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ersistent Primitive Olfactory Artery Type 4 with Fusiform Aneurysm: A Case Report

        Heecheol Park,Jin Wook Baek,Hae Woong Jeong,Young Jin Heo,Suyoung Yun,Ji-Yeon Han 대한영상의학회 2023 대한영상의학회지 Vol.84 No.6

        The persistent primitive olfactory artery (PPOA) is a rare variant of the anterior cerebral artery, first reported in 1979. It reportedly ha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development of aneurysms, owing to the hemodynamic stress induced by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hairpin turn. Herein, we present a rare case of PPOA type 4 with a fusiform aneurysm at the hairpin turn segment in a 46-year-old female with occasional headaches. Time-of-flight MR angiography and transfemoral cerebral angiography revealed an unusual branch arising from the left A1 segment, running anteromedially along the ipsilateral olfactory tract, and turning the hairpin posterior to the olfactory bulb. This branch continued into the left accessory middle cerebral artery, and a fusiform aneurysm was observed at the hairpin segment. No further treatment was performed, and follow-up imaging was recommended. Nevertheless, it is essential to recognize and diagnose these rare variations.

      • KCI등재

        다문화 가정 자녀의 아동·청소년기 자기존중감의 다중 발달궤적과 예측 요인

        임효진(Lim, Hyo Jin),황매향(Hwang, Mae-Hyang),최희철(Choi, Hee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는 다문화 가정 자녀의 아동·청소년기 자존감의 다중 발달궤적의 유형을 알아보고, 발달궤적이 다른 집단, 즉 잠재 계층을 예측하는 요인들을 알아보았다. 연구를 위해 다문화 청소년 패널 연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의 1차에서 6차 시점까지의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총 1635명이었다. 다중 발달궤적은 잠재 계층 성장 모형으로, 잠재 계층의 예측요인들은 다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대상의 발달궤적은 이차 곡선의 형태를 띠고 있었으며, 초기 자존감이 높은 학생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존감이 높아지지만 이러한 변화율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여 안정된 형태를 가지고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 내에는 질적으로 구분되는 세 개의 발달궤적 유형이 나타났으며 이를 각각 저자존감 유지 집단, 중자존감 유지 집단, 고자존감 상승 후 유지 집단으로 명명하였다. 둘째, 자존감 발달궤적 유형의 소속을 예측하는 공통적인 요인으로 나타난 것은 신체 자기개념, 주관적 행복, 학업성취였으며 이들이 높아질수록 자존감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단에 속할 확률이 높아졌다. 교사, 또래지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이중 문화 수용 태도는 고자존감 상승 후 유지 집단에 속할 확률을 유의하게 예측하였으며, 지지 정도와 이중 문화 수용 태도가 높을수록,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집단 소속 확률이 높아졌다. This study examined whether there existed multipl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terms of their self-esteem and investigated relevant factors predicting types of trajectories. We used 1,635 data from the 1st and 6th time point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The multiple developmental trajectories were identified using latent class growth model and predictors of latent class were identified using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 overall pattern of the self-esteem development was found to be curvilinear, and the student with high initial self-esteem increased but rate of change decreased as time went by. There were three qualitative different types such as low self-esteem maintenance, middle self-esteem maintenance, and high self-esteem rise/maintenance. Second, significant factors predicting class membership were physical self-concept, subjective well-be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s those factors in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relatively higher self-esteem (and maintenance) groups increased. Teacher/peer support, acculturative stress, and multicultural attitude significantly predict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high self-esteem rise/maintenance group. As support and multicultural attitude increased and acculturative stress decreased, the probability of being in the high self-esteem rise/maintenance increased.

      • KCI등재

        초기 청소년기 또래애착, 자존감 및 삶의 만족의 종단적 교호적 예측력: 성별의 차이를 중심으로

        임효진 ( Lim Hyo Jin ),최희철 ( Choi Heecheol ),황매향 ( Hwang Mae Hyang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17 한국초등교육 Vol.28 No.3

        이 연구는 한국아동청소년 초4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삶의 만족과 개인 내적 변인인 자존감과 환경 변인인 또래애착의 인과관계 분석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초4 시점과 중1 시점 사이의 2년 간격에서 또래애착, 자존감,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모형을 적용한 구조방정식 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또래애착은 자존감과 삶의 만족을 유의하게 예측하지 못하였다. 둘째, 자존감에서 또래애착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이전 시점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또래애착이 높았고, 자존감에서 삶의 만족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이전 시점의 자존감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삶의 만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삶의 만족에서 또래애착으로 가는 교차지연효과 계수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이전 시점에서 삶의 만족이 높을수록 이후 시점의 자존감이 높았다. 관련 변인들의 교호적 관계에 대한 다집단 분석을 실시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성별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among achildren`s peer attachment,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Using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tudy (KCYPS) data, we collected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responses from 5th, 7th graders. Autoregressive Cross-Lagged (ARCL) modeling was performed to test a reciproc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interest. Results showed in the followings. First, cross-lagged coefficients from peer attachment to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non-significant. Second, cross-lagged coefficients from self-esteem to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and positive, reflecting that children`s self-esteem led to their peer attachment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future. Third, the cross-lagged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peer attachmen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the cross-lagged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self-estee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Finally, gender differences in ARCL mod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청소년의 자기통제와 학습시간의 교호적 관계

        황매향(Hwang, Mae Hyang),임효진(Lim, Hyo Jin),최희철(Choi, Hee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9

        이 연구에서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KYPS) 중학교 패널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자기통제와 학습시간의 안정성과 상호예측의 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중학교 2학년 학생 3,449명을 매년 추적조사한 패널자료의 2003년부터 2007년까지 5년치의 관심변인들을 추출하여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자기회귀교차지연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연구모형을 검증하기 위한 가정인 동일성 제약들은 충족 되었으며 최종모형의 결과 중학교 시기의 자기통제와 학습시간은 고등학교를 마치는 시기까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되었고, 안정성 지수의 상대적 크기는 자기통제가 학습시간보다 컸다. 또한 이전 시점의 자기통제는 다음 시점의 학습시간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고, 학습시간은 최초 한 시점을 제외하고는 모두 다음 시점의 자기통제를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여, 두 변인의 교호적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최초 측정된 부모의 사회경제적배경은 이후 시점의 자기통제와 학습시간을 유의하게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stability and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self-control and learning time of adolescents using Korean Youth Panel Study (KYPS) -Middle School Cohort data. We extracted and utilized variables from 8th (Time 1) to 12th (Time 5) collected for five time-points in KYPS. We employed an Autoregressive Cross-lagged Model (ACLM) in order to test autoregressive effects of within-variables and cross-lagged effects of between-variables. Assumptions of invariance for testing ACLM were satisfied and the fit indexes displayed our hypothesized model fit data well. Results showed that self-control and learning time were found to be stable over the five-year period, having relative differences in terms of the magnitude of autoregressive coefficients (self-control > learning time). Self-control in each time point predicted subsequent learning time and learning time in 9th grade predicted subsequent self-control, thereby identifying the cross-lagged effects of two variables. Additionally, SES in 8th grade positively predicted self-control and learning time in 9th grade.

      • KCI등재

        The effect of human mesenchymal stem cell injection on pain behavior in chronic post-ischemia pain mice

        유시현,Sung Hyun Lee,Seunghwan Lee,Jae Hong Park,Seunghyeon Lee,Heecheol Jin,Hue Jung Park 대한통증학회 2020 The Korean Journal of Pain Vol.33 No.1

        Background: Neuropathic pain (NP) is considered a clinically incurable condition despite various treatment options due to its diverse causes and complicated disease mechanisms. Since the early 2000s, multipotent human mesenchymal stem cells (hMSCs) have been used in the treatment of NP in animal models. However, the effects of hMSC injections have not been studied in chronic post-ischemia pain (CPIP) mice models. Here, we investigated whether intrathecal (IT) and intrapaw (IP) injections of hMSCs can reduce mechanical allodynia in CPIP model mice. Methods: Seventeen CPIP C57/BL6 mice were selected and randomized into four groups: IT sham (n = 4), IT stem (n = 5), IP sham (n = 4), and IP stem (n = 4). Mice in the IT sham and IT stem groups received an injection of 5 μL saline and 2 × 104 hMSCs, respectively, while mice in the IP sham and IP stem groups received an injection of 5 μL saline and 2 × 105 hMSCs, respectively. Mechanical allodynia was assessed using von Frey filaments from pre-injection to 30 days post-injection.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expression in the spinal cord and dorsal root ganglia were also evaluated. Results: IT and IP injections of hMSCs improved mechanical allodynia. GFAP expression was decreased on day 25 post-injection compared with the sham group. Injections of hMSCs improved allodynia and GFAP expression was decreased compared with the sham group.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hMSCs may be also another treatment modality in NP model by ischemia-reperfu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