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의 사고양식 및 성격유형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

        황희숙(Hwang Heesook),강승희(Kang Seunghe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5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0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사고양식 및 성격유형과 창의적 인성과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목적을 위해 부산에 위치한 3개 대학교의 유아교육과 105명의 여학생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사고양식검사, 성격유형검사 및 창의적 인성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예비 유아교사들은 입법적, 군주제, 외부지향 및 자유주의 사고양식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입법적, 사법적, 무정부제 및 자유주의 사고양식이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보수주의 사고양식은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부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격유형 중 외향형, 직관형, 사고형, 인식형이 창의적 인성과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사고양식과 성격 유형 하위요인들 중에서 창의적 인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큰 요인은 자유주의 사고양식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thinking styles, psychological types, and creative personality in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5 undergraduate students who major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rom three different universities in Busan. Data were gathered with Thinking Style Inventory, MBTI, and Creative Personality Scale.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Legislative, Judical, Anarchic, and Liberal thinking styles had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 with creative personality. Second, Extroversion, Intuition, Thinking, and Perception psychological typ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creative personality. Third, Liberal, Anarchic, Conservative, Internal thinking styles and Introvert psychological type were significant contributor to predict creative personality.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적응유연성이 진로적응에 미치는 영향

        황희숙 ( Heesook Hw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9 인문사회 21 Vol.10 No.3

        본 연구는 대학생이 가족의 구성원으로서 진로를 결정하고 그에 맞게 대학교생활에 적응하는데, 가족건강성에 따른 적응유연정도가 학교적응에 어떤 영향을 주며, 학교적응관계는 진로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80명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첫째, 대학생의 학교적응에는 가족건강성, 적응유연성, 진로적응성 간 영향이 있었는데 가족건강성과 적응유연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둘째, 가족건강성과 적응유연성이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을 매개변수로 하여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것에는 간접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적응유연성이 학교적응을 매개변수로 하여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것에도 간접적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건강한 가정환경에서의 적응 유연한 관계를 기초로 긍정적인 변화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즉, 자녀에게 미치는 적응유연정도는 자녀 진로에도 학교적응 관계를 통해 더 나은 방향으로 돕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 대학생들의 학교적응에 관한 다양한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adaptability according to family health affects school adaptation, and how school adaptation affects career adaptation as a member of the family member. To this end, 280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fill out a self-subscribed surve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collected data.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n effect between family health, adaptability, and career adaptability on college students' school adaptation, and secondly, the effect of family health and adaptability on school adaptation was significant, and thirdly, the indirect effect of family health on school adaptation was found to have on school adaptation by using school application paramet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re are positive changes based on adaptive flexible relationships in a healthy home environment. In other words, we could see that the degree of adaptation to children helps them in a better direction through school adaptation relationships even in their careers. Various follow-up studies on current college students' school adaptation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5세 유아의 창의성과 심리사회적 특성간의 관계

        황희숙(Hwang Heesook),손원경(Son Wonkyong)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06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1 No.4

        본 연구는 유아의 창의성, 자아개념, 정서지능, 사회적 능력간의 관련성을 분석하고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함으로써, 유아의 심리사회적 발달 특성에 따른 창의성의 본질을 규명하고 유아 창의성 발달연구 및 창의성 교육에 대한 기초자료 및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만 5세 유아 117명을 대상으로 창의성검사, 사회적 능력검사, 정서지능검사, 자아개념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밝혀진 결괴는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유아의 창의성은 독창성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성별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창의성 수준에 따라 사회적 능력과 정서지능검사의 일부 하위요인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아개념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의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변인을 분석한 결과 유창성에 대해서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과 자아개념의 하위요인인 인지적 능력에 대한 자아요인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창성에 대해서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자기정서인식 및 표현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창의성 전체에 대해서는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인 정서이용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creativity, social competence, emotional intelligence, and self-concept in 5-year-old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7 5-year-old children in Busan. Data were gathered with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social competence test,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nd the self-concept test. A t-Test, Pearson's correlation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 found between boys and girls in the Torrance Test of Creative Thinking. Second, creative children were higher on social competence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an less creative young children.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was a significant contributor to predicting creativity.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황연주(Yeonju Hwang),황희숙(Heesook Hwang),이새별(Saebyeol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향상할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 및 그릿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 보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해 B 지역에 소재한 대학의 예비유아교사 210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및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 교사효능감에 대한 인식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 교사효능감 간의 모든 관계에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그릿,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예비유아교사의 그릿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예비유아교사의 교사효능감을 증진을 위한 다양한 접근방법으로 그릿과 창의적 인성을 활용하도록 하는 계기를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lative impact of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he sense of efficac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In this study, 210 pre-service early childhood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were surveyed Data processing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o perform a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irst,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of grit, creative personality, and sense of efficacy were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econd, a significant static correlation appear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s’ sense of efficacy. Third,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sense of efficacy.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ir sense of effica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grit and creative personality enhances a teachers’ sense of efficacy.

      • KCI등재

        신 노년층의 일중심성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덕현 ( Deokhyeon Kim ),황희숙 ( Heesook Hw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2

        본 연구는 신 노년층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은퇴 전 일중심성과 문화성향이 퇴직 후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과의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0년 9월 10일에서 10월 30일까지 경기 북부에 거주하는 퇴직자 50-60대를 대상으로 과거 직장생활에서의 일 중심성,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문화성향, 친사회적 행동 수준을 살펴보였다 218명의 자료를 수집하고, IBM SPSS 25를 활용하며,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한 독립표본 t-검정 및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 중심성, 개인주의 문화성향, 집단주의 문화성향, 친사회적 행동 간에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결과적으로 문화성향은 집단 간 차이보다 집단 내 차이가 중요하고 좀 더 개별적인 측면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즉 연구를 통한 향후과제는 퇴직한 신노년층에게 개별적인 관심과 서비스에 대한 필요성을 시사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one-center and cultural orientation before retirement and the impact of pro-social behavior after retirement to look at factors that affect the pro-social behavior of new and older people. To this end, from Sept. 10 to Oct. 30, 2020, 50-60 retirees residing in North Gyeonggi Province collected data from 218 people who looked at the level of work centrality, individualism and collective cultural orientation, and pro-social behavior in their past work lives, utilizing IBM SPSS 25, and conducting independent t-test and one-part analysis dispersion to verify differences in pro-social behavior. Studies have proven that there i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one-centeredness, individualistic cultural orientation, collectiveist cultural orientation, and pro-social behavior. As a result, cultural orientation is more important in group differences than differences between groups and should be addressed in a more individual way. In other words, future products through research are meant to suggest the need for individual attention and services to retired new and old people.

      • KCI등재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박미현(MiHyun Park),황희숙(HeeSook Hwang),이새별(Saebyeol Lee)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유아 간의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하여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창의적 인성,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 계 및 놀이교수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부산․경남 지역에 소재한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 중인 교사 27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처리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중다회귀분석과Pearson의 적률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창의적 인성,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대한 인식 수준은 보통보다 약간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 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창의적 인성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알아 본 결과 43%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놀이교수효 능감, 창의적 인성 순으로 영향을 미쳤다. 결론: 유아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과 창의적 인성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교사의 창의적인 인성의 특성을 함양할 수 있는 교육기회와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 자신의 신념과 자신감을 기르기 위한 유아 교사 개인의 노력도 함께 필요함을 시사한다. Objective: The study aimed to find a way to improve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It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and the relative influence of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on 270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located in the Busan area, and data processing, including hierarchical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Result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play teaching efficacy, creative personalit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were slightly higher than normal.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child interaction.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relativ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n teacher-child interaction, it was found that 43% were explained, followed by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Conclusions: It was found that play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person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for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support to cultivate the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child interactions, together with individual effor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cultivate their own beliefs and confidence.

      • KCI등재

        델파이 기법을 활용한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 척도 개발

        이새별(Lee Saebyeol),황희숙(Hwang Heesook)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1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2 No.4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복잡하고 역동적인 교육환경에서 유아교육기관의 교육목표 달성과 조직의 발전을 위한 핵심 요소인 조직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델파이 기법을 적용하여 개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유아교육 이론 및 창의성 전문가 13명과 유아교육 현장전문가 14명으로 구성된 27명의 전문가 패널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2019년 10월에서 2020년 3월 동안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1차 델파이 조사결과의 분석은 전문가 패널들의 응답을 반복해서 읽고 유사한 반응을 범주화하였다. 2차와 3차 델파이 조사 결과 분석은 전문가 패널들의 응답분포를 살펴보기 위하여 평균, 표준편차, 왜도, 사분위수, CVR 값, 합의도, 수렴도를 산출하였다. 이를 통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개인, 집단, 조직 수준의 3영역, 전문적 역량, 창의적 역량,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 다양성, 조직문화, 조직자원, 창의적 운영제도의 9요인, 103문항이 개발되었고, 2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개인, 집단, 조직 수준의 3영역, 전문적 역량, 창의적 역량,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 조직문화, 조직자원, 창의적 운영제도의 8요인, 63문항으로 수정되었다. 3차 델파이 조사에서는 개인, 집단, 조직수준의 3영역, 전문적 역량, 창의적 역량,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 조직문화, 조직자원, 창의적 운영제도의 8요인, 총 57문항으로 최종안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주로 일반 기업 또는 연구기관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조직창의성 연구를 유아교육기관 조직에 접목하여 조직창의성 연구 분야를 확대하였으며, 대체로 개인수준의 창의성을 연구해온 유아교육 분야에서 창의성 연구의 질적 도약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of measures elements for organizational creativ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delphi method. In order this study, a panel of 27 experts consisting of 13 expert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ory and creativity and 14 expert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formed. The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period of this study was from October 2019 to march 2020. The first data were analyzed for content, and the second and third data were analyzed f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skewness, median, quartile, CVR, convergence, and agreement.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 First, in the Delphi primary, three levels, nine factors, one hundred and thirty question items were developed according to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creativity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At the Delphi second round was revised to Sixty-three question items in each of the eight factors on the three levels. At the third Delphi round was derived to Forty-eight question items in each of the eight factors, including professional competence(6 items), creative capabilities(11 items), administrator’s leadership(10 items), autonomy(6 items), communication(6 items), organizational culture(6 items), organizational resources(5 items), and creative management system(6 items), at three levels such as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 As a result, the scale was confirmed to be a highly reliable tool that can appropriately and consistently evaluate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In this regard, this scale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diagnosing and improving the organizational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KCI등재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박미현(Mihyun Park),황희숙(Heesook Hwang),황연주(Yeonju Hwa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21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2 No.4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 활동이 유아의 창의성 및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통해 유아교육 기관에서 활용할 수 있는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활동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를 위해 실험집단 15명(남 5명, 여 10명), 비교집단 17명(남8명, 여9명) 총 32명의 만 5세를 대상으로 12회기 동안의 프로그램 효과를 검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분산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활동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창의성 총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창의성의 하위요인인 유창성, 독창성, 제목의 추상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의 저항 중 제목의 추상성, 성급한 종결에의 저항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융합인재교육(STEAM) 기반의 텃밭활동이 자연친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연친화적 태도의 총점과 하위요인인 자연친화적 태도, 환경보전의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융합인재교육(STEAM)에 기반한 텃밭활동의 실천 가능성을 확인하고 향후 현장 적용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으며,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TEAM-based gardening activities on children’s creativity and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to provide basic data on such activities that can be used by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For this study, the program effect during 12 sessions was verified for 32 5-year-olds, with 15 in the experimental group (five males, ten females) and 17 in the comparative groups (eight males, nine females). For the collected data,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performed using SPSS 22.0. Results: First, an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STEAM-based gardening activities on children s creativity, showed that the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total score of creativity. Additionally, it was found that fluency, originality, abstractness, elaboration of the title, and resistance to hasty termination, which are sub-factors of creativ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bstractness of the title and resistance to hasty termination.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s of STEAM-based gardening activities on nature-friendly attitudes, it was found that the total score of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sub-factors, nature-friendly attitudes, and attitudes toward environmental conservatio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Conclusions: Based on these results, the feasibility of STEAM-based gardening activities was confirmed, and implications for future field applications were derived. It can be seen that it is a meaningful educational tool to cultivate convergence talent.

      • KCI등재

        영유아기 부모가 인식하는 창의성교육에서의 부모 역할: 은유분석을 통해

        한안나(Anna Han),황희숙(Heesook Hwa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3

        본 연구는 영유아기 부모들이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 부모의 역할을 무엇이라고 인식하는지 은유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영유아기 자녀를 키우는 부모 267명이 제시한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의 부모 역할에 대한 은유표현이며, 연구방법은 이를 바탕으로 체계적인 은유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녀의 창의성교육에서 영유아기 부모들이 인식하는 부모 역할에 대해 은유를 통해 알아본 결과 11개로 범주화되었다. 도출된 범주 유형의 이름은 부모들이 제시한 은유를 근거로 명명하였으며 범주 유형은 네비게이션, 치어리더, 환경제공자, 적극적 행동자, 거울, 협력자, 기다리는 사람, 친구, 관찰자, 질문자, 방해꾼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나타난 창의성교육에서 영유아기 부모의 역할에 대한 인식은, 창의성교육에 있어서 영유아기 부모들에게 제공해야 할 부모의 역할 등을 포함한 창의성 관련 부모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oles of parents with young children in promoting creativity. Methods: Metaphor analysis was used to investigate how the parents of young children perceived their roles in promoting creativity in creativity education. Parents with young children were asked to complete metaphorical expressions and explain how metaphors relate to parents’ roles in creativity education. Res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parents’ roles in promoting creativity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11 categories: navigation (n = 63, 23.6%), cheerleader (n = 40, 15.0%), the physical environment (n = 38, 14.2%), active actor (n = 37, 13.9%), mirror (n = 22, 8.2%), partner (n = 16, 6.0%), “wait and see” (n = 16, 6.0%), friend (n = 15, 5.6%), observer (n = 9, 3.4%), questioner (n = 6, 2.2%), and troublemaker (n = 5, 1.9%). Conclusion: Creativity education does not only take place in school but also through one’s entire life. Young children spend time with parent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each other are numerous. Thus, parents need to think about their roles in promoting their children’s creativity and take appropriate actions. Implications: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discussed in terms of the implications for a parents’ education program regarding.

      • KCI등재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이새별(Saebyeol Lee),황희숙(Heesook Hwang) 인지발달중재학회 2022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3 No.2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는 타당하고 신뢰로운 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 방법: 유아교육기관 조직창의성 척도 개발 및 타당화를 위하여 관련 문헌 고찰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델파이 조사 및 예비조사를 통하여 최종안을 개발한 후, 부산 및 경상지역 유아교육기관 관리자와 유아교사 496명을 대상으로 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조사결과를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개발 된 척도의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수집된 자료의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48문항을 선정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하여 위계적 2차 요인의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척도의 검사양호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문항 내적합치도와 공인타당도 검증을 한 결과, 전체문항의 Cronbach’s α 계수는 .90으로 나타났으며, 공인타당도 척도와 본 척도의 모든 요인 간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척도는 개인, 집단, 조직 수준의 세 가지 영역, 전문적 역량, 창의적 인성, 창의적 효능감, 관리자의 리더십, 자율성, 의사소통, 조직문화, 창의적 운영제도의 8요인, 총 48문항의 5점 Likert 평정척도로 확정되었다. 본 척도는 각 유아교육기관이 조직창의성 발현과 잠재력을 확인하고 개선하는데 공헌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 The study sought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hat measure the organizational creativity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Methods: A total of 496 administrators and teachers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crecruited for a survey, and an organizational creativ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as validated through a statistical verification. The factor structure of the developed scale was confirmed through an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verified. Results: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three factors of the individual level accounted for approximately 61.41% of the total variance, the three factors of the group level accounte for 70.38%, and the two factors of the organization level accounted for 63.35%.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eight factors of the three levels determined them to be suitable.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48 scale items was examined, and the items were selected for a reliability verification, The Cronbach's α for all items was calculated as .90.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OCEI scale and the developed scale showed a generally positive correlation. Conclusions: The final organizational creativity scale for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consists of 48 items assessed on a five-point scale with eight factors: professional competence, creative personality, creative efficacy, administrator’s leadership, autonomy, communication, organizational culture, and creative management system, The factors encompass three levels: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