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편복지 확장을 위한 '일자리보장제'도입 방안 연구: 광주광역시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경,김신영,Kim, Mi-Kyong,Kim, Sin-Yo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We analyzed both current local policies and in-depth survey data to find out a way to provide job opportunity and income source to local young people in so-called job guarantee system. The young generation in current Korean society has been experiencing both growth without employment and severe economic inequality at the same time, though they should have taken part actively in social development. Their rights for work and survival have also been threatened and losing hope for the future is an widespread symptom in this generation. Kwangju metropolitan city(KMC) has been supporting certain amount of case income and job experience to young people in Kwangju through a local government policy called Kwangju Young Generation Job Experience Dream Service. In spite of high level of satisfaction from the participants, limitations such as below average job performance level of participants and a barrier in the transition to regular position still remain. This study hopes that a case of Kwangju gives pragmatic insights for a realizable path to expanding universal welfare through assuring job opportunity to the young generation in local area.

      • KCI등재

        루만 체계이론의 여성학적 수용가능성에 대한 소고

        김미경(Kim, Mi-Kyong) 계명대학교 여성학연구소 2016 젠더와 문화 Vol.9 No.2

        본 논문은 그동안 진보학문으로서 중심적 역할을 해오던 여성학이 제도화 되면서 후속세대의 재생산에 어려움을 갖게 되고, 여성운동가를 더 이상 배출하기 힘든 현실 앞에서 여성학의 발전을 위해 필요한 것이 무엇인지를 숙고하는 가운데 루만을 여성학적으로 수용하고자 하는 관심에서 출발하고 있다. 그동안 서구의 전통적 인식론에서 중요시했던 판단하는 주체의 관점이 아니라 루만의 ‘관찰자’ 개념으로 ‘체계가 환경에 접근하는 체계/환경–차이 이론적 방법론을 페미니즘 인식론에서 수용할 수 있을지’, 그 가능성에 대해 타진해 보고자 한다. 그 과정에서 루만의 “페미니즘은 가부장제에 대한 이데올로기적 비판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의 의미를 살펴볼 것이다. 본 연구는 페미니즘의 가부장제 이해에 있어 이데올로기성을 극복하고 그것이 재생산되는 후속소통 메카니즘을 밝힐 수 있어야 한다는 루만의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을 수용하고, 루만의 체계/환경–차이 이론의 인식론적 전제를 수용하기 위한 시론적 연구이다. Women’s studies which have played a central role as advanced studies got to difficult to be reproduced in the succeeding generation as it was more institutionalized than other areas. This paper tried to connect women’s studies to Luhmann’s system theory in the process that considers things necessary for development of it. It tries to understand the possibility that the methodology of system/environment-difference theory that systems approach environment can be accepted in epistemology of feminism by the observer concept of Luhmann, not the viewpoint of the judging main agents which are regarded as important in the Western traditional epistemology. In the process, it will review Luhmann’s criticism, “Feminism just stays at ideological criticism about patriarchy.”

      • KCI등재

        지적,발달장애 학생의 성교육 실태조사

        김미경 ( Mi Kyong Kim ) 한국지적장애교육학회(구 한국정신지체아교육학회) 2015 지적장애연구 Vol.17 No.4

        본 연구는 지적ㆍ발달장애 학생들을 가르치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특수교사들이 실시하고 있는 지적ㆍ발달장애 학생 성교육의 전반적인 실태와 인식을 조사하여,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서 체계적인 성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로 인해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 특수교사들의 전문적인 성교육과 긍정적인 성 태도를 통해 삶의 질 향상에 보다 직접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광주광역시와 전남지역 내의 지적ㆍ발달장애 학생을 가르치는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특수교사 13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회수된 87부의 설문지를 연구자료로 활용하였다. 설문지는 지적ㆍ발달장애 학생 성교육 실태 및 인식수준에 관한 문항으로 나눌 수 있으며(총 22문항), 본 연구에서는 필요한 영역의 13문항만 사용하여 결과 해석하였다. 각 문항을 변인별(성별, 학교별, 부서별)로 빈도, 평균, 표준편차를 알아보기 위해 빈도 백분율로 분석하고, 비교 구분의 관점에 따른 차이는 Chi- square 검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The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states and recogni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teaching sex educ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so that support basic data to success in systematic sex education at special schools and classes. It proposes ways and directions that can contribute directly to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through professional sex education and positive sex attitudes of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teachers. The subjects of study were conducted among 130 peoples working as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87 questionnaires were recovered by utilizing research data. The questionnaire can be divided into questions on sex status and awareness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developmental disabilities(Total 22 items), analyzed in this study using only the 13 questions in the required area. Each item analyzed frequency. mean, SD as variables(gender, school-based, departmental), the percentage and frequency analyzed to determin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he difference in terms of the Comparison of verification methods were analyzed by Chi- square.

      • KCI등재

        1인 가구 시대 노후와 가족에 관한 새로운 인식을 위한 소고

        김미경(Kim Mi Kyong) 동양사회사상학회 2016 사회사상과 문화 Vol.19 No.4

        인류문명이 발견한 가장 오래된 제도인 가족은 끊임없이 변화하여 왔지만 지구상 가장 오래된 제도로서의 견고한 위상은 아직까지도 빛이 바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 몇 대가 함께 살던 전통사회의 대가족에서 부부중심의 근대적 핵가족을 거쳐 이른바 1인가구의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본 연구는 50대 이상 노인의 50%이상이 혼자 살아가고 있는 노년 1인가구가 지배적인 시대를 살아가면서 노후의 문제, 가족의 의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노년기를 그 이전의 인생주기에 주어진 모든 사회적 의무로부터 벗어난 진짜 자신의 삶을 살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지는 시기로 볼 수 있는 인식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에 주목하고자 한다. 단독가구 증가에 따른 가족구조의 변화와 돌봄 문제를 노년기의 배우자 관계 및 노부부와 자식관계의 변화에 주목해 살펴보는 가운데 노년기 단독가구의 증가현상에 따른 노인들의 ‘혼자 사는 삶’의 의미를 점검하면서 현대사회의 고독과 동시에 독립적 노년기에 대해 생각해보고자 한다. 가족 안에서의 파트너 관계를 중심으로 한 친밀성의 의미를 점검하는 가운데 ‘따로 살지만 함께 살아가는’ 비혈연적 대안 공동체의 수용가능성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The family system, which is the longest one found by human civilization, has been constantly changed, but its status is still solid as the longest system in human history. However, the system has experienced some changes from traditional large households that include several generations to modern nuclear families with husband and wife centered and to single households. This study started with the necessity of new recognition about the problems of later life and the meaning of family in the age when over 50% of senior citizens who are over 50 years old live alone, or in the age when one-senior households are dominant. This study focuses on the necessity of switching recognition that old age can be considered as the period when the chance of living their own life is given escaping from all social obligations given before they become old. While researching the change of family structures and care problems focusing on the change of relationships between spouses and between old couples and their children, we intend to review the meaning of ‘living alone’ to old people according to the increase of single-senior households, and to contemplate the solitude of modern society and independent elderly life. While reviewing the meaning of closeness focusing on partner relationships in the family, we intend to research acceptability of non-blood tied alternative community that ‘they live in the same house but live separately.’

      • KCI등재

        개별화된 활동프로그램이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김미경(Kim, Mi-K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9

        목적 본 연구는 개별화된 활동프로그램이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의사소통과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전남의 초등학교 특수학급 재학생 총 68명 중 4명(여 2명, 남 2명)을 표집하였다. 대상선별에 따른 주요 조건은 중등도 지적장애 학생으로서 자기의 욕구를 표현하는 정도의 구어사용이 가능한 경우로 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연구방법은 사전⋅사후검사에 따른 A-B-C 설계였고, 총 35회의 프로그램 중 매 7회기마다 검사가 실시되어 총 5회가 이루어졌다. 결과 결과의 처리는 A-B-C 설계에 따라 사전⋅사후검사를 통한 비교분석이 이루어졌으며, 사전⋅사후검사의 평균차에 대한 유의도는 t검증으로 하였다. 결론 첫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별화된 활동프로그램은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들의 대인관계 발달에 효과적이였다. 둘째,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별화된 활동프로그램은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들의 의사소통 발달에 효과적이였다. 셋재, 본 연구에서 실시한 개별화된 활동프로그램은 중등도 지적장애 초등학생들의 대인관계관련 과제가 의사소통 과제보다 사회성 발달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Obj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a individualized activity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n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 students (2 female and 2 males) enrolled in elementary school special class in Jeollanam-do. The subjects we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and capable of expressing their desires verbally. This study used an A-B-C design based on the pretest and posttest design. Subjects were tested every 7 sessions (5 times) among the 35 sessions of the program. Results The results were compared using the rater mean score of pretest and posttest according to the A-B-C design. Th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retest mean and posttest mean was determined using a t-test. Conclusions First, the individualized activity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developing the interpersonal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n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Second, the individualized activity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was effective in develop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n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Third, the interpersonal skill-related tasks of the individualized activity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affected the social develop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n moderate intellectual disability more than the communicative function-related tasks of the program did.

      • KCI등재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의 자율성, 자기규칙 및 심리적 역량에 미치는 효과

        김미경(Mi-Ky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4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effects of program photo shoot on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Methods For the research, 20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located in mok-po city of Jon-nam Distrect : 10 student(6boys,4girls) were pla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other 10 were in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was operated twice times a week for four months (total of 26times) in their classrooms and outsid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photo shoot was effective on improving self-autonomy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econd, the program photo shoot was effective on improving self-regulation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rd, the program photo shoot was effective on improving psychological empowerment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Conclusions The program photo shoot was effective on improving self-autonomy, self-regulation, psychological empowerment for the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적 본 연구는 발달장애 재학생을 대상으로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자기결정력 중 자율성, 자기규칙 및 심리적 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전라남도 M시에 위치한 특수학교 고등학교 학생들과 전공과에 재학 중인 발달장애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남학생 6명, 여4명씩을 각각 10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구성하고, 대상 학생의 교실과 교실밖 실외에서 일주일에 2회씩, 4개월간에 걸쳐 총 26회기의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사진찍기 활돌프로그램이을 통해 자기결정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첫째,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장애 학생의 자율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둘째,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규칙 수행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셋째,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을 통해 발달장애 학생의 심리적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었다. 결론 따라서 사진찍기 활동을 통한 프로그램이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능력 중 일부인 자율성, 자기규칙, 심리적 역량 향상에 있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는 결과를 도출한 것으로 보아 사진찍기 활동 프로그램이 발달장애 학생에게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수업에서 프로젝트 학습의 적용 및 효과

        김미경(Mi Kyong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1

        목적 본 연구는 영어와 창의성을 기르는 학습자 중심 대학영어 수업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학습자 중심으로 문제를 제기하고 탐구하고 해결하는 프로젝트 기반 대학영어 교수설계 모형을 개발·운영한 후 학습자 관점을 분석하였다. C 대학교에 2021년 1학기 교양선택으로 신설한 교양영어 과목 수강생 24명은 자신들이 작성한 포트폴리오(조별보고서 초안, 수정안, 최종안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이용한 메시지)를 연구에 활용할 것에 동의하였다. 주요 분석자료는 마지막 과정에 작성한 조별보고서 내 성찰기록이다. 결과 학습자는 본 연구수업에 대해 크게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인 측면으로 인식하였다. 긍정적인 측면은, (1) 탐구를 통한 주도적 지식 구성과 유의미한 영어학습과 (2) 조원 간 협력을 통한 문제해결과 (3) 비판적 사고기반 자원·정보·기술 활용으로 나타났다. 부정적인 측면은, (1) 비대면 상황으로 인한 제한적 의사소통과 (2) 학습자의 낮은 영어 능력이 부담으로 작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이러한 부정적인 측면은 본 연구수업 초기에 나타나고 중반에서 약화 된 것으로 보인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두 가지 교육적 제안을 제시한다. 첫째, 모델링 제공이 필요하다. 낯선 교수법 도입과 영어능력이 낮은 학습자의 경우, 과업 관련 모델링은 과업수행에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한 의사소통 확대가 필요하다. 학습자 탐구가 중심인 프로젝트 기반 수업을 비대면 비실시간 온라인으로 수강한 학습자 모두 과업을 완수한 것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 기반 활발한 의사소통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드러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otential of Project-Based Learning as a student-centered teaching approach so as to develop English language skills as well as creativity in a General English course at a Korean university. Methods The four-week framework was embedded into an undergraduate General English class. A total of 24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fter collecting the portfolio including the first draft, the revised draft, and the final draft of group journals and Social Network Service (SNS) messages, the data were analyzed to investigate the students’ perception on the course. Results Its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ents developed positive attitudes towards the course, in terms of knowledge construction and English development; cooperative problem-solving;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Second, the participants challenged the project-based English course in which communication in an asynchronous online class, and low level of English proficiency limited the inquiry process. Conclusions The study concludes with two pedagogical implications: the use of explicit modeling, and the inclusion of SNS as a communication tool.

      • KCI등재

        중국어와 한국어의 문장 부호 비교 - 모호와 쌍점을 중심으로 -

        김미경 ( Kim Mi-kyong ) 충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인문학연구 Vol.59 No.3

        이 논문은 중국어와 한국어의 문장 부호를 비교하여 그들 간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고찰함을 목적으로 한다. 모든 문장 부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지만, 지면 관계상, 이번 논문은 우선 중국어 문장 부호 冒号와 한국어 쌍점을 비교 분석하는 것으로 그 대상을 제한하였다. 중국어의 문장 부호, 즉 标点符号는 点号와 标号로 나뉘고, 점호는 다시 句末点号와 句内点号로 나뉜다. 句内点号에는 冒号 이외에 逗号, 顿号, 分号가 더 있다. 이 논문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우선 현행 공식 중국어 문장 부호 규정인 「标点符号用法」(2011)에 대하여 알아본다. 그 다음으로 冒号, 쌍점의 순으로 그 기능과 용법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冒号와 쌍점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본다. 그런 다음 마지막으로 冒号와 쌍점의 번역 전략을 예를 들어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 문장 부호의 기능을 연구함에 있어 근거로 삼은 기준은 양 국의 현행공식 문장 부호 규정이다. 중국어의 경우 「标点符号用法」(2011)을 기준으로, 한국어의 경우는 「한글 맞춤법」(2017)의 부록인 ‘문장 부호’ 규정을 기준으로 하였다. 이 논문의 결과들은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 및 전문가들이 좀 더 정확하게 중국어 문장을 쓰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research explores a comparative analysis and translation strategy in the use of Chinese and Korean colon mark, employing the definition, function and role of the colon in order to find obviously different uses. As known, punctuation marks are considered as symbols to indicate the structure of a sentence, delivering the author's intention. It implies that the correct use of punctuation is very important in written language. In addition, this research compared Chinese and Korean punctuation, colon, since Chinese uses a different set of punctuation marks from European languages, differently derived from both Western and Chinese sources. It hints that the concept of Western punctuation marks has been greatly influenced in written language during the 20th century. Currently, the use of punctuation marks is regulated by the Chinese national standard GB/T 15834-2011 “General rules for punctuation”.(traditional Chinese: 標點符號用法; simplified Chinese: 标点符号用法). On December 5, 2014, the Korean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announced “the revised the version of Hangul Matchumbeop (Korean Orthography),” including the issues of the regulations related to the revision of the punctuation marks (implemented on January 1, 2015). It has been 26 years since the first version of “Punctuation” was introduced in the Appendix section of “Hangul Matchumbeop” in 1988. With reference to the results, many considerations were found they should be considerably educated.

      • 초등학생의 식습관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김미경 ( Mi-kyong Kim ) 한국보건교육학회 2020 한국보건교육학회지 Vol.6 No.1

        이 연구는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의 식습관 실태와 관련 요인들을 분석하고, 초등학생의 식습관이 어떤 맥락에서 형성되고 있는가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지역 각각의 3개 초등학교 6학년 345명으로 1차 설문조사 후, 식습관이 좋지 않은 아동을 대상으로 추가로 면접 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 아동의 식습관은 식습관 인식, 태도, 관심 및 개선 의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개인적 요인보다 환경요인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다. 특히, 가정에서 부모가 아동의 식습관을 지도하는 사회적 통제의 영향이 가장 컸다. 개인적 요인은 환경요인보다 아동의 식습관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식습관에 대한 지도, 즉 보건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에서는 아동의 건강한 식습관 형성 및 인식을 위해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지도할 필요가 있다. 국가·사회적으로는 아동의 식품환경을 건강하게 바꾸려는 노력과 더불어 학교에서의 보건교육에 대한 지원이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nalyzed factors related to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in the six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and attempted to reveal the context in which the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re formed. First round surveys were conducted on 345 sixth grade students in 3 elementary schools in the Seoul and Gyeonggi areas and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additionally on children with poor eating habits. Research results showed that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showed differences according to eating habit perceptions, attitudes, interests, and improvement intentions and the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were greater than those of personal factors. In particular, the effects of social control in which parents guide the eating habits of their children in the home were greatest. The effects of personal factors on the eating habits of children appeared relatively smaller than those of environmental factors. This could be related to guidance regarding eating habits, or in other words, to the fact that health education is not being properly conducted. Therefore, homes and schools should take interest in and provide steady guidance for the formation of the healthy eating habits and perceptions of children. Support for health education at schools should also be provided along with efforts to healthily change the food environments of children nationally and social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