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포르노그래피의 자연사

        장대익(Dayk Jang) 한국비평이론학회 2012 비평과이론 Vol.17 No.1

        Our consumption of pornography has been evolving since its invention in human history and it has become a kind of a cultural phenomenon now. How could we understand it? In this paper, I am trying to understand the consumption behavior of pornography scientifically: How did pornography evolve? Why are there sexual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of pornography? What happens to our brain when we are watching it? How will it evolve in the future? To answer these interesting questions, first, I explore the evolution of human mating strategies in terms of evolutionary psychology. Then I analyse how the evolution of sex differences in mating strategies are related to gender differences in the consumption of pornography. From an evolutionary point of view, pornography could be understood as the byproduct of adaptation for male’s reproductive success. So then, how do our brains activate when we are exposed to pornography? I survey neurosciences of empathy and imitation which are closely related to the addiction to pornography and wide spreading of it among males’ brains. The human mirror neuron system is a possible candidate for the core mechanism of spreading of pornography. Because of the natural history and neurological underpinnings of pornography, now it has evolved as a meme (a unit of imitation, coined by Richard Dawkins) which is a quasi-autonomous agent. These evolutionary and neuroscientific approaches open new doors to understanding pornography.

      • KCI등재후보

        왜 한국개신교는 과학이 되려 하는가?

        장대익(Jang, Dayk) 한신대학교 종교와문화연구소(구 한신인문학연구소) 2012 종교문화연구 Vol.- No.19

        The two recent petitions from The Society for Textbook Revise (STR) to remove references to evolution from high-school textbooks have come close to winning in Korea. STR is an offshoot of the Korea Association for Creation Research (KACR) which has been strongly supported by the mainstream Protestantism in Korea for the past thirty years. Korean mainstream Protestant Christians have been trying to push their specific theistic view into the realm of science. Why do they reject evolution groundlessly and want to be science eventually? The reason is not just the poor education of evolution. They have misunderstood evolutionary theories and accepted an antagonistic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and religion. In addition, they have received a distorted view on the nature of science. In this paper, I criticise Korean mainstream Protestant Christians’ view on evolution in terms of evolutionary biology, ‘science and religion’, and philosophy of science, reviewing STR’s petitions and its movement.

      • KCI등재

        호모 리플리쿠스(Homo replicus)

        장대익(Dayk Jang) 한국인지과학회 2012 인지과학 Vol.23 No.4

        우리는 모방하는 동물이다. ‘참된 모방(true imitation)’은 한 행위가 행해진 것을 보는 것으로부터 그 행위를 하는 법을 새롭게 배우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타 개체의 기술과 지식을 모방함으로써 다른 동물의 세계에서 찾아보기 힘든 문화와 문명을 이룩할 수 있었다. 이런 의미에서 모방 능력이 어떻게 진화하고 발달하는지를 묻는 것은 중요하다. 또한 인간이 아닌 다른 동물들이 참된 모방을 할 수 있는지, 그리고 모방 학습 측면에서 인간과 동물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를 알아보는 작업도 매우 흥미로운 과제이다. 이 논문에서 나는 우선, 인간과 다른 동물들의 모방 능력에 대한 경험적 연구들을 검토해볼 것이다. 이런 비교 연구를 통해 동물과 인간의 모방 능력의 차이에 주목할 것이며, 그들에게서 보이는 복제 충실도의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에 대해 논의할 것이다. 그런 다음에 모방의 신경생물학적 메커니즘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검토할 것이다. 하전두회(inferior Frontal Gyrus, IFG)와 하두정엽(inferior Parietal Lobule, IPL)으로 구성된 인간의 거울 뉴런계(mirror neuron system)가 이 대목에서 가장 중요하게 등장한다. 거울 뉴런계는 타 개체의 행동을 이해하고 공감하고 따라하는 데에 필수적인 신경세포 다발이다. 나는 거울 뉴런계의 기능과 진화에 대한 최신 연구들을 소개할 것이다. 인간의 모방을 가능하게 하는 신경 메커니즘에 대한 연구는 처음에 거울 뉴런계와 후부상측두이랑(posterior Superior Temporal Sulcus, pSTS)로 구성된 ‘핵심 모방 회로’에 집중되어 있었다. 하지만 더 최신의 연구들은 핵심 모방 회로 밖에서도 모방의 신경 메커니즘이 작동한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마지막으로 나는 이러한 모방의 심리학과 생물학이 문화 진화에 어떤 함의를 지니는지를 탐구한다. 구체적으로 나는 밈과 거울뉴런계의 관계를 탐구한 최신 연구를 통해 문화 진화에 대한 밈학적 접근을 시도할 것이다. We are imitating animals. True imitation can be defined as a learning to do an act from seeing it done by others. We have been building culture by imitating others’ skills and knowledge with high fidelity. In this regard, it is important to ask how the faculty of imitation has evolved and how imitation behaviors develop ontogenetically. It is also interesting to see whether nonhuman animals can imitate truly or not and how different imitation learning is among human and non-human animals. In this paper, first I review empirical data from imitation studies with human and nonhuman animals. Comparing different species, I highlight their different levels of copying fidelity and explain the reason why they are showing the difference. Then I review recent studies on neurobiological mechanisms underlying imitation. The initial neurobiological studies on imitation in humans suggested a core imitation circuitry composed of mirror neuron system [inferior parietal lobule(IPL) and inferior frontal gyrus(IFG)] and the posterior part of the superior temporal sulcus(pSTS). More recent studies on the neurobiology of imitation, however, has gone beyond the studies on the core mechanisms. Finally, I try to find out implications of psychology and biology of imitation for cultural evolution. I argue for a memetic approach to cultural evolution, along the lines with a recent study on measuring memes by mirror neurons system.

      • KCI등재후보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형질집단 선택론의 관점 다원주의에 대한 비판

        전진권 ( Jinkwon Jun ),장대익 ( Dayk Jang ) 한국과학철학회 2017 과학철학 Vol.20 No.1

        본 연구는 형질집단 선택론(trait-group selection theory)의 관점 다원주의(perspective pluralism)를 비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관점 다원주의에 의하면 친족 선택론(kin selection theory)과 형질집단 선택론은 사실의 문제에 있어서는 동일하지만, 단지 관점만 다르다. 우리는 이론의 수학적 모형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 다원주의가 친족 선택론에 대한 잘못된 이해에 기반하고 있다는 것을 보였다. 분석 결과는 두 이론이 서로 다른 인과적 과정을 설명하며 두 이론의 차이가 단순한 관점의 차이일 수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관점 다원주의는 형질집단 선택론에 대해 제기된 비판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이 될 수 없으며 이론이 전제하는 인과적 구조를 이론 선택의 기준으로 채택하는 것이 더 나은 대안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ize the perspective pluralism of trait-group selection theory. According to perspective pluralism, kin selection theory and trait-group selection theory are the same in the matter of facts, but they are different in the matter of perspectives. We have shown, through analysis of the mathematical models of the theory, that this pluralism is based on a misunderstanding of kin selection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the two theories explain different causal processes,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heories can not be a simple difference in perspectives. Thus, perspective pluralism can not be an effective counter argument to the criticism raised on trait-group selection theory, and it is a better alternative to adopt the causal structure that the theory presupposes as the criterion of theory choice.

      • KCI등재

        Combating Identity Threat of Machine: The effect of group-affirmation on humans’ intellectual performance loss

        Young-Jae Cha(차영재),Sojung Baek(백소정),Hyung-Suk Lee(이형석),Jonghoon Bae(배종훈),Jongho Lee(이종호),Sang-Hun Lee(이상훈),Gunhee Kim(김건희),Dayk Jang(장대익) 한국인지과학회 2019 인지과학 Vol.30 No.3

        인공 지능으로 인한 정체성 위협은 지능 과제에 대한 동기 및 수행을 저해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실험기법을 활용하여 개인의 지능 과제 수행 저하 현상이 인공 지능으로 인한 위협에 노출됨으로써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집단 정체성 확인(group identity affirmation)이 과제 수행 저하 현상을 완화해줄 수 있는지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인공지능 위협이 높은 조건에서는 낮은 조건에서보다 지적 과제 수행이 낮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수행 저하 효과는 집단 확인 조건에서 나타나지 않을 것으로 예측하였다. 대학생 참가자 210명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시행하여 예상과 일관된 결과를 발견하였다. 인공지능으로 인한 정체성 위협은 참가자의 지적 과제 수행을 떨어뜨렸으며, 이와 같은 수행 저하 현상은 집단가치 비 확인 조건에서 발견됐지만 집단 가치 확인 조건에서는 발견되지 않았다. 논의에서는 이론적 · 실용적 함의를 다루었다. Motivation of human individuals to perform on intellectual tasks can be hampered by identity threat from intellectual machines. A laboratory experiment examined whether individuals’ performance loss on intellectual tasks appears under human identity threat. Additionally, by affirming alternative attributes of human identity, researchers checked whether group-affirmation alleviate the performance loss on intellectual tasks. This research predicted that under high social identity threat, individuals’ performance loss on the intellectual tasks would be moderated by valuing alternative attributes of human identity. Experiment shows that when social identity threat is increased, human individuals affirmed alternative human attributes show higher performance on intellectual tasks than individuals non-affirmed. This effect of human-group level affirmation on performance loss did not appear in the condition of low social identity threat.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