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치권력 변동과 언론보도의 함수관계 -6개 정치권력과 7개 종합일간지 사설을 중심으로

        이진규 한국정치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정치커뮤니케이션 연구 Vol.24 No.-

        본 연구는 정치권력의 변동과 언론보도의 함수관계를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의 정치권력을 대표하는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정부 등 6개 정부와 전국 7개 일간지의 사설을 내용 분석하였다. 분석기간은 각 정권의 대통령 취임식을 시작으로 한 달 동안과 그 다음해 1월 한 달이다. 분석 결과, 첫째, 각 정권에 따라 동일한 매체의 보도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정치권력의 성격이 권위주의일 때는 대체로 긍정적인 보도가 주를 이루었다. 반면 권위주의가 사라진 이후에는 각 정권의 지역적 기반과 각 매체의 시장 기반에 따라 언론보도가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둘째, 한국의 언론은 대체로 각 정권의 출범 6개월을 밀월기간이라 하여 비판을 자제한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로는 정치권력의 성격과 언론매체의 이념적 기반 및 시장기반에 따라 집권초기와 관계없이 나름의 가치판단을 갖고 보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정치권력의 변동과 언론의 자본구성 및 지역적 기반에 따라 정치권력과 언론보도는 다양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각 신문의 상업적 동기 및 지역분할에 기초한 한국의 정치현실에 따라 보도의 특성이 결정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정치권력의 변동과 한국언론의 이러한 보도 특성을 실증적으로 규명했다는데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is study intended to reveal of functional relation between political power and media coverage. For this, I analyzed the representative of political power in South Korea, Chun Doo Hwan, Roh Tae Woo, Kim Young Sam, Kim Dae Jung and Roh Moo Hyun, Lee Myung Bakg overnment etc, six national governments, including seven daily newspapers editorials all over the South Korea. Period of analysis were one month of the stating with the President’s inauguration of each of political power and one month of the next year January.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 according to the same media report that indicates a significant difference of each political power was found. The most frequent report were generally positive when author it arian nature of political power. After disappearance of the authoritarian nature, each media press release shows a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each of the regional-based and market-based .Second, South Korea’s media generally have been known refrain from the criticism as called honeymoon period during the launch of each government for six months. However, as a result of this study, you can see that South Korea media were pressing it’s own value judgement regardless of the initial seize power according to the nature of political power and ideological base of the media and market-based. Third, the power politic and the press release shows various attributes depending on changes in political power and media capital structure, and regional-base. Then ature of news isdetermined by South Korea's political reality according to each newspaper’s commercial motives and regional split. Each regime's political base and the newspaper are published focusing on the area show edpositive report, they were found have a parallel relations hip between particular political power according to the ideology of the newspaper. Inconclusion, this study have significance of the changes in political power and the characteristicsin South Korea media were positively investigated.

      • KCI등재

        국제재판에서의 강행규범의 발전 : 국제인권법 및 국제인도법의 적용을 중심으로

        이진규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0 圓光法學 Vol.26 No.1

        국제공동체는 각 국가와 그 국민 그리고 가장 기본적인 인간적 가치의 존속에 대한 용인할 수 없는 위협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구성원에 의한 엄격한 준수가 요구되는 국제적 공공질서를 반드시 필요로 한다. 결국 이러한 공공질서 유지를 위한 규범은 국제공동체가 가장 근본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고 판단하는 의무를 국제공동체 구성원들에게 전반적으로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규범 중 국제법상의 절대적 규범 즉, 강행규범은 국제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어떠한 국가도 이를 위반할 수 없고 그것으로부터 벗어날 수 없는 가장 근본적이며 핵심적인 원칙을 의미한다. 강행규범의 개념은 20세기 중반까지도 국제법적 차원에서 공식적으로 인정되지 않았지만, 국제법에 이러한 규범이 존재한다는 인식은 완전하게 사라지지 않았으며 학계는 강제적 규범의 존재를 지속적으로 인정하였다. 그 결과 강제적 규범 즉, 강행규범은 1969년 '조약법에 관한 비엔나협약'에서 명문의 규정으로 성문화되기에 이르렀다. 이에 반해 국제사법재판소는 판결 과정에서 강행규범을 원용할 기회가 많았음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이를 회피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국제사법 재판소의 일부 재판관들은 계쟁사건에서 개별의견 및 반대의견을 통하여 국제인권법 및 국제인도법적 규범의 강행규범적 성질을 확인하였으며, 최근 동 재판소는 Case Concerning Armed Activities on the Territory of the Congo(Democratic Republic of Congo v. Rwanda)에서 집단살해의 금지를 비롯한 국제인권법적 강행규범의 존재를 최초로 명시적으로 인정하게 되었다. 아울러 미주인권재판소를 비롯한 지역적 인권재판소와 구유고 국제형사재판소 및 르완다 국제형사재판소를 포함한 국제인도법에 관한 임시 국제법정들이 국제법의 상위 규범을 묘사하기 위하여 '강행규범'이라는 표현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있다는 사실은 매우 주목할 만한 현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강행규범은 국제공동체에 의하여 보편적으로 인정되는 일반 국제법상의 규범 즉, 소위 국제재판소 관할권에의 동의의 원칙을 넘어설 수 없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강행규범은 관련 사건에서 원용될 때 기타의 규범을 비롯한 모든 것을 무효화 시킬 수 있는 지나친 절대적 효력을 가지고 있지는 못하다. 그러나 현재 국제공동체 이익 체제는 국제인권법 및 국제인도법을 위반한 자에 대한 기소 및 그에 대한 판결과 같이 인간의 이익 혹은 공동체적 이익을 점점 더 폭넓게 아우르고 있다. 이러한 이익의 궁극적 수혜자는 인간이며 인류가 된다. 결국 강행규범의 역할은 확대될 것이고, 인간 더 나아가 인류의 사법적 이익을 보호하려는 국제재판에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음성 정보를 이용한 자폐아 치료용 로봇의 동작 설계

        이진규,이보희 한국전기전자학회 2018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22 No.4

        A cat robot for the Autism Spectrum Disorders(ASD) treatment was designed and conducted field test. The designedrobot had emotion expressing action through interaction by the touch, and performed a reasonable emotional expressionbased on Artificial Neural Network(ANN). However these operations were difficult to use in the various healingactivities. In this paper, we describe a motion design that can be used in a variety of contexts and flexibly reaction withvarious kinds of situations. As a necessary element, the speech recognition system using the speech data collectionmethod and ANN was suggested and the classification results were analyzed after experiment. This ANN will beimproved through collecting various voice data to raise the accuracy in the future and checked the effectiveness throughfield test. 이전 연구에서 자폐성 장애의 여러 특징적 증상을 갖는 아이들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로봇을 설계 및 제작하여현장실험이 진행 되었으며 기존 로봇은 터치에 의한 아이들과 상호작용을 통해 감정 표현 동작을 한다. 이러한 터치 상호작용에 감정 교육 및 치료를 위해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동작 설계를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물리적 접촉은 치료 활동의 초기에사용되기 어려워 초기 치료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동작 방식을 보완하여 음성 정보를 이용한 빠른상호작용을 통해 치료 활동이 초기에 가능하고 유연한 대처와 다양한 상황에서 로봇이 사용될 수 있는 동작 설계를 기술한다. 이에 필요한 요소로서 음성 데이터 수집 방법 및 인공신경망을 이용한 음성 인식 구조가 설계되었으며 실험을 통하여 분류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렇게 설계된 인공신경망은 향후 다양한 음성 데이터를 수집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현장실험을통하여 동작의 효용성을 살펴볼 것이다.

      • KCI등재

        한국문학에 나타난 ‘독락(獨樂)’의 의미

        이진규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3

        이글은 ‘독락(獨樂)’이라는 말을 사용한 중국의 사마광을 비롯하여 한국의 이언적, 권호문, 박인로 등을 중심으로 그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중국의 사마광과 한국의 이언적, 권호문, 박인로 등의 ‘독락’에는 표면적으로는 자연을 벗삼아 성정을 수양하고 학문에 정진하여 홀로 즐기며 자득하고자 했던 모습이 표현되었지만, 그 이면에는 ‘여민락’의 세상을 위해 노력하지 않는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과인을 바탕으로 한 ‘여민락’할 수 있는 세상을 위해 왕도정치의 실현을 촉구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 사마광은「독락원기」에, 이언적은 한시 ‘독락’과 당호(堂號)를 ‘독락당’으로, 권호문은 불편한 심사를 자신과 결부시켜 노래하면서「독락팔곡」이라고 하였다. 박인로는 이언적 사후에 ‘독락당’을 찾아가 그가 ‘당시 하시던 닐’을 ‘다시곰 思想하’며 그를 추숭하는 형식으로 가사「독락당」을 지어 노래하였는데 이는 선가자로서보다는 유자로서의 신념이 작품에 형상화되었다. 이처럼 그들에게 사용되었던 ‘독락’이라는 말은 조선조 다른 유자들의 작품과 기록을 통해서도 그 의미를 거듭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studies the meaning of ‘dokrak(獨樂)’ through the records and literary works of Confucian scholars, including Lee Eon-jeok, Kwon Ho-mun and Park In-ro of the Joseon Dynasty as well as Sima Guang of the Northern Song Dynasty. After retiring from politics, Sima Guang built the ‘Garden of Solitary Enjoyment(Dule yuan 獨樂園)’ and wrote an essay devoted to this garden(「Dule yuan ji 獨樂園記」) to cultivate his mind and pursue solitary enjoyment in harmony with the nature. However, his poem also reveals his ideals of ‘yeominrak(與民樂)’, meaning enjoyment with the people, and criticism of the reality. Lee Eon-jeok, a scholar of Joseon Dynasty, renovated his father’s pavilion and named it ‘Dokrak-dang(獨樂堂).’ Kwon Ho-mun wrote 「Dokrakpalgok(獨樂八曲)」 to describe his state of mind. Park In-ro visited ‘Dokrak-dang’ after the death of Lee Eon-jeok and honored him with a gasa(traditional Korean verse), 「Dokrakdang」 by “thinking about what he had done there during his lifetime.” His work embodies his beliefs as a Confucian scholar, rather than as a writer. The word, ‘dokrak(獨樂),’ which was used by the scholars described above, seems to describe the pursuit of solitary enjoyment by devoting themselves to learning and cultivating mind in harmony with the nature. However, it also embodies their ideals of ‘yeominrak(與民樂)’ based on criticism of the reality.

      • KCI등재

        여성화자 투영가사 「만분가」의 형성기반과 문학적 위상

        이진규 한국어문학회 2018 語文學 Vol.0 No.142

        This study examines the literary works in which a male author projected a female narrator to speak for his feelings. The scope pf these literary works covers for longing that falls out of favor with a sudden change of mind, but also sighing and resentment coming in a situation that cannot be achieved in the present life from earnest desire for a reunion, and resignation for taking such situations as a fate. The literary works also take after the precedent works of authors who had to leave the royal court due to exile or demotion and expressed their resentment by emphasizing their loyalty. In regard to the manner of developing contents, the literary works are composed of ‘Favor of King-King’s Change of Mind-Resignation and Sigh/Desire for Reunion-Embodiment’. 「Manbunga」 is a poem written by Jo Wi(曺偉, 1454∼1503) and it is the first literary work to reflect above elements in the Korean poetry. Jo Wi was an author gifted with poetic and literary talents and he was in charge of the national compilation works. When he was exiled after Muosahwa (Literati Purge in 1498), he expressed his feelings in a complex way by accommodating female narrator reflection method, literary emotion of authors such as Jeongseo of Goryeo Dynasty and Qu Yuan from China, and by embracing contents and development from literary experiences of ‘Yue-Fu Poems(Poetry of Sino)’ such as 「ChupBakMyeong(妾薄命)」 and 「Yusosa(有所思)」. 「Manbunga」accommodates female narrator’s reflection method used in Goryeo Jeongseo’s 「JeongGwaJeong (鄭瓜亭)」 which was evaluated as the example of the loyalist’s love-song for the king during the King Seongjong times in the Joseon Dynasty and Qu Yuan’s 「Li-Sao(離騷)」and 「Jiuzhang(九章)」. When Qu Yuan was exiled from the royal court, he got literary inspiration from folk shamanism scene where a female shaman took the place of a man. Such inspiration was reflected in his work 「Jiu Ge (九歌)」 and the female narrator reflection method was later used again in 「Li-Sao(離騷)」 and 「Jiuzhang(九章)」. The emotions expressed in 「Manbunga」accommodate the emotion of authors among the literati who receded from the political line due to exile or demotion leaving successful precedents. The contents and development method adopt 「ChupBakMyeong(妾薄命)」which attributes the depart with the king to own ill-fated life and 「Yusosa(有所思)」 which is developed in the process of ‘Favor of King-Change of Mind-Resignation and Sigh/Desire for Reunion-Embodiment’. As 「ChupBakMyeong(妾薄命)」 by Lee Gok in Goryeo, Nam Hyo-On, and Seonghyeon in the early of Joeseon Dynasty and 「Yusosa(有所思)」 by Lee Chhum, Osu, Lee Jeong, and Seonghyeon shortly reflect the female narrator, Jo Wi’s 「Manbunga」 could adopt the female narrator reflection method. The various expression methods of 「Manbunga」are adopted in various creative works. In 「Samiingok」, Jeong Cheol(鄭澈, 1536∼1593) who left the loyal court and withdrew to Suncheon expressed his longing for the king throughout the year by comparing his own situation to a female [fairy] who came down to the world from Kwanghanjeon. Also, the author of 「Sokmiingok」expressed his own feeling by using the conversation between the two female narrators. In addition, Cho Woo-In(曺友仁, 1561∼1625) who wrote 「Jadosa(自悼詞)」was imprisoned after ‘Pilhwa Incident (Literary Persecution) and he expressed his feeling by comparing himself to a female [fairy] who was abandoned by the [King of Heaven]. 이글은 남성작가가 여성화자를 투영하여 자신의 심경을 대변해놓은 작품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이러한 작품들은 주로 임의 갑작스런 변심으로 총애를 잃고 이별한 데서 오는 그리움, 재회에 대한 간절한 소망을 기대하지만 현생에서는 이룰 수 없는 처지에서의 탄식과 원망, 그리고 이를 운명으로 받아들이는 체념의식 등을 내용으로 한다. 유배나 좌천 등으로 조정에서 멀어진 인물들이 자신의 충절을 강조하면서 억울함을 하소연한 동질작가들의 선례를 본받아 내용 전개방식도 ‘임의 총애-임의 변심-체념과 탄식/재회의 소망-화신’이라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요소들이 복합된 형태로 우리말 시가에 처음 나타나는 작품이 조위(曺偉, 1454∼1503)의 가사(歌辭) 「만분가(萬憤歌)」이다. 당대에 시노(詩老)라 불릴 정도로 시재(詩才)였을 뿐만 아니라 국가 편찬사업까지 맡았던 문재(文才)였던 작가가 무오사화로 유배되었을 때, 여성화자 투영방식과 고려시대 정서와 중국 굴원과 같은 동질작가의 문학적 정서, 그리고 「첩박명(妾薄命)」・「유소사(有所思)」 등과 같은 악부시의 문학적 경험에서 얻은 내용과 전개방식을 복합적으로 수용하여 자신의 심경을 표출하였다. 「만분가」에는 조선시대 성종조에 충신연주지사의 모범으로 평가된 고려 정서(鄭敍)의 「정과정(鄭瓜亭)」을 비롯하여, 중국 굴원(屈原)의 「이소(離騷)」・「구장(九章)」 등에 사용된 여성화자 투영방식이 그대로 수용되었다. 여성화자 투영방식은 굴원이 조정에서 추방되었을 때, 여무(女巫)가 남성을 대리하는 민간의 무속장면에서 문학적 영감을 얻어 「구가(九歌)」에 반영했던 모델로 창작했던 것인데, 이를 다시 「이소」・「구장」에 투영한 데서 비롯되었다. 「만분가」에 표현된 정서는 유배나 좌천 등으로 정치일선에서 멀어진 문인들 가운데 문학적으로 성공적인 선례를 남긴 동질작가의 정서가 수용되었고, 내용과 전개방식은 임과의 이별을 자신의 박명한 탓으로 돌리는 「첩박명」계열과 ‘임의 총애-임의 변심-체념과 탄식/재회의 소망-화신’으로 전개되는 「유소사」계열에서 전승되었다. 고려의 이곡, 조선초 남효온, 성현 등의 「첩박명」과 이첨・오수・이정・성현 등의 「유소사」 작품들이 비록 짧은 내용이나 여성화자로 투영되었기에, 조위의 「만분가」에 이르러 비로소 가사문학에도 여성화자 투영의 구성으로 전승될 수 있었다. 「만분가」의 다양한 표출방식은 정철(鄭澈, 1536∼1593)이 조정에서 물러나 순천으로 퇴거한 자신의 상황을 광한전(廣寒殿)에서 하계(下界)로 내려온 여성[선녀]에 비유하여 일 년 내내 임을 잊지 못하는 그리움을 표현해놓은 「사미인곡」과 두 여성화자의 대화형식을 빌어 작가 자신의 심경을 대변해 놓은 「속미인곡」, 조우인(曺友仁, 1561∼1625)이 필화사건으로 옥사를 겪은 뒤에 임[옥황상제]에게 버림을 받은 여성[선녀]에 비유하여 자신의 심경을 대변해놓은 「자도사(自悼詞)」 등의 창작에 전승되었다.

      • KCI등재후보

        식품, 신선편이 농산물용 저장기간 연장 포장 소재 특성 및 평가

        이진규,유지예,김미경,유영선 한국포장학회 2016 한국포장학회지 Vol.22 No.3

        Fresh-cut agricultural products provide convenience to consumers. However, quality changes or microbial growth can easily occur due to physical changes such as cutting and peeling etc. during processing. Therefore, efforts have been made to develop a functional packaging for extension of shelf life of fresh-cut agricultural products, food etc., and researches on prolongation of storage period have been actively developed. The shelf life is extended by antimicrobial, far infrared rays, air permeability, anti-fogging, weak current, ethylene gas adsorption or decomposition, gas composition changes such as MA (Modified Atmosphere) or CA (Controlled Atmosphere). The method of extending the shelf life by various complex factors. This paper based on the published literature to extend the shelf life of fresh-cut agricultural products, food etc., The paper has summarized the storage period extension packing method, packaging material for shelf life extension and comprehensive evaluation method.

      • KCI등재후보

        李白과 李賀의 <將進酒>가 한국 한시에 끼친 영향에 관한 연구

        이진규 택민국학연구원 2015 국학연구론총 Vol.0 No.15

        본고는 한시문인들이 중세 동아시아 공통의 문언문인 한문을 통하여 문학적 공유가 이루어졌을 것이라는 전제하에 唐代 이백과 이하의 작품 <將進酒>에 한정하여 한국적 수용유형과 양상을 고찰하고자 한 것이다. <將進酒>는 漢의 군가인 鐃歌로 조정의 공식적 행사를 위한 궁중연희로부터 시작되어 후대로 전승되다가 당대 두 시인에 이르러 이들의 서정적 정감이 더해져 인구에 회자되었다. 한국 한시문인들은 자신들이 처한 환경에 따라 한 시인 또는 두 시인 모두에게서 제명을 같이하거나 차운하는 방식, 그리고 표현 및 시상전개를 같거나 비슷하게 하는 방식으로 용사 또는 변개하고 있다. 이들이 작품에 수용한 양상들은 유배의 시련과 고통을 읊은 경우, 신분적 한계로 문학적 재능 발휘의 좌절을 읊은 경우, 정치적 무기력감과 현실의 갈등을 읊은 경우, 신분적 위치에서 及時醉樂을 읊은 경우, 문학관(시문관, 악부관 등)에서 지은 경우 등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고에서 언급한 시들은 漢詩史에서 비중이 높은 문인들의 작품으로 당대 그들의 일면을 엿볼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특히 최치원(857∼?)의 <춘효우서>는 이백 <將進酒>에 공감하여 자신의 심경을 술회하는데 수용하고 있다. 그동안 이규보(1168∼1241)의 <속장진주가>가 한국 최고의 <장진주>계 작품으로 알려져 왔으나 이보다 300년이나 앞선 9세기의 작품인 <춘효우서>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thesis aims to figure out the Korean classic poems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that have influenced by the great poets, ‘Jang-Jin-Ju(將進酒)’(the songs to offering wine) written by Chinese characters composed by Lee-Baek(李白, 701∼762) and Lee-Ha(李賀, 790∼816). ‘Jang-Jin-Ju’ had created as the military song from the era of Chinese Han and have sung in the formal ceremony of the royal court. Lee-Baek and Lee-Ha have included lyricism to this poetry at the Tang Dynasty. Korean classic poets have traditionally imitated or borrowed from the titles, the rhyming verses, the structures and the expressions of the poems written by two great poets. They have wanted to represent their situation in the exile, their limitation in their social stratum, their defeat and conflict from the political activities, their entertainment of the social accomplishments and their literary achievements. Specially the poem called ‘Compose by chance in the Spring dawn(春曉偶書)’ by Choi, ChiWon(857∼?) is the most earlier poet like as ‘Jang-Jin-Ju’ in the Korean poetry history, before about 9 century than the poem called ‘Sok(supplementary volume) Jang-Jin-Ju(續將進酒歌)’ by Lee, Gwubo(1168∼124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