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은거 정원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독락당(獨樂堂)과 독락원(獨樂園)의 비교를 중심으로-

        민신러 ( Min Xinle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세계화는 한국과 중국에 급속한 경제성장과 물질의 풍요로움을 가져다준 반면에, 전통문화의 상실은 현대인들에게 공허함과 불안감을 안겨주기도 하였다. 학식이 풍부하고 도덕을 겸비한 선비 은사들이 은거 정원 조성에 참여하기 때문에 정원은 문화적 정취를 담고 있고 이상을 투영하고 있다. 따라서 선비 은사들의 은거정원에 대한 연구는 현대 공간디자인 차원에서 의미 있는 접근이 될 것이며, 문화 상실로 인한 현대인들의 정신적 공허함과 성급함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현대 디자인에 대한 적용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를 만들어 낼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전통적 문화 가치를 재건하는 가능성을 기대할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은거 정원인 독락당(獨樂堂)과 독락원(獨樂園)의 비교를 통하여 사상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고, 나아가 공간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하여 그 특징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문화적 연관성이 강한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은거 정원인 독락당(獨樂堂)과 독락원(獨樂園)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방법은 먼저 은거정원의 정의를 살펴보고 한국과 중국 전통 정원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바탕으로 양국의 대표적인 은거 정원인 독락당과 독락원을 공간의 특성을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결과) 독락은 겸손하고 중용(中庸)적이며 정치적 뜻을 이루지 못하지만 적극적인 태도로 인생을 대하려는 의미를 포함한다. 모두 인가가 드물고 경치가 좋은 조용한 곳에 위치하지만, 독락원은 도시 안에 위치하고 독락당은 도시 밖에 있다. 정원에서 했던 일상활동과 주요 용도는 거의 비슷하지만 공간 성격이 다르다. 정원 주인의 유교적 지향과 도교 및 불교적인 사상을 나타낸다. 공간 구성요소의 특징에 대한 공통점은 다른 선비들이 지은 정원보다는 소박하고 자연스럽다. 독락원의 건축자재가 인공 자재 사용 등 더욱 풍부하고 건축 양식도 더욱 다양하지만, 독락당은 주로 자연 요소를 사용하고 있다. (결론) 본 연구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첫째, 한국과 중국의 은거 정원은 세상으로부터의 단절이 아닌 거리두기를 통해 자연과 소통하고 삶의 여유를 추구하는 생활 방식이 공간적으로 구체화된 형태이다. 둘째, 은거 정원은 거주의 장소로서 삶을 유지하기 위한 실체적 활동이 존재했다. 셋째, 한국과 중국의 은거 정원은 고도의 정신적 활동의 산물이며, 동시에 이를 추구하기 위해 만들어진 공간이다. 넷째, 은거 정원은 건축적으로 다양한 실험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했다. 전통 건축이 가지는 원칙적 질서 위에 거주자의 철학과 지향이 반영된 다양한 재료들이 가미 되었으며, 일반 주거와 다른 공간 구성을 통해 새로운 형태의 공간적 실험이 시도 되었다. 은거 정원이 주류의 삶이 아닌 한걸음 떨어져 관조하는 삶으로서의 여유를 만드는 장소였다는 점에서 현대 공간디자인에 의해 계속해서 연구되고 재해석 되어질 필요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While the globalization has brought rapid economic growth and material affluence to Korea and China, the loss of traditional culture has also caused psychological emptiness and anxiety to modern people. The seclusion garden contains cultural atmosphere due to the participation of hermit scholars in the creation of seclusion gardens, who combine ability with political integrity. Thus the study of the seclusion garden can be applied to the modern space and can help solve the mental emptiness and haste of modern people due to cultural los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derive elements that can be applied to modern space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seclusion gardens Dokrakdang(獨樂堂) and Dokrakwon(獨樂園) in Korea and China. (Method) Dokrakdang and Dokrakwon, the representative seclusion gardens of Korea and China with strong cultural ties, were studied. The method of research first defined the definition of seclusion garden and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of Dokrakdang and Dokrakwon, based on the differences and commonalities of traditional Korean and Chinese gardens. (Result) 'Dokrak' includes the meaning of Humility and moderation and express the owner of the gardens' positive attitude when achieve their political idea were difficult to achieve. (1)Two gardens are located in a quiet and unfrequented place. However the Dokrakwon is located inside the city, the Dokrakdang is located outside the city. (2)The main uses of the garden are almost the same, but the spatial characteristics are different. (3) The cultural elements in garden space reflect the Confucian ambition and Taoist and Buddhist thinking of garden owners (4)The feature of spatial elements are firstly, the form of architecture in gardens are simpler and more natural than gardens built by other non-seclusive scholars. Dokrakwon's building materials are more abundant and its architectural styles are more diverse. Dokrakdang mainly uses natural elements (5)The hidden of space and the connection of nature are very important for both gardens. (Conclusion) firstly, the seclusion gardens of Korea and China are not totally cut off from the world but concrete form of the lifestyle of communicating with nature and seek leisure in life. Secondly, the seclusion gardens are residence where many activities were happened. Thirdly, the seclusion gardens in Korea and China are the products of high spiritual activities and spaces that were created to pursue righteousness. Fourthly, the seclusion garden played a role as a venue for conducting architectural experiments. The seclusion gardens need to be continued to be studied and reinterpreted into modern spatial design due to it is a place that made for leisure through giving more attention to the life that away from the mainstream life.

      • KCI등재

        중국 당나라부터 원나라까지 전통 은일(隱逸)문화의 생활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민신러 ( Xinle Min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6

        (연구배경 및 목적) 아시아의 은일 문화는 아시아 고대 사회에서 독특한 문화 현상으로 한국이나 일본 등에서도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은일문화는 흔히 도덕을 중시여기며 정신적 완성을 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한국과 중국의 은일문화 자료는 존재하나 자연환경이나 생활특성에 대한 연구가 없어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통공간에 대한 문화적 가치를 발굴 발전시키기 위하여 은일 생활공간의 특성을 연구하려 하며,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각박한 현대 사회 생활공간에 새롭게 적용하기 위한 과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전통적 은일 문화의 특성에 대한 분석과 종합을 통하여 전통적 공간 특성의 장점을 현대생활공간에 적용하기 위한 특성을 종합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역사적 시대 범위는 중국의 은사들의 출현이 많아 자연적 은일 생활공간이 조성되었던 시기인 중국 당(唐) 나라 (AD 618-AD907)부터 원(元) 나라 (AD1271-AD1368) 까지로 연구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또한 은일문화의 특징인 자연과 함께 생활이 조성된 관련 공간에 대하여 현재 역사적으로 남아있는 7곳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하였고, 선정된 사례별 장소에 대하여 먼저 학문적 특징과 지리적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생활공간에 대하여 세부공간별로 분류하여 주요 내용을 공간 특성별로 분석하였다. (결과) 유가의 영향을 받은 자연적 생활공간은 창랑정(滄浪亭)과 독락원(獨樂園)과 락포(樂圃)와 옥산초당(玉山草堂)이며 선종의 영향을 받은 자연적 생활공간은 망천별업(輞川別業)과 리도방주택(履道坊住宅)이며 도가 영향을 받은 자연적 생활공간은 몽계완(夢溪園)으로 종합되었다. 또한 지역적 위치 특성을 보면 도시에서 멀리 떨어지거나 도시 영역 안에 위치하지만 한쪽으로 치우친 특성을 보이는 사례는 도방주택(履道坊住宅)과 창랑정(滄浪亭)과 독락원(獨樂園)과 몽계완(夢溪園), 락포(樂圃)이었으며, 도시 밖 근교에 위치하면서 자연적 생활공간을 조성한 사례는 망천별업(輞川別業)과 옥산초당(玉山草堂)이었다. (결론) 첫째, 은일문화는 단순히 세상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세속인들이 중시하는 명(名)과 리(利)를 포기하고 학문적인 탐구를 통하여 도덕적 영역을 완성하는 생활을 하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중국 은일 문화는 자연친화적 치유 공간이라 정의할 수 있다. 둘째, 은사들이 정신적 추구를 그들의 생활공간에서 고스란히 반영할 수 있으며, 이것은 현대 생활공간의 물질적 영역에 정신적 의미 부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었다. 셋째, 은일문화 생활공간은 매우 자연친화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자연적인 형태 특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종합되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hermit culture in East Asia was a unique cultural phenomenon in ancient society. Hermit culture often focused on morality and the pursuit of mental completion. Such a hermit culture has existed in Korea and China historically, but much data and research has not been systematically conducted to date, so research is necessary. In this sense, the characteristics of hermits’ living spaces are studied to discover the cultural value of traditional space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apply to modern living space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synthesize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ermit culture and space to apply them to modern living spaces. (Method) This study covers the period from the Tang Dynasty (AD 618-AD 907) to the Yuan Dynasty (AD 1271-AD 1368), because this represents the first appearance of hermit living space in Chinese literature. Seven places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which were historically recorded in the literature, or living spaces in places created with nature as the ba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hermit culture. In terms of the scope of the study, the academic and ge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lected places were first analyzed by case,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spati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classifying the living space in detail. (Result) Natural living spaces influenced by Confucian ideals include Canglang Garden, Dule Garden, Lepu, Yushan Cottage; those influenced by Zen Buddhism include Wang Chuan Villa and Lvdaofang House; and that influenced by the Taoists is the Mengxi Garden. Cases with the geographical characteristic of being far from the city or located in an urban area but isolated, are Lvdaofang House, Canglang Garden, Dule Garden, Mengxi Garden, and Lepu. Cases of places located in city suburbs include Wang Chuan Villa and Yushan Cottage. (Conclusion) First, it can be seen that hermits did not simply avoid the world but gave up the fame and wealth that secular people valued highly and completed the moral domain through academic inquiry. Therefore, Chinese hermit culture can be defined as a natural friendly healing space. Furthermore, it is shown that hermits’ spiritual pursuits are reflected in their living spaces, which could be applied to the spiritual meaning needed in the material basis of modern society. Finally, their living spaces have strongly nature-friendly characteristics. It can be concluded that many Chinese traditional values can be excavated in the future from hermit culture.

      • KCI등재

        중국 전통 은거 정원의 공간 구성 요소 및 특징에 관한 연구

        민신러 ( Xinle Min ),황용섭 ( Hwang Yongseup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배경 및 목적) 진리가 명예와 이익과 모순될 때 진리를 위해 과감히 명예를 버리는 사람들을 중국 고대에서 은사라고 불렀다. 또한 은사들의 생활방식을 은거라고 부른다. 현대 사회는 생활 리듬이 지나치게 빠르고 여러 가지 스트레스로 인해 사람들의 마음은 들떠 있으며 정의와 도덕적 기준에 대해 점차 무감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명리를 위해 도덕적 진리를 간과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고에서는 은사들의 생활방식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공간디자인 측면에서 고대에서 진리와 명리 간의 갈등에 대해 균형 잡는 방법을 찾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측면으로부터 출발하여 은거 정원 공간의 특성, 특히 공간 구성 요소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은거 정원의 전통적 가치를 발굴하고 현대 사회의 생활공간에서의 적용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중국 역사에서 은거를 위해 지은 정원은 일반적으로 생활공간으로 활용되었는데 당(唐)나라 (AD618-AD907)부터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범위는 이 시기부터 고대 역사에서의 마지막 왕조인 청(淸)나라(AD1644-AD1912)까지 설정하고, 현존하는 자료 중 구성요소의 특성을 상세하게 기술한 11곳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선정한 정원에 대해 공간의 구성요소 특성을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결과) 은거 정원에서 흙산의 비율이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수상 경치는 자연조건에 따라 구성하였으며, 건축 양식과 외관은 자연스럽고 소박하게 표현하였다. 건축 재료는 짚과 대나무를 대량 사용하였다. 식물의 종류는 고결한 품격 또는 은사를 상징하는 의미를 지닌 식물을 주로 사용하였다. (결론) 흙산은 자연경관을 이루는데 자연스럽고 자연에 대한 추억을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정원 주인들이 자연을 지향하는 바를 구현하고 있다. 정원 주인들이 자연을 숭상하고 소박한 것을 추구하기 때문에 수상 경치는 인공적으로 다듬은 흔적을 최소화하고 자연의 최초 형태를 최대한 보류하여 건축물은 자연스럽고 소박하게 표현하였다. 그중에서 대나무 집과 초당은 은신처를 상징하고 있으며 대나무는 이상적인 인격을 의미한다. 매화는 집념과 끈기를 상징하고 소나무는 강인함을 상징한다. 연꽃은 청렴과 순수함을 의미하고 국화꽃은 '은사'를 상징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ncient China when the truth conflict with fame and wealth, the people who choose to adhere to the truth and give up fame and wealth were called 'hermit'. The mode of life of ’hermit‘ is called ’live in seclusion‘. The rapid pace of modern social life and severe air pollution make people become impetuous and numb in psychology so that more and more people ignore the morality and truth for the sake of fame and wealth. The study of seclusion is necessary because it allows us to find a way to balance the two in area of spatial design. the purpose of the study is, as the theoretical basis of chinese traditional hermit culture and garden art, through analysing the characteristics of seclusive garden space, finally finding out the design elements which may apply to the modern space in the future. (Method) The scope of this study is from the Tang Dynasty (ad618-ad907), when seclusion in gardens became popular, to Qing dynasty (ad1644-ad1912), which is the last dynasty of ancient China . The 11 places that their four elements of Chinese traditional garden have been clearly described in detain in the existing literatures, were set as the research obj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tial elements of selected seclusive gardens were comprehensively analyzed and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ith non-seclusive gardens were concluded. (Result) The proportion of earth mountains in seclusive gardens is very high; the construction of waterscape were constructed in adapting to local conditions; the architectural style, appearance and structure are very natural and simple. Garden’s construction materials are mainly thatch and bamboo; Plants that are symbols of noble character were largely planted in the seclusion gardens. (Conclusion) The mountain made of earth is the closest to the natural landscape compared with other type of mountain so it can arouse the user's memory of the natural mountains and rivers, which is also a manifestation of the seclusive garden owners' yearning for nature. The owners of reclusive gardens are opposed to luxury and ostentation and advocate the garden philosophy of nature and simplicity. Therefore, the construction of waterscape greatly reduces the traces of artificial carving and retain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landscape. Bamboo houses and thatched cottages symbolize seclusion. Bamboo is also the embodiment of the ideal personality of ancient literati. The plum blossom symbolizes persistence; the pine and cypress symbolize fortitude; and the lotus symbolizes incorruptness; The chrysanthemum is called ‘hermit’ among flow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