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유럽연합과 미국의 전자화폐 규제 차이점 및 원인 분석

        이충열,김재필 정보통신정책학회 2003 정보통신정책연구 Vol.10 No.1

        유럽연합과 미국의 전자화폐에 대한 규제 현황을 살펴보고, 규제 차이점 및 차이점 발생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전자화폐의 정의 및 규제 필요성을 설명하고, 유럽연합과 미국 전자화폐에 대한 규제현황과 차이점을 규제의 일치성 및 규제 제정의 적극성, 발행기관 선정, 건전성 규제, 지불준비금 적립의무, 예금보험 가입 의무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한편 규제 차이점 발생 원인을 유럽연합과 미국의 전자화폐 활용도 차이, 지불제도 및 지불관습의 차이, 금융시장에서 은행의 중요성 및 규모 차이, 전자화폐의 발전 종류 차이, 전반적인 전자상거래 활성화 정책 차이, 유럽연함의 통화통합 정책 등을 사용하여 설명하고, 각각의 원인을 분석한 후, 이에 기초하여 국내의 전자금융거래법의 성격을 제시하였다. In this article, we examine the two important topics in electronic money. First, we explain the reasons why the regulation on the electronic money are necessary. We show the fact that the electronic money is public goods and it may have a big external effect on the national economy. In addition, we explain the consumer protection problem of electronic money and what the government can do to solve it. Second, we survey regulations of most advanced countries and analyze the differences among them. We classify the regulatory system into a European system and American system and we show how they are different and why they are made different. In Europe, on 18 September 2000, two Directives on Electronic money (hereinafter E-money) were adopted. The objectives of the E-money Directives are manifold: to protect the consumer and to ensure bearer confidence, to foster the single market in financial services by providing for a single passport for E-money institutions and for the principle of home country control, and to avoid any distortion of competition for the issuance of electronic money between traditional credit institutions and E-money institutions by subjecting both kinds of institutions to prudential supervision. On the contrary the US government and Federal Reserve Board are not actively trying to making a specific regulation on electronic money. Since they showed their opinions in the seminar in 1996, they did not turn it into as a formal laws. In additions, they have a different opinions how the electronic money should be regulated. For instance, EU allowed non banks to issue electronic money on condition that they should satisfy some conditions of prudential regulations and others. On the contrary, US did not announced any specific conditions. We try to explain their difference by indicating the difference in the development stage and payment system.

      • 韓國産 동자개科 魚類의 分布와 由來

        李忠烈 群山大學校自然科學硏究所 1990 自然科學硏究 Vol.5 No.-

        韓國産 동자개科 어류는 西南海岸으로 流入되는 河川 및 주변 水系에 널리 서식하고 있었는데 이들 중에서 Pseudobagrus fulbidraco와 P. koreanus는 臨津江, 漢江, 錦江, 萬頃江, 榮山江, 蟾津江과 주변 水系에 널리 分布하고 P. brevicorpus는 洛東江 水系에만 서식하였다. 한편 Leiocassis longirostris와 L. ussuriensis는 臨津江, 漢江, 錦江에 分布하고 L. nitidus는 臨津江, 漢江, 錦江, 萬頃江, 榮山江 등에 分布하고 있어 Leiocassis屬 魚類는 韓半島의 榮山江에서부터 북쪽의 서해로 流入되는 大型河川 中下流域에 分布하고 있었고 Pseudobagrus屬 어류는 태백산맥 동쪽의 동해로 流入되는 河川을 除外한 全水系에 비교적 넓게 分布하고 있는데 P. brevicorpus가 洛東江에만 分布하고 있는 점은 生物地理學上 매우 중요한 意味가 있다고 사료된다. 한편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는 동자개科 어류는 원래 우리나라의 서남해안으로 유입되는 하천 형성이 中國大陸의 古黃河 水系의 일부분으로서 여기에 서식하는 어류들도 자연 中國大陸의 古黃河 水系에서 由來되었다고 思料된다. The family Bagridae in south-westhern rivers of Korea was classified into 2 genera and 6 species : Pseudobagrus fulvidraco, P. Koreanus, P. brevicorpus, Leiocassis nitidus L. ussuriensis and L. longirostris. P. koreanus and P. brevicorpus of them are endemic species of Korea. Genus Leiocassis from Korea has been distributed mainly in Imjin river, Han river, Kum river and Yongsan river, and genus Pseudobagrus has been widely distributed in all south-westhern rivers but P. brevicorpus only in Naktong river. Today family Bagridae in Korea is considered to be originated from Indo-China catfish, through the Paleo-Hwangho rivers.

      • 진양호 일대의 어류상과 어류군집 구조

        이충렬,김용호 한국어류학회 2002 韓國魚類學會誌 Vol.14 No.3

        낙동강의 남부 지류인 남강의 중류역에 축조된 진양호 일대의 어류상을 2001년 4월부터 2002년 3월까지 6개 지점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 모두 12과 33속 44종이 확인되었다. 그 중 잉어가 어류가 27종*61.4%)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미꾸리과가 4종(9.1%)이었다. 본 조사 구역에서 조사 기간 동안 가장 많이 출현한 우점종은 H.eigenmanni로 전체 출현 빈도의 14.5%였고, 아우점종으로는 P. parva로써 11.45였다. 이외에도 H. lavea(10.0%), S. chankaensis tsuchigae(6.7%), C. brevicauda(5.9%), P. herzi(5.0%) 등도 높은 상대풍부도를 나타내고 있었다. 한편 본 조사 수역에서 희소종은 R. ocellatus, C. splendidus, M. rapidus, M. anguillicaudatus, K. naktongensis, P. Koreanus, P. brevicorpus. L. mediadiposalis 등이었다. 한편 본 조사 지역에서 출현하고 있는 한국 고유어종은 모두 6과 17종으로 우리나라 전체 고유어종의 34.7%에 해당되었고, 본 조사 기간 동안에 진양호에서 출현하는 어종의 38.6%이었다. 이들 고유어종 중 S. chankaenisis tsuchigae, Sl. gracilis majimae, C. herzi는 각 지점에서 공통으로 출현하였으나, C. splendidus, M. rapidus. K. naktongensis, P. brevicorpus, L. mediadiposalis 등은 일정한 장소에서만 소량이 출현하고 있었다. 본 조사 구역에서 출현하는 어종 중 생체량이 높은 어종은 H. labeo가 전체의 34.5%로 가장 많았고, 다음은 C. cuvieri로 14.4%였으며, 그 외에도 H. eigenmanni가 9.8%, C. auratus가 9.0% 등이었다. 특히 H. labeo와 H. eigenmanni는 출현 빈도와 생체량에서도 높게 나타났으며, C. cuvieri와 C. auratus는 출현 빈도는 낮지만 개체별 크기가 크기 때문에 생체량에서 높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진양호 일대의 어류 군집에서 우점도 지수는 평균 0.07로 매우 낮았고, 다양도 지수는 1.31, 그리고 균등도 지수는 0.79로써 대체로 다양한 어종이 풍부하고 고르게 분포 서식하고 있음을 나타내었다. The ichthyofauna and structure of the fish community of Jinyang Lake on the Nam River were surveyed at six localities from April 2001 t o March 2002. There were 44 species belongingto 33 genera and 12 families in the Jinyang Lake system. Of these, 27 species (61.4%) were cyprinid fishes, and four (9.1%) were next cobitid fishes. The dominant species in the Jinyang Lake was Hemiculter eigenmanni (relative abundance 14.5%), subdominant one, Pseudorasbora parva (11.4%). There were eight rare species (below 0.2%): Rhodeus ocellatus, Coreoleuciscus splendidus, Microphysogobio rapidus, Misgurnus anguillicaudatus, Koreocobitis naktongensis, Pseudobagrus koreanus, P. brevicorpus and Liobagrus mediadiposalis. Six of these (except R. ocellatus and M . anguillicaudatus) live in the upper-middle part of the streams. Seventeen species (38.6%) of the 44 are Korean endemic species. Among the endemic species,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 S. gracilis majimae and Coreoperca herzi were abundant species at each locality, but C. splendidus, M . rapidus, K. naktongensis, P. brevicorpus and L. mediadiposalis were fairly rare. In biomass, H. labeo comprised about 34.5% of the total weight, Carassius cuvieri 14.4%, H. eigenmanni 9.8% and C. auratus 9.0%. Average dominance, diversity, and evenness index of the fish community collected from six localities in Jinyang Lake were 0.07, 1.31 and 1.79, respectively.

      • 韓國産 강달이屬 Collichthys 魚類의 分類學的 再檢討

        李忠烈 群山大學校基礎科學硏究所 1992 基礎科學硏究 Vol.7 No.-

        우리나라 西海沿岸에서 주로 많이 출현하는 Collichthys屬 어류를 蒐集하여 이들의 分類學的 位置와 種間 形態學的 特徵을 조사하였다. 지금까지 韓國産 Collichthys屬 어류에는 C. lucidus, C.fragilis, C. niveatus의 3種으로 보고되어 왔으나 많은 文獻의 記載와 표본들을 중심으로 면밀히 재검토한 결과 C. ludicus와 C. fragilis는 同一種으로 동정되어 한국산 Collichthys속 어류는 C. lucidus는 C. niveatus의 2종으로 분류되었다. 이들 종간의 형태적 특징은 C. lucidus 에서는 後頭部의 계관상 돌기의 前後棘 사이에 1-3개의 小棘이 존재하고 뒷지느러미의 제1 가시가 곧으며, 상하악의 치수가 많고 복부의 황금색 腺組織이 50-57개이며 부레의 수지상측지 수는 19-23쌍인데 반해 C. niveatus는 계관상 돌기의 前後棘 사이에 小棘이 없고 뒷지느러미의 제1가시가 낚시처럼 구부러져 있으며 上下顎의 齒數가 적고 복부 중앙의 황금색의 선조직이 32-44개이며 부레의 수지상측지 수는 13-16쌍이다. Taxonomic revision of genus Collichthys in the south-western coastal sea of Korea were carried out and their interspecific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lso were rechecked. The genus Collichthys has classified into three species today: C. lucidus, C. fragilis and C. niveatus. But C. lucidus and C. fragilis in them were ascertained as same species by the comparison of descriptions of many literatures and of the measurements of present specimen. As a results, genus Collichthys from Korea was classified into two species, C lucidus and C. niveatus. In the interspecific taxonomic characters, the outstanding morp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C. lucidus and C.niveatus were well distinguished in following several characters: C. lucidus was made well developed occipital crest, with to 1 to 3 spinules erect, the straighted 1st anal spine, 50-57 light organs in the midventral line and 19-23 pairs of the branches of swimbladder but C. niveatus, without spinules on the occipital crest, the curved 1st anal spine, 32-44 light organs and 13-16 pairs of the branches of swimbladder.

      • 韓國産 동자개科 魚類의 核型分析

        李忠烈 群山大學校自然科學硏究所 1988 自然科學硏究 Vol.3 No.-

        韓國에 널리 棲息하고 있는 동자개科 魚類 2屬 5種의 염색체 및 核型에 대하여 調査하였다. 染色體 分析 結果 P. fulvidraco는 2n=52이고 FN=96였고, Pseudobagrus sp.는 2n =48이며 FN=82였다. 또한 P. brevicorpus는 2n=44이고 FN=80이다. 한편 L. nitidus는 2n=52였고. FN=94이며, L. ussuriensis의 2n=52이며 FN=86였다. 한국산 동자개科 魚類의 染色體의 變化는 2n數와 FN의 數가 동시에 줄어드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한국 고유 종으로 알려진 Pseudobagrus sp.와 P. brevicorpus는 染色體의 數的 減少 현상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These studies were investigated for the karyotype analysis of 5 species and 2 genera of family Bagridae from Korea. As a results, the five species were divided into three patterns in diploid chromosome number : 2n=52(P. fulvidraco, FN=96 ; L. nitidus, FN=94 ; L. ussuriensis, FN=86), 2n=48(Pseudobagrus sp., FN=82), 2n=44 (P. brevicorpus, FN=80). Poliploidization or intraspecific polymorphism in their chromosome was not observed in any species.

      • KCI등재후보

        한국 서해 어류상의 재검토

        이충렬 한국어류학회 2004 韓國魚類學會誌 Vol.16 No.1

        우리나라의 서해에 서식하고 있는 어류에 대하여 그동안 보고된 자료를 중심으로 정리한 결과 모두 30목 109과 219속 339종으로 확인되었고, 이 중 농어목 어류가 136종(40.2%)으로 가장 많은 종이 출현하고 있었으며, 다음은 쏨뱅이목 어류가 42종 (12.4%)으로 나타났다. 이외에도 가자미목 어류가 30종(8.9%), 복어목 어류가 25종(7.4%)의 순으로 이들 분류군이 서해 전체 어종의 68.9%를 차지하고 있어 서해 어류상을 이루는 주요 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서해에서 가장 많은 종을 나타내고 있는 과단위의 분류군은 망둑어과 어류로 전체 39종으로 우리나라의 망둑어과 어류의 66.1%였고, 다음으로는 참복과 어류가 20종으로 66.7%를 나타내고 있었다. 한편 서해에서 출현하는 339종 가운데, 서해에서만 출현하는 것은 모두 47종이고, 서해와 남해에서 공통으로 출현하는 종은 192종이었으며, 서해와 동해에서는 15종이고, 동해, 서해, 남해에서 모두 출현하고 있는 어종 수는 85종이었다. 한편 우리나라의 연안에서 출현하고 있는 한국고유어류는 모두 7종이며, 이중 서해에서 6종이 출현하였다. According to report to date, the fish-fauna of the West Sea of Korea consists of 339 species belonging to 219 genera and 109 families. The largest group is the order Perciformes, comprising 136 species belonging to 87 genera and 36 families, and representing 40.2% of the total number of species. The next largest groups were order Scorpaeniformes and Pleuronectiformes, containing 42 species (12.4% of total) and 30 species (8.9%), respectively. The major family in terms of species was the family Gobiidae, with 39 species (66.1% of total number of Gobiidae from Korea). The next family is the Tetraodontidae, with 20 species (66.7% of Tetraodontidae from Korea). Among 339 species, 47 species are known in the West Sea only, 192 species in the West and South Seas, 15 species in the West and East Seas, and 85 species in the West, South and East Seas. There are 7 endemic species from costal water of Korea, 6 of which are known in the West Sea.

      • KCI등재

        First Record of the Blenniid Fish Istiblennius dussumieri (Blenniidae, Perciformes) from Japan

        Lee, Chung-Lyul,Yoshihiko, Machida,Shigeru, Nagatomo 한국어류학회 2000 韓國魚類學會誌 Vol.12 No.1

        1996년에서부터 1999년까지 일본 Kochi현의 Shirano-hana에서 채집된 청베도라치과 어류 6개채 (체장 20.6~52.0 mm)률 채집하여 동정한 결과, 지금까지 일본에서는 서식이 보고되지 않은 Istiblennius dussumieri (Valenciennes, 1836)로 확인되어, 일본산 미기록종으로 보고한다. I. dussumieri는 가슴지느러미 연조수가 14개, 척추골수가 38~42개, 안상피돌기는 가지가 나있고, 둥지느러미에는 파상형의 무늬가 있으며, 체측에는 7~10개의 어두운 횡대가 있으며, 양턱에는 견치가 없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본 종은 Kuroshio 난류에 의해 이동되어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되나, I. dussumieri의 지리적 분포에서 서태평양 일대의 최북단 출현 지역으로 나타나고 있어 주목되었다. The blenniid fish, Istiblennius dussumieri (Valenciennes) was reported on the basis of six specimens collected from rocky shores on the Yokonami Peninsula, Kochi Prefecture, southern Japan. This species was characterized by wavy, dusky stripes on its dorsal fin, 14 pectoral fin rays, 38 to 42 vertebrae, branched supraorbital cirrus, finger-like nasal cirrus, seven to ten vertical, dark bands on the body and canines absent on both jaws. Although the occurrence of this species may be due to larval transport by the Kuroshio Current, this is the first record of I. dussumieri from Japan represents a remarkable northern range extension of the species in the western Pacific Ocean.

      • KCI등재
      • KCI등재

        First Record of the Flying fish, Cypselurus pinnatibarbatus japonicus (Exocoetidae) from Korea

        Lee, Chung-Lyul,Kim, Yong-Ho 한국어류학회 2003 韓國魚類學會誌 Vol.15 No.3

        충남 태안군 태안 앞 바다에서 채집된 날치과 어류 1개체(287.5㎜ SL)를 조사한 결과 지금까지 우리나라에서는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Cypselurus pinnatibarbatus japonicus(Franz)로 동정되었다. 본 종은 형태적으로 날치과의 다른 종들과 유사하나 등지느러미 앞 비늘수, 측선비늘수, 척추골수 등이 많고, 가슴지느러미의 불분지 연조 수가 1개인 점이 주요 특징으로 나타났다. 본종은 우리나라의 충청남도 태안반도의 앞 바다에서 출현하고, 날치과 어류 중에 가장 큰 무리에 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태안큰날치"로 명명하였다. The flyingfish, Cypselurus pinnatibarbatus japonicus, of the family Exocoetidae was collected for the first time from off the Taean Peninsula, Taean-gun, Chungcheongnam-do. C. pinnatibarbatus japonicus is distinguished from other related species by having larger numbers of predorsal scales, lateral line scales and vertebrae, and having the uppermost ray of the pectoral fin unbranch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