaxes, as well as on the sound explanation of artifact horizon and relevant formation processes lest any more previous trial-and-error should emerge again.

      • KCI등재

        “Pleistocene Modernity” and its Emergence in the Korean Peninsula

        Yongwook Yoo(유용욱)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9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24 No.1

        본 논문은 한국에서 현생 인류의 발생 문제 및 이와 관련된 고고학 자료를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한국 구석기고고학은 한반도 고인류점거사를 서술하는데 있어서 상당히 편향된 정서를 보여주기는 하지만, 고고학 자료 자체는 소위 ‘홍적세의 모더니티’라 부를 수 있는 현생 인류의 발생 및 이와 관련된 물질 자료의 획기적인 변화를 전지구적 맥락에서 관찰할 수 있는 잠재적 가능성을 보유하고 있다. 한반도의 고유한 지리적 위치와 거친 지모를 고려할 때 후기 홍적세 이전에 대규모의 인구 이동이나 높은 인구밀도 수준이 가능했을 것으로 기대하기는 힘들다. 돌날에 기반하여 제작된 효율적인 후기 구석기 도구 및 이것이 가능하도록 해 주는 정질 석재로의 전이를 통해서 한반도 내에서 홍적세의 모더니티를 관찰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전이는 현생 인류가 한반도에 유입되는 시점인 약 4만년 전부터 진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인구의 분포는 균일하지 않았고, 지역 내 고인류 집단 간의 교류는 상호 간의 접촉이나 목적 지향적인 작업을 위한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았기 때문에 뚜렷하게 구체화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그런 의미에서 볼 때 물질 문화에 반영되는 고유한 지역적 전통은 적어도 구석기 시대가 끝나는 홍적세 이후에야 비로소 구체화된 것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critically examines the issue of the emergence of modern humans and its relevant archaeological data in Korea. Even though Korean palaeolithic archaeology is often emotionally biased in narrating the history of human occupation, the archaeological data has potential to observe how Pleistocene modernity—the occupation of anatomically modern humans (AMH) and drastic changes in material culture—was achieved and progressed on a global scale. Considering the unique geographical position and configuration of highly rough terrain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hardly expected that large-scale human migration and heavy population density were possible before Upper Pleistocene. Pleistocene modernity is observed as the emergence of highly effective blade-based lithic tools and the shift of raw materials from crude to refined and exotic rocks. This technological change coincides with the arrival of anatomically modern humans inside the Korean Peninsula around 40,000 BP. It is, however, expected that the population distribution was uneven during this progress, and interactions among local hominid groups were not substantiated because mutual exposure and serious communication for target-oriented tasks were not initiated until terminal Pleistocene. As such, the regional tradition across the material culture is expected at least after the end of palaeolithic period, after Pleistocene.

      • 중원지역 구석기 유적의 성격 고찰

        유용욱(Yongwook Yoo)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21 충청문화연구 Vol.26 No.-

        본고는 한반도 구석기 연구에서 핵심적인 지역인 남한강과 미호천 유역에서 발견된 구석기 유적 및 유물군의 전반적인 성격을 고찰하는 광역적 연구의 일환이다. 그리고 이 지역의 연구를 더욱 진작시키기 위하여 그간의 성과를 정리해서 더 큰 연구주제를 활성화시키는 배경 지식을 확보하는 데 목적이 있다. 대상 지역은 통상 ‘중원지역’이라고 불리우는 충청북도 및 남한강의 지류와 미호천이 파급되는 강원도와 경기도, 대전광역시 일부를 포함한다. 한반도에서 가장 많은 유적들이 분포하는 지역을 통합적으로 다루기 위해 크게 6개의 세부 지역군을 설정하고, 이 지역에서 발견된 구석기 유물군의 형성 과정 및 전반적 석기군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중원지역 구석기 유적의 유물군과 연대치 및 유적 형성 과정을 검토한 결과, 이 지역 구석기 유적은 중기갱신세까지 소급하는 유적은 거의 없으며 대부분 후기갱신세의 연대를 가진다. 고인류는 MIS 5기부터 남한강 하류를 기점으로 꾸준히 이 지역을 점거해 나갔으며 소백산맥 부근의 남한강 상류역 및 충주호 일대에서 인구 확산의 병목 현상을 겪은 것으로 보인다. 수양개와 남한강 지류 최상류의 영서지방 유적들은 상당히 높은 고도에 위치하는데, 이 유적들은 후기구석기 단계에 양질석재와 동물자원의 확보에서 비롯하는 고지대 점거의 결과로 볼 수 있다. 늦은 시기에 단순한 Mode 1 공작이 유지되는 근거에 대해 석기 이외의 다른 유기물 도구가 석기를 대체하는 핵심 도구로 사용되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석기는 이러한 핵심 도구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보완재의 성격만 유지했으며, 이러한 보완재 성격의 석기는 심각한 시간과 노동력이 투입될 근거가 없기 때문에 편의적 수준에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가설은 차후 실험 제작 및 직접 검증 가능한 중위이론의 고안을 통해 보다 구체적인 설명으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laeolithic assemblages from the Jungwon Region, a core area of Korean palaeolithic research. It also intends to build a frame of reference for future research by synthesizing and summarizing the fragmentary descriptions of individual sites as well as lithic assemblages. The Jungwon Region is located at the central zone of South Korea surrounded by the South Han River and the Miho River (a major tributary channel of the Geum River). In order to be approached at a wider regional scale, the Jungwon Region is divided into six sub-regions according to clustering patterns of sites; then the lithic assemblages of each sub-region are examined with emphasis on their formation process and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of lithic type variability. The examination of formation processes and relevant published chronometric dates leads to a generalization that the assemblages of the Jungwon Region belong to Late Pleistocene. It can be econstructed that the hominin groups of the Jungwon Region have begun to occupy this area from as early as MIS 5 along the stream channels of the South Han and the Miho Rivers. They might have continued to occupy the area until they underwent a bottle-neck at the upstream zone of the South Han River where the Sobaek Mountains blocked their southward propagation. This caused a sort of accumulated large population pool around Lake Chungju Lake and enabled some divergent movements up to the mountainous zone to the east and break-throughs to the south. The hominin occupation of high altitude zones was possibly initiated from the late MIS 3, as part of the emergence of the Upper palaeolithic in this area. This behavioral change corresponds to the strategic settlement and migration incurred by such changes as beginning of the regular animal resource exploitation and of high-quality lithic raw material procurement. The lack of large pointed tools (handaxe and pick) and the dominance of simple chopper and polyhedron in the SHMRA assemblages denotes that the pre-Upper palaeolithic assemblages of this area are categorized as a Mode 1 technology of East Asia. The anachronism of the Jungwon assemblages-very simple and crude toolkits in a quite young chronological context-arouses a question: what were the ultimate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young-but unsophisticated" Mode 1 assemblages. A hypothetical explanation can be made that stone tools in the Jungwon Region served as complementary items for making perishable primary living items out of organic materials and that local hominins were not obliged to be sedulous on such subsidiary items as stone tools. As a result, the nature of the Jungwon assemblage looks apparently unlabored and expedient. This hypothesis-stone tool as a complementary item for other important producer goods-needs proper middle-range heories that will be tested with available archaeological experimental data sets in the future.

      • 구석기시대 임진-한탄강 유역 고인류 점거의 서사 구축 시론

        유용욱(Yoo, Yongwook) 충남대학교 충청문화연구소 2023 충청문화연구 Vol.28·29 No.-

        본고는 한반도 중서부의 임진-한탄강 유역 구석기 자료를 통해 그간 축적되어 온 단편적인 정보들을 종합하고, 이를 통해 당시 구석기 고인류들의 삶과 사건을 총체적으로 서술하는 서사를 구축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서사에서 본고는 브로델의 ‘장기지속(la longue durėe)’ 개념을 큰 틀로 채택하여, 환경의 변화 같이 장기간에 걸쳐 꾸준히 이루어지는 변동이 고인류의 생애와 사건에서 궁극적 변혁을 이끌어 낸다는 사고를 견지하였다. 다양한 지점에서 확보된 석기군의 성격 및 연대치를 통해, 임진-한탄강 하계망 형성 과정을 크게 6단계의 장기지속으로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 지역 대부분의 석기군은 5단계에 집중적으로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 구축된 이러한 메타서사는, 앞으로 새롭게 발견되는 고고자료 및 대안적 사고에 근거한 안티테제들을 통해 보다 더 적절한 서사로 대체될 것을 염두에 둔 잠정적 스토리텔링으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다. By integrating fragmentary information of archaeological reco rd accumulated so far, this article attempts to build a comprehensive narrative on palaeolithic hominins lives and events in the Imjin-Hantan River area of Korea. The narrative is solidly based on the concept of F. Braudels la longue durėe given such long-termed changes as environmental fluctuations ultimately led the grand transition in hominin lifeways. According to chronometric dates and lithic characteristics from diverse localities, the trajectory of the Imjin-Hantan river channel system is divided into six durėes; most of lithic assemblages were formed during the fifth(around MIS 3) when its environmental condition could accomodate sizable hominin population, large enough to devise and maintain such high-calibered technology as the manufacture of handaxe. The narrative constituted here can be an interim story-telling until it is replaced by new ones constituted by additional data and antitheses inspired by alternative ideas.

      • KCI등재

        Narrating Palaeolithic Human Settlement History

        Yongwook Yoo(유용욱)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4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9 No.1

        본 고는 구석기 시대 고인류의 거주 지역 내 자원 활용과 점거 활동에 대한 고고학 자료의 단순 분석 고찰에서 벗어나, 보다 큰 의미로서 고인류의 과거에 대한 폭 넓은 이해를 도모하기 위해 서사 구조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러한 작업의 일환으로서 브로델의 ‘장기지속’ 개념을 도입하여, 한국 임진-한탄강 유역 지질학 자료에 반영 된 구석기 시대 환경 변화 과정을 고인류의 생계 경제 및 공간 활용 양상의 변동과 대비시켰다. 임진-한탄강 유역은 아슐리안형 주먹도끼가 다수 발견된 구석기 유적군으로서, 약 23만년전부터 홍적세 최말기까지 지속적으로 인구가 거주해 왔으며, 이러한 고인류들은 환경의 변화에 따라 각기 다른 점거 양상을 보이면서 능동적으로 석기 기술 조직을 변동 시키면서 경관 내에서 거주해 왔다. 지역 내에서 얻어진 지질학적 양상과 절대 연대 자료 및 해당 유적들의 석기군 특성을 종합한 결과, 이 지역은 하계망의 변천에 따라 크게 6단계의 지형 발달 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6단계는 상호 각기 다른 방식으로 고인류의 적응 과정을 초래하였고, 그들이 사용한 석재 및 제작한 석기군의 양상도 이에 수반하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지질학적 층서 단위의 연대치는 차후 보다 정교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고 석기군의 특성도 보다 새로운 자료에 의해 다른 견해가 제시되겠지만, 브로델의 장기지속 개념은 장기간에 걸친 인류 점거사를 다루는 선사 고고학 연구에서도 의미 있는 서사를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This article intends to furnish a narrative story-telling with the broad perspective on the human past rather than simply depending on the analytical examination of archaeological data. For the purpose of this task, Ferdinand Braudel’s concept of “la longue duree” is applied to parallel the environmental background and hominid’s life/land-use patterns based on the geological data and archaeological remains. The Imjin-Hantan River Area (IHRA), known for the discovery of Acheulian-like handaxe, was occupied from ca 0.23 mya to the final Pleistocene; the hominids continuously changed their residing patterns in the landscape with actively modifying the lithic technological organization as a response to the environmental change. Integrating the geological features, absolute dates and characteristics of lithic assemblages from individual sites, we can recognize six phases of environmental chang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river channel system. These six phases witness different patterns of hominid’s adaptation in this area and correspondingly yield different mode of raw material utilization and lithic procurement. While more accurate geological dates are yet to be published and the description of lithic assemblages may be changed by new data, it is prospecting that Braudel’s la longue duree is a useful concept for meaningfully narrating a long-term human occupation history in the discipline of prehistoric archaeology.

      • KCI등재

        상실과 회복의 알레고리

        유용욱(Yoo, Yongwook) 한국미술사교육학회 2017 美術史學 Vol.- No.33

        본고는 국내에 구체적으로 소개된 사례가 별로 없는 미주지역 일대 세계문화유산의 현황을 소개하고, 이러한 세계문화유산의 일부 사례들이 현대인들에게 어떠한 의미로 전달되고 활용되는지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미주지역에는 선사시대부터 아시아에서 기원한 토착민의 다양한 문명이 존재하지만 지리상의 발견 및 식민지 건설과도 같은 암울한 역사적 사건을 거치면서 약탈과 황폐화 된 과거로만 기억되고 있는 현실도 공존하고 있다. 미주지역 세계문화유산 중 대표적 사례로 캐나다의 랑스 오 메도즈, 미국의 푸에블로 데 타오스, 멕시코의 치첸 잇사, 페루의 쿠스코와 마추 픽추 유적지에 대하여 그 역사적·문화적 특징과 배경을 살펴 보았다. 문화유산의 소유자와 역사적 주인공은 과연 누구인가라는 주제에 대하여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인류 과거의 기억과 활용 및 재생산의 측면에서 많은 부분 본질적 아쉬움을 공통적으로 남기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아쉬움은 결코 돌이킬 수 없는 노스탤지아적인 역사의 굴레를 반영할 수 밖에 없는 것도 사실이다. 순수한 시대적 가치와 찬란한 과거를 상실하고 회복하는 과정은 현재 미주지역의 문화유산 활용에서 다양한 미디어로 표현되고 있지만 반면에 포퓰리즘 및 정치적 선전도구로서 변질될 위험도 내재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미주지역 세계문화유산 사업은 탈식민주의를 겪고 있는 대한민국의 문화유산 보존 및 활용 정책에서 타산지석으로 더욱 진지한 관심을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is to introduce some examples of UNESCO World Heritage Sites(WHS) in Americas(including North, South, Meso America and Caribbeans), and also to observe their cultural/political rhetorics propagated to the contemporary public. Americas have been originally resided by indigenous natives who firstly migrated from Asian continent. They established various civilizations and left numerous monuments following local/regional traditions and available resources. They underwent, however, painful historical events of European conquest and colonial reconstruction, which eventually led them to recognize their own history as being plundered and devastated. Some remarkable WHS of Americas are presented with their cultur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l"Anse Aux Meadows of Canada, Pueblo de Taos of the USA, Chichen Itza of Mexico, and Cusco/Machu Picchu of Peru. Along with other American sites, these WHS commonly carry voices over who own these sites and who can take an active role in the preservation and reproduction of the past. These voices echo a kind of frustration reflecting the irreversible historical fate with a sense of nostalgia. The process of recovering lost innocence and splendid history of past time in the utilization of American heritages is currently depicted by various media sources. Nevertheless, this process also entails the hazard that the public awareness of their own history and heritages is tainted with populism and abused as a political propaganda. In that sense, the WHS programs in Americas shed much light on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heritage management program which experienced a similar milieu of post-coloni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