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비스 결합형 공공임대주거 사회복지시설의 공간면적구성에 관한 연구

        장주영 ( Chang Joo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노인복지정책의 목표로서 Aging in Place 개념의 중요성이 보편화되면서, 정부에서는 2010년 중반부터 주거공간에 노인 특화용 설계를 적용하고, 저층부에 사회복지 공간을 확보하여 노인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결합형 공공임대주거를 건립해오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 중반부터 건립된 서비스 결합형 공공임대주거를 대상으로 공간적 검토를 통해 사회복지시설 규모계획에 필요한 소요공간의 내용과 규모 및 면적비율을 고찰하고, 그 관계성에 대해 명확히 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공공주택 특별법 시행규칙」에 따른 주거동 내에 사회복지시설이 결합되어 있는 공공임대주택으로서 ‘주거복지동’과 ‘공공실버주택’, ‘고령자복지주택’이며, 면적 계측이 가능한 설계도서가 있는 사업지 21개단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노인 대상의 주거지원정책과 공간계획과 관련한 문헌 자료들의 분석을 바탕으로 먼저, 명칭이 각기 다른 소요공간들을 의료·재활공간, 사회·교육공간, 생활·편의공간, 사무·관리공간, 공용공간부문으로 분류하였고, 면적 계측을 통해 각 대상지의 공간부문별, 지역별, 연도별, 세대수 대비 면적분석에 따른 관계성의 고찰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과) 첫째, 사회복지시설은 기존 단지 내에 유휴부지를 활용하거나 증축하는 형식에서, 주거동 내 저층부에 복합 설치하는 형식을 갖추도록 하고 있고, 전체규모는 1,000~2,000㎡의 대규모로 발전하고 있다. 둘째, 전체 시설면적에서 사회·교육공간부문이 가장 큰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에 반해 의료·재활 공간부문은 가장 적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다. 셋째, 지역별로 살펴보면 충청남도 지역에 편중되어 건립되었고, 공간면적구성은 총 5개 지역에서 사회·교육 공간부문이 가장 면적이 크고, 3개 지역에서는 사회·교육공간, 공용공간부문이 비슷한 규모의 면적으로 나타났으며, 1개 지역에서는 생활·편의공간부문의 면적이 가장 넓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연도별 공간부문의 면적분석 결과, 사회·교육공간, 공용공간, 생활·편의공간부문은 면적 증감의 변화가 많았고 늘어나는 추세이며, 의료·재활공간과 사무·관리공간부문은 증감의 변화가 적거나 줄어든 것으로 나타나 노인의 특성을 고려한 치매 전담 예방 및 치료·간호·재활지원을 할 수 있는 공간면적구성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다섯째, 세대 수 대비 사회복지시설 공간부문의 면적분석 결과, 단위세대의 규모는 100~150세대로 건립된 경우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공간부문별 면적의 다양성 또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초고령화 시대 서비스 결합형 공공임대주거 사회복지시설의 소요공간에 대한 면적구성을 분석하여 향후 사회복지시설 공간계획에 있어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importance of the concept of aging in place (AIP) for the elderly has become universal and a goal of welfare policy, the government has applied it to the design of residential spaces for this demographic group since mid-2010. Consequently, service-integrated public rental housing was built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for the elderly on the lower floors as a social welfare spa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size, and area ratio of the space that is required for planning the size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through a spatial review of supportive public rental housing built since mid-2010,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Method) This study covered public rental housing that incorporated social welfare facilities. A total of 21 complexes with design documents that provided area measurements were included. The designated spaces in these complexes were classified into five spatial sectors―medical/rehabilitation; social/education; living/convenience; office/management; and public―by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patial sector, region, year, and number of households in each site through area measurement using area analysis. (Results) First, social welfare facilities were installed in the lower floors of residential buildings instead of using or extending idle sites in existing complexes, and their sizes ranged from 1,000 to 2,000 ㎡. Second, in terms of the total facility area, the social/education spatial sector occupied the largest area while the medical/rehabilitation spatial sector had the smallest area. Third, in terms of locality, they were concentrated in the Chungcheongnam-do region. In terms of spatial area composition, the social/education spatial sector was the largest in five regions and shared the same size with the public spatial sector in three regions, while the living/convenience spatial sector was the largest in one area. Fourth, in terms of spatial area by year, the social/education, public spatial, and living/convenience spatial sectors tended to increase with many changes in the area, while the medical/rehabilitation and office/management spatial sectors tended to decrease with little or no change. Fifth, the analysis of the spatial area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against the number of households revealed that 100-150 households were the most common number of units that were built in terms of the size of household units, and the diversity of the area by spatial sector was also the highest.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be useful in spatial planning of future social welfare facilities as it analyzed area composition based on the size of these facilities that were integrated into public rental housing in an aging society.

      • KCI등재

        서울·경기지역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 유형 특성에 관한 연구

        장주영 ( Chang Jooyoung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초고속 고령화로 심각해지는 우리나라의 고령자 주거문제 해결을 위해, 고령자의 AIP를 위한 주거 대안으로서 사회서비스가 지원되는 서비스 지원주택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을 유형화하고 서울과 경기지역의 실제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헌고찰을 통해 AIP의 개념과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국내 주택 현황과 서비스 지원 종류 및 현황을 파악하고, 연구의 공간적 범위로는 고령자 대상으로 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노인복지주택, 의료안심주택, 고령자복지주택(공공실버주택), 공동체 주택을 포함한다.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화를 위해 가장 먼저 정부 지원 여부에 따라 ‘고령자 공공서비스 지원주택’과 ‘고령자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으로 분류하였고, 입지형태에 따라 ‘도심지 형’, ‘도심근교형’, ‘전원휴양형’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고령자의 거주형태에 따라 ‘독립거주형’, ‘공동거주형’으로 분류하고, 서비스 지원공간 배치에 따라 ‘통합형’, ‘분리형’, ‘혼합형’으로 분류한다. 셋째,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들을 통합하여 총 18가지로 코드화한다. (결과) 첫째, ‘고령자 공공서비스 지원주택’은 ‘UPI’, ‘OPI’, ‘UPS’로 전체 18개 타입 중 3개 타입의 유형들로 나타났고, ‘고령자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은 ‘UPI’, ‘UPS’, ‘UCI’, ‘OPI’, ‘OPS’ ‘RPI’, ‘RPS’로 전체 18개 타입 중 7개 타입의 유형들로 나타났다. 둘째, 가장 많이 나타난 유형으로는 ‘고령자 공공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입지 유형별로 ‘도심근교형’, 거주형태는 ‘독립거주형’, 서비스 지원공간은 ‘통합형’, 그리고 유형화 코드 중 ‘OPI(도심근교/독립거주/통합)’ 유형이 가장 많았다. ‘고령자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입지유형별로 ‘도심형’, 거주형태는 ‘독립거주형’, 서비스 지원공간은 ‘통합형’, 유형화 코드 중 ‘UPI(도심/독립거주/통합)’ 유형이 가장 많았다. 그다음 순으로 전체 22개소 중 ‘UPS(도심/독립거주/분리)’와 ‘OPI(도심근교/독립거주/통합)’유형이 각각 4개씩 나타났다. (결론) 서울·경기 지역의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 28개소를 분석한 결과, 공공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도심근교에 위치하면서 독립거주가 가능하고 서비스 지원공간이 같은 건물에 통합된 형태인‘OPI’유형이, 민간서비스 지원주택의 경우 도심에 위치하면서 독립거주가 가능하고 서비스 지원공간이 같은 건물에 통합된 형태인 ‘UPI’유형이 가장 많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국내 고령자 서비스 지원주택의 유형별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Given the rapidly aging population, housing problems of senior citizens is becoming a major concern in Korea. Hence,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service-supported housing that supports social services as a housing alternative for the AIP. “Service-supported housing for the senior” was categorized, and through the analysis of cases, we examined the tangible characteristics of service-supported housing. (Method) Through literature review, the concept of AIP, the current status of rental housing for the Senior, types of service-supported, and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included domestic welfare housing for the senior, medical safety housing, senior welfare housing, and Senior community housing. Rental housing for senior citizens who supported the service was classified as “rental housing supporting public service for the senior” and “rental housing with private service support for the senior” according to the government's support as well as classified as “urban-type,” “outskirt-type,” and “rural-type.” It was also classified as “independent residential” and “communal residential” according to the type of residence of the senior and as “integrated,” “separated,” and “mixed” according to the arrangement of service support spaces. Finally, the types of rental housing for the senior with service support were integrated and coded into a total of 18 types. (Results) First, “public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was “UPI,” “OPI,” and “UPS,” which were 3 out of the 18 types. “Private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was “UPI,” ”UPS,” “UCI,” “OPI',” “OPS,” “RPI',” and “RPS,” which were 7 out of the 18 types. Second, in the case of “public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the most common type was the “outskirts type” by location, “independent residence type” by residence, “integrated type” by service support space, and 'OPI’(Outskirt/Private residence/Integration) among the classification codes. ’ was the most common type. In the case of “private service support housing for the senior,” the “urban type” by location, “private residence type” by residence, “integrated type” by service support space, and “UPI (Urban/Private Residence/Integrated) type among the typification codes. Next, out of 22 locations, ‘UPS(Urban/Private Residence/Separation)’ and ‘OPI(Outskirt/Private residence/Integration)’ type appeared four each. (Conclusion) Twenty-eight housing services for the senior citize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Public service housing is located in the urban allows private living, and the service support space is integrated into the same building, i.e., “OPI.” In the case of private service support housing, the “UPI” type was the most common. Based on these results, a study on the spatial composition of each type of housing for senior citizens in Korea will be conducted in the future.

      • KCI등재

        고령자 복지주택의 실버복지관 공간구성현황에 관한 연구

        장주영 ( Chang Jooyo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8

        (연구배경 및 목적) 초고속 고령화로 고령층의 거주 안정성에 대한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면서 고령자 가구를 위한 소형 임대 주택과 사회복지 서비스를 지원하는 고령자 전용주택 등 다양한 주택정책이 나오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자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시설이 결합된 공동주택인‘고령자 복지주택의 실버복지관’공간구성 현황을 분석하는 것으로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사회복지시설 결합형 고령자 공동주택의 공간계획 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범위는 고령자 복지주택의 실버복지관을 중심으로 고령자들에게 다양한 사회복지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대시설과 프로그램실 등의 공간구성현황분석에 연구의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문헌고찰을 통해 고령자복지주택의 개념 및 법적 기준, 공급현황 및 건축개요에 대해 파악하였고, 고령자 복지주택 공급현황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국내 고령자 복지주택 14개 사업지구 현황과 사업개요, 평면도 등의 자료들을 통해 실버복지관의 공간을 의료·재활, 여가·체육, 생활편의, 사무·관리, 공용, 기타 등 6가지 부문으로 분류하고, 입지적 분류와 규모, 단위세대 동과 실버복지관의 기능결합방식, 평면배치 형태 특성을 파악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로서 첫째, 건축 계획적 특성으로 입지형태에서는 농어촌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규모는 연면적 1,000 ~ 2,000㎡의 중규모 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기능결합방식은 통합형과 연계형이 주를 이루고 있다. 둘째, 공간 계획적 특성으로는 평면배치계획에서 중복도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 공간구성 특성으로는 의료·재활공간의 경우 재활치료 공간, 여가·체육 공간의 경우 여가활동 공간, 생활편의 공간의 경우 위생 공간이 가장 많이 구성되어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농어촌 지역에는 입주한 고령자들의 고립 예방 차원에서 주변 지역주민들과 소통의 장을 마련할 수 있는 공간의 제공이 요구되며 둘째, 대단위 단지 고령자복지주택 내 건립 시 해당 동 외에 단위세대에 거주하는 고령자를 위한 효율적인 동선에 대한 공간적 고려가 필요하다. 셋째, 고령자의 신체 활동을 위한 실내체육 및 실내활동 공간 외에도 실외활동을 유도할 수 있는 실외 활동공간, 실외체험공간의 공간구성의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ilver Welfare Center for seniors with the social welfare facilities for the same popul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used as basic data for future space planning for seniors utilizing social welfare facilities. (Method) This study focused on the analysis of space composition, such as auxiliary facilities and program rooms that provide various social welfare services, centering on the Silver Welfare Center of senior welfare housing. As a research method, the concepts of senior welfare housing, legal standards, supply status, and construction overview were identified through a literature review, and the current supply status of senior welfare housing was examined. In addition, based on the current status and floor plans of 14 project districts for welfare housing for seniors, the space of the Silver Welfare Center was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five categories: medical/rehabilitation, leisure/sports, living/convenience, office/management, and common use. The functional combination method and flat layout characteristics of the unit household dong and Silver Welfare Center were identified. (Results) As a result of this study, first, regarding the characteristics of architectural planning, the rural type showed the most in the location type, whereas the medium-scale type with a total floor area of 1,000-2,000㎡ appeared the most. The functional combination method was integrated and linked. Second, in terms of spatial planning characteristics, the middle-corridor type was most commonly found in the plan layout. A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characteristics,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space appeared the most in the medical/rehabilitation space, the leisure activity space appeared the most in the leisure sports space, and the sanitary space appeared the most in the convenience space. As for other spaces, they appeared in two districts, and it was found that free lunch stations, daycare centers, and social enterprises were set up. (Conclusion) As a result of the study analysi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space for communication with the surrounding local residents to prevent isolation of seniors living in rural areas. Second, when constructing a large-scale complex in welfare housing for seniors, spatial consideration is required for an efficient movement route for seniors living in a unit household other than the corresponding dong. Third,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n outdoor activity space and an outdoor experience space that could encourage outdoor activities in addition to indoor sports and indoor space for physical activity of the seniors.

      • KCI등재

        시니어의 AIP를 위한 주거환경 계획특성 연구

        장주영 ( Chang Jooyoung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4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 유례없이 빠르게 고령화와 저출산 현상이 일어나고 있는 우리나라는 2025년에 초고령사회에 진입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시니어주거 환경에 대한 연구가 더욱 절실한 입장이다. Aging in place는 노인이 오랫동안 자신이 살아왔던 집이나 지역사회 내에서 여생을 보내게 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고령화가 전 세계적으로 가속화되면서 시니어주거환경의 기본 개념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AIP를 가능하게 하는 시니어 주거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계획특성을 파악하여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시니어주거 공간디자인에 있어 초기 계획 시 고려할 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첫째, 문헌고찰을 통하여 노인의 특성, AIP와 노인주거의 개념 비교·분석함으로써 AIP를 위한 시니어 주거환경요소를 도출하였다. 둘째, 국내외 시니어주거 사례들을 추출한 계획특성 요소로 비교·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도심형 공공임대주택으로서 1인 및 부부 세대가 주로 거주하는 사례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셋째, 사례들이 노인의 AIP 개념을 도입한 주거환경에 충족하는지를 분석하여, 향후 시니어주거 공간디자인 계획 시 필요한 요소에 대해 논의하였다. (결과) 이에 본 연구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크게‘기능적’, ‘물리적’, ‘사회적’, ‘서비스 지원’의 네 가지 특성과 각각의 세부요소를 도출하였다. ‘기능적 특성’으로는 ‘안전성’, ‘접근성’, ‘이동성’, ‘식별성’이 나타났고, ‘물리적 특성’으로는 ‘쾌적성’,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이 나타났다. ‘사회적 특성’으로는 ‘사회성’, ‘공동체성’이 나타났고, 마지막으로 ‘서비스 지원특성’으로는 ‘서비스 지원성’과 ‘관리 용이성’이 나타났다. 둘째, 사례분석 결과 AIP를 위한 시니어 주거환경의 4가지 특성 중‘사회적 특성’이 가장 높은 특성으로 나타났다. 셋째, 각 특성별로 ‘기능적 특성’에서는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 조성을 위한‘안전성’과 ‘접근성’이 높게 나타났고, ‘물리적 특성’에서는‘쾌적성’이, ‘사회적 특성’에서는 사회적 교류가 일어나도록 공간을 제공하는‘사회성’이‘서비스 지원특성’에서는 다양한 공동생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 지원성’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시니어주거 공간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AIP 개념을 적용한 주거환경특성을 기반으로 하는 공간 계획 시 기초자료로서의 의의를 가진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Republic of Korea is experiencing an unprecedented rapid aging and low birth rate in the world. As entering a super-aged society in 2025, it is required to study the elderly housing. ’Aging in place’ refers to allowing the elderly to spend the rest of their lives at home or community where they have lived for a long time. As world population gets older, the designs for elderly are applied as a basic concep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s that affect the elderly housing environment that enables AIP, and suggest points to consider in preparing alternatives for elderly housing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Research method) This study is under the conditions that a living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centering on the value of AIP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demographic structure caused by the expansion of the aged population. First, the factors of elderly's residential environment for AIP were deriv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elderly and the concept of AIP and elderly housing by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Second, the domestic and foreign cases of elderly housing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elements of planning characteristics. The targets of analysis were the public urban rental housing, where single and married households mainly reside. Third, it was analyzed whether the cases satisfy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corporating the concept of AIP for the elderly and discussed the required elements in planning the future residential space design for the elderly.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ur characteristics, such as 'functional', 'physical', 'social', and' service support' and their respective detailed elements were derived. More specifically, 'safety', 'accessibility', 'mobility', and 'identification' were shown as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 , and 'comfort', 'eco-friendly', and 'sustainability' were indicated as the physical characteristic. “sociality” and “community” represent the social characteristics. Lastly, 'service supportability' and 'ease of management' appeared as the service support. Second, ca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social characteristics' was the highest among the four characteristics. Third, 'safety' for creating a safe and convenient environment and 'accessibility' were high i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The continuous service and residential mobility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In ‘Physical characteristics’, ‘comfortable’ was high. 'Sociality', which provides space for social exchange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rvice support characteristics. In the 'Service Support Characteristics', the 'Service Supportability' that can provide various joint life services was highly shown. (Conclusion) This study has significance as basic data when planning a space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applying the concept of AIP in designing the residential space for the elderly.

      • KCI등재

        AIP를 위한 노인공동체 주거 유형에 관한 연구

        장주영 ( Chang Jooyoung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노인 1인 가구는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다른 가구 구성대비 경제·건강·소외·무위 문제에 취약하여 사회·경제적인 대책이 시급하다. 노인공동체 주거는 노인에게 익숙한 환경에서 안전하고 건강하게 거주하고자 하는 욕구(AIP)를 충족시킬 수 있는 대안으로서, 노인에게 안정적인 주거의 제공과 함께 지역 사회 참여를 높여 자아실현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고령화 시대 노인의 AIP 실현할 수 있는 주거 대안으로서 노인공동체 주거의 공간적·사회적 환경 요인들을 분석하여 이를 유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는 첫째, 노인의 특성과 국내 노인주거 실태를 알아본다. 둘째, 노인과 공간공유 및 생활교류를 하는 개별 단위주택과 집합주택, 단지 또는 마을을 대상으로 한다. 셋째, AIP를 위한 주거환경의 공간적·사회적 분류기준을 도출하여 유형화한다. 넷째, 연구자가 제시한 유형화에 따라 연구 목적에 적합한 사례들을 분석한다. (결과) 노인공동체 주거를 건축 공간적 측면에서‘주택 형태’, 생활방식 측면에서의‘거주방식’ 운영 및 관리 측면에서의‘관리 주체’, 지속가능성 측면에서의‘지원 서비스’로 분류하여 분석한 결과‘주택 형태’는 주로 공동주택 형식으로서 독립적인 개인 생활을 보장받으면서 공동시설을 공유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거주방식’은 독립적인 개인 생활공간을 보장받으면서 공동시설을 공유하는 형태가 많았는데, 특히 노인 전용은 전문기관이나 지역 사회에서 연속돌봄을 받는 경우가 뚜렷하게 많았다. ‘관리 주체’는 연령통합형의 경우‘자체관리형’, 노인 전용의 경우 ‘위탁관리’와 ‘혼합형’이 형태가 많았다. ‘지원 서비스’는 사회활동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는데, 이는 노인공동체 주거 내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공동체 의식의 공유이며 이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공동체 활동을 통해 노인의 사회적 참여를 높여 건강한 노년기를 보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 노인공동체 주거는 초고령사회에 대비한 필수적인 주거 대안으로서 인식할 필요성을 가지고 있다. 노인공동체 주거계획 시 노인의 특성과 욕구를 고려하여 노인에게 익숙하거나 원하는 지역에서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며 살 수 있도록 AIP 개념을 기본으로 해야 하고 노인의 사회적 참여를 위한 공동체 활동과 연속적인 돌봄이 이루어질 수 있는 물리적 환경을 함께 고려하여 계획하여야 한다. 노후에 원하는 지역에서 자신이 원하는 라이프 스타일을 유지하며 살 수 있는 주거 선택의 폭을 넓혀 건강하고 행복한 노후의 삶과 고령 시대 노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국가와 민간업체 및 개인이 함께 참여하여 우리나라 특성에 맞는 노인공동체 주거의 활성화를 위해 유형 개발, 유형별 계획방안 등 구체적인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As the world enters an aging society, a growing population of senior single-person households is accelerating. Due to their vulnerability in terms of income, health, and life compared to other households, socioeconomic measures are urgently required.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is an alternative method to satisfy the senior’s need for AIP, which not only provides the housing stability but also reaches self realization by increasing the local society involvement. This study aims to generate the standard typ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ocial and spatial elements of the senior housing. (Research Method) To begin with,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tatus of the contemporary Korean senior housing. As the second step, the main target group is designated as a single house, community housing, housing complex, and community. Then the social and spatial categorization are identified for AIP. Finally, the appropriate cases are analyzed by the own justified standard types. (Result) This study classified the senior housing as ‘dwelling type’ for architectural space; ‘residence type’ for lifestyle; ‘management authority’ for operation and management; and ‘support service’ for sustainability. As a result, first, the multi-family house accounts for a majority dwelling type which can share common facilities while guaranteeing privacy. Similarly, sharing common facilities with independent private space is a common type, especially there are a significant number of needs continuous care by specialized institution or community in the senior only residence. With regards to management authority, an age-integrated type is self-operated while trust management and mixed type for the senior only residence. Social activities are accounted for the major support service because it is the most important thing in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to share a sense of belonging and increase the social participation of the seniors through various community activities ultimately, they can live healthier. (Conclusion) The senior community housing for AIP shall be recognized as a new alternative for the aging society. For planning senior community housing, the AIP concept is essential to maintain seniors’ lifestyle in their preferred or familiar place with considering their characteristic and desires. Moreover, such plans should consider a physical environment to accomplish continuous cares and community activities for their social engagement. A housing style based on the preference of residents. Moreover, the government, private companies, and individuals n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o conduct detailed revitalization plan such as type development and planning, ultimately to expand the choice of housing where the seniors maintain healthier lifestyle and happiness in their favorite a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