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어와 일본어의 동형 한자어 비교 연구 : 학습용 기본어휘 중 명사를 중심으로

        한승규(Han Seungkyu)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는 일본어권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기본어휘 중 한국어와 일본어의 동형 한자어를 비교·대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한국의 국립국어원(2003)과 일본의 國立國語硏究所(2001)의 기본 어휘 중 동형의 한자어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5,965개의 한국어 기본어휘와 6,104개의 일본어 기본어휘를 비교하여 추출한 한·일 동형 한자어는 총 319개이며 이 중 2음절 한자어가 286개로 가장 많았다. 1음절 한자어는 23개, 3음절 한자어는 10개로 나타났다. 결론 319개의 동형한자어는 연구의 결과로 목록화하였으며 기초적인 7개의 어휘들을 병렬말뭉치를 통해 분석을 진행하여 의미적 차이를 밝혔다. Objectives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the homomorphic Chinese words of Korean and Japanese among basic vocabulary for Japanese-speaking Korean learners. Methods To this end, Sino words of identical form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rom the basic vocabulary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2003) and the Japanese Language Institute (2001). Results There were a total of 319 extracted Sino words of identical forms of Korean and Japanese, of which two-syllable Chinese words were the most, with 286 ones, 23 one-syllable Sino words, and 10 three-syllable Chinese characters. Conclusions 319 Sino words are presented as an appendix, and the analysis of these vocabularies are conducted through a parallel corpus to reveal semantic differences.

      • KCI등재

        A Study of Numeral Unit Bound Nouns of Loanwords

        한승규(Han, Seungkyu),손연정(Son, Yunjung),박소영(Park, Soyoung)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64 No.3

        한국어는 다양하고 복잡한 단위성 의존명사 체계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국어의 단위성 의존명사는 대부분 고유어와 한자어로 이루어져 있으나 한국의 근대화 이후 외래어 의존명사의 수가 크게 증가하였다. 외래어 의존명사는 새로운 단위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빠르게 한국어에 차용되어 정착되었다. 외래어 단위성 의존명사는 외국어나 고유어와 결합하지 않으며 십(十) 센티미터(centimeter) 와 같이 한자어 수관형사와 결합한다. 이는 외래어 단위성 의존명사가 한국어의 체계에 정착되어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공시적인 현대 한국어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외래어 단위성 의존명사 중 대립적인 어휘로 볼 수 있는 “킬로”와 “밀리”를 비교하고 유의어로 볼 수 있는 “퍼센트”와 “프로”를 말뭉치를 통한 계량적인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비교한다. “킬로”와 “밀리”는 길이와 무게의 단위로 쓰이며 각각 1,000과 1/1000의 의미를 갖고 있다. 그러나 “밀리”의 경우, 무게의 단위로 거의 쓰이지 않는다. “퍼센트”와 “프로”는 사전적으로 동의어로 처리되어 있으나 공기 관계 분석을 통해 분화된 용법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후 외래어 단위성 의존명사의 양상과 특징을 확장적으로 논의하였다.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is the various and complex system of numeral unit bound nouns. Most Korean numeral unit bound nouns are formed of Korean native character or formed of Chinese character, however, the number of bound nouns composed with loanwords have increased sharply after modernization of Korea. Since many bound nouns composed with loanword tend to express a whole different unit that had not been included in the Korean language system, they were borrowed and settled rapidly in Korean. Numeral unit bound nouns of loanwords do not combine with foreign language words or Korean native words, but with numeral nouns of Chinese character like sip(十) seynthimithe(centimeter) . It demonstrates that number of bound nouns composed with loanword have been established in Korean language system. This study uses quantitative method to analyze and compare khillo(kilo) and milli(milli)”, pheseynthu(percent) and phulo(pro) . They are numeral unit bound nouns composed with loanword, which are widely used in synchronic modern Korean language. Khillo(kilo) and milli(milli) are each used as a unit for length and weight, and they each have the meaning of 1,000 and 1/1000. However, milli(milli) is almost never used as a unit for weight in Korean. pheseynthu(percent) and phulo(pro) can be treated as a synonym in dictionary, but they can be verified through the collocation analysis that two different words with different usages. Based on such results, the study will further discuss extensively about th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a numeral unit bound nouns composed with loanword.

      • KCI등재

        뉴스, 기사에 나타나는 ‘공한증(恐韓症)’과 ‘코리아포비아(Koreaphobia)’ 어휘 사용 양상 분석

        한승규 ( Seungkyu Ha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이 연구는 한국에 대해 부정적인 정서를 표현하는 ‘공한증(恐韓症)’과 ‘코리아포비아(Koreaphobia)’를 비교하여 신어와 유의어로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뉴스 아카이브인 빅카인즈에서에서 2020년 2월부터 6월까지의 방송 뉴스와 신문 기사에 나타난 ‘공한증(恐韓症)’과 ‘코리아포비아(Koreaphobia)’의 용례를 분석하였다. ‘코리아포비아’는 46건, ‘공한증’은 1,736건의 용례가 나타났으며 ‘코리아포비아’는 2020년 2월 말 이후에 나타난 단어이다. 둘을 비교·분석한 결과 ‘공한증’은 한자어로서 1996년 중국에서 처음 축구 경기와 관련하여 쓰이기 시작하였다. 한국인에게는 긍정적인 의미 경향성을 보이며 아직 사전에는 등재되어 있지 않고 다양한 의미로 변화할 가능성이 보인다. 반면 ‘코리아포비아(Koreaphobia)’는 외래어로서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확산과 관련하여 쓰이기 시작하였다. 부정적인 의미 경향성을 보이며 아직 신어로서도 정착이 불확실한 임시어로 분석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Gonghanjeung(恐韓症)’ and ‘Koreaphobia’, which express negative emotions toward Korea, and analyze them as new words and synonyms. Specifically, the use cases of Gonghanjeung and ‘Koreaphobia’ are analyzed appearing in broadcast news and newspaper articles from February to June 2020 in the news archive, Big Kinds. ‘Koreaphobia’ was used in 46 cases, Gonghanjeung in 1,736 cases, and ‘Koreaphobia’ was a word that appeared after the end of February 2020.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Gonghanjeung is a Chinese character and was first used in connection with soccer games against Chinese team in 1996. It shows a positive tendency for meaning to Koreans, and it is not yet listed in the dictionary, and it is likely to change into various meanings. On the other hand, ‘Koreaphobia’ as a foreign word began to be used in connection with the spread of Coronavirus infection in 2020. It can be analyzed as a temporary language that shows negative semantic tendencies and is still unclear as a new language.

      • KCI등재후보

        학습자 사전에서의 고유명사 표제어 선정의 문제

        김선혜(Kim Sun-hye),한승규(Han Seungkyu) 한국사전학회 2011 한국사전학 Vol.- No.17

        This research, as making a suggestion to improve Korean learner’s dictionary, discussed about selecting of proper noun entries for learner’s dictionary and its criteria. First, the significance of learning proper nouns to Korean language students in advanced levels was examined. On the basis of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roper nouns, the need for proper noun entries in learner’s dictionary was discussed. After examining that the criteria for selecting proper noun entries should be different from general word entries in learner’s dictionary, the study carefully considered for a desirable plan regarding how to select proper noun entries and describe it. As an example of a desirable plan for describing a proper noun entry, the study also presented the change in the significance by different types of proper nouns, and suggested the types of proper nouns that are qualified as an entry in learner’s dictionary. In the future, the selected proper noun entries may contribute to the Korean language students in advanced levels who are using learner’s dictionary.

      • KCI등재

        A Study on the Avoidant Words and Euphemism in Dictionaries

        Kim, JinHee(김진희),Han, SeungKyu(한승규) 한국사전학회 2012 한국사전학 Vol.- No.20

        금기와 금지 상황은 인류 보편적으로 나타나지만 관습적이며 생활양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각 언어권, 문화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접하는 외국인들은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금기로 인해 의도하지 않은 문화적 실패를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소위 금기어로 불려온 기피어에 대해 한국어 학습자들은 금기어에 대한 교육 자료의 한계로 적절한 어휘 학습을 하기 어렵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금기(taboo)와 금기어(taboo word)로 논의해 온 기피어(avoidant word)를 정의하고 논의의 대상을 기피어와 기피어에 대응하는 완곡어로 한정하였다. 논의의 흐름은 첫째, 금기상황과 같은 화자가 기피하려는 표현과 변별하여 한국어의 기피어와 이에 대응하는 완곡어를 설명하였고 둘째, 한국어의 기피어가 기존 한국어 사전에 얼마나 잘 반영되어 있는지 검토하는 것으로 진행하였다. 결론적으로는 한국어 사전에서의 금기어, 완곡어의 제시방안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시기별 한국 영화 제목 텍스트에서의 성별 어휘 분석

        이창봉 ( Changbong Lee ),한승규 ( Seungkyu Han ),원미진 ( Mijin Won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이 연구는 한국 영화 제목에 나타난 성별 어휘의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성별 어휘는 영화 제목에 고빈도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흥행작이나 시리즈물에 많이 나타나 한국 영화의 특성을 살필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영화 제목 텍스트에 나타난 ‘남자’와 ‘여자’를 나타내는 어휘는 다른 어휘들과 어떤 관련성을 나타내는지, 둘째, 시기별로 영화 제목 텍스트에 나타나는 특성은 무엇인지 분석하였다. 연구 자료로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KOBIS: Korea Box-office Information System)에 등록된 영화 중 성별 어휘가 나타나는 1,660편의 영화 제목을 텍스트로 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텍스트 마이닝 분석과 빈도 분석을 통해 영화 제목 텍스트의 특성을 밝혔다. 그 결과 여성에 대한 성적 대상화가 주로 나타난다는 것으로 네트워크 분석이 되었다. 시기에 따라서는 1970년대의 한국 사회의 도시화, 영화의 상업화, 1980년대의 군사 독재의 영향, 1990년대의 개인의 익명화 등의 정치・경제・사회적 영향이 한국 영화의 성별 어휘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 연구에서 다룬 영화 제목 텍스트는 ‘에로 영화’를 중심으로 성적 대상화가 심화된 특성을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gender vocabulary appearing in Korean movie titles. Specifically, first, how the gender vocabulary appearing in the movie title text relates to other vocabulary words according to gender, and second, what characteristics appear in the movie title text by period were analyzed. As research data is 1,660 movie titles with gender vocabulary registered in the Korea Box-office Information System (KOBIS). Through text mining analysis and frequency analysis as a research metho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ie title text were revealed. As a result, it was analyzed that sexual objectification for women mainly appears. Depending on the period, Korean films have been greatly influenced by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but vocabulary with gender vocabulary may represent diversity in Korean films, but sexual objectification has intensified around erotic fil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