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llegitimacy Discount, Sensitivity to Trivial Difference and Distance-keeping Competition

        Jonghoon Bae(배종훈) 한국전략경영학회 2014 전략경영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경쟁우위의 창출과 혁신의 급진성이 항상 양의 관계일 수 있는지 살피고 있다. 제도주의 이론을 원용하여 다음과 같이 주장한다. (1) 개별 생산자들의 급진적 혁신활동이 언제나 시장 선택되지는 않는다. (2) 조직생태학의 제도화 과정(Hannan and Freeman, 1984; Polos, Hannan and Carroll, 2002)의 논리에 따라, 해당 제품의 수요는 그 제품 카테고리가 시장 내에서 정당성을 가지고 있는가에 좌우되며, (3) 해리슨 와이트의 시장 모형과 비정상성 할인 모형과 같은 제도주의 관점에 따라, 소비자들은 신뢰할 수 있는 제품 카테고리 내의 사소한 품질의 차이에는 민감하게 반응하나, 품질의 정당한 범주를 벗어난 경우에는 그 차이에 둔감하다. 비정당성 할인의 개념을 포함한 기술경쟁의 이단계 모형으로부터 다음의 내용을 발견하였다. 첫째, 급진적 혁신을 하는 기업의 경우 비정당성 할인이라는 비용, 즉 그로 인한 낮은 수요를 감수해야 한다, 둘째, 소비자로부터 받는 이러한 제도적 압력으로 인하여 기업은 사소한 품질의 차이를 만들기 위해 경쟁하고, 급진적 차이를 만들기 위해 경쟁하지 않는다. 셋째, 그 결과, 제품시장에서 경쟁은 품질의 정당한 차이라는 범주 안에서 제품을 출시하는 형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경쟁은 일정한 차이를 유지하는 수준에서 이루어지며, 이는 급진적 혁신에서 예상되는 경쟁의 결과와는 상이하다.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 positive association between the radicalness of innovation and the creation of competitive advantage will always hold true. From the perspective of institutional theory, this study suggests the following: (1) the selection environment of producers does not always favor radical innovation; (2) as is the case with the ecological model of legitimation (Hannan and Freeman, 1984; Polos, Hannan and Carroll, 2002), the legitimacy of a product category creates demand for a product that belongs to that category; and (3) as is the case with the model of illegitimacy discount as well as Harrison White’s model of the market (White, 2002; Zuckerman, 1999), consumers are sensitive to trivial quality difference among producers that belong to a reliable product category, yet insensitive to quality difference outside a acceptable and thus legitimate zone of quality. From a two-staged model of R&D race with illegitimacy discount, it shows that innovators with radical innovations may pay the price of illegitimacy discount, facing little demand from the market; that the institutional pressure arising from consumers renders managers to compete for trivial quality difference, not radical one, keeping their products to have comparable qualities yet in a differentiable fashion; and that rivalry in product markets is more likely to place products in the legitimate zone of quality difference, namely, distance-keeping, not distance-destroying, as is assumed in radical innovation.

      • KCI등재

        기업가의 위험, 기업가의 이중지위 그리고 기업가의 윤리성

        배종훈(Jonghoon Bae) 한국인사조직학회 2021 인사조직연구 Vol.29 No.3

        이 글은 기업가정신의 윤리적 토대와 그 조건에 관한 글이다. 성공한 기업가 개인을 규범적 판단의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가를 따지는 글이다. 이 글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성공한 기업가는 윤리적으로 임의적 사건이고, 이중배제(二重排除)와 불확실성 아래에서 창업 과정의 윤리성은 기업가 개인이 아니라 기업가의 이중지위(二重地位)가 극복되는 집단 과정, 특히 새로운 교환관계에 동의하고 참여한 윤리적 공동체에서 발현한다. 이글의 논증 구조는 다음과 같다. (1) 창업과정의 고유성은 기업가가 만들어 내는 새로운 시장에 있다. 새로운 시장은 지금의 수요 그리고 지금 수요의 연장인 미충족 수요, 양자 모두에게서 인정받지 못한, 즉 이중 배제된 상품이다. 그것은 판단중지의 상태, 즉 분류에 실패한 상태, 기성 카테고리 외부의 사건이다. (2) 새로운 시장을 만드는 기업가는 기성의 상품 카테고리라는 고정된 세계와 새로운 상품이라는 아직 확정되지 않은 세계, 양자를 연결하는 중재자(brokerage)이다. 기업가의 이중지위는 지금 수요와 새로운 수요, 두 세계에 성원권(成員權)을 요구하지만 동시에 어느 하나에도 포함되어 있지 않을 상태를 의미한다. (3) 창업 과정의 고유성은 수요의 이중배제와 기업가의 이중지위로 요약된다. 이중배제와 이중지위로 인하여 상품과 교환관계에 대한 규범적 판단이 정지된다. 이것이 수요 기반의 위험과 구분되는 기업가의 불확실성의 원천이다. (4) 창업과정의 고유성에서 유래한 불확실성 때문에, 기업가는 가치의 귀속 주체일 수 없고, 오히려 새로운 시장을 지탱하는 교환 네트워크 참여자 집단이 정당한 귀속 주체이다. 기업가정신 연구는 연구 대상인 기업가에 대한 일정한 규범적 가치 판단 위에서 진행된다. 이중배제와 이중지위와 같은 창업 과정의 고유성으로 인해 기업가에 대한 규범적 판단을 달리해야 한다면, 기업가정신 연구와 교육에 상응하는 변화 역시 요구된다. 첫째, 사업 기회의 탐색으로부터 대안적 교환 관계의 상상으로 연구 대상의 수정이 필요하다. 둘째, 기업가정신 교육은 경영학 교육의 연장(延長)이라기보다는, 시장의 실패에서 사회적 가치를 읽어내고, 그것을 ‘비즈니스’의 형식으로 풀어내는 공적(公的) 실천으로 전환이 필요하다. This study seeks to identify the moral foundation and determinants of entrepreneurship.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a normative standard of choice is derived from the personhood of a successful entrepreneurship. This study observes that an entrepreneur’s success is morally arbitrary and that in case of double-exclusion and Knightian uncertainty, the morality of entrepreneurial process resides not in the personhood of the entrepreneur but in the collective process of overcoming an entrepreneur’s dual-status, which is the making of the moral community to agree on and to participate in a new exchange relationship. The structure of the argument is as follows. (1) A new market is a place for commodities that are doubly excluded from the present demand as well as the unmet demand, which is an extension of the present demand. (2) The entrepreneur then is a broker to connect two different worlds, the extant categories of old commodities and the new, indeterminate category of a new commodity. (3) The uniqueness of entrepreneurial process is reflected in the double-exclusion of demand and the dual-status of the entrepreneur. (4) Owing to the uncertainty that arises from the uniqueness of the entrepreneurial process, the entrepreneur themselves cannot serve as the basis of moral desert in the entrepreneurial process. To the extent that the moral status of the entrepreneur remains tenuous because of Knightian uncertainty that arises from double-exclusion and dual-status, entrepreneurial research and education that presumes the moral status of the entrepreneur should change accordingly.

      • KCI등재후보

        창업과정에 대한 인류학적 이해

        배종훈(Jonghoon Bae) 기업가정신학회 2021 기업가정신연구 Vol.2 No.2

        이 글은 인류학의 시선으로 기업가정신을 따지고 살피는 규범적, 실증적 연구에 관한 정리이다. 구체적으로 대학에서 직업으로 인류학을 하는 학술 공동체에서 기업가정신을 어떻게 다루어 왔는가를 정리하는 글이다. 문화인류학은 한 사람으로 살아가는 경험(經驗), 그 경험의 총체성(totality)에 관한 연구이다. 그리고 사람살이의 경험은 문화, 즉 서로를 이해하는 일상적 이야기에 구체적으로 녹아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에 대한 인류학적 시선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창업을 둘러싼 담론의 수행성(performativity)에서 출발하며, 무엇보다도 대기업 경영에 관한 이야기와 대비를 이루면서 생성되고 소비되는 창업 담론을 분석한 연구를 종합하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류학적 시선이 일관되게 강조하는 내용은 창업은 개인의 특질이 작동하는 결과가 아니라 집단 과정이라는 점이다. 둘째, 창업 과정은 그 과정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노출된 각종의 문화, 관점으로부터 제약을 받고 동시에 그러한 문화를 활용하는 과정이다. 셋째, 새로운 사업 기회는 객관적 실재라기보다는 문화적 개인이 상호작용하면서, 지금 주변에 널려 있는 사물, 사람과 더불어 내생적으로 만들어나가는 결과물이다. 결국 창업 과정이란 사물과 사람이 결합하여 하나의 이야기, 즉 사업 기회를 구성하는 과정이다. This study is to review the normative models as well as empirical analyses of entrepreneurship from the perspective of anthropology. In particular this study is the genealogy of analytical tools adopted by cultural anthropologists in the research community to uncover the nature of entrepreneurial activiti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Cultural anthropology is a set of analytical tools for understanding the totality of a person’s way of living, whose unstructured experiences are reflected into a culture that surrounds his or her everyday events and which are constantly coming into discourse interactively shared by persons that take part in these everyday event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s the anthropologist model of entrepreneurship by drawing its attention to the performativity of discourse on entrepreneurial activities. This discourse stands in sharp contrast to ready-made narratives on the large and complex organizations, namely, the management. The key findings are the following. First, the anthropologist model suggests that entrepreneurial activities are not a mere reflection of individual attributes that make their business successful but an outcome of collective cooperation that bring their due efforts to the creation of a new business. Second, entrepreneurial activities are subject to an inventory of cultures to which various actors are exposed. At the same time such cultures are the reservoir to enable these actors to implement on new business opportunities. Lastly, the new business opportunity does not exist as an objective reality but evolves as a social construction in which actors of varying cultures interact with the others and the surrounding objects before defining what and how an opportunity should be. This strongly suggests that entrepreneurial activities are a process of constructing new opportunities, which draw on a discourse that connects actors and objects in a stable and acceptable manner

      • KCI등재

        경영과 불평등: 4차산업혁명을 중심으로

        배종훈 ( Jonghoon Bae ) 고려대학교 정부학연구소 2018 정부학연구 Vol.24 No.2

        이 글은 공리주의적 측정의 욕망에서 경영의 본질을 확인하고, 측정의 경영을 극복하는 대안으로 정치의 경영을 논증하였다. 특히 4차 산업혁명이라는 신기술 일반이 경영에 미치는 영향을 생활세계의 불평등 차원에서 살펴보고 있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의 토대는 실시간으로 그리고 저렴하게 노동을 측정할 수 있는 측정의 자동화에 있다. 둘째, 측정의 자동화와 효율화는, 측정을 본질로 하는 경영 행위 그 자체의 비숙련화를 촉진한다. 신기술은 노동이 아니라 경영을 대체한다. 셋째, 측정으로서의 경영은 노동과 결합하는 자산의 소유권을 측정의 기본단위로 한다. 반면에 측정이 자동화되면 계산 기술의 소유권에 따라 측정의 기본 단위가 결정된다. 따라서 법인격(legal personhood)을 부여 받은 계산 기술을 중심으로 생산 활동이 측정된다. 넷째, 생산 요소의 가분성, 특히 노동의 가분성이 증대될 수록, 다중 작업 행위가 사회적 분업의 일반적 형식으로 대두된다. 다섯째, 기술의 발전과 무관하게 측정 행위가 본래적으로 불완전하다면, 경영의 기능이 그저 노동의 측정에 한정되지 않는다면, 측정의 기술로 환원되지 않는 생산의 문제는 여전히 존재할 것이다. 생활세계에 대한 불평등은 따라서 측정의 경영이 아니라 정치의 경영으로 개입할 수 있다. This study identifies the basis of contemporary management, namely, management-as-measurement, from a modern utilitarian project that seeks to measure quantifiable desires. Management-as-politics is proposed as a new alternative to the management-as-measurement concept that has prevailed at a large scale in industrial production. This study particularly evaluates recent developments in the technology of measurement, i.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ith respect to economic inequalities in the lifeworld (Lebenswelt). The computerized measurement of labor or work-process serves to de-skill the function of the managers and to economize on the divisibility of inputs, in particular that of labor, which underlies the growth of low-paying and low-productivity jobs, i.e., multi-tasking agency. The inequality inherent in computerized measurement would lend itself to normative intervention only when attention is given to the incompleteness of measurement, a scope condition for management-as-politics.

      • KCI등재

        기업과 시장의 구별짓기

        배종훈(Jonghoon Ba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3 인사조직연구 Vol.21 No.3

        본 논문은 전통적 관료제를 자유주의적으로 재해석하고, 공감(共感)의 강박(强迫)이 지배적인 한국적 상황에서 여전히 효율적인 경영제도임을 논증한다. 기업 혹은 관료제에 대한 일상적 이해는 근대적 관료제 그 자체에 대한 오독(誤讀)의 결과이고, 근대적 관료제는 Weber(1968)와 Taylor(1911)에서 설파된 대로 여전히 효율적인 경영제도라고 주장한다. 특히, 관료제의 본질은 (1) 리바이어던(Leviathan)과 같은 의사결정권의 집중화와 무관하며, (2) 직무의 완벽한 사전 설계와도 무관하며, (3) 이방인에 대한 불확실성을 낮추기 위해 행위의 표준화를 꾀하는 즉 일하는 방식을 설계하는 데 있음을 보여주었다. 특히, (1) 도덕률에 근거한 행위의 규율을 합리적 계산의 자유주의적 전통으로 대체하려고 하는 한, (2) 잉여 소비를 가능케 하는 대량생산 기술을 포기하지 않는 한, 그리고 (3) 이방인과의 대규모 협업이 경제적 생산과 교환을 지탱하는 한, 근대적 관료제는 지속 가능한 생산의 형식임을 규명한다. 마지막으로 관료제는 시장과 구별되는 근대적 제도이며 서로 다른 경제의 문제를 풀어내기 때문에, 양자간의 공진화에 의해 근대성이 유지될 것임을 밝힌다. This study proposes that bureaucratic production, a mode of modern, capitalistic production, continues to work in an efficient manner in a contemporary market. In particular, this study begins with the observation that the mis-understanding of modern bureaucracy underlies new management techniques aimed at renovating obsolete managerial practices and sheds a new light onto the essence of modern bureaucracy by opting for perspectives from Max Weber and Fredrick Taylor. Moreover, it suggests that bureaucracy is a modern production mode distinct from the market and that for the very reason, the modernity of a contemporary society will be sustainable to the extent that the two distinct modes of modern production, i.e., the market and the firm, co-exist and thus co-evolve. The critics of the Weber-Taylorian bureaucracy (WT bureaucracy henceforth) have been proposing so-called new management techniques to the corporate world, which chases constantly after ever-growing profits in the name of competitive advantage and value creation. They do so either by disregarding the bureaucracy as a pre-modern mode of organizing exchange (Jensen & Meckling, 1976; Williamson, 1985), by lamenting it as the root of a pathological modernity (Roethlisberger & Dickson, 1939; Schumacher, 1979), or by diagnosing it as the inefficient execution of modern production (Hammer & Champy, 1993; Huselid, 1995). Despite the subtleties of their corrective measures, these new management techniques as presented so far have one thing in common: the enlarged autonomy of the individual as the modern self. Managerial practices that draw on theories such as self-determination theory (Ryan & Deci, 2000) or positive psychology in general demonstrate this tendency clearly. Of course, communitarian approach, one of the widely accepted new management techniques, objects arguably the concept of independent, self-governed individuals that are detached from their society (Adler & Heckscher, 2006; MacIntyre, 1981). Yet, it is equally true that even the communitarian self, well situated in social and cultural accumulation of past economic practices, is the modern self that seeks to reconcile his or her liberty of choice to the living world of cumulative social practices, namely, the history of a community. Whether new techniques endorse libertarianism or communitarianism, they all invite the concept of the modern self to their solutions and presume that the WT bureaucracy is a place reserved for Leviathan to exercise his power without consent and that it is not sufficiently modernized. This study however suggests otherwise.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as Mintzberg (1983) clearly illustrates, the WT bureaucracy has nothing to do with the centralization of decision rights, as opposed to a mistaken view of a one-man ruling company, which is commonly found in economic writings such as transaction cost economics and organizational economics (Aghion & Tirole, 1997; Alchian & Demsetz, 1972; Hart, 1990) and which Weber (1968) himself characterized as charismatic authority, distinct from rational authority or bureaucratic control. You may have a bureaucracy with a decentralized or centralized decision-making process. Rather, the essence of the WT bureaucracy is the standardization of behavior through the design of formal documents that codify the best possible working knowledge for a task in question as chosen and evaluated by a specialist, i.e., a manager. This standardization of the process (and in some cases the input as is found in collegial bureaucracy) sets the ground for the division of labor between employees and the management, leaving the room for the gains of specialization, another source of the economic efficiency of the firm over the market contract. Second, unlike the criticism that the WT bureaucracy is too slow to adapt to contemporary, fast-changing modern economy, the WT bureaucracy remains to be effective and efficient even in the course of new pro

      • KCI등재

        The Elements of Learning

        Jonghoon Bae(배종훈),Sung-Choon Kang(강성춘)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2

        개별 기업이 다양한 제품 혹은 경영지식을 통합 운영하는 능력에 한계가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새로운 지식 탐색을 개시하는 것과 기존 탐색을 중단하는 것간의 균형이 기업의 장기생존을 위해 매우 긴요해 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조직 혁신과 학습에 관한 연구들은 기업이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고 흡수하는 탐색의 개시에만 초점을 두고 있으며, 기존의 탐색활동의 규모를 축소하는 것에 대한 경험적증거는 제한적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탐색규모의 축소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1991년에서 1999년까지 글로벌 통신 제조산업의 특허출원 자료를 이용하여, 본 연구는 개별 기업의 탐색규모의 축소는 인적자원역량, 유관지식 보유여부, 그리고 조직연령과 유의적인 관계가 있음을 보여준다. Given a firm’s limited coordination capacity, the balance between the initiation of new search and the termination of old search appears critical to its long-term survival. But the current research on technological innovation and organizational learning has exclusively concerned how to initiate a new search and neglected the need for the termination. This study aims to uncovering the balance between the initiation and termination of searches. Using patent applications in the telecommunications equipment industry from 1991 to 1999,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change in a firm’s search scale is related to its human resources capabilities, prior knowledge, and organizational age.

      • KCI등재

        The Boundaries of Brokerage-Based Knowledge Transfer

        Jonghoon Bae(배종훈) 한국인사조직학회 2010 인사조직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Burt(1992)의 구조공백이론에서 주장하고 있는, 중개지위의 지식이전 효과를 참으로 하는 이론적 조건을 분석하고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개지위의 지식이전 효과가 전제하고 있는 세 가지 기본 가정을 밝혀내고, 그 개별 가정이 충족되지 않았을 때 중개지위 지식이전 효과가 이론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를 규명하고 있다. 이를 통해, 어떠한 기본 가정이 Burt(1992)의 구조공백이론의 충분조건인지 살피고 있다. 특히, 본 연구는 정보의 소실에 관한 가정이 중개지위의 지식이전 효과에 충분조건임을 밝히고 있고, 구조공백이론의 효과가 참이 되게 하는 정보 소실의 수준, 즉 허용가능한 정보 소실의 수준에 관한 모형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구조공백 이론이 전제하고 있는 세 가지 기본 가정으로부터 두 가지 상이한 중개지위, 즉 대체성 중개지위와 최소차수 중개지위를 연역하고, 정보 소실 수준에 따라 두 가지 중재지위 중 하나가 더 효과적임을 보여주고 있다. 허용가능한 정보 소실 수준을 연결망 형성 비용과 취득 정보의 가치의 비율로 환산할 때,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즉, 허용가능한 정보 소실 수준이 높아질수록, 대체성 중개지위가 최소차수 중개지위보다 더 효과적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theoretical boundaries of brokerage-based knowledge transfer, a model based on Burt’s (1992) structural hole theory. To this end, this paper specifies three theoretical assumptions underlying brokerage-based knowledge transfer and examines whether the violations of those assumptions facilitate or hinder brokerage-based knowledge transfer. In doing so, this paper seeks to identify which assumption is fundamental to brokerage-based knowledge transfer. The following are the three basic assumptions concerning brokerage positions: 1) actors hold knowledge different from one another. 2) the cost of having a tie or forming a relationship is nontrivial. 3) there is no information loss when transferring information from one actor to another. To further examine these assumptions, this paper proposes a model for a tolerable level of information loss that leads to brokerage-based information benefits. In particular, this paper derives two different types of brokerage and shows that brokerage with substitution is preferred to brokerage with minimum direct ties as the ratio of networking cost to information value increases. Moreover, this study shows that the tolerable level of information loss that facilitates brokerage-based knowledge transfer is matched with the cost of having a tie and the ex ante value of knowledge held by partners. In this regard, the working of the third basic assumption is contingent upon that of the first and the second basic assumptions. Finally, it shows that the optimal mix of redundant and non-redundant ties depends again on information loss.

      • KCI등재

        관계와 추론: 구조주의자의 시선

        배종훈(Jonghoon Bae) 한국인사조직학회 2017 인사조직연구 Vol.25 No.3

        이 글은 기존의 네트워크 이론 연구를 메커니즘 차원, 즉 이론화 방식 차원에서 비판하고, 구조 사회학 입장에서 타당한 이론이 되기 위한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자 한다. 경영의 본질이 성과와 실패, 효율과 비효율과 같은 범주적 추론에 따라 생산 활동을 조율하는 것이라면, 그러한 범주적 판단 너머에 있는 교환 관계를 노정하는 것이 네트워크 이론의 본질이라고 본다. 첫째, 네트워크 이론의 오남용 사례로부터 네트워크 이론의 고유 구조를 확인한다. 즉, 네트워크 이론은 형식주의(形式主義)의 입장에서 약분 가능성이 낮은 구조, 불균질의 사회 구조를 표현한다. 자원의 제한된 접근 차원에서 사회적 관계를 이해하기 보다는, 타자의 행동을 제한적으로 관찰하는 차원에서 특정화 한다. 따라서, 사회적 관계는 그리고 그의 구조는 타자의 관찰가능성을 표현하는 하나의 형식(形式)이다. 둘째, 네트워크 이론의 미시적 기초와 관련된 문제점을 살펴본다. 사회적 관계의 본질을 형식주의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타자와 내가 맺고 있는 사회적 관계가 나의 선택에 왜 영향을 주는지 세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미시적 네트워크 현상과 관련한 네트워크 효과 일체를 모방, 규범, 외부성 등의 세 가지 유형으로 제시한다. 셋째, 거시적 네트워크 현상을 고려하지 않은 네트워크 이론은 잠정적이고 불완전하다. 거시 네트워크 현상의 분석은 우선 거시적 네트워크를 위상 구조 측면에서 특정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통상적으로 균질의 거시 네트워크 현상을 귀무가설(null hypothesis)로 하고, 현실의 네트워크 현상을 대립가설에 담아서 이론을 만든다. 넷째, 미시적 네트워크와 거시적 네트워크의 결합 이라는 측면에서 범주적 추론을 둘러싼 기존의 네트워크 연구를 재검토한다. 마지막으로 네트워크 이론의 향후 연구 방향에 대한 규범적 제안으로 결론을 대신한다.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oretical requirements for network theory to be structurally sensible after reviewing confusions and mistakes commonly found in the extant approach to network science. Insofar as managerial decision is subject to categorical inference over organizational success, network science should help to uncover social relations that underlie categorical inference at the workplace. First, this study identifies the unique logical structure of arguments that pertain to network sci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suggests that network science draws on a formalist view to social structure and serves to substantiate the non-commensurable and unequal structure of society. Network science seeks to identify a person’s social relations with respect to the observability of actions and opinions, not to the limited accessibility to resources and information. Second, theoretical issues associated with the micro-foundation of network science are reviewed. A formalist approach to the essence of social relations calls for disclosing each person’s vulnerability to the influence by others in relations, namely, the network effect. Three micro-processes that underlie the network effect of micro-level social networks are reviewed: imitation, normative conformity, and externality. Third, network science without reference to macro-level networks is theoretically tenuous. The analysis of macro-level networks presumes the identification of such networks with respect to network topology. Fourth, this study reviews key achievements in network science with respect to categorical inference, which draws on the interplay of micro and macro network processes. Lastly, normativ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 Organizational Knowledge and Adaptation in Search

        배종훈(Jonghoon Bae),김태영 한국인사조직학회 2006 한국인사ㆍ조직학회 발표논문집 Vol.- No.1

          Firm growth is a search process of deleting obsolete knowledge bases while adding new ones. Using patent applications in the telecommunications industry from 1994 to 1998, I examine the way that a firm’s knowledge affects the scope of search in the external environments. The empirical results suggest that the scope of search increases with the accumulation of organizational knowledge at a decreasing rate, whereas it decreases with that of organizing experience, reflected in organizational age, at an increasing rate.

      • KCI등재

        경쟁적 패러다임과 인사조직연구

        배종석(Johngseok Bae),김민수(Min Soo Kim),김양민(Yangmin Kim),배종훈(Jonghoon Bae),오홍석(Hongseok Oh) 한국인사조직학회 2009 인사조직연구 Vol.17 No.2

        본 논문은 인사조직 연구의 다양한 주제들을 경쟁적 패러다임으로 비교 설명하여 현재 진행되는 이론적 연구와 실무적 현상들을 재고찰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를 경쟁적 패러다임으로 사용하였고, 두 철학적 패러다임에서 설정한 인간에 대한 기본가정을 연구의 기초로 활용하였다. 자유주의 전통이 원자화된 자유행위자를 상정하고 이기심을 추구하는 경제적 인간으로 파악하는 반면에 공동체주의에서는 구성적 자아를 가진 관계인을 상정한 후 호혜성에 기반한 정치적 인간의 가정을 가지고 있다. 이런 패러다임들을 이용하여 사회적 자본, 지배구조, 인적자원관리 및 기업이론에 대한 기존 연구를 검토하고 재해석하였다. 이들 각 주제에 대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관점에서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를 논의하면서 또한 각 주제와 관련하여 한국에서 수행된 기존의 연구들을 고찰하여 본 연구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우선 인사조직 분야에서의 연구에 대한 보다 명확한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는 패러다임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나아가 패러다임에 기초한 분야별 연계성과 쟁론을 통해 향후 연구에서 보다 의미 있는 이론화 작업의 토대를 제시하였다는 측면에서도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This study aims at uncovering differences in paradigm among current theories and practices that prevail in management field as well as in the market.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one or more paradigms guide researchers of organization studies to decide which questions to examine and how to examine in either an explicit or implicit manner. To this end, we draw on the paradigms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whose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sets the ground for the current studies on organizations. With these two distinct paradigms, we re-examine theories and practices in the following domains: Social capital, corporate governance, human resource management (HRM), and the theory of the firm. Before examining the paradigmatic basis of the current studies in the field of organizations, we first review paradigmatic presuppositions that underlie explicitly or implicitly the choice of research question and the resulting method of hypothesis testing. In particular, we draw o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to classify the current studies and uncover paradigmatic differences among these studies. Although its variants are too diverse to summarize in a succinct way, liberalism arguably has the following key features: The relative superiority of the individual over the state, a view that relegates the state into a device to serve as a safeguard for the individual and the freedom to act; the priority of the self to its ends, an individualistic view that values unconstrained choice executed by the individual, including the freedom to make mistakes; and the priority of choices judged by utilitarian ethics, a view that places prudence over any other virtues. Liberalism is well reflected into economic studies on the firm. In this stream of research, the individual is understood as homo economicus with unlimited computing capacity as well as stable, transitive preference and is supposed to decide in a way that maximizes the self-interest. Such an understanding of human nature underlies a variety of theories, including agency theory and transaction cost economics. Communitarianism has originated as a repulse against liberalism, yet its paradigmatic presuppositions keep itself from totalitarianism. The following are its key features: The constitutive role of social identity in the formation of individual self or identity; the community of multiple identities, which acknowledges the autonomy of plural social, economic spheres in a given community; and the community of voluntary participation as opposed to one imposed exogenously on the individual. Communitarianism presumes the individual as a relational agent, who actively seeks and naturally enjoys social interactions with others. Now, we turn to the specific topics we selected for this paper. With regard to social capital, two competing views are available. One concerns a private-good aspect of social capital, which focuses on the contribution of resources held by others to the focal person. The other one deals with a public-good aspect of social capital, which unveils the role of social capital in the development of a community. Apparently, the private-good approach to social capital may build on the tradition of liberalism. To the extent that social capital is treated as being instrumental to the self-interest of the individual, such an interpretation is unavoidable. However, the embeddedness hypothesis that umbrellas studies on social capital clearly acknowledges that the unlimited choice of the individual is not feasible in a given community and that if possible, such choice may obliterate the sociality of the individual, an stable aspect of human being. In this regard, irrespective of a private-good or public-good approach, studies on social capital are inherently based on a single paradigm (i.e., communitarianism). Our second topic is corporate governance. Again, two competing views are available. One is summarized as agency theory, which follows the tradition of 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