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학생의 온라인수업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이쌍철(Lee, Ssang-cheol),김정아(Kim, Jeong-a) 한국교육행정학회 2018 敎育行政學硏究 Vol.36 No.2

        본 연구는 학교 간 교육과정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전·편입 학생의 교과 미이수 문제를 해결하고, 단위 학교에서 개설하기 어려운 희소 선택과목에 대한 학생의 학습권을 보장하기 위해 도입된 온라인수업 정책에 있어, 학생의 수업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밝히고자 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학생과 정기적으로 수업을 수강한 학생일수록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온라인수업 교과교사 및 관리교사의 학습 지원이 많을수록 학생의 수업만족도가 높았다. 셋째, 학습 콘텐츠의 질과 시스템편리성이 높을수록 수업 만족도가 높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정규 학교 체제를 보완하기 위해 도입된 온라인수업에 대한 학생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온라인수업의 질 제고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고등교육 중심의 원격교육에 대한 기존 논의를 중등교육 단계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실용적·학문적 의의를 지닌다. 정책적으로는 온라인수업 운영에 있어 향후 온라인 교과교사 확보 및 전문성 개발 방안 마련, 학습콘텐츠 확보 및 질 관리 체제 구축, 학습관리시스템(LMS) 기능 개선, 학생의 수업 참여 자발성을 담보하는 온라인수업 운영 방안 마련 등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ffecting student satisfaction with regard to online courses that were introduc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y to study courses not offered at their school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ose students who voluntarily enrolled in online courses and regularly attended them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Second, the more support and help students received from their online tutors and managing teachers, the higher was the student satisfaction with respect to online courses. Third, the quality of learning content and the convenience of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course satisfaction.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also discussed. This study can not only contribute practically in enhancing the quality of online courses by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student satisfaction with online courses, but also academically in expanding the existing literature of online courses that focuses on the higher education level to the secondary education level. Thus, in order to improv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courses, plans should be developed to hire online tutors full-time and support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vide high-quality content, improve the functions of the Learning Management System and ensure students’ voluntary participation.

      • KCI등재

        중등 직업교육기관 졸업생의 취업 질에 영향을 주는 학교 특성 분석

        이쌍철(Lee ssang cheol)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6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5 No.2

        This study is to prove that the employment quality of students can differ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and efforts of school. For such purposes, a multi-level data analysis (HLM) was conducted utilizing 'High School 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HSGOMS),' and the results are as the following: First, employment quality of students after graduation varies according to what school students are from. As a result of basic statistical analysis, there were quantitative differences in students' employment such as rate of regular employment, monthly income and job satisfaction. Second, students from meister high schools had better jobs compared to specialized or comprehensive high schools. Considering the result from this study that the influence of school's efforts and curriculums on employment quality of students is not quite large, we shall think that student selection based on ranking of intermediat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s have larger effects than school's contribution in good employment achievements of students through quality education. Third, schools providing quality field training programs and school-industry activities have better employment rate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a sense that it has expanded the theoretical domain to explain employment statuses of high school graduates by setting school as a key variable to explain employment statuses of intermediate vocational education institution graduate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school on employment quality of students. 본 연구는 학교가 학생들을 어떻게 교육을 하는지, 취업지원을 위해 어떠한 노력을 하는지 등 학교의 노력여하에 따라 학생의 취업 질은 달라 질 수 있으며, 이러한 차이를 설명하는 학교 특성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고졸자 취업진로 조사(HSGOMS)' 자료를 활용하여 다층분석(HLM)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간 학생 취업의 질은 큰 차이를 보인다. 기초 통계 분석 결과 정규직 취업 비율, 월평균 소득, 일자리 만족도의 학교 간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마이스터고 졸업 학생이 특성화고, 종합고 학생보다 좋은 일자리에 취직하고 있다. 본 연구에 투입된 학교의 과정적 노력이 학생 취업의 질에 주는 영향력이 크기 않다는 연구 결과에 비추어 본다면, 학교가 내실 있는 교육을 실천해서 학생이 좋은 일자리에 취업을 했다기보다 중등단계 직업 교육 기관의 서열화에 의한 학생선발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하고 있을 가능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현장실습과 산학연계 활동을 내실 있게 운영하는 학교일수록 괜찮은 일자리 취업 비율이 높아진다. 현장실습을 내실 있게 운영한 학교일수록 월평균소득, 정규직 취업, 일자리 만족도가 높았으며, 산학연계 활동을 내실 있게 운영한 학교일수록 일자리 만족도가 높았다. 본 연구는 고졸 취업 현상을 설명하는 핵심 요인으로 학교에 주목하고, 학교가 학생 취업의 질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고졸 취업 현상에 대한 논의를 확장 했다는 의미를 가진다.

      • KCI등재

        교사-교장 신뢰가 교사의 사기 및 학교만족에 주는 효과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쌍철 ( Ssang Cheol Lee ),홍창남 ( Chang Nam Hong ),송영명 ( Young Myung S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1 초등교육연구 Vol.24 No.1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자료를 토대로 교사-교장 간 신뢰가 교사의 사기와 학교만족에 주는 영향을 탐색적 수준에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교장에 대한 신뢰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의 사기 및 학교 만족은 높아진다. 교사 및 학교 배경 변인의 영향력을 고려한 상태에서 신뢰 점수가 1점 높아질 때, 교사의 사기는 .425점 학교만족은 .531점 높아졌다. 둘째, 신뢰 풍토는 학교 간 교사의 사기와 학교만족 수준의 차이를 설명해주는 주요 변인이 된다. 셋째, 교사의 교장에 대한 신뢰는 교사 및 학교 배경 변인이 사기 및 학교 만족에 주는 영향력을 감소시켜 준다. 교사-교장 신뢰 변인을 투입한 후 성별, 연령, 시설 수준이 교사의 사기와 학교만족에 주는 영향력은 크게 낮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게 변화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구성원 간 신뢰의 중요성과 효과를 실증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학교 구성원 간 관계적 특성에 정책적 관심을 가져야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teacher-principal trust on the teachers` morale and school satisfaction by using the 4th Korea Educational Longitudinal Study(KELS) data of KEDI.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trust level among teachers and principal, the higher teachers` morale and school satisfaction. While controling the background variables of teachers and schools, 1 point raised in trust climate results in higher scores in teachers` morale and school satisfaction: .425 points in teachers` morale, .531 points in school satisfaction, respectively. Secondly, trust climate is the important variable explaining the differences of teachers` morale and school satisfaction among schools. Thirdly, teachers` trust for the principal decrease the effect of the background variables on the teachers` morale and school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importance of "Trust" among stake-holders of school.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we need to concern the characteristics of trust among school members.

      • KCI등재

        초등학교 교사의 교직 선택 동기가 직무수행 및 교사만족에 주는 영향 분석

        이쌍철 ( Ssang Cheol Lee ),김혜영 ( Hye Yeong Kim ),홍창남 ( Chang Nam Hong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2 초등교육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공하는「학교교육실태 및 수준 분석 연구」의 자료를 활용하여 교사들이 어떠한 동기에 의해 교직을 선택하였는지, 그리고 교직 선택동기에 따라 현직에서의 직무수행 및 직무태도에 주는 영향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재적 동기에 의해 교직을 선택한 교사는 외재적 동기에 의해 교직을 선택한 교사보다 더 열심히 직무를 수행한다. 둘째, 교직 선택동기는 교사 만족에도 영향을 준다. 외재적 동기, 수동적 동기에 의해 교직을 선택한 교사들의 교직 만족도 및 학교 만족도는 내재적 동기, 이타적 동기에 의해 교직을 선택한 교사보다 현격히 낮았다. 셋째, 내재적 동기 요인뿐만 아니라 외재적 동기 요인 역시 초등 교사들이 교직을 선택하는데 있어 적지 않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교직 선택 동기가 실제 직무수행 및 교사 만족에 주는 영향력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진다. 그리고 교사 양성과정과 현직교원에 대한 교원정책을 기획함에 있어 교사의 내재적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접근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the kinds of motivation teachers had to select their profession and its relationship with current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utilizing data from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with intrinsic motivation show enthusiasm on their job more than ones with extrinsic motivation. Second,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eacher`s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Teachers having extrinsic and passive motivation reveal a greatly low level of current job and school satisfaction. Third, not only intrinsic motivation but also extrinsic motivation impact select teaching. While this study statistically shows an impact of teacher`s motivation to select their profession on their current job attitude and performance, it is also important to implement a systematic approach to encourage intrinsic motivation.

      • KCI등재
      • KCI등재

        학생 시민의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분석: ICCS 2016 분석을 중심으로

        이쌍철(Ssang cheol Lee),허은정(Eun Jung Hur),이호준(Ho jun Lee) 한국교육행정학회 2020 敎育行政學硏究 Vol.38 No.1

        본 연구는 학생의 시민의식(인지, 선거참여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학교 민주시민교육 활성화에 필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ICCS 2016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학생 가중치와 학교 가중치를 적용한 확률절편모형(random intercept)을 통해 학생의 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학교 특성, 국가 특성 등을 규명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개인의 배경 특성은 시민의식 발달에 있어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예컨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수록 학생의 시민의식과 선거참여 의사가 높았으며, 다문화가정 학생의 경우 시민의식 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학생 시민의식에 영향을 주는 학교 특성으로는 학생의 학교 참여 강화를 교육목표로 설정한 학교는 그렇지 않은 학교에 비교해 학생의 시민의식(인지) 수준이 높았다. 특히, 학생의 학교 참여를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통합적으로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한 교육 활동을 운영하는 학교에서 학생의 시민의식 수준이 비교적 높았다. 셋째, 국가적 특성으로 국가의 민주주의 수준이 높을수록, 부패지수가 낮을수록 학생의 시민의식은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학생의 학교라는 삶의 공간 속에서 시민으로서의 규범과 역량을 체득할 수 있도록 학생 참여 중심의 학교 교육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단일 교과 또는 단일한 프로그램이 아닌, 학교 교육과정 전반에 걸친 통합적인 교육과정 접근 방식으로 민주시민교육이 추진될 필요가 있음을 정책적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determinants of student’ capabilities for civic and citizenship and draw policy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citizenship education. For this purpose, utilizing ICCS 2016 data with implementation a random intercept model weighted by both student and school weight, this study clarified student, school, and country-related determinants. First of all, this study found that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process as a goal of school management is closely related to higher level of student’s cognitive capability for civic and citizenship. Particularly, this relationship could be amplified by addressing the wholistic approach of schoo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s. Furthermore, our results demonstrated that student socioeconomic status could be a crucial determinant to explain the variation of student’ capabilities for civic and citizenship. Additionally, this study provided an empirical evidence that the more democratic a country is the higher student’ capability for civic and citizenship is.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invaluable policy implications including the wholistic approach of school citizenship education program, the facilitation of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process, and the enforcement of democratic climate within schools.

      • KCI등재
      • KCI등재

        학생선수의 학습 실태 및 학업 성적과 운동 성적과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쌍철(Lee ssang cheol)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10

        본 연구는 대회 성적 및 운동 성적 향상을 위해 훈련 중심의 학교 일과가 이루어지고 있는 학생선수 교육 실태에 주목하고, 운동 성적에 따른 학습 실태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훈련 시간과 운동 시간이 운동 성적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분석하였 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 성적에 따른 학습 실태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운동 성적 상위권 학생의 정규 수업 참여 비율이 중위권, 하위권 학생보다 높았으며, 수업 시간 집중도, 과제 제출 충실도 역시 운동 성적 상위권 학생이 높았 다. 둘째, 학업 성적이 운동 성적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학업 성적이 좋은 학생이 운동 성적도 높았다. 셋째, 훈련 시간이 운동 성적에 주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훈련 시간은 운동 성적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훈련 시간뿐만 아니 라 학업 능력이 운동 성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을 밝히고 있다는 점에서 의미를 가지며, 향후 경기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함에 있어 체력적, 심리적 요인뿐만 아니라 인지적 요인도 고려해야할 필요성을 제시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athletic performance of student atheles by focusing on the reality where students right to learn is not guaranteed, and examine how their atheletic performance improves with increased training hours and how their academic performance influences their athletic performance. For such purpose, analyses were performed on student athletes learning conditions, as well as the effects of academic performance and training hours on their athletic performance, in which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lass absence varies significantly according to different types of sports, and the learning rights were relatively well-guaranteed in Jokgu . Second, student athletes class absence was more severe in high school than middle school. Third, no evidence was found that longer training hours led to better athletic performance. Fourth, better academic performance leads to better athletic performance. Such results implies that academic ability may have greater influence on athletic performance than training hours, unlike the traditional belief, and suggests the need to consider the cognitive factors in analyzing the factors that influence athletic performance, as well as physical and psychological factors.

      • KCI등재

        교육행정 연구에서의 자기보고식 인식 조사 활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및 대안 탐색

        이호준(Lee, Ho-jun),이쌍철(Lee, Ssang-cheol)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3

        지금까지 교육행정 분야의 많은 연구들은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응답자의 주관적인 응답 성향에 의해 응답 결과가 달라지는 응답편향 문제로부터 자유롭지 못하였다. 이 연구는 기존 연구들에서 나타났던 이런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 방식으로 사례제시법을 소개하고 이를 탐색적으로 적용해 보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9년에 이루어졌던 ‘초ㆍ중등학교 인권교육 현황 및 인권의식 분석’ 연구에서 수집했던 자료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이 연구는 앵커링 비네트 문항을 활용하여 응답편향성을 완화시킨 보정변수를 산출하고 사례제시법 적용 전후에 학생과 교사의 인권의식이 실제로 어떻게 달라졌는지를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인권의식 문항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응답은 성별, 학생의 성취 수준, 학생의 사회경제적 배경, 학교 소재지, 설립유형, 인권조례 제정 여부 등과 같은 개인 및 학교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났다. 사례제시법을 적용한 이후, 사립학교 여부와 인권조례제정 여부 등과 같은 집단 특성에 따라 학생의 인권 감수성 차이에는 일정한 변화를 보였는데, 통계적으로 유의했던 집단 간 차이가 더 이상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이런 양상은 혁신학교 여부에 따른 교사의 인권 감수성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하였다. 반면, 교사의 인권 판단과 관련해서 혁신학교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차이가 사례제시법 적용 이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활용해 왔던 기존의 접근 방식이 응답 편의에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이 연구는 향후 교육행정 분야에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활용할 경우 응답 편의를 완화할 수 있도록 사례제시법을 활용한 접근 방식을 적용해 볼 필요성이 있음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atorily apply the anchoring vignette method in the area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as a way to address the problem of differential items functioning that reveals during the investigation process of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answer tendencies to the consciousness questions differed depending on various characteristics like sex, students’ level of achievement and socio-economic background, the schools’ location and establishment type. Besides, in the process of applying the anchoring vignette method, our results showed that the students’ sensitivity to human rights differed depending on school establishment type and whether of human rights ordinances. Similarly, teachers’ sensitivity to and judgment of human rights also differed between the innovation schools and regular schools. Based on these results, we argued that the anchoring vignette method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the various alternative approaches against the differential item function problem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hich are widespread in the literature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