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홍주의병의 유교 학맥과 실천정신 - 한원진의 사상과 이설ㆍ김복한 실천정신의 내적 연관을 중심으로 -

        민황기 ( Min Hwang-ki ),이시우 ( Lee See-woo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8 儒學硏究 Vol.45 No.-

        이 논문은 홍주의병의 유교 학맥의 뿌리인 남당(南塘) 한원진(韓元震)의 사상을 개략적으로 살펴보고, 한원진을 사숙한 것을 자부하는 복암(復菴) 이설(李偰)과 지산(志山) 김복한(金福漢)의 실천정신을 중심으로 그들의 사상이 서로 어떻게 이어지고 홍주 의병활동에 수용, 전개되었는지 살펴본다. 조선후기 기호학파의 영향권에 있었던 홍주지역은 홍주문화권의 유생들의 척사운동과 항일의병, 대한제국말 국권회복운동과 파리장서운동, 그리고 3.1 운동 등 독립운동에 있어서 호서지역 세력기반이었다. 이런 점에서 특히 호론계 홍주의병의 실천정신은 독립에 대한 민족적 힘을 축적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민족독립운동을 전 민족적 비폭력 저항운동으로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러한 홍주의병의 유교적 실천정신은 한원진의 인물성이론(人物性異論)을 바탕으로 하여 지식인의 철저한 자기반성과 민족의 정체성 확립, 그리고 구망(救亡)의 차원에서 표명되었다. 이에 이 논문은 한원진의 사상에 뿌리를 두고 홍주의병을 전개한 이설과 김복한의 의병운동과 실천정신을 남당 사상과의 내적 연관 속에서 재조명하고 그 현대적 의미를 살펴 본다. We examine roughly Namdang(南塘) Han Won-jin(韓元震)'s idea which was roots of Confucianism line in advance, also examine how practice spirit of Bogam(復菴) Yi Seol(李偰) and Jisan(志山) Kim Bok-han(金福漢) who admired Namdang and emulated him went on, embraced and made newly. Like this in the letter part of Joseon dynasty Hongju area was ruled by the school of Kiho. As a center of the culture, Hongju cultivated a spinal movement of Confucian scholar and anti-japanese movement. Not only that at the end of the Korean empire Hongju performed a campaign to restore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independence movement including the Paris Book movement and 3.1 Independence movement faithfully as a power of the Hoseo area. In this respect, especially we can say that the practice spirit of Hongju Righteous Army of the Ho-ron(湖論) take an important position to file national power for independence and was driving force to develop independence movement into national resistance movement. As everyone knows, Confucian practice spirit of Hongju Righteous Army which was based on Namdang's ‘theory of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the nature of things[人物性相異論]’ expressed to lead right acts for establishing not only self identity but also national identity for a save-the-nation drive.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innate relations of Yi Seol, Kim Bok-han's Righteous Army movement and practice spirit which was based on Namdang Han Won-jin's ideas also examines it's contemporary Meanings.

      • KCI등재

        백야 김좌진의 민족의식과 국권회복운동

        민황기 ( Min Hwang-ki ),손세제 ( Son Se-je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6 儒學硏究 Vol.37 No.-

        이 논문은 백야 김좌진의 민족의식과 국권회복운동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즉 김좌진의 타고난 품성과 어린 시절의 행적 그리고 자의식이 성장할 때까지 김좌진에게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가문의 분위기ㆍ교육ㆍ지역정서ㆍ서울에서의 체험 등을 바탕으로, 김좌진이 국망 이전에 펼쳤던 국권회복운동(가노해방ㆍ호명학교 설립)의 실제와 목적 및 정신을 고찰한 것이다. 홍주지역은 1905년까지만 해도 봉건적·수구적·척사적 의식이 보편적으로 드리워져 있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가노를 해방할 수 있었던 것은 그가 민족의식을 갖도록 다듬어준 여러 인연들, 이런 인연들을 자기 것으로 소화할 수 있었던 그의 반성 능력, 무엇보다도 사내다움과 호협적 기질을 타고난 본성으로서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호명학교에 대해서는 설립 시기에서부터 설립 주체에 이르기까지 논란이 많지만, 1908년 김좌진에 의해 주도적으로 설립된 것으로 보인다. 호명학교 설립은 그가 서울에서 교유하였던 인물이나 단체 그리고 이 시기에 그가 가졌던 사상ㆍ이념에서 볼 때 개명이나 계몽보다 구망 즉 미래의 독립운동에 참여할 인재를 육성하는 데 그 목적이 있었던 것 같다. 따라서 호명학교 설립은 그의 독립운동의 준비론적 성격을 띠고 있다. 김좌진은 근대의식이 비교적 옅은 사람이었다. 민족을 외적의 침입으로부터 구원하는 것이 시급했기 때문이다. 가노해방이나 호명학교 설립도 `계몽`보다 `구망`을 위해 결행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민족을 압제에서 벗어나게 해야 한다는 `구망`의식이 매우 강했던 사람이다. 이것은 그의 내면에 있던 민족의식과 구망의식이 계몽의식을 압도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김좌진의 국권회복운동(`계몽`)과 독립운동(`구망`)은 사내다움과 호협을 동경하던 그의 품성이 때와 장소에 맞게 옷을 바꿔 입고 나타난, 본질적으로는 서로 특수한 관계에 있는 사건이었다. 이 둘의 관계는 전자는 후자의 준비이고 후자는 전자의 궁극적인 목적이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Baek-ya Kim, Jwa-Jin`s national consciousness and mov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It means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the goals and the spirit of the movement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slavery emancipation, the establishment of Ho-myeong school etc) that Kim, Jwa-Jin spread before the national mourning, based on his family`s tradition, the local spirit and the experiences from the time he lived in Seoul that exerted enormous influence on his natural character and activities when he was young, and the improvement of his self-consciousness when he reached adulthood. Until 1905, the Confucian spirit and the spirit of `expelling perverse religions` remained widespread in Hong-ju area. In that context, his awareness of slavery emancipation developed under various reasons, in which beside his ability to self-reflect there were also his innate bravery and courage. About Ho-myeong school, although there was much discussion about several problems, such as the time of establishment or the principle agent (of the school), the school was finally opened in 1908 with the decisive role of Kim, Jwa-Jin. When considering his relationship with figures and organizations in Seoul, and his opinions in that time, it can be said that his goals when opening that school was to educate the talented for the movement of national independence in the future, more than the renovation or enlightenment. Therefore the establishment of Ho-myeong school implies his preparations for the independence movement. Kim, Jwa-Jin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the class contraction. Since the question of national contraction was more urgent at that time. Thus the slavery emancipation or the establishment of Ho-myeong school were carried out to the goal of `independence`, more than the `enlightenment`. That can explain the predomination of the Confucian spirit and the spirit of `expelling perverse religions` over the `enlightenment` spirit in his thought. The movements of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and `independence` of Kim, Jwa-Jin, taken priority over different contexts, have a specific relation between them. That is the former is the preparation of the latter, and the latter is the ultimate goal of the former.

      • KCI등재

        한월당 김상정의 삶과 학행에 대한 연구

        민황기 ( Hwang Ki Min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79

        이 글은 한월당 김상정의 삶과 학행(學行)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호서의 명문가에서 출생한 한월당 김상정은 남당학파 계열의 유학자로 고조인 한간 김한록과 종증조인 월담 김일주 등을 통해 내려온 호론적(湖論的) 학풍을 가학(家學)으로 계승하였다. 한월당은 삼강과 오상이 인간이 지켜야 할 대륜(大倫)으로 보고 있다. 그에 따르면 삼강 중에는 임금과 어버이를 중히 여기는 충과 효를 우선하고 오상중에는 인과 의를 강조하고 있는 것이다. 이것이 곧 그에게는 사람다운 학행의 근거가 된다. 따라서 그는 삼강과 오륜의 마음이 왜적과 싸울 수 있는 의리가 된다고 하였다. 또한 그는 학행의 근거로 공자의 말을 들어 ‘중화를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치는 것’이 춘추대의라고 언명하고, 선비가 지켜야 할 것은 강상이며 행해야 할 것은 인의라고 강조하고 있다. 그리고 공자의 ‘살신성인’과 맹자의 ‘사생취의’, 주자의 중화와 오랑캐의 분별, 우암 송시열의 직사상, 남당 한원진의 기질의 중요성, 한간의 직의 정신이나 『시경』의 응징정신과 『소학』의 절의정신 등은 그에게 중대한 학행의 실천적 이념과 정신이 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학행의 근거에 따라 한월당은 단군 기자 이래로 4천년 신성한 덕교(德敎)와2천 년간 대성한 도학(道學)과 5백 년간 가장 저명한 문명(文明)이 있었다고 보았다. 그런데 그는 왜적이 침범한 이래로 덕교와 도학과 문명이 현저한 문화국인 조선의 자주권을 박탈해 감을 통분해 하였다. 이에 따라 그는 학행의 근거에 입각한 춘추의 존양론(尊攘論)을 철저한 위정척사론(衛正斥邪論)과 배일론(排日論)으로 전개하며 포악한 일제에 항거하였다. 한월당은 면장에게 국상을 발표하고 복 입는 일을 물어보며, 애국사상을 써서 면내게시하려 하였다. 또한 그는 1919년 정월 초하루 부석면 망등산에 올라 망곡하고 성복하는 의식을 가졌다. 이로부터 오지와 가슴을 찢어 피로 애국기(哀國旗) 100여자를 쓰고 또한 한월별호를 써서 배일하는 뜻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그는 격문(檄文)을 발표하여 일제를 성토하였으며, 공자의 춘추대의를 천하 만국에 천지와 더불어 종시를 서로 할 것을 주장하였다. 특히 한월당은 고종이 시해 당했다는 비보를 듣고 더욱 분개하여 왜적에게 굽히지않을 것을 맹세하며 1919년 정월 14일에 이어서 민중의 봉기를 재촉하는 혈서투쟁을 전개하였다. 그는 을미년 8월 국모의 해를 당한 것과 경술년 7월 전국이 합방된 것과 무오년 섣달의 군부의 피살된 것 등 3대 의리로서 일제의 죄를 물으며 힐책하고, 왜왕에게 굴하지 않을 것이며, 어떠한 세금도 납부하지 않겠다고 맹세하였다고 하면서 여러 사람들에게 동참할 것을 호소하였다. 이와 같이 한월당이 인식한 참된 현실이란 위정척사하고 절의정신을 실현하는 세계이며, 그것은 그가 일생동안 흠모했던 성현과 선대가 추구해왔던 춘추의 존양론(尊攘論)과 대명의리(大明義理)에 입각해 있으며, 그의 학행의 근거로 자리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그는 우국애민에 앞장서서 실천한 민족지사로서 일제의 온갖 회유와 탄압에도 절대로 의리를 굽히지 않고 서산지방에 3.1운동을 유도하며 항일투쟁을 선도하였던 것이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life and the scholarship of HanWolDang(寒月堂) Kim Sang Jung(金商釘, 1852~1954, he rein after refer to as HWD). He was born in noble family in HoSeo(湖西). His great-great-grandfather is HanGan KimHanRok and His great-grandfather is WolDam KimIlJu. They are a man of Nam Dang School. So they inherited with the spirit of the Nam Dang School by the tradition of the house. After the fall of the Korean Empire In 1910, He lived in the secluded countryside. Since his nation was failed, he was very sad. Therefor He was a hermit. And He almost did not come out of his house. A few years later, On December 19, 1918. He heard the news that Emperor GoJong(高宗, 1852~1919) died. After that, He fought against the illegal invaders of Japan. So as to resist invaders, He wrote in his blood and refused to pay taxes. So he spearheaded the resistance movement. HWD saw SamGang(三綱, the three basic principles in human relations) and OhSang(五常, the five constant virtues) to human great-ethics to be observed. He said, “In SamGang, The first is Chung(忠) and Hyo(孝). This is what we value the king and parents. And in OhSang, This is to emphasize that In(仁) and Eui(義).” He thought that is the basis of Humanity. Also he quote evidence the words of Confucius. Confucius said, “Sino culture(中華) will increase to defeat the barbarians(夷). This is Great ambitiousness of Spring and Autumn Annals(春秋).” Then he emphasizes the following. SunBi must keep GangSang(綱常, SamGang and OhSang). And SunBi must practice In Eui(仁義). Therefore, the background of the philosophical HWD is thoughts of Confucius, Mencius, Zhu Xi, UAm SongSiYeol, NamDang HanWonJin, HanGan KimHanRok etc. So, HWD Said, “If a Great-man(大丈夫) should focus on Justice to profit, the laws of nature to Success or failure, eternity to lifetime.” According to this academic background, HWD is thought that Great-ethical background to the exceptional civilization. It began in 4000 years have passed since Dan Gun(檀君) and Gi Ja(箕子). But the Japanese were invading these civilizednations of the Empire by force. So HWD thought it was very unfair this do it. So he set up in WiJungChukSaRon(衛正斥邪論) and BaiIlRon(排日論) based on JonYangRon(尊攘論). And he spear headed the anti-Japanese struggle. Continuing his academic ideals he should carry with pridere presenting the ethnic culture consciousness. It is JonWangYangYi(尊王攘夷) and DaeMyungEuiLi (大明義理). Therefor He was a pioneer practice prior to the country concerned and loving people. And He did not ever give in all kinds of repression and appeasement of Japan. He contributed greatly to finding a free and independent life of ethnic Koreans.

      • KCI등재

        『중용』에 있어서의 성(誠)사상과 천인(天人)관계 연구

        민황기 ( Min Hwang-ki ) 한국동서철학회 2018 동서철학연구 Vol.0 No.87

        이 논문은 『중용』에 있어서의 성(誠)사상과 천인(天人)관계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중용』은 원래 『대학』과 함께 유학의 철학적 기반이 풍부하게 담겨져 있는 경전이다. 『중용』은 유학의 성(誠)사상을 천인관계의 입장에서 그 위상을 보다 철학적으로 확립시켜 놓았다. 『중용』은 33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전반부에서는 주로 중화(中和) 또는 중용사상을 말하고, 후반부에서는 성(誠)사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중용』에 있어서 ‘성(誠)’은 진실무망(眞實無妄)하여 천리(天理)의 본연으로 천도(天道)이며, 만물의 존재의미를 끊임없이 완성해가는 우주적 원리이다. 천도인 성(誠)으로부터 밝아진 것이 성(性)이므로, 인간에게 내재된 성(性) 역시 성(誠)을 본질로 하고 있다. 즉 이 인간 본유의 천부적인 덕성으로서의 성(性)은 하늘로부터 부여 받은 천리의 본연인 성(誠)의 특성을 지니게 된다. 따라서 성(誠)은 인간존재의 본질이자 우주 만물의 존재 원리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성(誠)은 천리의 본연으로 하늘과 사람이 조화할 수 있는 천인합일의 원리가 되는 것이다. 인간이 천인합일의 원리인 성(誠)을 인식하는 길은 ‘성으로 말미암아 밝아짐으로 나아가는 것〔자성명(自誠明)〕’과 ‘명으로 말미암아 성실해짐으로 나아가는 것〔자명성(自明誠)〕’이다. 전자는 스스로 완성하고 실행하는 성인(聖人)의 수양 공부라 할 수 있고, 후자는 배우고 노력하는 군자(君子)의 수양 공부라 할 수 있다. 군자가 성(誠)을 체득하는 ‘성지(誠之)’의 주체적인 수양 공부는 ‘택선(擇善)’과 ‘고집(固執)’의 두 과정이 된다. ‘택선’은 모든 이치를 분별하고 분석해서 이른바 착함을 찾는 것이므로, 앎을 지극히 하는〔치지(致知)〕 공부이며, ‘고집’은 선을 택하여 그 도덕적 본성의 선함을 굳건히 지켜 실천하는 것이므로, 힘써 실행하는〔역행(力行)〕 공부이다. ‘택선’은 ‘지(知)’의 일이고 ‘고집’은 ‘행(行)’의 일이므로, ‘택선’의 결과는 ‘고집’에 있고, ‘고집’의 근거는 ‘택선’에 기인한다. 따라서 ‘택선’으로 드러나는 ‘명선(明善)’의 결과는 ‘고집’으로 나타나는 ‘성신(誠身)’에 있으며, ‘성신’의 근거는 ‘명선’에 있다. 결국 ‘택선’과 ‘고집’의 일은 둘이 아니고, 또한 ‘명선’과 ‘성신’의 일도 하나의 차원인 것이다. 따라서 ‘고집’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택선’을 알아야 하고, ‘성신’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또한 ‘명선’을 깨달아야 한다. 또한 ‘박학(博學)·심문(審問)·신사(愼思)·명변(明辨)’은 ‘택선’으로서 선을 깨닫는 앎〔지(知)〕의 영역이 되며, ‘독행(篤行)’은 ‘고집’으로서 인(仁)을 실천하는 행위〔행(行)〕의 영역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지행일치의 ‘성지’의 수양 공부를 통하여 도덕적 인간상인 군자로서 인간 완성의 길로 나아가게 된다. 인간이 부단한 ‘성(誠)’의 주체적 체득을 통하여 인간의 ‘지(知)·인(仁)·용(勇)’의 도덕성을 얻게 되고, 그것으로 또한 사람이 지켜야 할 떳떳한 인륜(人倫)으로서 인간의 사회관계에서의 행위 질서인 오륜(五倫)이 행해지며, 나아가서는 ‘구경(九經)’에 이르기까지 사회 완성이 실현되는 것이다. 천하에 지극한 ‘성(誠)’이야말로 본성을 다할 수 있고, 사람의 본성을 다할 수 있으며, 사물의 본성을 다할 수 있다〔진기성(盡其性), 진인성(盡人性), 진물성(盡物性)〕고 하는 것이다. 그리고 나아가 천지의 화육을 돕고, 천지와 더불어 참여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천지와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천인합일의 구경적인 이상이 되는 것이다. 『중용』에 나타난 성사상과 천인관계는 오늘날 인류가 겪고 있는 자연과 인간의 화해(和諧)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의미 있는 메시지라 할 수 있다. This thesis is the study on Cheng(誠) though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in Zhongyong. Zhongyong was originally called Daehak(大學) and is a sacred book that contains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Confucianism. Zhongyong philosophically established Cheng thought in Daehak from the Confucianist posi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Heaven and Man. Zhongyong consists of 33 chapters, while the former part mainly focuses on explaining Zhongyong(中庸) or Chinese philosophy, the last part explains Cheng thought. ‘Cheng’ in Zhongyong represents the original nature of the Heavenly Way’(天理之本然) in the form of ‘true realty and freedom mala fide’(眞實無妄) and also a cosmic principle, constantly aimed at perfecting the beauty of all beings in nature. Seong(性) comes from the original nature of the Heavenly: the Cheng. Seong, which is inherent to human beings, has the Cheng as its own essence. In this sense, the Cheng becomes the principle of the unity of Heaven and Man(天人合一) that the Heaven and Man create or form. The great man’s way of training ‘Chengji’(誠之) to learn Cheng refers to two processes, which are ‘choosing what is good’(擇善, i.e., knowing) and ‘holding on to it’(固執, i.e., action ). ‘Choosing what is good’ is to search for what is good by distinguishing and analyzing all kinds of principles. So it is a form of learning aimed at attaining knowledge or understanding wisdom. And ‘Holding on to it’ is a process of cultivation by practicing hard what we know. It is the process in which a person chooses some notions of what is good, firmly holds on to its moral essence, and strives to practice and realize what is good in his or her life. From this process of learning ‘Chengji’(誠之), a person who is a great man can fully foster human virtue and character(人間像) and can march towards the path leading to a better community. Thus, this is a significant ideal for ‘unity of Heaven and Man’(天人合一) that harmonizes between Heavens and Earth, and humans.

      • KCI등재

        청광자 이근주의 생애와 의리정신

        민황기 ( Min Hwang-ki ),손세제 ( Son Se-je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2

        본 논문은 청광자 이근주의 생애와 의리정신에 대해 고찰한 것이다. 그는 성품이 매우 강직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절의지사를 존경했고, 을미년 거의 때에는 동지들과 고난을 같이 하기 위해 스스로 체포되고자 했다. 경술년 국치 때에는 자결로써 의리를 지키고자 했고, 처사로서 자결하는 것을 세상 사람들이 오해할까 염려하여 처의론를 제시하기도 했다. 자결할 때 `존화양이척사부정(尊華攘夷斥邪扶正)`을 명분으로 삼았으며, 죽어서까지도 몸이 더렵혀지는 것을 걱정하여 화장해 줄 것을 당부했다. 이근주는 『맹자』의 `웅어장(熊魚章)`을 특히 좋아했는데, 이 부분이 그의 의리정신의 핵심 포인트이다. 그에 의하면 선비의 본업은 뜻을 키우는 것이다. 도에 뜻을 둔 자가 세(勢)를 쫒거나 생의 즐거움을 추구한다면 그는 이미 선비가 아닌 것이다. 그러나 세상의 선비라 칭하는 자들은 그렇지 못해서 `의`를 추구해야 하는 곳에서 `세`를 헤아리고 `생의 즐거움`을 추구한다. 이것이 을미년 거의가 실패하게 된 원인이요 작금에 펼쳐진 누란의 원인이다. 그가 경술년 국치 때 자결을 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선비된 자에게 망국은 도를 행할 터전을 잃어버렸다는 의미이다. 이런 상황에서는 도를 실천할 수도 없을 뿐만 아니라 그 자체 국권을 빼앗은 이적(夷狄)에게 봉사하는 길이 될 뿐이다. 그렇다고 선비 된 자가 `세`를 쫒으며 `생의 기쁨`을 위해 살 수도 없다. 성인의 덕화(德化)가 수천 년 이어져 온 내 나라를 버리고 다른 나라로 떠나는 것도 내키지 않는다. 의도(義徒)를 모집해 치욕을 설욕하고 싶어도 `세`를 쫒는 무리들 앞에서는 요연한 일일 뿐이다. 게다가 수십 년 간 병마에 시달려 몸도 가누기 힘든 상태이다. 결국 그가 선택할 수 있는 `사생취의(捨生取義)`의 길은 자결로서 선비의 삶, 즉 의리를 지키는 길밖에 없었다. 그는 지천명(知天命)의 나이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중화`의 위대함과 `이적`의 사악함을 깨달았다. 그래서 `대소중화(大小中華)`의 한결같은 가르침과 `인수화이(人獸華夷)`의 분변이 더 없이 소중하게 생각되었다. 이제부터라도 `화이`를 준별하는 선비의 삶을 살아야 한다. `절개를 세우는 자는 그 죽어야 하는 의리를 잡으면 나가서 죽을 뿐이다.` 그가 `존화양이척사부정`이라는 8자(字)를 남기고 `화장`을 당부하며 생을 마감한 데에는 바로 이러한 뜻이 있었다. 그의 의리정신은 자결로서 민족적 자존의식을 대변하며 항일투쟁을 선도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Cheong-gwang-ja (淸狂子) Lee Geun Ju(李根周)`s career and loyalty spirit. About his character, it can be said that he was such a man of integrity. He had great respect for faithful patriots (節義志士), and in the revolt breaking out in Wood-Goat year (乙未), to share hardship with the comrades, he let the enemy arrest himself voluntarily. In 1910, means the time of `national humiliation` (國恥) [Korea was officially dominated by the Emperor of Japan], he committed suicide to maintain his loyalty; to avoid any misunderstanding about that decision - to suicide as a reclusive scholar (處士) -, he left 5 “arguments of the uprightness of the recluse” (處義論). Committing suicide, he considered the `respect for morality and removal of the savage and uncivilized, the rejection of the wickedness and protection for the justice` (尊華攘夷斥邪扶正) the obligation; and feeling worried that his body could be violated, he requested to be cremated. He had a great appreciation of the “Chapter of bear and fish” (熊魚章) of the book “Mencius”, it can be said that this was the major point of his loyalty spirit. The major duty of the scholar was to cultivate his mind and will. A gentleman who should have had a strong will to pursue the Tao (道) but in reality a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to get a life of pleasure, in his opinion, that was not a true scholar. However, in this society, many of the so-called `scholars` counted the situations to pursue the favorable life right in the time when they should have followed the righteousness. That was the very cause for the failure of the Hong-ju insurgent army which rose up in 1895 and for the mess and war that were spreading in the whole country. That also was the reason why he committed suicide in 1910, after the national humiliation. Because with a true scholar, the loss of the sovereignty meant the loss of the field in which he can realize the Tao. In that situation, not only the Tao could not be realized but also the people inland must serve the foreign intruders (夷狄, the vicious group) who had stolen their sovereignty. Thus the scholars should not merely act according to the situation and pursue the life of pleasure. They also should not leave their own country in which the cause of civilization (德化) of the sages (聖人) has been carried out in thousands of years to come to another country. Although the righteous organizations (義徒) could be established and they wanted to revenge the humiliation (of losing the sovereignty), if those organizations acte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then those desires were nothing but remote goals. Furthermore, Lee Geun Ju was not in a good mental state since he suffered from disease in several years. Thus the only thing he could choose was the commitment on suicide to keep the righteousness and the reputation of an upright gentleman. If there is something regretable, it would be the fact that only when reaching the age of 50 could he be aware of the greatness of the civilized things and morality (`中華`), and the wickedness of the uncivilized things (`夷狄`), thus the most important thing was the lesson on the civilized things and the differentiation between civilized and uncivilized things. Until now the gentlemen must live a life of being well awar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civilized and uncivilized things, and aiming at the former and eradicating the latter. 8 words of `respecting morality and removing the savage and uncivilized, rejecting the wickedness and protecting the justice` (尊華攘夷斥邪扶正) that he left, and his request to be cremated at the point of death were tangible proves of that idea.

      • KCI등재

        충청유학의 현재와 미래가치

        민황기 ( Min¸ Hwang Ki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20 율곡학연구 Vol.43 No.-

        본 논문은 충청유학의 현재와 미래가치에 대하여 연구한 것이다. 15세기 이미 충청지방에 사족활동이 왕성하였으며, 조선 후기이후로는 유학문화가 더욱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여말선초 성리학 수용기에 활약한 대표적 충청유현으로 서산의 정신보 이후 보령 남포의 백이정, 서천 한산의 이곡·이색, 금산의 길재 등이 조선유학의 정신으로 이어졌다. 충청은 기호학파로 율곡 이이를 잇는 서인계열 김장생-김집 학통의 유현이 큰 부류를 이루었다. 그 가운데 가장 뛰어난 인물이 송시열·송준길·이유태·유계·윤선거 충청오현(忠淸五賢)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충청유학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으며, 충청을 조선 유학문화의 중심지로 부각시켰다. 조선조 유학의 융성에 있어 충청유학은 기호유학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였고, 화담학과 퇴계학과 우계학 및 율곡학이 공존되었을 뿐만 아니라 화서 이항로의 학맥도 전개되어 개방적이고 다양한 학문의 특성을 나타냈다. 특히 충청유학은 17세기 윤리적 위기를 맞아 예학시대를 여는 데 중추적 역할을 하였으며, 인성과 물성의 동이문제를 집중 논구하는 호락논변의 중심지였다. 이러한 다양한 학문사상적 기반은 동학운동과 의병활동의 배경이 되었으며, 한말과 일제강점기에 항일무장투쟁의 근거지로써의 핵심적 구실도 하였다. 충청유학은 조선조 유학을 선도하여 많은 인물과 학맥을 형성하며 지성문화의 주도적 역할을 해왔다. 그 지성과 도덕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 향교, 서원과 사우, 누정과 종가 등이 도처에 산재해 있다. 이곳은 한국지성사의 거점으로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브랜드라 할 수 있다. 우리의 유학사를 이끌어온 충청유학은 인본사상에 기초한 인간존중의 가치, 예를 중심으로 하는 리더쉽과 관계의 가치, 함께 더불어 사는 공동체문화의 가치 등 세 가지 미래가치로 요약해 볼 수 있다. 이는 충청유학의 본령이 인류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터라 충청유학의 미래가치에 대한 전망을 넘어 한국유학, 나아가 인류가 추구해야 할 세계시민적 공동체 문화와 윤리에 대한 지평 확장의 계기가 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resent and future value of studying in Chungcheong Confucianism. In the 15th century, there were already many activities of local noble family in country society in Chungcheong Province, and after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ulture of Confucianism became more active. As a representative Chungcheong Confucian scholar who was active in the early days of the Yeomunseoncho(麗末鮮初) Neo-Confucianism(性理學), after Jung Sinbo of Seosan followed by Baek I-jeong in Boryeong Nampo, Lee Gok and Lee Saek in Seocheon Hansan, and Giljae in Geumsan, which led to the spirit of studying in Joseon Confucianism. Chungcheng was a Kiho School(畿湖學派), and the Seohyin Line connecting Yulgok Yiyi, Kim Jang-saeng and Kim Jip, formed a large class. Among them, Song Si-yeol, Song Jun-gil, Lee Yoo-tae, Yu Gye, and Yun Seon-geo are the best figures in five Chungcheong Confucianist. They greatly influenced the formation of Chungcheong Confucianism and highlighted Chungcheong as the center of Joseon's Confucianism culture. Chungcheong Confucianism played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nfucianism in the Joseon Dynasty, and Study of Hwadam, Toegye, Ugye, and Yulgok were not only co-existing, but also the academic connections of Hwaseo Lee Hang-ro were developed, showing open and diverse academic characteristics. Chungcheong Confucianism has played a leading role in the intellectual culture, leading the study of Joseon Dynasty and forming many people and school connections. The cultural heritages that represent the intellect and morality are scattered everywhere, including Hyanggyo(Confucian School 鄕校), Seowon(書院) and Sau(ancestral shrine 祠宇), Nujeong(樓亭) and Jongga(the head family 宗家). This place is the base of Korean intellectual history and is a representative cultural brand of Korea. Chungcheong Confucianism, which has led our history of Confucianism, can be summarized into three future values: the value of human respect based on human thought, the value of leadership and relationships centered on courtesy, and the value of community culture living together. This will serve as an opportunity to expand the horizons of the world's civic community culture and ethics that should be pursued by humans beyond the outlook for the future value of studying in Chungcheong Confucianism.

      • KCI등재

        국내 옥수수 품종 및 계통의 미숙배 배양으로부터 Yellowish Friable Embryogenic 캘러스 (YFEC) 생산과 식물체 재생

        조미애,박윤옥,김진석,박기진,민황기,유장렬,최필선,Cho Mi-Ae,Park Yun-Ok,Kim Jin-Suck,Park Ki-Jin,Min Hwang-Ki,Liu Jang-Ryol,Choi Pil-So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2 No.2

        국내 옥수수 3품종 (두메찰, 미백찰, 흑점찰)과 5 계통(HW1, KL103, HW3, HW4, KW7)의 미숙배를 1 mg/L 2,4-D, 25 mM proline, 100 mg/L casamino acid, 3 mM MES, 1.7 mg/L $AgNO_3$, Eriksson's vitamin 및 20 g/L sucrose가 첨가된 MS배지 (SEM)에 5주 동안 배양하였다. 각 계통 및 품종의 체세포배 발생 빈도는 HW1 (45.20%), KL103 (5.75%), HW3 (37.20%), HW4 (30.10%), KW70 (55.20%), 미백찰 (18.74%), 흑점찰 (22.41%), 두메찰 (36.72%)이었으며, 모델 품종인 Hi II type에서는 10% 이하였다. Hi II계통에서 형성되는 type II캘러스와 같은 노란색의 부드러운 배발생캘러스 (yellowish friable embryogenic callus, YFEC)는 오직 HW3와 흑점찰 품종에서 형성되었으며, 반면 다른 품종 및 계통에서는 late-embryo단계의 단단한 체세포배가 직접 발생되거나 형태적으로 비정상 모양을 갖는 단단하고 팽창된 체세포배가 발생 되었다. 노란색의 부드러운 배발생캘러스 (yellowish friable embryogenic callus, YFEC)는 동일배지에서 빠르게 증식 되었고 6개월 이상 배발생 능이 유지 되었으며, 1차 재분화 배지와 2차 재분화배지에 옮겼을 때 모두 식물체로 전환 되었다. 그러나 단단한 노란색의 배발생캘러스와 비정상 형태의 체세포배는 동일배지에서 매우 느리게 증식되었고, 재분화 배지에서 낮은 식물체 전환율 (25%)을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로부터 선발된 HW3와 흑점찰은 향후 국내 옥수수 유전자원을 이용한 형질전환 시스템 개발연구에 이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Immature embryos of 3 cultivars (Du Me Chal, Mi Baek Chal, Heug Jeom Chal) and 5 genotypes (HW1, KL103, HW3, HW4, KW7) were cultured on medium containing MS salts, Eriksson's vitamins, 1 mg/L 2,4-dichlorophenoxyacetic acid, 25 mM proline, 100 mg/L casamino acid, 3 mM MES, 1.7 mg/L $AgNO_3$ and 20 g/L sucrose (SIM). Frequency of somatic embryo formation on explant of immature embryos showed in HW1 (45.20%), KL103 (5.75%), HW3 (37.20%), HW4 (30.10%), KW70 (55.20%), Mi Baek Chal (18.74%), Heug Jeom Chal (22.41%), Du Me Chal (36.72%) and Hi II type (<10%), respectively. Yellowish friable embryogenic callus (YFEC) such as type II callus of Hi II genotype only produced from the HW3 and Heug Jeom Chal, whereas other cultivars and genotypes were directly formed somatic embryos with late-embryonic stages or expanded yellowish compact somatic embryo with morphological abnormality. The yellowish friable embryogenic callus (YFEC) could be proliferated on the same medium, which were maintained embryogenic capacity for 6 months over. Upon transfer to first regeneration and second regeneration medium, somatic embryos converted to plantlets at a frequency of approximately 100%. However, the expanded somatic embryos with abnormal morphology were slowly proliferated when subcultured on the same medium, and some of them were degenerated or converted to plantlets at a frequency of approximately 25%. Accordingly, The Heug Jeom Chal and HW3 genotype will be further used for development of high frequency transformation system in domestic maize germplasm.

      • KCI등재

        Agrobacterium tumefaciens 공동배양법을 이용한 옥수수 형질전환체 생산

        조미애,박윤옥,김진석,박기진,민황기,유장렬,최필선,Cho Mi-Ae,Park Yun-Ok,Kim Jin-Suck,Park Ki-Jin,Min Hwang-Ki,Liu Jang-Ryol,Clemente Tom,Choi Pil-Son 한국식물생명공학회 2005 식물생명공학회지 Vol.32 No.2

        옥수수 미숙배배양과 Agrobacterium tumefaciens공동배양법에 의해 형질전환체를 생산하였다. Hi II계통의 미숙배를 Ubiquitin 1 promoter-GUS유전자와 선발마커로서 nptII 유전자로 제작된 pPTN290벡터를 C58C1에 도입한 후 형질전환 균주로 사용하였다. 7개의 paromomycin저항성 배 발생캘러스를 얻었으며, GUS양성반응을 나타내는 7개의 독립적인 식물체를 얻었다. Southern분석법에 의하여 $T_1$세대 식물체로부터 nptII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도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Agrobacterium tumefaciens-mediated immature embryo transformation was used to produce transgenic maize. Immature embryo of Hi II genotype were co-cultivated with strains Agrobacterium tumefaciens (C58C1) containing the binary vectors (pPTN290) carrying with Ubiquitin promoter-GUS gene as reporter gene and NOS promoter-nptll gene conferring resistance to paromomycin as selective agent. Seven embryogenic callus lines transformed showed the resistance in paromomycin antibiotics. Histochemical GUS assay showed that 7 individual lines transformed with the GUS gene were positive response among the transformants. Southern blot analysis revealed that the nptll gene segregated and expressed in their progen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