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南冥集』 丙午(1606)本의 발견과 그 의의

        이상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3 No.-

        The controversy on whether 『Nam-myeong Collection』 was first published in 1602 or 1604 has been provoked in the thesis of Jeon Byeong-yoon, Oh Yi-hwan and Kim Yoon-su. Lee Sang-pill revealed in 『The Study on Nam-myeong』 30th collection (Published on December 31, 2010) that the first publication of 『Nam-myeong Collection』 has to be in August, 1604 when Jeong In-hong, the writer of Nam-myeong wrote the preface. After, the woodblock was burned down but could be re-engraved and published by help of Governor Yoo Yeong-sun, and that woodblock-printed book was called the 1606 edition. The book discovered recently is the 1606 edition, which the 1st volume is in one book and the 2nd and 3rd volume are in one book. The 1st volume includes 3 pages of preface, 9 pages of Nam-myeong record, 6 pages of Nam-myeong inscription and 37 pages of the 1st edition, total 55 pages. The 2nd volume includes 88 pages of the 2nd edition and 36 pages of the 3rd edition, total 124 pages. This book has 7 traces of correction which means that it is not the first 1606 edition but the late 1606 edition, the oldest edition and the complete set of books among discovered 『Nam-myeong Collection』 until now. After comparing the 1606 edition and the 1609 edition and examining which parts were edited from the 1606 edition to the 1609 edition in detail, it is concluded as follows. First, 112 parts were edited from the 1606 edition to the 1609 edition. Jeon Byeong-yoon and Oh Yi-hwan claimed that 28 parts were edited, but 84 corrections were more discovered in the same volume and 28 corrections in 45 pages of the 2nd volume that they could not see were discovered, thus there are total 112 corrections. Second, it is claimed that there are 72 simple misspelling corrections and parts that should be corrected are corrected, but 'sunseungcheil(先乘霽日)' may need reconsideration and 'yoonson(胤 孫)' is wrongly corrected. Third, among editing related to poetry style, 'ohshibnyeon(五十年)' of 'jeonshin ohshibnyeon cheonlu(全身五十年前u)' can confirm the original on grounds of this woodblock-printed book. Fourth, editing related to context worths being future subject of research. The most wellknown among these, the complete deletion of latter part of Shinmyeongsamyeong is interpreted that it is due to comment of Toigye. Saying 'Pro-independence' to Toigye, Sending Ohju to Kwon Eung-in to make him find his dying hour, describing adoptees from different clans and supplementing the poet 'Ganglu' can be quoted as part of future research. 『남명집』의 간행이 언제 처음 이루어졌느냐 하는 것은 이미 전병윤과 오이환, 김윤수의 논문에서 1602년이냐 1604년이냐의 논란이 있어 왔다. 이에 대해 이상필이 『南冥學硏究』 30집(2010.12.31간행)의 「『南冥集』 初刊年代 辨證」이란논문에서, 『남명집』의 초간은 남명의 문인 정인홍이 그 서문을 쓴 1604년 8월이라 볼 수밖에 없으며, 그 뒤 목판이 불타 관찰사 柳永詢의 도움으로 다시 판각되어 간행되었다는 그 판본을 병오본으로 명명하게 되었음을 밝힌 바 있다. 이번에 발견된 이 책은 바로 그 병오본으로서, 제1권이 한 책으로 장책되어있고, 제2권과 제3권(부록)이 한 책으로 장책되어 있다. 제1책은 서문 3장, 남명행장 9장, 남명비문 6장, 제1권 37장 등 모두 55장으로 되어 있다. 제2책은제2권 88장, 제3권 36장 등 모두 124장으로 되어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남명집』으로서는 最古本이며 完帙本이다. 이 병오본과 기유본을 대조하여 병오본의 내용을 기유본에서 어떻게 고쳤던가 하는 점을 낱낱이 살펴본 결과 그 의의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째는 병오본에서 기유본으로 바뀌면서 112곳에서 수정이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전병윤과 오이환은 28곳에서 수정이 이루어졌다고 하였으나, 같은 곳에서 84곳이 더 발견되었고, 그들이 보지 못했던 2권 마흔다섯 장에서 28곳을 발견함으로써, 그 사이에 변화된 곳이 모두 112곳임이 드러난 것이다. 둘째는 단순한 오자 수정이 72곳에서 이루어졌고 이들은 대체로 수정될 만한것을 수정했다고 하겠으나, ‘先乘霽日’의 경우는 재고의 여지가 있고, ‘胤孫’의경우는 잘못 수정한 것이었다. 셋째로 시 형식과 관련하여 이정한 것 가운데 ‘全身五十年前u’의 ‘五十年’은, 이 판본을 근거로 기존의 ‘四十年’을 수정하여 이를 정본으로 확정할 만하다. 넷째로 문맥과 관련하여 이정한 것은 앞으로의 연구과제가 될 만하다. 이 가운데서 이미 잘 알려진 것이지만 특히 신명사명의 뒷부분을 완전히 삭거한 것은 退溪의 指斥을 염두에 둔 결과로 해석된다. 그리고 退溪에게 ‘獨立之地’라고한 것이라든지, 權應仁에게 五柱를 보내어 자신의 임종 시기를 알아보게 한 편지라든지, 異姓養子를 분명히 기술한 것이라든지, ‘江樓’ 시를 보각한 것 등은앞으로 연구의 한 부분으로 인용될 만한 것이다.

      • SCOPUSKCI등재

        목재 세포벽중의 탄수화합물 간의 결합 양식 : The Isolation of Carbohydrates

        이상필,이종윤 한국목재공학회 1987 목재공학 Vol.15 No.3

        This study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types of linkage of carbohydrates in wood cell walls. To study the structure of linkage of carbohydrates in wood cell walls, we have attempted to find out the method holocellulose preparation and optimum condition of enzyme hydrolysis in holocellulose, and fractionate oligosaccharide with products that hydrolized partly by acetolysis and deacetylation in holocellulose. We have achieved four results. These results as follow; 1. At first, we reacted in wood meal NaClO₂ 1g per lignin lg for one hour and then the same of quantity NaClO₂ for tour hours. Through these experiments, we have developed new holocellulose preparation method which had low loss of carbohydrates and high effect of the delignification. 2. The optimum condition of enzyme hydrolysis of holocellulose which had lignin was 0.005M sodium acetate buffer (pH 5.0). We have achieved 7.2% reducing sugar through the procedure that reactioned 0.01g holocellulose putting enzyme 0.03g for 72 hours. It may be supposed that 5.5% of lignin contained in holocellulose prevented enzyme contaction from holocellulose and so this lignin has resulted in the low efficiency of enzyme hydrolysis. 3. We did not fractionated from oligosaccharides which were preparated by the method of acetolysis and deacetylation in holocellulose. The reason is that holocellulose having a lot of lignin prevented prefectly partial hydrolysis from the method of acetolysis and deacetylation. 4. We attempted analysis of six standard substances through HPLC apparatus having sugar pak 1 column which we have changed flow rate and the column temperature variably. These six standard substances were D-glucose, D-mannose, D-xylose, D-galaetose and L-rhamnose, L-arabinose, But sugar pak 1 column was not fitted analysis of four substances because D-galactose, D-mannose, D-xylose, L-rhamnose were agreement with elution time. And so, we could not analize four standard substances with sugar pak 1 column.

      • KCI등재

        來庵 鄭仁弘 所撰 南冥 神道碑銘 小考

        이상필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3 남명학연구 Vol.40 No.-

        The first-ever Ghost Road Monument for Nam-myeong Jo Sik was set up around 1617 and its epitaph was composed by a literary man named Jeong In-hong who was taught under Jo and carved by Bae Dae-yu a literary man taught under Jeong In-hong. This monument was eliminated after 1623 when Jeong In-hong was executed as a rebellious subject during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Apparently it was demolished because it was composed by a rebellious subject named Jeong In-hong but, in fact, it was removed since it was a writing which implicitly criticizes Toe-gye. The monument could be set up since Nam-myeong was appointed to the prime minister in 1615 and Jeong In-hong was the leader among literary men of Nam-myeong. Jeong In-hong supposed that, in the presence of his literary men, Toe-gye had often criticized Nam-myeong by means of a letter or dialogue and that, consequently, Nam-myeong was not enshrined at a Confucian shrine. So, in return, In-hong often tried to criticize Toe-gye by means of writings, of which at least 7 was extant when In-hong composed this epitaph which may be the finest example of the criticisms. Being convinced that the gravestone inscription composed by Dae-gok is what best describes the life of Nam-myeong, in this Ghost Road Monument Epitaph, In-hong just elaborates to explain that only the learning of Nam-myeong is the orthodox principles of Confucianism and that Toe-gye’s criticism against Nam-myeong was wrong. Such an intention of Jeong In-hong is explicitly expressed in a solution to the epilogue insomuch as In-hong as a pupil of Nam-myeong could not allow the academic learning of his teacher to be slandered. Being so much assured that it was his duty to treat his master in a proper and righteous manner, In-hong did not hesitate to boldly criticize Toe-gye who was considered the greatest scholar in those times. His attempt of such a kind resulted in a failure firstly because Jeong In-hong had never been appointed to a government official during the rule of Prince Gwang-hae but remained to be just a so-called senior minister living in the woods and remotely controlling the government and because his endeavor was intricately interconnected with the political situations at the time of enthronement of King In-jo and secondly because In-hong could not overpower the strongest influence of Toe-gye which had been long exerted at that time.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due to which Jeong In-hong was reduced to a political failure, most of literary men of Nam-myeong or the posterity of literary men of Jeong In-hong gradually turned to be sided with the clique called “the people of the south” or the clique called “the people of the west.” Yet, for more than 400 years, many people have followed the spirit of Nam-myeong in Jinju and other regions in the western part of South Gyeongsang Province, which fact clearly indicates that the academic influence of Nam-myeong has not been simply meager. In this sense, the present author believes that Jeong In-hong has some sense of prophecy since the last part of the Ghost Road Monument Epitaph for Nam-myeong mentions ‘the solar light over a dark road.’ 南冥 曺植의 神道碑로서 가정 먼저 세워진 것은 1617년 무렵, 그 문인 鄭仁弘이 찬술하고 정인홍의 문인 裵大維가 글씨를 쓴 것이다. 이 비석은 1623년 仁祖反正에 의해 정인홍이 賊臣으로 몰려 처형되고 난 뒤 사람들의 눈앞에서 없어지고 말았다. 겉으로는 적신으로 처형된 정인홍이 찬술한 글이기에 넘어진 것이지만, 내용을 들여다보면 퇴계를 은근히 비판한 글이기에 더욱 세워둘 수 없었던 것이다. 이 글이 찬술된 것은 1615년에 남명이 영의정에 증직되어 신도비를 세울 수 있었던 조건이 충족되었고, 정인홍이 남명의 문인 가운데 주도적인 위치에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것이다. 정인홍은, 퇴계가 그 문인들에게 편지나 대화를 통해 여러 차례 남명을 비판하였으므로 그것이 알려져 남명이 문묘에 종사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고, 이 글을 쓰기 이전까지 적어도 7편 정도의 글이 남아 전할 정도로 여러 차례 퇴계에 대한 비판을 시도하였으며, 이 글은 그 결정판이라고도 할 수 있다. 남명의 일생에 대해서는 대곡이 찬술한 묘갈명이 가장 극진하다고 생각하고, 이 신도비명에서는 오로지 남명의 학문 내용이 유가의 정통에 해당되며, 퇴계의 남명 비판은 잘못된 것이라는 논리로 일관하고 있다. 정인홍이 이러한 글을 쓸 수밖에 없었던 점은 「跋文解」에 보이는 바, 문인으로서 스승의 학문이 誣陷당한 데 대하여 坐視하는 것이 도리가 아니기 때문이다. 師生間의 義를 생각한 데서 나온 정당한 행동으로 스스로 인식하였기 때문에, 당대 최고의 인물이라 알려져 있던 퇴계에 대해 과감하게 비판할 수 있었던 것이다. 결과적으로는 실패하였지만, 이는 정인홍이 광해군 때 實職에서 行公해 본적이 없으면서도 遙執朝權하던 山林政丞이었다는 점과 인조반정이라는 당시의 정치적인 문제에 묘하게 맞물려 있었던 것이 첫째 원인이었고, 다음으로는 당대부터 퇴계가 가지고 있었던 막강한 영향력을 내암이 결국 당해내지 못했다는 것이 둘째 원인이라 할 것이다. 정인홍이 정치적으로 패퇴한 인조반정 이후 대부분의 남명 문인이나 정인홍의 문인 후손들이 차츰차츰 남인화하거나 서인화했지만, 진주를 중심으로 하는 서부 경남 일대에 현재에 이르기까지 400여 년에 걸쳐 남명 정신을 추존하는 사람들이 많았던 것은, 남명의 학문적 영향력이 결코 가볍지 않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며, 그런 측면에서 보면 정인홍의 남명 신도비명 마지막 부분에서 언급한 ‘冥道日月’이라 표현한 기대가 앞날을 내다 본 표현이 아닌가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특허정보분석을 통한 해외 인공피부 기술동향

        이상필,강종석,이영무 한국막학회 2004 멤브레인 Vol.14 No.2

        인공피부 관련 기술은 1980년대에서는 혈액이나 생체 이식에 적합한 필터/붕대/패드/기타 피복용품의 제조기술(A6IF)에 속하는 것으로 모 또는 피부이식기술 분류(A6IF-002/10)가 주요 연구과제로 진행되어 오다가 1990년대 이후에는 보철 또는 보철물을 피복 또는 코팅을 위한 소재분류(A6IL-027/00)로 전환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것은 초기 피부이식 자체의 외과적인 처리기술에 필요한 기술로 시작되어 점차 소재기술로 큰 전환점을 맞이하였고, 즘 더 나아가서 세포 및 조직 배양기술 (Cl2N-005/00, Cl2N-005/06)의 접목으로 고도화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전반적인 기술적 수준은 미국이 가장 앞서 있으며, 유럽, 일본, 한국의 상황은 북미 지역에 비해 약간 뒤지고 있으나, 세포를 배양하는 기술적인 수준의 차이는 크지 않다고 보여지며, 아직도 배양피부의 색상, 항균성, 생체적합성 등에서 개선의 과제가 남아 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부작용 가능성 해소, 보급 확대를 위한 제품생산 코스트 인하, 대량생산 시스템 구축, 제품인식도 제고 등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The situation of technology Predominance and the distribution of core technology were visually mapped thorough the investigation of technical trend during 20 years, which was provided with the analysis of patent information for the artificial skin. Therefore, it was expected that technology mapping by means of multilateral analysis method allowed a good grasp of current technology trend of the artificial skin and the subdivision into nation and a field of research presents the direction of R&D. In the early R&D stage of artificial skin, the preparation technology of filters implantable into the living body including nursing devices, bandages, and dressings or absorbent pads (A6IF-002/10) was on the rise in research field of artificial skin until 1980's. And then the materials technology for coating prostheses (A6l L-027/00)was leading the core technology of artificial skin. Also, Nowadays the fusion technology connected the material technology with the cultivation technology of undifferentiated human or animal cells/tissues including culture media (C l2N-005/00, C 12N-005/06) was highlighted all over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德川書院을 이끈 江右의 家門들 - 창건주체와 운영자를 중심으로 -

        이상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is a Seowon which holds a memorial service for Nammyong Jo Sik(1501-1572). Deoksan Confucian Academy was firstly established as the literator Yeongmuseong Ha-eungdo has provided his battlefield as Seowon site. The Seowon was established by the respect towards teachers of several literators who were influenced by Nammyong and the social atmosphere acknowledging this with the active helps of Gyeongsang-do governor and Jinju minister. However, in order to ensure that the educational activities are carried out continuously, not only the establishment of the Seowon, it is possible to acquire the academic mind pursued by the sacrificial person, and furthermore, faithfully carry out the role of edification socially when it is operated properly by Wonjang and Wonim who gain absolute confidence within the school. Therefore, the question of who led the operation of this Seow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questions that cannot be overlooked in understanding the Seowon. The establishment of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was participated by large number of Nammyong literators as it was established in Mannyun Ganghakji of Nammyong. Therefore, those who were in charge of operation of Seowon in the early years could be 'pan-Nammyong school'. However, the situation has rapidly changed as Northern faction force led by Nammyong school was politically defeated due to In-jo coup. After In-jo coup, the families which led Nammyong school in Dan-seong region were An-dong Gwon clan, Seong-ju Lee clan, Hap-cheon Lee clan, Jin-ju Ryu clan and Sang-san Kim clan. In Jin-ju region, there were Sajikgong Branch and Siranggong Branch of the Jinyang Ha clan residing in An-gye‧Myeong-seok and Su-kok ‧Dan-mok, Tae-an Park clan in Na-dong, and Ha-man Cho clan in So-nam. Of course, even though there were several families besides these families, when considering the number of elected by Wonim,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these families has led the operation of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These are mostly the descendents of the figure who got involved in foundation or early reconstruction of Deokcheon-seowon Confucian Academy, or descendents of figures who were listed on early Wonsaengnok. After about 30 years of InJo coup starting from Nammyong jip damage incident, Nammyong school was divided into Western faction and Southern faction, and Southern faction has led the operation of Seowon. Therefore, the family all belongs to Southern faction. Accordingly, it is worthy to note that the origin of Sawu was after Southern faction system and the Seowon operation was led by the people of Gal-am‧Mil-am‧Dae-san‧Jeong-jae‧Han-ju and Seong-ho‧Sun-am‧Bun-am‧Sungj-ae. 덕천서원은 南冥 曺植(1501-1572)을 향사하는 서원이다. 그 문인寧無成 河應圖가 자신의 田莊을 서원 터로 제공하여서 처음 德山書院 으로 창건을 보게 되었다. 이 서원의 창설은 남명의 감화를 받은 여러 문인들의 스승을 존모하는 마음과 이를 인정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경상도관찰사와 진주 목사가 적극적으로 도와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그러나 서원은 설립되는 것만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지속적으로강학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학파 내에서 절대적인 신임을얻고 있는 원장과 원임이 있어서 제대로 운영하여야만, 제향된 인물이추구했던 학문 정신을 체득할 수 있고, 나아가 사회적으로 교화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누가 이 서원의 운영을주도하였던가 하는 문제는 서원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간과할 수 없는매우 중요한 문제의 하나다. 덕천서원은 남명의 만년 강학지에 설립된 것이어서 남명 문인들이대거 참여하여 설립이 이루어졌고, 따라서 초기에 서원 운영을 담당했던 이들은 ‘범남명학파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상황은 남명학파가 주도하던 북인 세력이 인조반정으로 인하여 정치적으로 패퇴함으로써 급변할 수밖에 없었다. 인조반정 이후 남명학파를 주도하던 가문으로 단성 지역에는 안동권씨, 성주이씨, 합천이씨, 진주류씨, 상산김씨 등이 있었고, 진주 지역으로는 안계‧명석 및 수곡‧단목에 거주하는 진양하씨 사직공파와 시랑공파, 나동의 태안박씨, 소남의 함안조씨 등이 있었다. 물론 이들 가문이외에도 여러 십여 가문이 있지만 원임에 선임된 숫자의 측면에서보면 이들 가문이 덕천서원의 운영을 주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 이들은 거의 대부분 덕천서원의 창건 및 초기 중건에 관여하였던인물의 후손들이거나, 초기 원생록에 이름이 올라 있던 인물들의 후손들이다. 남명학파는 인조반정 이후 30여 년이 지난 즈음 남명집 훼판 사건을기점으로 해서 서인화와 남인화가 이루어지는데 서원의 운영은 남인이주도하였다. 따라서 이들 가문은 모두 남인 가문에 속한다. 그러므로사우의 연원 또한 남인 계통을 따라서, 갈암‧밀암‧대산‧정재‧한주 등과성호‧순암‧번암‧성재 등을 종유한 인물들이 서원 운영을 주도하였다고이를 만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