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ISCIESCOPUS

        Characteristics of CVD graphene nanoribbon formed by a ZnO nanowire hardmask

        Kang, Chang Goo,Kang, Jang Won,Lee, Sang Kyung,Lee, Seung Yong,Cho, Chun Hum,Hwang, Hyeon Jun,Lee, Young Gon,Heo, Jinseong,Chung, Hyun-Jong,Yang, Heejun,Seo, Sunae,Park, Seong-Ju,Ko, Ki Young,Ahn, Jin IOP Pub 2011 Nanotechnology Vol.22 No.29

        <P>A graphene nanoribbon (GNR) is an important basic structure to open a bandgap in graphene. The GNR process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are complex, time-consuming, and expensive; moreover, the device yield is relatively low. In this paper, a simple new process to fabricate a long and straight graphene nanoribbon with a high yield has been proposed. This process utilizes CVD graphene substrate and a ZnO nanowire as the hardmask for patterning. 8 µm long and 50–100 nm wide GNRs were successfully demonstrated in high density without any trimming, and ∼ 10% device yield was realized with a top-down patterning process. After passivating the surfaces of the GNRs using a low temperature atomic layer deposition (ALD) of Al<SUB>2</SUB>O<SUB>3</SUB>, high performance GNR MOSFETs with symmetric drain-current–gate-voltage (<I>I</I><SUB>d</SUB>–<I>V</I><SUB>g</SUB>) curves were demonstrated and a field effect mobility up to ∼ 1200 cm<SUP>2</SUP> V<SUP> − 1</SUP> s<SUP> − 1</SUP> was achieved at <I>V</I><SUB>d</SUB> = 10 mV. </P>

      • Photoinduced Charge Transfer in Donor–Acceptor (DA) Copolymer: Fullerene Bis-adduct Polymer Solar Cells

        Kang, Tae Eui,Cho, Han-Hee,Cho, Chul-Hee,Kim, Ki-Hyun,Kang, Hyunbum,Lee, Myounghee,Lee, Sunae,Kim, BongSoo,Im, Chan,Kim, Bumjoon J.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3 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Vol.5 No.3

        <P>Polymer solar cells (PSCs) consisting of fullerene bis-adduct and poly(3-hexylthiophene) (P3HT) blends have shown higher efficiencies than P3HT:phenyl C<SUB>61</SUB>-butyric acid methyl ester (PCBM) devices, because of the high-lying 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 (LUMO) level of the fullerene bis-adducts. In contrast, the use of fullerene bis-adducts in donor–acceptor (DA) copolymer systems typically causes a decrease in the device’s performance due to the decreased short-circuit current (<I>J</I><SUB>SC</SUB>) and the fill factor (FF). However, the reason for such poor performance in DA copolymer:fullerene bis-adduct blends is not fully understood. In this work, bulk-heterojunction (BHJ)-type PSCs composed of three different electron donors with four different electron acceptors were chosen and compared. The three electron donors were (1) poly[(4,8-bis-(2-ethylhexyloxy)benzo[1,2-<I>b</I>:4,5-<I>b</I>′]dithiophene)-2,6-diyl-<I>alt</I>-(5-octylthieno[3,4-<I>c</I>]pyrrole-4,6-dione)-1,3-diyl] (PBDTTPD), (2) poly[(4,8-bis-(2-ethylhexyloxy)benzo[1,2-<I>b</I>:4,5-<I>b</I>′]dithiophene)-2,6-diyl-<I>alt</I>-(4-(2-ethylhexanoyl)-thieno[3,4-<I>b</I>]thiophene)-2,6-diyl] (PBDTTT-C), and (3) P3HT polymers. The four electron acceptors were (1) PCBM, (2) indene-C<SUB>60</SUB> monoadduct (ICMA), (3) indene-C<SUB>60</SUB> bis-adduct (ICBA), and (4) indene-C<SUB>60</SUB> tris-adduct (ICTA).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of BHJ-type PSCs for the three different polymers in terms of the choice of fullerene acceptor, the structura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the blends were measured by the external quantum efficiency (EQE), photoluminescence, grazing incidence X-ray scattering, and transient absorption spectroscopy. We observed that while the molecular packing and optical properties cannot be the main reasons for the dramatic decrease in the PCE of the DA copolymers and ICBA, the value of the driving force for charge transfer (Δ<I><I>G</I></I><SUB>CT</SUB>) is a key parameter for determining the change in <I>J</I><SUB>SC</SUB> and device efficiency in the DA copolymer- and P3HT-based PSCs in terms of fullerene acceptor. The low EQE and <I>J</I><SUB>SC</SUB> in PBDTTPD and PBDTTT-C blended with ICBA and ICTA were attributed to an insufficient <I>Δ<I>G</I></I><SUB>CT</SUB> due to the higher LUMO levels of the fullerene multiadducts. Quantitative information on the efficiency of the charge transfer was obtained by comparing the polaron yield, lifetime, and exciton dissociation probability in the DA copolymer:fullerene acceptor films.</P><P><B>Graphic Abstract</B> <IMG SRC='http://pubs.acs.org/appl/literatum/publisher/achs/journals/content/aamick/2013/aamick.2013.5.issue-3/am302479u/production/images/medium/am-2012-02479u_0009.gif'></P><P><A href='http://pubs.acs.org/doi/suppl/10.1021/am302479u'>ACS Electronic Supporting Info</A></P>

      • 몬테카를로 전산해석을 이용한 6 MeV 전자가속기에서의 타겟과 필터의 두께에 따른 광자 스펙트럼에 대한 평가

        서강록(Kang Rok Seo),김선아(Suna Kim),강보선(Bo Sun Kang) 한국방사선학회 2015 한국방사선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5 No.춘계

        전자 선형가속기는 전자를 가속시켜 타겟에 충돌시킴으로서 전자의 운동에너지를 광자로 변환 시키는 장치로서 방사선 치료에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사선치료기기이다. 가속된 전자가 타겟에 수직방향으로 충돌하면 제동복사가 일어나 연속 에너지스펙트럼을 가진 광자가 발생된다. 이 연속 스펙트럼은 타겟의 구성 물질과 두께가 변하면 크게 변한다. 본 연구에서는 몬테카를로 방사선 모의수송 코드인 MCNPX 2.7.0을 사용하여 6 MeV 가속전자가 텅스텐 타겟과 WHA(Tungsten Heavy alloy) 타겟에 입사할 때 각 각의 최대 광자방출 두께를 계산하였다. 타겟이 순수한 텅스텐일 때와 WHA일 때 광자 스펙트럼에는 유의한 차이가 관찰되지 않았으며, 최대 광자방출 두께는 두 경우 모두 대략 0.9 ∼ 1mm였다. 또한, 방사선 치료에 불필요한 저 에너지 광자를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알루미늄의 두께에 따른 광자 에너지 스펙트럼을 계산하였고, K-특성엑스선의 강도를 1/10으로 감쇄시키는 알루미늄 여과판의 두께는 약 4 cm 정도임을 확인하였다. Electron Linear Accelerator is the most common equipment for radiation therapy which accelerates electrons and bombard them on to the target to convert the electron’s kinetic energy to photon. Bremsstrahlung occurs when the accelerated electrons bombard vertically to the target, and photons are generated in a continuous-energy spectrum. The energy spectrum of the photons is changed by the difference in the material and thickness of target. In this study, we calculated the thicknesses for the maximum photon emission when 6 MeV electron interact with tungsten target and WHA (Tungsten Heavy alloy) target using MCNPX 2.7.0 a Monte Carlo radiation simulated transport code. The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oton spectrum between a pure tungsten and WHA was not observed, and the thickness for the maximum photon emission was approximately 0.9 ∼ 1 mm for both target materials. In addition, we calculated the energy spectrum of photons corresponding to the varying thickness of the aluminum filter that can effectively reduce the unwanted low-energy photons, and confirmed that the thickness of aluminium filter to attenuate the intensity of the K characteristic X-ray to 1/10 was 4 cm.

      • KCI등재

        안토시아닌 함유 과채소류의 생리활성성분 함량과 항산화능 및 저장에 따른 자색당근 추출물 첨가 푸딩의 품질특성 비교

        강선아 ( Suna Kang ),이수현 ( Soo Hyun Lee ),심영남 ( Young Nam Shim ),오민지 ( Min Ji Oh ),이나라 ( Na Ra Lee ),박선민 ( Sunmin Par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 2016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9 No.4

        본 연구는 안토시아닌을 함유하는 자색당근, 블랙커런트, 아사이베리, 복분자, 블루베리의 생리활성 물질 및 항산화능을 측정하였고, 자색당근 농축액의 첨가량을 달리한 푸딩을 제조하여 7일간 푸딩의 품질을 측정하고 그 변화를 관찰하였다. 생리활성 물질인 phenol, carotenoid, flavonoid, anthocyanin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자색당근과 복분자는 폴리페놀을 다른 과일에 비해 높은 값을 나타내었는데, 안토시아닌함량은 블루베리, 카로티노이드 함량은 블랙커런트가 나머지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과일과 채소에 비해 높았다. 그러나 DPPH와 ABTS로 측정한 항산화능은 복분자와 블랙커랜트가 다른 과일과 채소에 비해 높았고 자색당근과 블루베리가 중간 정도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에서 재배가 용이하고 시장성이 좋은 자색당근 추출액을 첨가한 안토시아닌이 풍부한 푸딩을 제조하여 관능검사를 실행하고, 7일 동안 저장할 때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자색당근을 첨가량을 달리하여 푸딩을 제조하였을 때, pH는 자색당근 농축액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당도는 시간이 지나도 24 oBx로 일정한 값을 나타내었다. 색도는 자색당근을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적색도가 증가하고 갈색도는 감소하였고 물성 검사에서는 경도가 낮고 탄성이 높았던 7.5 % 자색당근 추출액 첨가 푸딩이 가장 좋은 값을 나타내었다. 완성된 푸딩을 7일간 냉장 보관하여 품질 특성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적색도가 감소하였고 갈색도는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자색당근이 산화되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물성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7.5%의 자색당근 추출액을 첨가한 푸딩이 관능적이나 물리적 특성이 적절하였다. 그러나 자색당근추출액에 함유된 안토시아닌의 산화 방지를 위해 pH와 온도를 낮게 유지하면서 푸딩을 제조하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of total phenols, anthocyanins, carotenoids and the antioxidant capacity of black carrot, black currant, acaiberry, black raspberry, and blueberry. We also examined the phys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pudding with added black carrot extract following 7 days of storage. Black carrot and black raspberry had the highest total phenols. Blueberry contained the highest anthocyanins and black currant equaled black carrot in carotenoids. Anti-oxidant capacity measured by 1,1-diphenyl-1,2-picrylhydrazyl and 2,2-azino-bis-3-ethyl-benthiazolin- 6-sulfonic acid was highest in black raspberry and black currant followed closely by black carrot. In pudding, redness was increased and blueness decreased by adding black carrot extract, but the trend was partially reversed during 7-day storage due to oxidation of the anthocyanins, which are stable in acid situation. As black carrot extract contents were increased, pH value decreased The pudding`s hardness, adhesiveness, springi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chewiness were optimal with 7.5 % black carrot extract. In conclusion, black carrot is moderately rich in anthocyanins and phenolic compounds. In pudding adding 7.5 % black carrot extract was optimal for organoleptic qualities. However, additional studies are needed to develop methods for protecting anthocyanins from breaking-down during storage of back carrot pudding.

      • KCI등재

        당근의 성장과 생리활성물질 함량을 증진시키는 LED 파장에 관한 연구

        강선아 ( Suna Kang ),김민정 ( Min Jung Kim ),김봉수 ( Bong Soo Kim ),박선민 ( Sunmin Park ) 한국응용생명화학회(구 한국농화학회) 2015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J. Appl. Vol.58 No.2

        LED의 적색, 백색, 청색 파장의 비율을 조절한 후 당근에 조사 하여 당근의 생육과 당근의 생리활성 물질인 β-carotene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파장을 탐색하였다. Light emitting diode (LED) 혼합 파장(적색:청색:백색=8:1:1)을 조사하였을 때, 당근의 총 무게와 뿌리의 둘레길이를 증가시켰으나, 뿌리 무게나 길이는 효과적이지 않았다. β-carotene의 함량 분석에서도 LED 혼합 파장은 대조광인 형광등보다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β-carotene의 함량을 증진시키는 LED의 파장을 연구하기 위해 단색 파장, 적색과 청색 혼합 파장, 일반 형광등을 당근에 조사하여 β- carotene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15W LED 단색 파장을 조사하였을 때, 445 nm와 650 nm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445 nm=9.8, 650 nm=9.3 mg/g dried weight), 적색과 청색 혼합 파장에서는 6:4로 혼합한 혼합 광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10.48 mg/g dried weight). LED 혼합 파장(적색:청색:백색=8:1:1)은 당근의 생육에서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α-carotene 함량을 증가시키기는 하였으나 β-carotene의 함량에서는 그 효과가 미미했다. 추가적으로 당근의 생리활성 물질을 증진시키는 LED 파장을 연구하였을 때, LED 혼합 파장(650 nm : 445 nm=6:4)이 당근의 성장과 α-carotene과 β-carotene 함량을 가장 효과적으로 증가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LED 청색 파장이 주황빛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인 β-carotene과 α-carotene 함량을 증가시키는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실험에서는 사전연구에서 적색 비율이 높았던 LED 혼합 파장(적색:청색: 백색=8:1:1)이 청색을 나타내는 적채의 anthocyanins의 함량을 높였던 결과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LED 혼합 파장(적색:청색: 백색=8:1:1)에서 적색의 비율을 낮추고 청색 파장의 비율을 높였을 때(적색:청색=6:4), β-carotene의 함량을 증가시킴을 알 수있었다. LED를 조사하여 작물을 재배할 경우, 재배 작물과 반대되는 색의 파장의 비율을 높여 LED의 파장을 혼합 시켜 조사하면 작물의 생리활성 물질의 합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LED를 조사한 당근의 생육 및 색도, 생리활성 물질 함량에 대해 연구가 많이 되어있지 않으므로 본 연구가 후에 당근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연구에 도움을 줄 것으로 사료된다. Commercial greenhouse plant factories are highly efficient for controlling external factors such as floods, drought, insects, air pollution etc. However, they require substantial startup & maintenance investments and experimental research to optimize production. These facilities are especially useful for urban farming where high efficiency in small spaces is requir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s with mixed dominant wavelengths (650 nm : 550 nm : 445 nm=8:1:1, 650 nm : 445 nm=6:4) can increase the growth rate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 of carrots in comparison to that of fluorescent light (FL). LED with mixed wavelength (650 nm : 550 nm : 445 nm=8:1:1) increased the total weight and root circumference of carrots compared to FL. However, β-carotene contents were not significant in LED (650 nm : 550 nm : 445 nm=8:1:1). However, LED (650 nm : 445 nm=6:4) increased the β-carotene (FL: 7.27,LED: 10.48 mg/g β-carotene dried weight).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using LED light at the ideal wavelength, at the antithesis color of the plant, might enhance plant growth and bio-active compound cont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