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요인분석을 통한 학습 전략 사용의 비교 분석 연구

        원미진 ( Won Mi-jin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0 국제어문 Vol.48 No.-

        한국어 학습자들이 사용하는 학습 전략의 성격을 알아보기 위해 언어 학습 전략 목록표를 사용하여 98명의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그들이 사용한 언어 학습 전략을 체계적으로 범주화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9가지 요인으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제일 많은 설명력을 보인 전략은 연습과 분석을 위한 인지 전략이었고, 목표 점검 과정을 하는 상위 인지 전략이 그 다음이었다. 한국어 학습자가 사용하는 9가지 언어 학습 전략은 Oxford가 제시한 6가지 전략 유형별로 살펴 볼 때 인지 전략이나 상위 인지 전략에 비해 기억전략, 보상 전략, 사회적 전략의 사용량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었다. 한국어 학습자들이 주로 사용하고 있는 전략의 집단별 특징을 살펴보기 위해 집단별 분석을 시도했다. 학습자 집단은 여성이 남성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전략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습자의 수준은 전략 사용에 영향을 주는 변인인 반면에, 학습자의 나이나 학습자의 모국어 문화권은 전략 선택과 상관관계가 상대적으로 미약했다. 학습 전략 사용의 성격을 아는 것은 학습자 중심의 언어 교수를 계획하는데 필수적인 요소라는 점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특성에 따른 집단별 특성을 살펴본 것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compared the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of KSL learners. The data were measured by the ESL/EFL version of the SILL, the most widely employed strategy scale and collected from 98 KSL learner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licit the factor related to KSL learners`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 nine factor, principal components, Varimax solution was chosen for the SILL survey, this solution accounted for over 69% of the variance in the data. Among the most important factors explaining the variance were cognitive strategies (oral repetition, looking for practice, analyzing words roots and patterns) and meta-cognitive strategies (having clear goals, thinking about progress and). While cognitive and meta-cognitive or social strategies were independent factors from other strategy categories, affective and compensation strategies as a combination were common to another factors. In addition, frequency of use of language learning strategies appeared to be directly related to whether learners are male or female and a language level, young or old, easteren or western language background,and living period are not directly related to the frequency of the use.

      • KCI등재

        문법교육 : 한국어 학습자의 어휘,문법 능력과 읽기 능력 발달의 상관관계 연구 -한국어능력시험 결과 분석을 토대로

        원미진 ( Mi Jin Won ) 한국문법교육학회 2014 문법 교육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the reading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learners for academic purposes. L2 reading development is the result of L1 transfer based on the Developmental Interdependent Hypothesis. However, L2 reading i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L2 language proficiency according to the Language Threshold Hypothesis. Because L2 reading is a complex process involving L1 and L2 resources, the L2 reading research included many sub-fields from L2 linguistic competence to various L1 factors. This study examines the scores of TOPIK (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for advanced learners to investigate the 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d L2 reading ability positively. Correlation Analyses in 4 parts( vocabulary/grammar, reading, listening, writing) of language competence showed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L2 reading and vocabulary/grammar for advanced learners. However, regression results from L2 vocabulary/grammar score predicted L2 reading in level 5 learners not in level 6 learners. In this study, the finding explains that L2 reading could be improved by studying L2 language vocabulary and grammar until the vocabulary/grammar score reached around 80 out of 100. For the studentswith above average of vocabulary/grammar score, there might be other related factors that influenced reading ability including L1 reading resources such as use of strategies, motivation, and background knowledge. The implication of this study for instruction is that L2 reading instructions require considering both L2 and L1 factors to improve L2 reading ability for advance Korean learners.

      • KCI등재

        일반논문 :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정형화된 표현 사용의 쓰기 교육 효과 연구

        원미진 ( Mi Jin Won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15 언어사실과 관점 Vol.35 No.-

        Formulaic expression-the fixed expressions-are recognized as having important roles in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especially for language learners with academic purposes. Learning to use more frequent fixed expressions can improve writing competence in a specialized field of study. The Korean language learner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two types of compositions: one academic paper, and one personal essay. The essays were submitted in class as part of an in-class assignment, and the academic reports were assigned as take-home papers. Results showed that advanced Korean learners who forcibly used fixed expressions in their papers revealed unpredicted problems in making correct sentences in both types of compositions. Therefore, the study focu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writing skills by comparing the two types of compositions between those that used or did not use formulaic expressions in their tasks. While participants with a very high quality in their academic writing showed adapting skills of those expressions, those who were not as proficient made many errors in their sentences. Learners who produced a low quality of writing had a difficult time matching subject-verb agreement. In sum, it is believed that the formulaic expressions can help learners that have a certain level of language proficiency and is less useful for those who are not as proficient. Therefore it is crucial to provide a list of formulaic expressions that is more suited to a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and carefully consider the meaning and function behind each expression. Since formulaic expressions are useful for improving academic writing, an academic formulaic list would be helpful if selections of lists are accomplishe.

      • KCI등재

        조사 `이/가`와 `은/는`의 중간언어 습득 양상 연구 - 중국어권 초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원미진 ( Won Mi-jin ) 국제어문학회 2016 국제어문 Vol.0 No.68

        본고는 한국어 초급 학습자들의 조사 습득 양상을 밝히기 위해 학습자의 작문자료를 바탕으로 조사가 사용된 문장의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의 조사 습득의 중간언어 발달 양상을 기술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기존의 조사 습득 양상이 오류 분석에 기울어 분석했음에 비해 본고에서는 조사 사용의 양상을 문장의 문법적 특성과 의미적 특성을 살펴봄으로써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의 체계를 밝혀 보려 하였다. 이러한 관점은 학습자의 언어 발달이 체계적이라는 중간언어관점에 근거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오류가 무작위적인 오류가 아닌 체계적인 발달 단계에 근거하고 있음을 입증해 보려고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삼은 작문이 1급의 학습자 3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는 점이 한계가 있으나 이러한 접근방법을 통한 분석이 추후 더 많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확대되어 간다면 학습자들이 가장 습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조사 `이/가`와 `은/는`의 사용 양상의 차이를 밝혀 습득 양상과 중간언어 발달 양상을 밝히는 데에 기여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reveal any systemization in learners acquir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By hypothesizing that learners; interlanguage system is consistent with natural language systems, this study focuses on finding rules and explanations for students` Korean acquisition rather than discussing their errors. To test this hypothesis, the study analyzes the writing of 34 Chinese Korean beginner learners. Although the particles `이/ 가` and `은/는` are some of the first grammatical markers which should be taught to and learned by Korean learners, learners may fail to appropriately use them until the learners reach higher levels. The particles `이/가` and `은 /는` are functional words and are sometimes used synonymously. The most Korean leaners have difficulties understanding the proper usage of each particle. The data analysis shows that their use of the two particles follows their interlanguage system`s rules. First, particles are selected using specific rules based on the sentence patterns and discourse purposes. Second, the errors or omissions of particles arise in sentences with more constituents than simple sentences. Third, specific patterns demand `이/가` instead of `은/는` or vice versa in their interlanguage systems. Finally, the rules how beginner Korean learners use these particles can be explained by the interlanguage development hypothesi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어 고급 교재의 듣기 활동 타당성 연구

        원미진 ( Won Mi-jin ),최수정 ( Choi Su-jeong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3 국제어문 Vol.59 No.-

        본 연구는 한국어 교재의 듣기 활동이 고급 한국어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개발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가에 대한 타당성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한국어교육에서 듣기 영역은 이해 교육으로서의 듣기 교육에 대한 관심 부족으로 인하여 언어교육의 부차적인 활동으로만 인식되었다. 그 결과 그동안의 듣기 활동 분석 연구는 듣기 문제 유형에 대한 분석이 주를 이루었다. 본고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학습자의 이해영역의 고른 발달을 위한 듣기의 범주 및 기술에 초점을 맞춰 듣기 활동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선행 이론을 바탕으로 듣기의 인지 과정, 이해 유형, 듣기 기술, 그리고 활동 유형의 다양성이라는 분석 기준을 설정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듣기 활동의 경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 과정에서는 상향식이 주를 이뤘고, 둘째, 이해 유형의 측면에서는 대부분의 듣기 활동이 사실적 이해 중심이었다. 셋째, 듣기 기술 중에는 정보 다루기 기술을 사용해야 하는 활동이 가장 많았으며, 끝으로 듣기 활동 유형에서는 선택적인 듣기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어 고급 교재에서 듣기 활동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하는 점들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An undergoing issue in the area of language education is how to teach listening competence. For the past 40 years, there has been a lack of attention on listening as an independent way of improving language competence. This paper discusses the validity of listening competence based on the analysis of textbooks for advanced Korean language learners. Listening competence was examined and categorized by a four process frameworks ; (1) a cognitive approach(bottom-up vs. top-down vs. interactive) (2) comprehension types of text(replication, synthesis, and inference) (3) listening skills(perception skills, language skills, using knowledge of the word, dealing with information, and interacting with a speaker) and (4) types of listening activity(attentive listening, intensive listening, selective listening, and interactive listen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istening activities were more bottom-up processes and replication orientation activities Also, there is a big emphasis on listening in language activities in the selective listening activities.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the direction of material development for improving listening competence and its relevance for future listening development studies.

      • KCI등재

        한국어 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한 채점 경향 분석 연구

        원미진 ( Won Mi Jin ),김지영 ( Kim Jee You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7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47 No.-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and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grading of the Korean speaking test. To develop the speaking portion of the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 this core research currently looks to increase the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speaking assessment.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sessions with raters. To uncover the affective factors of grading, the raters were divided into three distinct groups: native-experienced, native non-experienced, and non native raters. All of the participants were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he traing sessions preceded in three stages. After the first session, all raters identified their problems, and continued with their grading.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a multi-dimentional rasch model using the FACETS program. The results showed that experienced raters scored assessments using relatively strict grading criteria. The three groups showed different tendencies on scoring items, constructs, and measurement use. However, experience or nativeness did not affect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individual rater. Their internal consistency of scoring was influenced by the process of setting up their criterion or by the eventual fatigue with grading. Future studies should examine experienced Korean teachers in different types of traing sessions. Despite the limitations, this study provides significance in this context as the first paper on the training of the Korean speaking performance test. (Yonsei University, Ewha Womans University)

      • KCI등재

        재미 동포의 한국어 사용에 나타난 변이어 연구

        원미진 ( Mi Jin W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5 어문론총 Vol.65 No.-

        본고는 재미 동포 사회에서 사용되는 한국어의 모습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주민 사회의 언어 접변 현상에서 나타나는 한국어의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것은 7백만 재외 동포들의 언어생활을 예측해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 재미 동포 사회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양상이 현재 한국 사회에서 쓰이는 언어와 다른 것을 변이어라 정의하고 변이어의 유형과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 본고의 목적이다. 이를 위해 60명의 세대별 연령별 변인을 고려한 재미 동포들을 대상으로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네 가지의 변이형을 분류 하였다. 첫째는 모국과 시공간적인 단절로 인해 언어적 개신의 영향을 받지 못하고 개신형 대신 살아남아 있는 이전 용어들인데 이를 비개신형이라고 부를 수있다. 둘째는 현지의 지배적 언어인 영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한국어와 영어의 혼종어이다. 영어가 한국어의 사용 맥락 안에서 단어나 구, 때로는 절이 삽입되어 있는 것들이 있으며, 특히 단어 이하 단위에서는 한국어의 파생접사와 함께 사용되어 혼종어를 이루는 것들이 포함되어 있다. 셋째, 영어의 영향으로 인해 한국어의 어휘가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영어 단어의 형태가 선호되어 일상생활에서 흔히 쓰이는 외국어가 다수 존재한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한국어의 구사력이 퇴화되었거나 아직 완전하게 학습되지 못해 발생하는 중간언어 형태의 유형을 살펴 그 특징을 밝혀 보았다. 이러한 기초 자료의 분석은 재외 동포 사회에서 한국어의 사용 양상 및 미래를 예측할 수 있는 자료로서 가치가 있다고 하겠다. The study aim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language variation of Korean used by Korean-American in the 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rched how Korean language has been variated, developed and transcended in Korean-American society and to categorize some variant samples. The variant of Korean language were identified through in-depth interview and searched on local media materials. The interviews were conducted in the U.S with around 60 Korean-Americans. Some of the variants were old expressions that were not renewed and threrfore rarely used in Korea nowadays. However, most of the variants are borrowing words and mixing words influenced by English. The patterns of ‘English + Korean affix’and‘English noun/verb + Korean noun’are general combining ways of deriving vocabulary. Also, Korean style English words and loanwords from English are analyzed from the data. Besides, a number of interlanguage expressions are also detected from the 1.5th and the 2nd generation immigra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research should be condducted focusing on language variants by the variables- immigrant generation, age, and occupatiion as well as comparing with another immigrant societies in future research. Nonetheless of limitation, the findings would give insights into language use of Korean immigrant societies in future.

      • KCI등재

        한국어 학습자 사전 뜻풀이 어휘 통제를 위한기술 방법에 관한 연구

        원미진 ( Mi Jin Won ),한승규 ( Seung Kyu Han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1 언어와 언어학 Vol.0 No.50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iscuss two issues related to defining vocabulary control in a Korean learner’s dictionary. First, definitions in the Korean learner’s dictionary are distinct from other Korean dictionaries in terms of convenience and usefulness concerning the learners’ purposes of using a dictionary. Second, “defining vocabulary control” should be considered to compile the learner’s dictionary. The paper analyzes the defining vocabulary of 3,000 words, in which the basic definitions are provided in the ongoing Korean learner’s dictionary. By calculating morphemes in defining words, the study extracts the list of defining vocabulary. Since the number of defining vocabulary is over 3,000, there is a need to review the words which are not appropriate for defining vocabulary. The results of this paper should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revising definitions by replacing the low frequency words with high frequency words, or by describing with more detail and higher frequency words. The study provides some implications of the possibility of defining vocabulary within 3,000 words in a Korean learner’s dictionary.

      • KCI등재

        언어능력 평가로서의 말하기 평가 내용 연구 - 한국어 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한 국내외 말하기 평가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원미진 ( Won Mi-jin ),황지유 ( Hwang Ji-you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5 No.-

        본고는 언어 능력 평가로서 말하기 평가가 갖춰야 하는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선행하는 외국어 능력시험의 말하기 평가를 검토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한국어능력시험 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한 연구이다. 본고에서는 영어, 중국어, 일본어 말하기 평가에서 제시되고 있는 평가 방법의 외적인 구성 형식과 내적인 측정 구인 및 채점 방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험 시간과 평가 문항의 유형을 검토하였고, 채점의 구인과 채점 척도 및 방법을 분석하여 이를 바탕으로 한국어 말하기 평가 개발에 있어 고려해야 하는 내용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검토는 그간의 연구들이 이론적인 논의와 교실 현장에서의 말하기 능력에 초점을 맞춘 연구들이었다는 점에 비추어 실용적이고 타당도 높은 말하기 평가 개발을 위해 검토가 필요하다는 전제에서 이루어졌다. 한국어능력시험에서 말하기 평가가 개발될 때 갖춰야 하는 평가로서의 내적, 외적 타당도를 갖추기 위해서는 다른 외국어 시험의 말하기 평가와 비교하여 크게 다르지 않은 범위에서 한국어능력시험의 목적과 한국어의 언어 체계, 그리고 실제 활용가능한 실용성의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본고의 결과는 다양한 말하기 평가의 검토를 통해 한국어 말하기 평가 개발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점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 있어 평가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의의가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various foreign language competence tests to guide the development of a Korean speaking test. Reviewing several other language competence tests is necessary to determine the validity of a speaking test. In this study, many speaking proficiency tests are analyzed in two parts: external forms and internal contents. External forms include the length of the test and the types of questions, and internal contents include the constructs of the test and scoring.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speaking tests at Korea and abroad were analyz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esented some point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he Korean speaking test. These points are considered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practical and valid Korean speaking test. This is because the Korean speaking test should be developed similarly and be comparable to other foreign language speaking tests in order to have validity, and this development should also consider the Korean language system and the test’s practicality. This study suggests several points to be considered in the development of a Korean speaking test by reviewing various speaking tes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valuable for basic research in Korean speaking test develop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