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 KCI등재

        Data Driven Approach to Forecast Water Turnover

        Sehyug Kwon(권세혁)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 2018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Vol.41 No.3

        This paper proposed data driven techniques to forecast the time point of water management of the water reservoir without measuring manganese concentration with the empirical data as Juam Dam of years of 2015 and 2016. When the manganese concentration near the surface of water goes over the criteria of 0.3mg/l, the water management should be taken. But, it is economically inefficient to measure manganese concentration frequently and regularly. The water turnover by the difference of water temperature make manganese on the floor of water reservoir rise up to surface and increase the manganese concentration near the surface. Manganese concentration and water temperature from the surface to depth of 20m by 5m have been time plotted and exploratory analyzed to show that the water turnover could be used instead of measuring manganese concentration to know the time point of water management. Two models for forecasting the time point of water turnover were proposed and compared as follow: The regression model of CR20, the consistency ratio of water temperature, between the surface and the depth of 20m on the lagged variables of CR20 and the first lag variable of max temperature. And, the Box-Jenkins model of CR20 as ARIMA (2, 1, 2).

      • Estimation of the infection rate in group testing when dilution effects exist

        Kwon, Sehyug 성균관대학교 응용통계연구소 2001 통계연구 Vol.9 No.-

        Group testing is efficient to classify units as infected or not when the underlying model for the test result of units is Bernoulli distribution when the proportion of infected units in the population is small. Group testing is also preferred in estimating the population infection rate to one-by-one test procedure. In most of classical approaches to estimation, no dilution effect is assumed and the classical estimator, mle, is used. But the dilution effect happens in any area, for example, many clinical researches. The dilution effect underestimates the population infection rate and have all individuals in the group be free to go from further classification even it is infected by serious disease. In this paper, an estimation method of infection rate and the probability of being diluted is proposed when dilution effects exist and retesting scheme is feasible only once.

      • KCI등재

        2015–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영양소 섭취와 식이다양성이 중년 이후 성인과 노인의 골다공증에 미치는 영향

        권세혁(Sehyug Kwon),이정숙(Jung Sug Lee)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2

        본 연구는 제 6기 3년차 (2015년), 제 7기 1, 2년차 (2016년, 2017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50세 이후 연령층을 대상으로 사회경제적 수준, 음주, 흡연 및 신체활동 및 BMI 중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통제변인으로 적용한 후 영양소 섭취 수준과 DDS가 골다공증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골다공증으로 의사 진단을 받은 경험이 있는 경우 골다공증 환자군, 골다공증 의사 진단을 받은 경험이 없는 경우 정상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정상군으로 분류된 대상자 중 환자군으로 분류한 대상자와 성, 연령 및 사회경제적 수준에 매칭되는 경우만을 자료 분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라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도는 75세 이상 연령군에 비해 50–64세 연령군에서 2.38배 정도 낮았으며, 모든 연령군에서 여자의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이 8.85배 이상 높았다.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통제변인으로 50–64세 연령군의 경우 성, 연령, 가구내 소득수준, 교육수준이었고, 65–74세 연령군의 경우 성, 교육수준, 음주, BMI이었으며, 75세 이상 연령군의 경우 성, 연령, 현재 흡연, 음주, BMI, 에너지 섭취량이었다. 모든 연령군에서 탄수화물, 단백질 (동물성, 식물성), 지방, 식이섬유, 칼슘, 인, 나트륨, 칼륨, 비타민 B₁, 비타민 B₂, 니아신, 콜레스테롤 섭취량 증가는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낮추었으나 연령군별 통제변인을 적용할 경우 완전통제 되어 영양소 섭취량은 골다공증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단백질, 인, 철, 비타민 B₁을 EAR 이상 섭취 시 모든 연령군에서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19% 이상, 비타민 B₂와 칼슘을 EAR 이상 섭취 시 65세 이상 연령군에서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31% 이상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으나 통제변인 적용 시 65–74세 연령군에서 비타민 B₂만이 부분통제 되었고, 이외 영양소는 모든 연령군에서 완전통제 되었다. DDS 수준은 50–64세, 75세 이상 연령군에서 2점 이하의 점수를 보일 경우 5점을 보인 대상자에 비해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이 각각 1.765배, 3.595배 높았으나, 각 연령군별 통제변인 적용 후 50–64세 연령군에서는 완전 통제되었고, 75세 이상 연령군에서는 부분통제 되었다. 본 연구결과 50세 이상 연령군에서 통제변인 적용 시 영양소 섭취량은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에 완전통제되었으나, 75세 이상의 노인 연령군에서 DDS는 통제변인에 의해 부분통제되는 것으로 나타나 노인 연령층에서 DDS가 2점 이하의 낮은 점수를 보일 경우 골다공증 발생의 위험을 증가시겼다. 즉, 노인기 골다공증 예방 및 뼈 건강을 위한 식이치짐으로 곡류군, 육류·어류·콩류군, 채소군, 과일군, 우유 및 유제품군을 포함한 다양한 식품의 균형된 섭취를 권장할 필요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 선정된 통제변인은 추후 50세 이상 연령군을 대상으로 골다공증 관련 연구 수행 시 보정변인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utrient intake and dietary diversity score (DDS) on osteoporosis after controlling for sex, age, socioeconomic level, drinking, smoking, physical activity, and body mass index (BMI) as mediators using the 2015–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data. Methods: This study was focused on the age group of 50s and older by using the 2015–2017 KNHANES data. Subjects diagnosed with osteoporosis were classified as the osteoporosis group, and the other subjects were classified as the normal group. Logistic regression was us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nutrient intake and DDS after controlling for mediators. Results: The risk of osteoporosis was 2.38 times lower in the 50–65 age group than in the 75 years and older group. The mediators affecting the incidence of osteoporosis by age group were sex, age, household income level, and education level in the 50–64 age group; sex, education level, drinking, and BMI in the 65–74 age group; and sex, age, current smoking, drinking, BMI, and energy intake in the 75 years and older group. The effect of nutrient intake on osteoporosis, with the exception of vitamin B1, was fully mediated by these mediators. The effect of vitamin B1 was partially mediated by mediators in the age group of 65–74 years, and vitamin B1 was effective for preventing the risk of osteoporosis by 25% when consumed over EAR. The effect of DDS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age group of 75 years and older, and DDS of 2 or less increased the risk of osteoporosis by 2.59 times. Conclus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commend the balanced intake of various foods including grains, meat·fish·legumes, vegetables, fruits, and dairy products as dietary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and promotion of bone health in the elderly.

      • KCI등재

        제 5기,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성인의 우유 섭취와 만성질환 유병률 사이의 관련성 연구

        권세혁(Kwon, Sehyug),이정숙(Lee, Jung-Sug) 한국영양학회 2017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0 No.2

        본 연구는 사회경제적 요인, 식행동 및 신체활동에 의한 만성질환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중, 저HDL콜레스텔롤혈증, 당뇨병, 복부비만, 비만 및 대사증후군) 유병률에 우유와 유제품 섭취가 매개변인으로 작용하였을 때의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제 5기,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 (2010~2015) 자료를 활용하여, 만 30세 이상의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고, 질환이나 체중조절을 위해 식이요법을 실시하고 있거나 임산부는 분석대상에서 제외하였다.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중, 당뇨병, 복부비만, 비만,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았고,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은 여자에서 유의적으로 높아 만성질환 유병률은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사회경제적요인, 식행동 및 신체활동은 남녀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으나 만성질환 유병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었다. 복부비만과 비만을 제외한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및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은 남녀 모두 사회경제적 수준 (가구내 소득수준, 교육수준)이 낮을 경우 높았고, 신체활동 (걷기, 중등도 및 격렬한)을 실천할 경우 낮았다. 반면 복부비만과 비만의 유병률은 남자의 경우 사회경제적 수준이 높을수록, 여자 경우 사회경제적 수준이 낮을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나 성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흡연을 만성질환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고, 음주의 경우 저HDL콜레스테롤혈증을 제외한 질환의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다. 외식은 남자의 비만 유병률을 증가시키는 요인이었으나, 성인 여자에서는 비만과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을 감소시키는 요인이었다. 만성 질환과 유의한 관련성을 보인 사회경제적, 식행동 및 신체활동 요인 (설명변수)에 우유 섭취를 매개변인으로 추가한 후의 효과를 평가한 결과 성인 남자의 경우 교육수준은 당뇨병에서, 음주는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대사증후군에서, 아침식사는 대사증후군, 외식은 비만, 중등도 신체활동은 고중성지방혈증에서 부분통제됨으로서 하루 200 g 이상의 우유를 섭취할 경우 교육수준, 음주, 아침식사, 외식 및 중등도 신체활동에 의한 만성질환 유병률을 낮추는 효과가 있었다. 성인 여자의 경우 가구내 소득수준은 고중성지방혈증, 당뇨병, 복부비만에서, 교육수준은 고혈압, 복부비만에서, 음주, 아침식사, 외식 및 걷기 실천은 저HDL콜레스테롤혈증에서, 중등도 신체활동은 고중성지방혈증과 저HDL콜레스테롤혈증에서 부분통제됨으로 인해 우유 섭취가 이들 설명변수에 의한 만성질환 유병률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보였다. 이외 성인 남자와 여자에서 유의적인 관련성을 보인 변인은 우유, 유제품 섭취에 의해 완전통제 또는 완전매개 되어 우유 섭취 시 이들 설명변수가 만성질환 유병률에 미치는 영향은 사라졌다. 본 연구결과, 하루 200 g 이상의 우유를 섭취할 경우 사회경제적 요인, 식행동 및 신체활동에 의한 효과가 통제 또는 매개하는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적정수준의 우유 섭취는 고혈압, 고중성지방혈증, 저HDL콜레스테롤혈증, 당뇨병, 비만, 복부비만 및 대사증후군을 예방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후향적 관측 연구이고, 우유 및 유제품섭취에 의한 매개효과를 파악한 것이므로 추후 한국인의 만성질환 예방을 위한 적정수준의 우유 및 유제품 섭취 수준에 관한 가이드라인 선정을 위해서는 대단위 실험 설계나 코호트 자료 분석을 통한 다양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milk intake and prevalence rates of chronic diseases using KNHANES data, and the significance of the relationship was tested based on meditators, socioeconomic status (income, education), dietary behaviors (smoking, alcohol drinking, breakfast, and eating out), and physical activity (walking, medium, and high). Methods: Using the 5th and 6th survey data of KNHANES, milk intake rates and presence of seven chronic diseases were summarized and analyzed by ANOVA for two groups of adult men and women as follows: hypertension, hypertriglyceridemia, low HDL-cholesterol, diabetes, abdominal obesity,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The dependent variables for the presence of seven chronic diseases regressed with socioeconomic, dietary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variables according to Logistic models. The dependent variables for milk intake using predictor variables of socioeconomic, dietary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were analyzed according to Logistic models. Finally, the significant socioeconomic, dietary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variables in the above model along with milk intake as a control variable or mediator variable regressed with significant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Logistic models. Results: Milk intake, socioeconomic status, dietary behaviors, and physical activity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wo groups of adult men and women, which were also critical factors to the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The dependent variable for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regressed with significant factors of socioeconomic status, dietary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variables according to chronic diseases using the control or mediator variable of milk intake and summarized as follows: For adult men, milk intake controlled the education effect on diabetes partly, alcohol on hypertension and hypertriglyceridemia, low HDL-cholesterol, metabolic syndrome, breakfast on metabolic syndrome, eating out on obesity, and medium physical activity on hypertriglyceridemia. For adult women, household income on hypertriglyceridemia, diabetes, abdominal obesity, education level on hypertension, alcohol drinking, eating out, and walking activity on abdominal obesity, alcohol, breakfast, eating out, walking activity on low HDL-cholesterol, and medium physical activity on hypertriglyceridemia and low HDL-cholesterol were partly controlled by milk intake. Other significant socioeconomic status, dietary behavior, and physical activity variables related to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were fully controlled or mediated by milk intake.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milk intake (daily more than 200 g) prevents chronic diseases such as hypertension, hypertriglyceridemia, low HDL-cholesterol, diabetes, obesity, abdominal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 KCI등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어린이의 식생활 인지·실천 수준 평가지표 구성타당도 평가 및 산정방법 연구

        권세혁 (Kwon,Sehyug ),김혜영 (Kim,Hye-Young ),이정숙 (Lee,Jung-Sug ),곽동경 (Kwak,Tong-Kyung ),정해랑 (Chung,Hae-Rang ),최영선 (Choi,Young-Sun ),강명희 (Kang,Myung-Hee ) 韓國營養學會 2011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44 No.1

        Constructs with seven latent evaluation indicators and 18 observable survey questions were developed by food and nutrition experts to calculate a food safety recognition and practice index for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ggest statistical approaches to test construction validity on the constructs, obtain weights of the evaluation indicators, and develop questionnaires to calculate a children’s food recognition and practice index. Survey data of 2,400 elementary fifth grade students were used as empirical results. Test validity was evaluated b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ed to be highly significant b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i.e., linear structural relations (LISREL) analysis].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of the LISREL analysis were suggested based on weights, and the weights were compared using the AHP and Delphi methods. (Korean J Nutr 2011 44(1): 41 ~ 48)

      • KCI등재

        선박운항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조건 도출 연구

        공인형(Inyoung Gong),권세혁(Sehyug Kwon),김선영(Sunyoung Kim) 한국항해항만학회 2008 한국항해항만학회지 Vol.32 No.3

        항만이나 항로에서의 심층적인 선박운항 안전성 평가를 위한 목적으로 주로 선박운항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해상에서 선박이 조우할 수 있는 환경 조건은 매우 다양한 반면, 비용이나 시간적인 제약으로 인하여 실시간 선박운항 시뮬레이션은 극히 한정된 경우에 대해서만 수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실시간 시뮬레이션 실험 조건을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도출하기 위한 통계적 기법에 대하여 제안하고, 이 기법을 실제 선박 운항 안전성 평가를 위한 시뮬레이션 연구에 적용한 실증 분석 결과를 사례 연구로 기술하였다. 실증 분석에는 주성분을 이용한 종합 운항 난이도 산정 방법과 누적 확률분포 개념을 이용하여 선박 운항 난이도가 높은 실험 조건을 실시간 시뮬레이션 실험 조건으로 선택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Ship-handling simulation system has been used for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for harbor and fairway. There exist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under which ship may navigate along a fairway or in harbor. Due to the time and budget limitations, however, ship-handling simulations are usually carried out for very limited number of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is paper, statistical method for effective and systematic determination of real time simulation conditions is suggested and applied to the maritime traffic safety assessment problems. In the empirical study,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method and the concept of empirical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are suggested to estimate synthetic navigational difficulty and to select simulation conditions which would impose high difficulty on shiphandling.

      • KCI등재

        학령기 아동 대상 영양지수 개발과 타당도 검증

        이정숙(Jung-Sug Lee),황지윤(Ji-Yun Hwang),권세혁(Sehyug Kwon),정해랑(Hae-Rang Chung),곽동경(Tong-Kyung Kwak),강명희(Myung-Hee Kang),최영선(Young-Sun Choi),김혜영(Hye-Young Kim) 한국영양학회 2020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3 No.6

        본 연구는 생애주기 중 학령기 아동을 위한 영양지수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 선정을 위해 학령기 아동 대상의 영양섭취 및 식생활 관련 문헌,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식생활지침 및 국가 영양정책, 전문가 집단의 포커스 심층면접을 통해 파일럿 조사용 체크리스트 41문항 (식품섭취 영역: 20문항, 식행동·식습관 영역: 21문항)을 개발하였다. 학령기 아동 260명을 대상으로 체크리스트 문항과 1일 식사섭취조사를 포함한 파일럿 조사를 수행하고, 체크리스트 평가항목별 점수와 식사섭취 조사 결과인 영양섭취 수준 간의 상관성이 높은 24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전국단위 조사용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였다. 전국단위 조사는 시도별, 학교 유형별로 층화추출된 초등학생 1,144명을 대상으로 면대면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평가항목을 20개 항목, 5개 요인으로 분류하고,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평가항목의 구성타당도를 검증하고 추정된 경로 계수를 활용하여 5개 요인별 가중치와 평가항목별 가중치를 산출하였다. 학령기 아동용 영양지수를 위한 5개 요인과 가중치는 각각 균형 0.25, 다양 0.15, 절제 0.25, 환경 0.15, 실천 0.20 이었다. ‘균형’ 요인에는 과일, 흰 우유, 콩이나 콩제품, 생선류, 고기류 섭취 빈도 5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고, ‘다양’ 요인에는 끼니별 채소 반찬 섭취, 반찬 골고루 먹기, 편식의 3개 평가항목이, ‘절제’ 요인에는 달거나 기름진 빵, 가공 음료, 가공 육류, 라면, 카페인 음료, 길거리 음식 (학교 앞 음식) 섭취 빈도의 6개 평가항목이, ‘실천’ 요인에는 영양성분표시 확인, 식사 전 손 씻는 빈도, 숨이 찰 정도의 운동 빈도 3개의 평가항목이, ‘환경’ 요인에는 아침식사 빈도, 가족과 함께 식사하는 빈도, 정해진 장소에서 식사하기의 3개 평가항목이 포함되었다. 전국단위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수 (NQ-C) 평균 점수는 65.7점이었고, 요인별 점수는 균형 66.4점, 다양 67.0점, 절제 55.4점, 환경 75.3점, 절제 69.2점이었다. 영양지수와 각 요인별 등급은 전국단위 조사 결과의 백분위수 분포를 기준으로 75 to 100백분위의 경우 ‘상’ 등급, 50 to < 75 백분위의 경우 ‘중상’ 등급, 25 to < 50백분위의 경우 ‘중하’ 등급, 0 to < 25 백분위의 경우 ‘하’ 등급으로 분류하였다.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 점수가 72.4–100점의 경우 ‘상’ 등급, 65.8–72.3점의 경우 ‘중상’ 등급, 59.2–65.7점의 경우 ‘중하’ 등급, 65.7점 미만의 경우 ‘하’ 등급으로 판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 (NQ-C)는 20개 평가항목으로 구성된 체크리스트를 통해 영양지수 점수와 균형, 다양, 절제, 실천, 환경 요인의 점수 산출이 가능하고, 상대적인 영양지수 등급 부여를 통해 식사의 질과 영양상태가 양호한 지를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학령기 아동 영양지수는 초등학생들의 식사의 질과 식행동 평가, 영양교육의 효과 평가 뿐만 아니라 정부의 영양교육사업, 영양정책의 효과 평가 등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develop a nutrition quotient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NQ-C) for evaluating the overall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Methods: The NQ-C was developed by implementing 3 stages: item generation, item reduction, and validation. Candidate food behavior checklist (FBC) items of the NQ-C were derived from systematic literature reviews, expert in-depth interviews, statistical analyses of the fifth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and national nutrition policie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pilot survey, 260 elementary school students (128 second graders and 132 fifth graders) complete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s well as 24-hour dietary intakes, with the help of their parents and survey team staff, if required. Based on the pilot survey results, expert reviews, and priorities of national nutrition policy and recommendations, checklist items were reduced from 41 to 24. A total of 20 items for NQ-C were finally selected from results generated from 1,144 nationwide samples surveyed. Construct validity of the NQ-C was assessed using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LInear Structural RELations. Results: Analyses of the exploratory factors of NQ-C identified that 5 dimensions of diet (balance, diversity, moderation, practice and environment) accounted for 46.2% of the total variance. Standardized path coefficients were used as weights of the items. The NQ-C and 5-factor scores of the subjects were calculated using the obtained weights of the FBC items. Conclusion: Our data indicates that NQ-C is a useful and suitable instrument for assessing nutrition adequacy, dietary quality, and eating behavior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childr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