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Type 1 당뇨 아동의 심장 탈분극 재분극 간격과 심혈관 위험인자에 대한 12주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의 효과

        신기옥(Shin Ki Ok),박찬호(Park Chan Ho),박정준(Park Jung-jun)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9

        본 연구의 목적은 type 1 당뇨 아동에서 12주 유산소운동 트레이닝이 심장 QT 간격과 심혈관 위험 인자들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9-17세 사이의 type 1 당뇨 아동 1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유산소운동 프로그램을 총 12주간 주 3회 실시하였다. 운동 강도는 3주까지 HRR 45%, 그 이후에는 HRR 55%를 적용하였다. 심장 QT 간격의 평가는 심박수 변이성 파워 스펙트랄 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심혈관 위험인자들은 대상자들의 혈액샘플을 채취하여 검사하였다. 연구결과 유산소운동 트레이닝 후 수축기 혈압(p<0.05)과 확장기 혈압(p<0.05)에서 유의한 감소가 있었다. 또한 심장 QT 간격(p<0.05), TC 농도(p<0.05), 그리고 HDL-C 농도(p<0.05)의 감소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와 선행연구를 고려할 때 운동 강도와 빈도가 고려된 장기간 규칙적인 신체활동은 type 1 당뇨 아동의 당뇨 합병증 예방 및 심혈관 건강관리에 효과적이고 중요한 작용을 할 수 있으리라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12-week aerobic exercise training on cardiac QT intervals and cardiovascular risk profiles in type 1 diabetic children. Eleven type 1 diabetic children aged 9-17 years took part in this study as subject. The participants performed aerobic exercise training three times a week for total 12 weeks. The intensity of the training was adjusted at HRR 45% until three weeks and at HRR 55% since four weeks. After a 12-week aerobic exercise training systolic (p<0.05) and diastolic (p<0.05) blood pressure of the subjects was decreased.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cardiac QT intervals (p<0.05), TC level (p<0.05), and HDL-C level (p<0.05). Therefore,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long-term regular physical activity of type 1 diabetic children considered exercise intensity and frequency may effect and play a important role in the prevention of diabetic complications and cardiovascular health care.

      • KCI등재

        Alterations of Heart Rate Variability upon β3-Adrenergic Receptor Polymorphism and Combined Capsaicin, Sesamin, and L-Carnitine in Humans

        Ki Ok. Shin(신기옥),Hyun Jun. Kim(김현준),Sung Hwun. Kang(강성훈)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1) 캡사이신(75 ㎎), 세사민(30 ㎎), 그리고 카르니틴(900 ㎎) 복합성분(CCSC)이 에너지 대사조절자로서 열발생 교감신경활동과 관련된 자율신경활동을 향상시키는지, 2)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β₃-AR 유전자 다양성이 자율신경활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하였다. 7명의 대상자(24.7±1.8세)가 이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심박수변이성 파워스펙트랄 분석에 의해 평가된 심장자율신경활동은 CCSC 섭취 전과 후 총 120분간 매 30분마다 5분간 측정하였으며, CCSC 또는 위약 (CON)그룹은 무작위로 대상자에서 섭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총 대상자중, β3-AR 유전자CC타입을 가진 대상자는 없었다. 두 그룹간의 안정시 심박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율신경활동에서도 그룹간 차이는 없었으나, CCSC그룹에서 섭취전과 섭취 후 30분에서 총자율신경활동(TOTAL power), 부교감신경활동(PNS power), 그리고 교감·부교감 신경활동지수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respectively). 이상의 결과로서, 비록 각각의 성분들은 지방분해와 관련이 있다 할지라도CCSC의 섭취는 열생산 교감신경 자극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며, 오히려 양 교감·부교감신경활동의 향상과 관련이 있다는것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미래의 연구에서는 ANS 활동에 영향을 주는 유전적 다양성뿐만 아니라 운동능력 향상 보조물 그리고/또는 지방분해 효과를 위한 더 많은 복합 영양 성분이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We investigated whether 1) the combined capsaicin (75 ㎎), sesamin (30 ㎎), and L-carnitine (900 ㎎) (CCSC) ingestion enhances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activities including thermogenic sympathetic activity as energy metabolic modulator, 2) β₃-AR polymorphism of each subject influences with ANS activity. Seven healthy males (22.0±0.5 yr) volunteered for this study. The cardiac autonomic nervous activities evaluated by means of heart rate variability of power spectral analysis were continuously measured during 5 min every 30 min for total 120 min resting condition with CCSC or placebo oral administration chosen at rando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are not Arp/Arg?⁴ variants of the β₃-AR genotypes in our subjects. There were not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during rest between both trials. The difference of ANS activity did not reac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both trials. However, the significant improvement showed TOTAL power, HF component, and the indices of SNS and PNS activities before and at 30 min after CCSC ingestion (p<0.05, respectively). In conclusions, although each component of combined CCSC is associated with lipolysis and/or fat oxidation, the combined CCSC consumption is not influenced in stimulation of thermogenic sympathetic activity as modulator of energy metabolism. In rather, our results suggested that CCSC ingestion improves the balance of both SNS and PNS activities. Therefore, it will be considered many combined nutrient components for ergogenic and/or lipolysis effects as well as genetic variants affecting ANS activity in further studies.

      • KCI등재

        장기간 운동 참여 중년여성의 신체조성, 렙틴, 총 콜레스테롤 및 골밀도의 상관관계

        신기옥(Ki Ok Shin),최승욱(Seung-Uk Choi),김용호(Yong-ho Kim) 한국생명과학회 2008 생명과학회지 Vol.18 No.8

        본 연구의 피험자는 운동력이 1년 이상인 중년 여성들을 대상으로 오전 9시부터 12시 사이에 규칙적으로 헬스센터에서 운동 중인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20명의 중년 여성을 체지방률이 30% 이상인 비만군, 25~29.9%인 과지방군, 24.9% 이하인 정상군으로 분류하여 신체조성, 렙틴, 총 콜레스테롤 및 골밀도를 집단별 비교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체지방량은 비만군이 과지방군과 정상군 보다 높게 나타났고(p<0.001), BMI는 비만군이 과지방군과 정상군 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요골의 골밀도는 비만군이 정상군 보다 낮았다(p<0.01). 체지방량과 BMI (Rsq=0.8411), 체지방량과 요골(Rsq=0.6736), BMI과 경골(Rsq=0.6714)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지만, 더 많은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body composition, leptin, total cholesterol and BMD on a long-term exercise paticipation in middle-aged women. Twentieth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besity group, over-fat group and normal group. These data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Corelation Analysis. Obesity group was higher than over-fat group in body fat volume (p<.001). Obesity group was higher than other groups in BMI (p<0.05). Normal group was higher than obesity group in radius BMD (p<0.01). Body f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MI (Rsq=0.8411) and radius BMD (Rsq=0.6736). but, BMI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ibia BMD (Rsq=0.6714).

      • KCI등재

        The Effects of Maximal and Submaximal Exercise on Angiogenesis Factors andProfile of Blood Lipids

        신기옥(Ki Ok Shin),이성수(Sung Soo Lee),소용석(Yong Seok So),강성훈(Sung Hwun Kang) 한국사회체육학회 2013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51

        본 연구는 최대운동과 최대하 운동시 혈관생성 인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피험자들은 대학생으로 구성하였다(age= 24.41±0.22, n=30). 신체조성은 임피던스 방법을 이용하였으며, 혈청지질 성분 분석은 효소면역반응을 이용하였고, 혈관형성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 angiopoietin1; Ang1, follistatin) 는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청지질 성분은 최대하 운동 후 모든 요소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반면, 최대 운동에서는 TC, TG와 HDL-C에서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혈관형성인자인 Ang1은 운동 후와 회복기 30분에서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최대하 운동에서 안정 시에 비해 운동 후와 회복기 30분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그러나 follistatin은 최대운동에서 안정 시에 비해 운동 후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리고 VEGF는 안정 시에 비해 모든 그룹에서 운동 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따라서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최대운동보다 최대하 운동이 더 많은 시간동안 더 많은 근수축 활동과 저산소 상태를 유발함으로써 혈청지질의 증가는 물론 혈관형성인자의 변화를 가져오는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Alterations of Human Autonomic Nervous System Activity on Capsaicin Ingestion, and Variants of UCP1 and β<sub>3</sub>- -adrenergic Receptor Polymorphism

        고기준,신기옥,Ko, Ki-Jun,Shin, Ki-Ok Korean Society of Life Science 2007 생명과학회지 Vol.17 No.8

        본 연구의 목적은 1) 캡사이신 섭취 (100 mg) 가 에너지 대사 조절자로서 열발생 교감신경활동과 관련된 자율신경활동을 향상시키는지, 2) 본 연구의 대상자들의 UCP1 과 ${\beta}_{3}$-AR 유전자 다양성이 자율신경활동에 영향을 주는지를 조사한 것이다. 8명의 대상자 (24.7 ${\pm}$ 1.8 세) 가 이 실험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심박수변이성 파워 스펙트랄 분석에 의해 평가된 심장자율신경활동과 에너지 대사는 총 90분간 매 30분마다 5분간 측정하였으며, 캡사이신 또는 위약 그룹은 무작위로 대상자에서 섭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두 그룹간의 안정시 심박수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율신경활동은 캡사이신 그룹에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총 대상자중, UCP1의 GG유전자 타입을 가진 대상자는 37.5% 였다. 그러나 캡사이신 그룹은 Test3에서 측정시 호흡 교환율이 유의하게 낮았다 (CAP: 0.80 ${\pm}$ 0.02 vs. CON: 0.85 ${\pm}$ 0.02, means ${\pm}$ SE, p<0.05). 이상의 결과로서, 캡사이신 (100 mg) 의 섭취는 지방분해를 향상시킴으로서 비만 과/또는 고지혈증을 가진 개개인에서 유익한 성분임을 시사할 수 있다. 또한 자율신경에 대한 비만과 관련된 UCP1 과/또는 ${\beta}_{3}$-AR 과 같은 유전자 다양성은 앞으로의 연구에 고려되어져야 할 것이다. We investigated whether 1) capsaicin ingestion (100 mg) enhances autonomic nervous system (ANS) activities associated with thermogenic sympathetic activity as energy metabolic modulator, 2) UCP1 and ${\beta}_{3}$-AR variants of each subjects influence with ANS activity. Eight healthy males (24.7 ${\pm}$ 1.8 yr) volunteered for this study. The cardiac autonomic nervous activities evaluated by means of heart rate variability of power spectral analysis and energy metabolism were continuously measured during 5-min rest for total 90-min resting condition with placebo or capsaicin oral administration chosen at random.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heart rate during rest between both trials. Autonomic nervous activity increased in capsaicin tablet trial, but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Capsaicin, however, induced significantly lower respiratory gas exchange ratio at Test3 (CAP: 0.80 ${\pm}$ 0.02 vs. 0.85 ${\pm}$ 0.02), means ${\pm}$ SE, p<0.05). In conclusion, it may be suggested the capsaicin consumption as a valuable supplement for the treatment of individual with hyperlipidemia and/or obesity by improving lipolysis. Further studies will also be considered genetic variants such as UCP1 and/or ${\beta}_{3}$-AR associated with obesity.

      • KCI등재

        리보오스 보충이 최대강도 운동 후 혈중 피로물질 생성에 미치는 영향

        Yul Hyo Lee(이율효),Ki Ok Shin(신기옥),Keun Soo Kim(김근수),Young Il Kim(김영일),Jinhee Woo(우진희)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5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투여그룹을 비교하여 ergogenic aid로서 D-ribose의 효과를 운동영양학적으로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고, 이를 위하여 2,000 m 조정운동 전, 운동종료 직후, 그리고 운동 종료 후 회복기 30분의 변화를 연구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투여그룹에 따른 2,000 m 조정운동 수행력의 차이는 없었으며 둘째, 투여그룹에 따른 젖산과 암모니아 수치의 차이도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회복 30분에서 무기인산은 PS에 비해서 RS투여그룹의 수치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회복 30분에서 hypoxanthine의 축적은 PS투여그룹에 비해 RS투여그룹의 수치가 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7-8분 정도의 고강도 운동 시 운동기록의 단축에 D-ribose 구강투여의 효과는 없었지만, 휴식 기 피로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ribose supplementation on the changes of blood fatigue substances (lactate, ammonia, phosphate and hypoxanthine) after maximal exercise performance in college male students. The experimental trials of each subject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conditions: placebo supplement trial and D-ribose supplement trial. The subjects exercised using a Concept Ⅱ Indoor rowing ergometer for 2,000 m Single Skull event. The subjects ingested 200 ㎎/㎏ of D-ribose after breakfast, lunch, dinner, as well as thirty minutes before exercising, for six days. Blood fatigue substances were continuously measured before exercise,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thirty minutes after exercise.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lood phosphate and hypoxanthine level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trials in the 30 minute recovery period (p<0.05).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lactate and phosphate levels between the two experimental trials.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at D-ribose supplementation during maximal rowing exercise for 7~8 minutes may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metabolic responses as a beneficial ergogenic aid accelerating fatigue clearance.

      • KCI등재

        트레드밀 트레이닝이 비만 쥐의 neurotrophins와 초기발현 단백질에 미치는 영향

        Jinhee Woo(우진희),Ki Ok Shin(신기옥),Nam Heoh Yeo(여남회),So Young Park(박소영),Sunghwun Kang(강성훈) 한국생명과학회 2011 생명과학회지 Vol.21 No.7

        본 연구는 고지방식이로 인한 비만으로 불균형된 지질구성과 산화적 손상이 신경세포형성과 초기발현단백질에 미치는 생물학적 영향을 알아보고, 규칙적인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실험동물은 4주령 SD rat 수컷 30마리를 1주간의 적응기간을 둔 뒤, 15주간 고지방식이를 통해 비만으로 유도하였으며, high fat diet sedentary (HDS, n=15)와 high fat diet and training (HDT, n=15)으로 분류하여 연구하였다. 운동강도는 1~4주는 저강도, 5~8주는 중강도로 주5회 실시하였다. 8주 트레이닝 후 혈청지질, 8-OHdG, MDA, neurotrophic factor, 그리고 IEG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TC와 TG에서 HDS와 HDT 사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8-OHdG에서 HDT는 트레드밀 트레이닝 후에 HDS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해마에서 c-jun, BDNF 그리고 간에서 MDA의 단백질 발현은 HDT가 트레드밀 트레이닝 후 HDS보다 높게 나타났다(p<0.05). 결론적으로 8주간 트레드밀 훈련은 고지방식이 비만 유도 쥐의 혈청지질 성분의 불균형을 개선시키고, 조직과 혈청의 산화적 손상과 DNA 손상을 완화시켜 주어, 비만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NT의 발현을 증가시킴으로써 손상된 뇌기능과 신경세포의 생성 기전 활동에 긍정적 영향을 나타냄으로써 공간적 학습기능의 향상을 가져온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iological effect of obesity-induced oxidative damage on neurogenesis and early protein expression. Obesity was induced I thirty 4-week old male Sprague-Dawley rats through a high fat diet for 15 weeks. After one week of environmental adaptation, the ra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high fat diet sedentary group (HDS, n=15) and high fat diet training group (HDT, n=15). Exercise training was performed 5 times a week for 8 weeks, with mild-intensity treadmill running for weeks 1-4 and moderate-intensity treadmill running for weeks 5-8. After the 8 week training period, we analyzed lipid profiles, serum 8-hydroxyguanosine (8-OHdG), liver tissue malondialdehyde (MDA) related to oxidative damage factors, nerve growth factor (NGF), brain derived neurotrophic factor (BDNF), c-fos, c-jun, and extracellular signal regulated kinase (Erk) in the hippocampu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HDS and HDT in triglyceride (TG) and total cholesterol (TC) (p<0.05). In high density lipoprotein (HDL-c), the HDT was higher than HDS after treadmill training (p<0.05). In 8-OHdG, the HDT was lower than HDS after treadmill training (p<0.05). Genetic expressions of c-jun, BDNF and MDA in the HDT were higher than in the HDS after treadmill training in hippocampus (p<0.05). Therefore, we conclude that 8 weeks of treadmill training can improve imbalanced lipid profiles, reduce oxidative damage, and activate neurogenesis in obese rats.

      • KCI등재

        유산소 훈련 강도 차이가 비만 어린이의 산화적 조직 손상에 의한 심혈관질환 병태생리적 경로에 미치는 영향

        Jinhee Woo(우진희),Ki Ok Shin(신기옥),Keun Soo Kim(김근수),Young Il Kim(김영일),Sunghwun Kang(강성훈)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9

        본 연구는 12주 유산소 운동이 비만 어린이의 혈청지질성분, 항산화효소 활성 및 자율신경계 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피험자들은 16명의 비만어린이와 19명의 정상어린이를 대상으로 12주간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실시하였다. 측정 항목은 VO₂peak, 신체조성, 혈청지질, ox-LDL, 8-OHdG, SOD, GPx 활성, total mRNA, 그리고 자율신경계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체중은 OW그룹에서 시기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 운동 후 OR과 CO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WHR은 OR과 CO그룹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12주 운동 후 OW그룹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비만 그룹에서 baseline TG는 대조군 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p<0.05), 자율신경계 활성은 낮게 나타났다. 항산화효소 유전자 발현은 모든 그룹에서 시기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만어린이에서 산화적 손상과 항산화효소 활성은 정상어린이와 유사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정상어린이에 비해 비만어린이의 TG는 더 높게 나타났고 자율신경계 활성은 더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비만어린이에서 TG의 증가와 자율신경계 활성의 감소는 비만환자의 출발점이 어린시기에 시작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규칙적인 유산소성 운동은 어린시기에서 항산화효소 발현을 수정하여 줄 수 있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12 wk of aerobic exercise on lipid profiles,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oxidative products, and autonomic nervous activity (ANA) in children with obesity. We studied 16 children with obesity and 19 age-matched normal weight controls over a period of 12 wk, during which time moderate intense running exercise was performed. Measurements included peak oxygen uptake, body composition, blood lipid profiles, ox-LDL, 8-OHdG, SOD, GPx activities, total mRNA, and ANA.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body weight between periods in the OW group, but body weight increased after 12 wk in OR and CO group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WHR between periods in the OR and CO groups, but the WHR values decreased after 12 weeks in the OW group. In the obese group, the baseline TG was higher than in the controls (p<0.05), while the ANA level was lower. There were differences in antioxidant enzyme gene expressions between periods in all groups. In conclusion, oxidative damage and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in obese children were found to be similar to those of normal weight children. However, TG was higher and ANA was lower in obese children than in normal weight childre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increased TG and decreased ANA levels begins in childhood in obese patients. Also, regular aerobic exercise may modify the antioxidant enzyme gene expression in early life.

      • KCI등재

        규칙적인 운동이 제1형 당뇨병 및 비만 환아의 아디포카인과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

        Sunghwun Kang(강성훈),Ki Ok Shin(신기옥),So-Young Park(박소영),Jinhee Woo(우진희) 한국생명과학회 2010 생명과학회지 Vol.20 No.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산소 운동이 비만과 제1형 당뇨병 어린이들에게 adipokines과 염증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되었다. 피험자들은 비만군(OG, n=9), 제1형 당뇨병군(DG, n=9), 그리고 정상군(NG, n=9) 어린이로 연구하였다. 모든 인자는 체중, 체지방률, 체질량지수(BMI), 최대산소섭취량(㎖/㎏/min), 지질 인자와 adipokines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체중, 체지방률, BMI, 최대산소섭취량에서 OG에 비해 DG와 NG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LDL-C와 HDL-C 역시 OG에 비해 DG와 N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게다가 adiponectin과 retinol binding protein (RBP)-4는 12주 운동 후에 DG와 NG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으며 (p<0.05), OG에 비해 DG와 NG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05).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에서 모든 그룹은 12주 운동후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5). 결론적으로 규칙적인 운동은 비만과 제1형 당뇨병 어린이에게 신체조성의 변화는 가져오지 못했으나 제1형 당뇨병 어린이의 혈관 염증을 줄여줄 수 있으며, 비만어린이에서는 대사 증후군을 보호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adipokines and inflammatory reaction in obesity and type 1 diabetes mellitus (T1DM) children. We studied obese (OG, n=9), type 1 diabetic (DG, n=9), and normal (NG, n=9) children groups. Measurement factors included body weight, % fat, body mass index (BMI), VO2max, lipid profiles and adipokines.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dy weight, % fat, BMI, and VO2max (㎖/㎏/min) among the OG, DG, and NG (p<0.05) group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DL-C and HDL-C between the OG, DG, and NG groups (p<0.05). In addition, adiponectin and retinol binding protein (RBP)-4 were significantly changed in DG and NG after 12 weeks exercise training (p<0.05), and there were als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G, DG, and NG groups (p<0.05).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 (MCP)-1 in the OG, DG, and NG group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12 weeks exercise training (p<0.05). In conclusion, regulatory aerobic exercise does not change body composition in obese children with T1DM, but exercise and decreased blood inflammatory factors in T1DM may protect obese children from metabolic syndro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