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우파니샤드의 자아탐구와 명상 -『금강경』, 『노자』, 『장자』등을 통한 우파니샤드의 비교적 해석을 위한 시론

        근동(林根同)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2019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Vol.81 No.-

        샹까라가 주석한 열한 개의 우파니샤드에 의하면 절대자는 ‘지고의 자재자’로서 모든 것의 ‘지고의 자아’이며, ‘지고의 자아’가 모든 중생들의 ‘개별적인 자아’가 되어 모든 것을 다스린다. 바로 이러한 지고의 자재자가 다름 아닌 나의 본질, 즉, 나의 개별적인 자아이다. 이러한 자아는 이 세상 그 모든 것에 깃들어 있다. 이처럼 우파니샤드는 나의 본질은 우주의 본질이며, 내가 바로 지고의 존재라는 것을, 그리고 지고의 존재는 이 세상 모든 것에 있다고 말한다. 우파니샤드에서는 지고의 자아를 다른 말로 브라흐만이라고도 한다. 너와 나, 그 모든 것이 하나라는 우파니샤드의 신비의 핵심은 지고의 자아, 즉, 브라흐만을 아는 것이다. 브라흐만은 바로 그것을 좋아하는 마음을 통해서 얻어질 수 있다. 마음의 작용인 명상을 통해 브라흐만을 알고 있는 사람은 그릇된 앎인 무명이 만들어낸 죽음을 벗어나 현재 살아있는 이 상태에서 불사의 존재가 된다. 명상은 세상에 대한 욕망을 벗어나 마음을 오로지 ‘지고의 자아’에 연결하는 것이다. 이러한 명상을 통해서 ‘빛의 본모습’인 자아의 본질로 ‘브라흐만의 본질’을 보게 된다. 즉, 자아로써 ‘지고의 아’를 알게 된다. According to the eleven Upaniṣads commented upon by Śaṁkara, the absolute being, as God Almighty, is the ‘paramātman’ of everything, and paramātman becomes the individual selves of all creatures and governs them. God Almighty is none other than one’s spiritual essence, in other words, one’s individual self, the ‘ātman’. The ātman indwells in every single thing of the world. As such, the Upaniṣads say that my innermost essence is the essence of the universe, and that I am the Supreme Being itself which exists in everything in this world. In the Upaniṣads, the ‘brahman’ is another word for the paramātman. The Upaniṣads assert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I’ and ‘you’. The core of the mysteries in Upaniṣads is to know the paramātman, that is brahman. The brahman can be obtained through the mind. A person who knows brahman through meditation, a function of the mind, can escape from the death created by ‘avidyā’ which denotes ignorance or misconceptions, and can become immortal in the present. Meditation connects one’s mind to the paramātman by freeing oneself from earthly desire. Through meditation, the essence of the brahman can be seen by the essence of the ātman which is the nature of light. That is to say, the ‘paramātman’ can be known by the ‘ātman’.

      • KCI등재

        발표 논문 : 깔리다싸(Kalidasa)의 서정시에 나타난 비유 고찰 -인도철학적인 의미를 중심으로-

        근동 ( Geun Dong Lim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28

        깔리다싸의 서정시는 『메가두땀』과 『리뚜쌍하람』 두 편이 현존한다. 이들 가운데 『메가두땀』은 비유를 통해 일체가 하나라는 인도적인 세계관을 표현하며, 『리뚜쌍하람』은 비유에 의한 계절미를 통해 속(俗)에서 성(聖)으로 변증적으로 지양되는 영성과 궁극은 환희라는 인도적 신비사상의 핵심을 드러낸다. 깔리다싸의 이 두 편의 서정시가 가진 이러한 특징은 직유와 은유라는 비유를 통해, 또는 직유와 은유라는 비유의 교직(交織)을 통해 자연물을 의인화함으로써 형성되는 사랑의 라싸에 의해 보장된다. 사랑의 라싸는 라싸 가운데 최고의 라싸이다. 라싸는 진성이 염성과 암성을 누르고 수승하게 되는 상태에서 작품을 감상하는 사람에게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깔리다싸의 서정시에 나타난 비유에 의해 강화된 라싸를 작품 감상을 통해 느끼는 사람은 진성이 수승한 상태가 된다. 즉, 요가철학적인 관점에서 보면 무종삼매의 상태에 도달한다. 따라서 깔리다싸의 서정시에 나타나는 비유는 궁극적으로 해탈을 지향하기 위한 기제임을 알 수 있다. 『바가바드기타』의 관점에서 보자면 이것은 문학작품의 감상을 통해 궁극적으로 시(是)와 비(非)를 넘어선 존재의 본질을 자기 자신의 본질로 최대한 경험함으로써 요가철학적인 관점과 마찬가지로 지상의 양식이 천상의 양식이 되는 해탈의 길로 통하게 하는 것이다. 이처럼 깔리다싸의 서정시에 나타나는 비유는 해탈을 지향한다는 인도철학적인 의미를 가진다. There are two lyrical poems written by Kalidasa, namely Meghadutam and Rtusarharam. Among these, Meghadutam shows Indian Weltanschauung(world view) through the metaphor that everything is one. On the other hand, Rtusamharam expresses the essence of Indian Mysticism through the beauty of season-changing expressed by metaphors that ananda equals to the spirituality and its ultimatum which were sublated from the profane to the sacred dialectically. The rasa guarantees these characters through the comparison like simile and metaphor, or the combined weaving of simile and metaphor by personification of the nature. The personification comes up by the metaphor, and the metaphor was strengthen by combined weaving of simile and metaphor. On the base of new meaning of the words which were made through newly strengthen metaphor, methods were ready to extract srmgararasa. Srmgararasa is the best among the rasas. Rasa occurs to the person who watches art objects when sattvaguna presses rajoguna and tamoguna and ascends. So sattvaguna of the person who can feel rasa which was strengthened through the metaphor reflected on Kalidasa`s lyrical poems ascends. That is to say, he reaches nirbijasamadhi. So we get to know the metaphors in Kalidasa`s lyrical poems is nothing but mechanisms which are nirvana-oriented ultimately. If we borrow the words of Bhagavadgita, it means maximum experience of Brahma which is the core of all beings and beyond the moral judgement like right or wrong through the appreciation of literatures. Like this, the fact that the metaphors in Kalidasa`s lyrical poems has orientation to moksa shows it is very much like general trends of Indian philosophy.

      • 인도의 전통적 베다 해석과 현대적 해석에 관하여

        근동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서남아연구소 1996 서남아연구 Vol.- No.1

        이상으로 인도의 전통적 베다 해석과 현대적 해석에 관하여 간단히 살펴보았다. 싸야나로 대표되는 인도의 전통적 베다 해석은 브라흐마나 와 야쓰까의 전통을 계승 발전 시키며, 베다를 주로 제식주의적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 큰 특징이다. 그에 따라 신들 또한 개별 신격이어서 대체로 다신론적인 관점을 견지한다.

      • KCI등재

        『께나우파니샤드』 연구 -샹까라의 주석을 통한 브라흐만에 대한 고찰-

        근동 ( Geun Dong Lim ) 인도철학회 2011 印度哲學 Vol.0 No.33

        『께나 우파니샤드』는 『싸마베다』 계열의 『딸라와까라 브라흐마나』의 아홉 번째 장에 해당되는 내용이다. 따라서 『브라흐마나 우파니샤드『라고도 하며, 『딸라와까라 우빠니샤드『라고도 부른다. 이러한 『께나 우파니샤드』는 브라흐만과 브라흐만에 대한 앎 그리고 브라흐만에 대한 앎의 어려움과 앎의 과정을 중심 주제로 삼고 있다. 샹까라의 주석에 따르면 『께나 우파니샤드』에서 이야기하는 브라흐만은 모든 기관의 근원, 계통적으로 연결된 ``의식의 본모습인 빛``, 갈망을 비롯한 고통의 씨앗이 없기 때문에 더할 바가 없는 ``큰 것``인 행복이다. 브라흐만에 대한 앎은 정화된 마음을 통해 브라흐만에는 그 무엇도 각기 다른 것이 없는, 바로 내가 브라흐만이라는 것을 아는 것이다. 브라흐만에 대한 앎인 ``브라흐만이 자신이라는 철학``을 통해 바로 보아 모든 인식을 바라보는 자의 상태일 때 ``거둘 것도 물리칠 것도 없는 시선의 본질``, 항상성, 순수 청정한 본 모습인 것, 아성(我性), 구분이 없는 상태, 그리고 단일성이 모든 존재들 안에서 얻어진다. 이러한 브라흐만에 대한 앎의 과정은 몸과 지각기관과 마음을 모아명상함, 적정, 화제(火祭)를 비롯한 행위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것들에 의해서 정화된 사람의 순수한 정신을 통해서 본질에 대한 지혜가 생겨나기 때문이다. 그리고 브라흐만에 대한 앎의 과정은 욕망과 아만에 젖어 무명의 어둠 속에서 살아가는 일상적인 우리의 삶 속에서는 마치 번개가 번쩍이는 찰나지간 인식되곤 사라지는 것이다. The Kena Upanisad is the ninth chapter of the Talavakara Brahmana, which is affiliated with the Samaveda. Thus it is also identified as the Brahmana Upanisad or Talavakara Upanisad. The subject matter of the Kena Upanisad is comprehension of the Brahman, as well as the difficulties and processes of comprehending the Brahman. According to the commentary of Samkara, the Brahman of the Kena Upanisad is the source of all organs and the light that is the true form of cognition, which is methodically connected. As the Brahman does not have any seeds of pain, such as desire, it is also the largest, or bliss beyond everything. In order to know the Brahman, one needs to know that oneself is the Brahman; i.e. one needs to know through a pure heart that there is nothing disparate within the Brahman. Through such recognition of the Brahman, or the fact that knowing the Brahman is oneself, one is able to gain a condition of viewing all perceptions, and thus also substance of the gaze, which has nothing to save nor fear, consistency, the pure and clear true form, ``selfness(atmatva)``, condition without differentiation, and oneness are gained in all beings. The process of knowing such Brahman is through acts of meditating by gathering one`s body and organs and soul, ``quietude(upasama)``, or fire rites. Knowledge of the substance is only borne to the pure mind of a person who has been purified through such acts. Furthermore, the process of knowing the Brahman is instantaneous, similar to a flash of lightning, a glimpse of light that disappears from our daily lives that is covered with the darkness(avidya) full of desire and conceit(ahamkara).

      • KCI등재

        마두(Madhu)의 개념 비교 -ChU와 BrU를 중심으로-

        근동 ( Geun Dong Lim ) 인도철학회 2010 印度哲學 Vol.0 No.30

        In Chandogyopanisad that is classified into the Samaveda sun(aditya) is referred to as madhu in the sense of honey. Whereas in Brhadaranyakopanisad that belongs to the Suklayajurveda earth(prthivi), water(ap), fire(agni), air(vayu), sun(aditya), direction(dis), moon(candra), thunder(vidyut, stanayitnu), ether(akasa), dharma, truth(satya), human being(manusa), the self(atman), beings(bhuta) etc. are referred to as madhu. In Samkara`s commentaries on the Chandogyopanisad, madhu is considered as manifestation of the sun(aditya) and eventually the reality created by way of the sacrificial ceremony(yajna) for the purpose of arriving ultimately at the Brahman. In Samkara`s commentaries on the Brhadaranyakopanisad although madhu is considered as being manifested in earth(prthivi), water(ap), fire(agni), air(vayu), sun(aditya), direction(dis), moon(candra), thunder(vidyut, stanayitnu), ether(akasa), dharma, truth(satya), human being(manusa), the self(atman), being(bhuta), it is understood that they are ultimately one in the self(atman) being interconnected just as the parts of our body. It is to be noted here that madhu as in Brhadaranyakopanisad is also related to the sun(aditya), however it is not a creation of human activity but an entity related to the supreme God(paramesvara). In conclusion, in view of the difference as to the concepts of madhu as in the two Upanisads under consideration the following points are to be brought out. The religious-philosophical circles following the tradition of the Samaveda are centered around grasping the principle of creation included in the human-conducted sacrificial ceremony and the realization of the creative power in question. In contrast, those following the Suklayajurveda`s tradition are more concerned with pursuing the supreme God(Isvara) that is ultimately one with all human beings and the realization of the philosophical system that may lead to the domain of the real where all are one by virtue of the essence of the God(Isvara).

      • KCI등재

        Axisymmetric squeezing dynamics of resin droplet with surface tension and its numerical solution

        근동 대한기계학회 2019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33 No.12

        We investigate the 2D axisymmetric quasi-static dynamics of a UV-curable optically clear resin droplet squeezed between two parallel glass walls using a static force. The radial spreading speed and resulting radial spread are examined using an analytical derivation and a numerical discretized approximation including the effect of the surface tension. Under a boundary condition, the vertical downward velocity of the glass wall is determined by the static force and capillary pressure, and a pressure discontinuity occurs across the air-liquid interface. The capillary pressure is estimated from the Young-Laplace equation. A numerical approximate solution is then derived from the governing equations to obtain a discretized set of linear equations to serve as an alternative theoretical solution. A 2D axisymmetric section with a staggered grid is adopted for a pressure-based segregated velocity-pressure coupled solution process using the SIMPLE algorithm. The change in the rheological properties due to the UV-curing effect is then added to the squeezing dynamics solution with an arbitrary initiation time and the power amplitude of the UV curing. According to a few rheological test results for different UV pow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V energy (calculated using the UV power) and the resin viscosity is confirmed. The numerical solution is validated, and both theoretical solutions are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of several squeezing tests with and without UV curing.

      • KCI등재
      • KCI등재

        인도신화를 통한 『황무지 The Waste Land』의 한 읽기

        근동(Lim, Geund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3 외국문학연구 Vol.- No.49

        T. S. 엘리엇의 『황무지』는 많은 언어들 가운데 라틴어와 희랍어로 시작하여 산스크리트어로 끝을 맺는다. 라틴어와 희랍어로 시작되는 부분은 아폴로의 여사제이며 쿠마이의 무녀인 시뷜라의 신화이며, 산스크리트어로 작품이 끝나는 부분은 인도의 우파니샤드의 신화와 '평온을 위한 낭송'의 마지막 구절이다. '평온을 위한 낭송'은 우파니샤드의 처음과 마지막 부분에 들어가는 것으로 평온을 의미하는 샨띠히라는 낱말을 세 번 반복하며 끝을 맺는다. 샨띠히를 세 번 반복하는 것은 첫 번째로 나의 몸 혹은 마음과 관련된 평온, 두 번째로 나 이외의 다른 물질 혹은 자연과 관련된 평온,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로 신적인 영역과 관련된 평온을 위해서이며, 셋은 땅 허공 하늘 이렇게 모든 공간, 과거 현재 미래 이렇게 모든 시간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산스크리트어와 인도철학에 대한 지식을 가진 T. S. 엘리엇은 작품의 마지막에 샨띠히라는 산스크리트 낱말을 이처럼 세번 반복함으로서 『황무지』라는 작품 전체가 하나의 '평온을 위한 낭송'이 되게 만든다. 다양한 언어와 신화 그리고 다른 작품들과 연결되는 많은 부분들을 가진 『황무지』는 스테인드글라스 혹은 퀼트 형태의 작품으로서 언뜻 보기에는 서로 다른 색의 유리들, 서로 다른 색의 천들이지만, 인도신화를 통해 유기적으로 전체를 연결시켜 보면 서로 다른 색들과 모양들이 어울려 묘한 색감을 주며 비지속의 지속을 통해 통일감성을 자아낸다. T. S. 엘리엇은 형이상학과 실제적인 세계 사이에는 궁극적인 차이가 없다고 생각했다. 인도신화의 형이상학에 따르면 우리가 잠에서 깨어 있는 상태는 실은 깨어 있는 상태가 아니라 또 다른 잠속에서 꾸고 있는 꿈의 상태다. 사월은 이러한 꿈에서 우리가 깨어나야 하는 달이다. 꿈에서 깨어난다는 것은 자성을 찾는 것이며, 이것은 허상인 우상의 죽음을 의미한다. 그래서 자성의 "잠든 뿌리를 봄비로 깨운다"는 사월은 가장 잔인한 달이다. T. S. Eliot's The Waste Land is preceded by an epigraph in Latin and Greek, while the final verse ends in Sanskrit. The Latin and Greek epigraph narrates the myth of Sibylla, the priestess of Apollo and prophetess of Cumae. The Sanskrit verse at the end of the poem is the last line of the Shanti Mantra, or Peace Mantra, found in the Upanishads of ancient India. This mantra, which is comprised of three repetitions of 'shantih,' or peace, is usually inserted at the beginning or end of the Upanishads. The three repetitions of shantih are given for internal peace of one's body and/or mind, physical peace of other objects or nature, and divine peace of the godly realms. They also denote the entirety of space and time, through the earth, ether, and sky, as well a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S. Eliot was conversant with Sanskrit and Indian philosophy, and by inserting the Sanskrit mantra 'shantih' at the end of The Waste Land he transformed the work itself into a mantra for peace. The Waste Land itself is a amalgamation of diverse languages and myths as well as many other literary works. At first view it may look like a stained glass window or a quilt made of numerous pieces of different colors; however, when viewed through the lens of Indian mythology, these distinct pieces create a unified sensibility through a continuity of non-continuity. According to the metaphysics of Indian mythology, we are not actually awake when we think we are, but rather within a dream of another consciousness. April is the time when we have to wake from this very dream. Awakening indicates the discovery of one's identity as selfhood, which also means the death of the idol, or the fake. Thus April, "stirring/Dull roots with spring rain" and awakening identity as selfhood, becomes "the cruellest month."

      • KCI등재

        Fast and Accurate Visual Place Recognition Using Street-View Images

        근동,이승재,정원조,김기태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7 ETRI Journal Vol.39 No.1

        A fast and accurate building-level visual place recognition method built on an image-retrieval scheme using street-view images is proposed. Reference images generated from street-view images usually depict multiple buildings and confusing regions, such as roads, sky, and vehicles, which degrades retrieval accuracy and causes matching ambiguity. The proposed practical database refinement method uses informative reference image and keypoint selection. For database refinement, the method uses a spatial layout of the buildings in the reference image, specifically a building-identification mask image, which is obtained from a prebuilt three-dimensional model of the site. A global-positioning-system-aware retrieval structure is incorporated in it. To evaluate the method, we constructed a dataset over an area of 0.26 km2. It was comprised of 38,700 reference images and corresponding building-identification mask images. The proposed method removed 25% of the database images using informative reference image selection. It achieved 85.6% recall of the top five candidates in 1.25 s of full processing. The method thus achieved high accuracy at a low computational complex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