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NS 방송 클립 영상 시청의 공감 반응이 본방송 호기심과 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전미향(Mihyang Jeo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0

        본 연구의 목적은 SNS 방송 클립 영상 시청에 대한 공감 반응이 본방송에 대한 시청 의도에 미치는영향을 확인하고, 그 관계에서 호기심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 동일시, 대리적 감정반응, 공감적 이해는 모두 본방송에 대한 호기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하여 본방송에 대한 호기심은 본방송 시청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이용자가 SNS를 통하여 방송 클립 영상을 시청할 때 공감 반응이 호기심을 형성하여 본방송 시청 의도에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 of empathic response of watching SNS broad- casting clips on the Curiosity and viewing intention of live program. Results indicated that empathetic understanding, identification, and vicarious emotional response have immediate effects on Curiosity. The Curiosity for the main broadcas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viewing intention of live program, thus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is shows that empathic response plays significant roles in developing Curiosity and viewing intention of watching the main show while viewing SNS broadcasting clips.

      • Evaluation of the prognostic significances of γ-secretase genes in pancreatic cancer

        Jeon, Yun Ho,Ha, Mihyang,Kim, Sung Won,Kim, Mun Ju,Lee, Chi-Seung,Oh, Chang-Kyu,Han, Myoung-Eun,Oh, Sae-Ock,Kim, Yun Hak D.A. Spandidos 2019 Oncology letters Vol.17 No.5

        <P>With the growing requirement for novel prognostic biomarkers for pancreatic cancer, many studies have focused on clinical and/or genomic variables. Although many studies have been performed, carbohydrate antigen 19-9 is the only biomarker in clinical use. Therefore, the present study examined whether γ-secretase genes, including presenilin (<I>PSEN</I>), nicastrin (<I>NCSTN</I>), presenilin enhancer protein 2 (<I>PSENEN</I>), and anterior pharynx-defective 1 (<I>APH1</I>-), could serve as prognostic factors for pancreatic cancer. The cohorts selected included >100 pancreatic cancer patients. Patient data were downloaded from The Cancer Genome Atlas (TCGA) and Gene Expression Omnibus (GSE21501). The prognostic roles of the γ-secretase genes were analyzed by several survival analysis methods. Among the γ-secretase genes, the prognosis tended to be worse in the 2 cohorts with increasing expression of <I>PSEN1, APH1A</I>, and <I>PSENEN</I>, while the remaining genes were the opposite in the 2 cohorts. Notably, although the patient characteristics were quite different, <I>APH1A</I>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prognosis in the 2 cohorts. The hazard ratio of <I>APH1A</I> for overall survival was 1.598 (TCGA) and 2.724 (GSE21501). These results contribute to the study of γ-secretase in pancreatic cancer. We believe that γ-secretase, particularly <I>APH1A</I>, will be a new prognostic biomarker for pancreatic cancer.</P>

      • KCI등재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이용한 피트모스 추출물의 정제 및 생리활성 검증

        김미향(Mihyang Kim),전명제(Myong Je Jeon),박미라(Mira Park),이승우(Seung Woo Lee),황현정(Hyun-Jung Hwang),장해지(HyeJi Jang),강민숙(Min Suk Kang),김보경(Bo Kyung Kim),최승태(Seung Tae Choi),박미연(Mi Yeon Park),이상현(Sang-Hyeon Lee) 한국생물공학회 2011 KSBB Journal Vol.26 No.5

        In this study, the canadian peat moss extract was purified by a supercritical CO₂ using three different conditions and assessed its biological activities. Peat moss was extracted by acid-alkaline extraction method (sample 1) and purified by a supercritical CO₂ at 40℃ under pressure of 100 bar (sample 2), 120 bar (sample 3) or 150 bar (sample 4). We evaluated the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amples by 1,1- diphenyl-2-picrylhydrazyl (DPPH) radical-scavenging, Fe<SUP>2+</SUP>/ ascorbate (FTC) and 2-thiobarbituric acid (TBA) methods.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at of ascorbic acid as a positive control. Sample 3 showed relatively high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than other samples. The antioxidant activity by FIC method exhibited similar results as the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sample 2 showed higher antioxidant activity measured by TBA method of all. The whitening effects of the samples were examined using mushroom tyrosinase and B16F10 melanoma cells. Sample 3 exhibited overall significant whitening effects, however, other samples showed relatively lower effec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eat moss extract purified by a supercritical CO₂ could be used as a cosmetic ingredient for the anti-aging and whitening effects.

      • KCI등재

        Whitening Effect of Hizikia fusiformis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Myong Je Jeon(전명제),Mihyang Kim(김미향),Hye-Ji Jang(장혜지),Seung-Woo Lee(이승우),Jae-Hoon Kim(김재훈),Hyung-Suk Kim(김형석),Sang-Hyeon Lee(이상현)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7

        멜라닌 생합성은 tyrosinase의 효소적 산화반응에 의해 일어난다. 톳(Hizikia fusiformis)의 미백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메탄올, 헥산, 부탄올 및 물을 용매로 이용한 분획과정을 통해 톳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들을 대상으로 B16F10 흑색종 세포에서 tyrosinase 활성 저해효과 및 멜라닌 생합성 억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생쥐의 에탄올 추출물 및 수층 분획물은 미백효과를 나타냈지만, 세포독성은 나타내지 않았다. 에탄올 추출물은 시료들 중에서 가장 높은 미백활성을 보였다. 에탄올 추출물은 100 μg/ml의 농도에서 arbutin 10 μg/ml의 활성보다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으나, kojic acid 10 μg/ml의 활성보다는 낮은 저해 활성을 보였다. 또한, 메탄올, 헥산, 부탄올 및 수층 분획물은 100 μg/ml의 농도에서 arbutin 10 μg/ml의 활성과 유사한 저해활성을 보였다. 항산화 활성은 L-ascorbic acid를 양성 대조군으로 하여 수치를 비교하여 나타냈다. 에탄올 추출물 및 수층 분획물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다른 시료들보다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에탄올 추출물및 수층 분획물은 500 μg/ml의 농도에서 LPS에 의해 유도된 iNOS 발현을 각각 82와 80% 감소시켰다. 이러한 결과들로 톳의 에탄올 추출물과 수층 분획물은 미백효과 및 피부 보호효과를 가지는 화장품 소재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Melanin synthesis is catalyzed by tyrosinase. To investigate the whitening effect of Hizikia fusiformis, fractions from ethanol extract of H. fusiformis were prepared by a systematic fractionation procedure with solvents such as methanol, hexane, butanol, and H2O. The ethanol extract and its fractions were then subjected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s on the tyrosinase activity and melanin synthesis in murine B16F10 melanoma cells. The ethanol extract and aqueous fraction exhibited a whitening effect with no cytotoxicity. The ethanol extract showed the highest whitening effect among the samples. The inhibitory effect of 100 μg/ml of 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that of 10 μg/ml of arbutin, but it was lower than that of 10 μg/ml of kojic acid. Furthermore, the inhibitory effects of 100 μg/ml of methanol, hexane, butanol, and aqueous fractions were similar to those of 10 μg/ml of arbutin. The antioxidant activitie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at of ascorbic acid as a positive control. The ethanol extract and aqueous fraction showed relatively higher DPPH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compared with the other samples. Furthermore, 500 μg/ml of ethanol extract and aqueous fraction diminished LPS-induced iNOS expression to 82 and 80%,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ethanol extract and aqueous fraction of H. fusiformis could be used as cosmetic ingredients for whitening and skin protection effects.

      • KCI등재

        적송잎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collagen 합성에 미치는 영향

        Min Hee Jeon(전민희),Young Kyoung Kim(김영경),Yong Soo Park(박용수),Hyun Jung Hwang(황현정),Sung Gu Kim(김성구),Sang-Hyeon Lee(이상현),In Soon Choi(최인순),Mihyang Kim(김미향)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4

        솔잎은 항산화력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mouse calvaria 유래의 MC3T3-El osteoblastic cell은 골세포의 세포 활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유용하게 이용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C3T3-E1 세포를 이용하여 적송잎 용매별 추출물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ALP 활성 및 조골세포의 골 형성을 위한 필수 인자인 콜라겐 합성의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적송잎 추출물의 농도(1, 10 50, 100 ㎍/㎖)에 따른 조골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MTT assay로 분석한 결과, proanthocyanidin의 경우 50 ㎍/㎖ 이상 첨가한 군에서 대조군보다 급격한 증식률을 나타내었다.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유의적인 증식률이 나타나지 않은 반면, 적송잎 헥산 추출물 처리군에 있어서는 10 ㎍/㎖ 농도 이상에서 유의적으로 세포증식이 촉진되었다. 적송잎 추출물이 AL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적송잎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ALP의 활성을 증가시켜 조골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시 되었다. 또한 적송잎의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보다 헥산 추출물에서 조골세포의 ALP 활성이 증가하여 적송잎의 ALP 활성에 영향을 주는 성분은 수용성 성분보다 지용성 성분인 것으로 추측되었다. 적송잎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콜라겐 합성에 미치는 실험결과에서 헥산 추출물뿐만 아니라 열수 추출물에서도 높은 콜라겐 합성능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단일성분에 의한 것보다 복합적 성분들의 상승작용에 의해 조골세포의 콜라겐 합성이 촉진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적송잎 추출물이 조골세포의 증식, ALP 활성 및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골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그에 대한 구체적인 기작 연구를 위하여 향후 분자생물학적인 차원에서의 in vitro 및 in vivo 실험을 통한 구체적인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Osteoporosis is a disease involving a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and an increased risk of fractures. The MC3T3-E1 pre-osteoblastic cell line is a well-accepted model of osteogenesis in vitro. Pine needles have long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alth-promoting medicinal food in Korea. In this study, MTT assay, the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and collagen synthesis of osteoblast cells were investigated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ine needle extracts on cell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Pine needle extracts were prepared using hexane, ethanol and water. The effects of the pine needle extracts were examine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ose of commercial agents, such as proanthocyanidin. The MOT3-E1 cells exposed to proanthocyanidin showed increased proliferation in a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The cells exposed to the hexane extract showed a similar increase in proliferation to that observed with proanthocyanidin. The hexane extract showed the highest ALP activity. Moreover, a supplement of pine needle extracts induced collagen synthesis in MC3T3-E1 cells. The pine needle extract produced the highest level of collagen synthesis at concentrations of 10~50 ㎍/㎖. These results indicate that pine needle extracts have an anabolic effect on bone by promoting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and may be used in the treatment of common metabolic bone diseases.

      • Profiling proteins related to amyloid deposited brain of Tg2576 mice

        Shin, Su Jeon,Lee, Sung-Eun,Boo, Jung Hyun,Kim, Mihyang,Yoon, Young-Dae,Kim, Su-il,Mook-Jung, Inhee WILEY-VCH Verlag 2004 Proteomics Vol.4 No.11

        <P>Alzheimer's disease (AD) is an age-related neurodegenerative disorder that is characterized by the extracellular deposition of β-amyloid and intracellular hyperphosphorylation of tau in the cortex and hippocampus of the brain. These characterizations are caused by abnormal expression, modification and deposition of certain proteins. Post-translational modifications of proteins including oxidation and nitration might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AD. In this study, AD-related proteins were identified in the cortex of Tg2576 mice used as a model for studying AD. Tg2576 mice express high levels of the Swedish mutated form of human β-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and generated high levels of β-amyloid in the brains. Using Western blotting and two-dimensional electrophoresis, proteins with differences in expression, oxidation and nitration in the cortex of Tg2576 mice brains were compared to littermate mice brains used as a control. The proteins with different expression levels were identified using matrix-assisted laser desorption/ionization-time of flight and liquid chromatography-tandem mass spectrometry analyses. As a result, 12 proteins were identified among 37 different proteins using the PDQuest program. Furthermore, two proteins, laminin receptor and α-enolase, were more susceptible to oxidative modification in the brains of Tg2576 mice compared to those of littermates. Similarly, α-enolase, calpain 12, and Atp5b were more modified by nitration in brains of Tg2576 mice than those of littermates. Taken together, these proteins and their modifications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laque deposition of Tg2576 mice brains.</P>

      • KCI등재

        톳 분획물이 조골세포의 증식 및 분화에 미치는 영향

        Min-Hee Jeon(전민희),Mihyang Kim(김미향)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2

        톳은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할 수 있는 소재로 각광받고 있으며, mouse calvaria 유래의 MC3T3-E1 세포는 골세포의 세포 활성과 관련된 연구에서 유용하게 이용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C3T3-E1 세포를 이용하여 톳 분획물이 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과 ALP 활성, 조골세포의 골 형성을 위한 필수 인자인 collagen 합성 및 조골세포의 표식인자인 골 석회화 형성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각 분획물의 수율은 aqueous 분획물이 47.4%로 가장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butanol 분획물, methanol 분획물 순으로 나타났으며, hexane 분획물이 4.7%로 가장 낮은 수율을 나타내어 극성 성분의 함유량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톳 분획물의 농도(1, 10 50, 100 ㎍/ml)에 따른 조골세포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MTT assay로 분석한 결과, 모든 분획물에서 대조군과 비교하여 120% 정도의 증식률을 나타내었다. 이는 선행연구자에 의한 대두 에탄올 추출물 실험 결과인 최고 117%의 세포 증식률과 비슷한 조골세포 증식유도 결과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톳 분획물이 ALP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톳 분획물 중 hexane 분획물과 butanol 분획물이 조골세포의 ALP 활성을 증가시켰으며, 특히 butanol 분획물은 120% 이상의 ALP 활성을 증가시켜 조골세포의 분화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제시 되었다. 톳 분획물이 조골세포의 collagen 합성에 미치는 실험결과에서 모든 분획물에서 유의적인 collagen 합성능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조골세포의 골 석회화 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methanol 분획물을 제외한 다른 분획물에서 유의적인 형성능을 보였으며, 특히 butanol 분획물을 100 ㎍/ml 첨가하였을 때는 281.25%, aqueous 분획물을 100 ㎍/ml 첨가하였을 때는 240.46%로 높은 골 석회화 형성능을 나타냈다. 따라서 톳 분획물이 조골세포의 증식, ALP 활성, collagen 합성 및 골 석회화 형성을 촉진하여 골 생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구체적인 기작 연구와 in vivo 연구가 병행된다면 골다공증 예방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의 천연소재로 개발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Osteoporosis is a disease involving a decrease in bone mineral density and increased risk of fractures. Osteoblast and osteoclast activities are important for bone formation. The MC3T3-E1 osteoblastic cell line is a well-accepted model of osteogellsis in vitro. Hijikia fusiforme is a kind of edible brown seaweed that grows mainly in the Northwest Pacific region, including the countries of Korea, Japan and China, and it has been widely used as a medicinal and health food in Korea. In this study, by using osteoblasts, the effects of Hijikia fusiforme fractions on proliferation,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collagen synthesis and mineralization of cells were investigated. Hijikia fusiforme were subjected to fractionation by using hexane, methanol, butanol and aqueous. Proliferation of the MC3T3-E1 osteoblastic cells that were treated with Hijikia fusiforme fractions increased by approximately 120%. Regarding effects of Hijikia fusiforme fractions on ALP activity, 1 ㎍/ml butanol fraction showed the highest activity. The synthesis of collagen increased significantly in response to treatment with Hijikia fusiforme fractions, with the exception of the hexane fraction. Moreover, mineralization in the MC3T3-E1 cells that were treated with 100 ㎍/ml butanol fraction increased by 281%. Also, when 100 ㎍/ml aqueous fraction was added, mineralization increased by 240%.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ijikia fusiforme fractions have anabolic effect on bone through the promotion of osteoblastic differentiation, suggesting that it could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common metabolic bone diseases.

      • KCI등재

        해조공진단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 및 난소를 절제한 흰쥐의 혈소판 응집과 혈청 내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

        전명정(Myeongjeong Jeon),김서연(Seoyeon Kim),김보경(Bo-Kyung Kim),천지현(Jihyeon Cheon),박성환(Seong-Hwan Park),오은진(Eunjin Oh),이상현(Sang-Hyeon Lee),김미향(Mihyang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9

        갱년기의 여성에는 여러 폐경 증후들이 나타나는데, 특히 에스트로겐의 감소로 인한 혈중의 지질 조성의 변화 등으로 골다공증 및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이 높아지게 된다. Estrogen의 감소는 다양한 생리적 변화를 초래하며 특히 심혈관계 질환을 빠르게 진행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뛰어난 갈조류를 선정하여 해조공진단을 제조하였으며, 실험동물인 흰쥐의 난소를 절제하여 인위적으로 갱년기를 유도한 후 해조공진단이 혈소판 응집능 및 혈중 지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에스트로겐 검출시스템을 사용하여 공진단 및 갈조류 추출물의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검증한 결과, 다시마 및 곰피 열수 추출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다시마 열수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in vitro 실험 결과를 통해 다시마 추출물을 첨가한 해조공진단을 제조한 후, 갱년기를 유도한 실험동물에 투여하여 혈소판 응집능 및 혈청 내 지질 조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해조공진단 투여로 인해 OVX-CON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유의적인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반면,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의 경우, 해조공진단을 투여한 OVX-GJD군은 OVX-CON군과 비교하여 중성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혈청 중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정상군인 SHAM군에 비해 난소를 절제한 OVX-CON군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해조공진단을 첨가한 사료 섭취군(OVX-GJD)은 OVX-CO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혈소판 응집 저해능을 검토한 결과에서 OVX-CON군에 비해 OVX-GJD군의 혈소판 응집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저해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제조된 해조공진단이 에스트로겐 유사활성을 가지고 있으며, 난소절제로 갱년기를 유도한 실험동물에게 이를 섭취시킨 결과 혈중 지질 개선 및 혈소판 응집 저해 효과가 나타나 갱년기 증상 완화에 활용 될 수 있는 소재로 기대된다. Estrogen like activities were evaluated using ethanol and hot water extracts of gongjindan (GJD) and 3 types of brown algae by an in vitro detection system. Laminaria japonica and Undaria pinnatifida re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01) estrogen like activities, while GJD and Ecklonia stolonifera did not. Furthermore, activities of hot water extracts (500 μg/ml) of Laminaria japonica and three mixture (Ecklonia stolonifera : Undaria pinnatifida : Laminaria japonica , 1: 1: 1) were stronger than that of 10<SUP>-7</SUP>M 17β-estradiol.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minaria japonica contain estrogen like compoun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pared seaweed GJD were used for animal experiments about the effects on inhibition of platelet aggregation and serum lipid levels in ovariectomized rats. 9-week Old female SD-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3 groups as sham-operated rats, ovariectomized rats and ovariectomized rats that were treated with GJD. The rats were placed on prescribed diets for 5 weeks following ovariectomy.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on serum decreased in the SHAM group compared to the OVX-CON group. 5 weeks feeding of GJD resulted in significant lowering of triglyceride and a decreasing tendency of total cholesterol level. The level of HDL-cholesterol on serum increased significantly by feeding diets containing the GJD. The ability of platelet aggregation of group treated with GJD was less than that of the OVX-CON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eneficial effects of seaweed gongjindan may be used to improve menopausal syndrome.

      • KCI등재

        방풍나물 추출물이 난소절제 흰쥐의 혈중 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명정(Myeong-Jeong Jeon),김미향(Mihyang Kim) 한국생명과학회 2016 생명과학회지 Vol.26 No.1

        본 연구는 방풍나물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갱년기 유도 흰쥐의 혈중지질 수준의 향상, 항 혈소판 응집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9주령 흰쥐를 각 군당 6마리씩 난소절제 모의 수술군, 난소절제군, 난소절제 후 방풍나물 추출물 50 mg/kg/day 및 200 mg/kg/day군의 4군으로 나누어 시술 후 6주간 추출물을 투여하며 사육하였다. 동물실험 결과 갱년기 유도로 인하여 증가된 혈청 중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방풍나물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저하되었다. 혈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방풍나물 추출물 200 mg/kg/day 투여에 의해 난소절제 대조군(OVX-CON)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또한 방풍나물 추출물의 항 혈전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해, 난소절제로 인하여 혈 중 지질 함량이 증가한 상태에서 washed platelet을 분리하고 콜라겐으로 혈소판 응집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방풍나물 추출물을 투여한 군이 OVX-CON군에 비해 혈소판 응집을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집율을 나타내는amplitude (%)는 OVX-CON군이 난소절제를 하지 않은 SHAM군과 비교하여 증가하였으나, 방풍나물 추출물 투여군인 OVX-LS50 및 OVX-LS200군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하여 반응이 일어나기 시작하는 속도를 나타내는Slop은 SHAN군에 비해 난소절제로 인해 OVX-CON군이 증가하였으나, 방풍나물 추출물 투여군에서 OVX-CON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냈다. 응집시간을 나타내는 lag time (sec)은 난소절제에 의해 반응이 일어나는 시간이 짧아져, 혈소판 응집이 촉진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방풍 나물 추출물 투여한 경우, 200 mg/kg/day 투여군인 OVX-LS200군의 경우 OVX-CON군에 비해 lag time이 연장되어 혈소판 응집이 지연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난소절제 시(OVX-CON군)에스트로겐 결핍으로 골 교체가 증가되어 SHAM군에 비해 혈청 중의 ALP 활성이 증가되었으나 유의성 있는 결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방풍나물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난소절제로 인하여 그 활성이 증가된 OVX-CON군에 비해 활성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200 mg/kg/day 투여군의 경우 SHAM군보다 활성이 감소하여 난소절제로 인한 골 손실 정도를 완화시켜준 것으로 추측된다. 연골의 경우 비 난소절제군인 SHAM군에 비해 난소절제군인 OVX-CON군의 collagen 함량이 감소하였으나, 방풍 에탄올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OVX-LS200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골 조직에서 또한 난소를 절제한 OVX-CON군이 난소를 절제하지 않은 SHAM군과 비교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한편, 난소를 절제한 후 방풍 추출물을 50 mg/kg/day 투여한 OVX-LS50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collagen 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200 mg/kg/day 투여한 OVX-LS200군의 경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이 방풍나물 추출물은 난소절제로 인하여 증가된 혈중 지질 조성 개선 및 에스트로겐 부족으로 인한 골 손실의 예방에 유익한 효과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he improvement effects of Ledebouriella seseloides (LS) ethanol extracts on lipid parameters in an ovariectomized animal model. Sixty, nine-week old fe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four groups as follows: sham-operated rats (SHAM), ovariectomized rats (OVX-CON) and ovariectomized rats that were treated with LS ethanol extracts (50 mg/kg/day and 200 mg/kg/day, respectively). The diets were fed to the rats for six weeks after their operation. The tota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tents on serum increased in the OVX-CON group compared to the SHAM group, but supplementation with the LS extract caused these factors to decrease. Notably, the serum LDL-cholesterol concentration in the supplemented 200 mg/kg/day LS ethanol extract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reduced than the OVX-CON group. In addition, the platelet aggregation ability was lower in groups treated with LS than in the OVX-CON group. The alkaline phosphatase (ALP) activity was lower in the LS extract group compared to the OVX-CON group. Collagen content, in bone and cartilage, were reduced by ovariectomy, but the supplemented LS extract groups exhibited higher concentrations in their bones.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e improvement effects of LS extract on serum lipid parameters and osteogenesis in ovariectomized rats were illuminated.

      • KCI등재

        전통막걸리에서 분리한 효모균주를 이용한 막걸리 발효과정 중의 물성 및 미생물 군집의 변화

        전명제(Myong Je Jeon),장민경(Min Kyung Jang),이솔지(Sol Jee Lee),박성환(Sung Hwan Park),김미향(Mihyang Kim),손재학(Jae Hak Sohn),이한승(Han-Seung Lee),이동근(Dong-Geun Lee),이상현(Sang-Hyeon Lee) 한국생명과학회 2013 생명과학회지 Vol.23 No.6

        전통막걸리들에서 순수분리한 효모균주 5종을 이용하여 각각 막걸리를 제조하면서 발효 시일에 따른 막걸리의 물성 변화와 PCR-DGGE를 이용하여 미생물 군집구조 변화를 조사하였다. 막걸리의 pH는 0일째 pH 6 에서 발효 2일째 pH 3 정도의 큰 감소를 보였고 이후 큰 변화가 없었다. 발효일별로는 차이를 보였지만(ANOVA, p<0.001) 균주별로는 차이가 없었다(p=0.60). 산도는 0.19~1.04% 범위였으며 발효 2일째부터 증가하였고 발효일자별(p<0.001) 및 균주별(p=0.006) 모두 차이가 있었다. C 균주의 산도 증가가 가장 컸으며 S 균주의 산도 증가가 가장 적었다. 아미노태 질소는 S 균주가 8일째 0.442%로 높은 값을 보였지만 다른 균주들은 모두 0.150% 이하를 나타내었다. 발효일자별(p=0.4558) 및 균주별(p=0.3513)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당도는 빵효모균주인 C가 발효 4일 째부터 다른 균주들에 비해 높았고 발효일자별(p<0.0001) 및 균주별(p=0.007) 모두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알코올 함량은 모든 효모균주에서 발효 2일째 10%의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그 이후에 큰 차이가 없었다. 발효일자별(p<0.0001)로는 차이를 보였지만 균주별로는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1464). DGGE 밴드로 검출된 우점세균은 산성물질을 생산하며 기능성을 보이는 Lactobacillus fermentum와 Pediococcus pentosaceus였고, 우점진균은 Saccharomyces cerevisiae였는데 이는 효모균주 첨가에 의한 결과로 판단된다. Property changes and bacterial characterization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 were investigated during the fermentation of Makgeollies by 5 isolated yeast strains. Changes of pH were large between day 0 (pH 6) and day 2 (pH 3) and showed less variation after then. ANOVA analyses revealed that pHs were statistically different with fermentation times (p<0.001), while strains (p=0.60) did not. Acidities were changed from 0.19 to 1.04% and showed rather high increase from day 2, and fermentation times (p<0.001) and strains (p=0.006) represented statistical differences. All strains showed less than 0.150% at amino-type nitrogen contents except S strain showed 0.442% at day 8, and there were no statistical differences with fermentation times (p=0.4558) and strains (p=0.3513). Saccharinities of C strain were higher from day 4, and fermentation times (p<0.0001) and strains (p=0.007) showed statistical differences. Large variation of alcohol concentrations (%) were observed between day 0 (0%) and day 2 (10%) and showed less variation after day 2, and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with strains. Dominant prokaryotes were Lactobacillus fermentum and Pediococcus pentosaceus, which producing acids and functional materials. Dominant eukaryote was Saccharomyces cerevisiae, which might be resulted from addition of yeas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