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오피니언 마이닝을 통한 스마트 워치 출시 전후 소비자 반응 분석

        이종호,박희준,Lee, Jongho,Park, Heejun 한국빅데이터학회 2016 한국빅데이터학회 학회지 Vol.1 No.1

        인터넷의 확산으로 트위터와 같은 SNS가 확산되었고, 컴퓨터 처리 능력의 발달로 빅 데이터 처리가 가능해졌다. 본 연구에서는 현재 주목 받고 있는 기술인 스마트 워치에 대해 다루고 있으며 최근 출시되었던 삼성 갤럭시 기어 S2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스마트 워치의 출시 전, 후에 게시되었던 트위터 데이터를 수집하여 실제 SNS 사용자들이 신제품 출시에 어떻게 반응하고 있으며 어떠한 다른 양상을 보이는지 분석한다. 분석을 통해 기업 실무자들에게 출시 전, 출시 후 각각에 마케팅에 대응하는 방법에 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며 본 연구에서 사용된 분석 프레임워크는 다른 분야 및 제품에서도 사용 가능한 연구 가이드라인이 된다. Social media such as twitter has been popular by the diffusion of internet, and thanks to the radical improvement of computational ability of computers big data analysis became possible. This research is regarding about smart watch which is receiving attention as post-smartphone technology. Among various types of smart watch,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recently released Samsung Galaxy Gear S2. The main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analyze customer's actual twitter data that was produced before and after the release of the smart watch to the market. Through the analysis,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marketing strategy guideline, and also the analysis framework used in this research can be a research framework for other area and product researches.

      • KCI등재후보

        사물인터넷 기술을 이용한 프로토타이핑 워크샵의 교육적 효과에 관한 고찰

        이종호(Lee, Jongho) 인제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4 Journal of Integrated Design Research (JIDR) Vol.13 No.4

        프로토타이핑 디자인 방법론이 사물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유형의 기술기반 서비스 상품 아이디어를 제안하는데 미치는 긍정적인 교육 효과 및 방법론의 한계점을 관찰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이를 위하여 1박 2일 워크샵과 1주 단위의 서비스 디자인 과제가 총 24명의 대학교 2학년 디자인 전공 학생 (4인 1조 6개팀)에게 부여되었다. 평가는 평가 지표 1)프로토타이핑 기법의 활용이 인터랙션 및 사용성 평가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가? 평가 지표 2)프로토타이핑 기법의 활용이 새로운 컨셉 개발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가? 의 두 가지 관점으로 진행되었고, 총 5가지 항목으로 결과물이 비교 분석되였다. 5가지 평가 항목은 다음과 같다. 1)서비스 컨셉이 공공 서비스에 맞게 개선되었는가? 2)서비스 컨셉이 사물 인터넷에 적합하게 개선되었는가? 3)서비스 사용 흐름이 맥락에 맞게 개선되었는가? 4)서비스가 사용하기 쉬워졌는가? 5)서비스 컨셉이 일반 사용자에게 쉽게 전달되어졌는가? 결과물의 비교 평가 결과, 6팀 모두에게서 프로토타이핑 워크샵이 새로운 컨셉 전개 및 발굴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지 못했다는 결과가 나왔다. 대신 사용성 개선, 사용 흐름의 개선, 사용 맥락의 개선 등의 항목에서는 6팀 모두 긍정적으로 개선되었다는 점을 보여줬다. 결과적으로 프로토타이핑 워크샵은 서비스 컨셉을 발전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보다는 사용성 개선 및 사용 맥락의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사물인터넷과 같은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제품 및 서비스를 기획하는 과정에서 사회 문화적 맥락의 이해 및 다양한 사용자의 니즈를 입체적으로 파악하는 교육 과정이 기술을 이해하고, 기술의 가능성을 체득하는 것과는 다르게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 The primary research question was "Can prior exposure to new technology such as "internet of things" helps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service design outcomes?" In order to observe the positive aspects of a hands-on prototyping workshop in the process of design concept development, a comparative study was planned. One is the short-period intensive littleBits workshop and the other one is the one-week long service design homework. The evaluation criteria was developed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Two evaluation criteria were "is the prototyping effective for new concept generation and enhancement in the case of IoT?", and "Is the prototyping effective for the enhancement of Interaction and usability?" Five detail evaluation criteria were developed: 1)the quality of the service concept, 2)the level of the technology understanding, 3)usability, 4)service flow, and 4)service concept communication. The workshop outcomes were reviewed using the five criteria. The comparisons show that the outcomes were enhance in such areas as usability and service flow, yet no concrete evidences were found in the area of service concept generation. This results may imply that prototyping method is generally effective for the interaction and usability enhancement. However, in order to get better outcomes, other tools including "user research" and "service benchmarks" need to be implemented prior to the prototyping workshop.

      • KCI등재

        1960년대 한국단편소설의 영어번역 양상 연구 : 유네스코 한국위원회의 Korea Journal을 중심으로

        이종호(Lee, Jongho)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8

        본 연구는 1960년대 유네스코 한국위원회가 발간한 영문 월간지 Korea Journal을 분석하여 당대 남한 사회에서 전개되었던 민간번역 프로젝트의 실상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1960년대 중반 Korea Journal은 한국인이 시선으로 한국의 실상을 알리고자 문학 텍스트의 ‘역번역 실천’을 전략적으로 추진하였다. 당대 남한 문학장에서 생산되었던 학술적 성과들을 흡수하는 한편, 대표적인 문예지와 종합지에 발표되었던 문학 텍스트들을 번역·게재함으로써 잡지 편집자들은 체계적인 방식으로 ‘한국적인 것’의 집합적 심상을 만들어갔다. Korea Journal은 이국적 취향을 자극하는 작품 대신 한국전쟁이라는 역사적 특수성 속에서 생산된 전후문학 작품들을 ‘선별’하여 적극적으로 번역·소개함으로써 세계문학의 중심을 향해 나아가고자 했다. 해외출판시장을 개척할 수 없었던 현실적 한계 속에서 남한(번역)문학장의 집단적 열망은 ‘타자의 언어’로 이질적인 문화적 경계를 넘어서고자 했지만, 역번역 실천의 본질적 한계로 인하여 한국문학의 번역텍스트들은 제한된 소통에 머무를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역번역 실천의 소통 불가능함은 아이러니하게도 Korea Journal의 편집 주체들이 구축하고자 하였던 ‘한국학’이라는 상상된 학문적 공동체와 ‘한국적인 것’의 집합적 심상에 균열을 불러일으키며 해외 독자들에게 당대 남한 사회의 진정한 현실과 마주할 수 있도록 이끌었다. The study examined the private translation project of South Korea in the 1960s, by analyzing Korea Journal published by the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This journal published various academic articles to inform the world of the reality of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s. In particular, the editors of Korea Journal sought to not only systematically establish the collective image of ‘Korean things’ but also move toward the center of world literature, by selecting and actively translating the works of postwar literature produced in the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War. Although Korea Journal tried to cross heterogeneous cultural boundaries with the ‘language of the Other,’ incomplete translation of Korean literary texts resulted in limited communication. This impossibility of communication, however, ironically caused cracks in both the imagined academic community of ‘Korean studies’ and the collective image of ‘Korean things,’ which allowed foreign readers to face the true reality of South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