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BH4 responsive PKU 환자들의 임상적 특성과 유전자분석

        이민희,김지원,이정호,이동환,Rhee, Minhee,Kim, Jiwon,Lee, Jeongho,Lee, Dong Hwan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 2013 대한유전성대사질환학회지 Vol.13 No.2

        Purpose: Phenylketonuria (PKU) is the first inherited metabolic disease of which treatment is known. We performed this study to find out clinical symptoms and prognosis of tetrahydrobiopterin (BH4) responsive PKU patients and genetic relation. Methods: Clinical, biochemical, genetic analysis were done retrospectively in 23 patients diagnosed BH4 responsive PKU in Soonchunh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March 2000 to September 2012. Results: Patients were classified to mild hyperphenylalaninemia and mild phenylketonuria with initial plasma phenylalanine level below 20 mg/dL. After BH4 loading, blood phenylalanine decrease level ranged between 37% and 99%. Initial treatment with low phenylalanine formula or BH4 was started before 2 month after birth except 2 patients. And one of them resulted in developmental delay in language and social activity. The others showed satisfactory progress without developmental delay. In genetic analysis, of 46 allele, R241C allele mutation was identified most commonly (41%). R241C/A259T, R241C/R243Q, R241C/V388M, R241C/T278I was detected in 5 (21.7%), 3 (13%), 2 (8%), 2 (8%) patients, respectively. Conclusion: R241C mutation was detected most frequently in this study group and R243Q mutation which is known to be prevalent in Korean PKU patients was found in 4 patients (8.6%). Early diagnosis and treatment is important in PKU patients.

      • KCI등재

        시대적 변화에 따른 국립현대미술관 공간 변화에 관한 연구

        이민희 ( Lee¸ Minhee ),김주연 ( Kim¸ Jooyun ),김원길 ( Kim¸ Wo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 배경 및 목적) 국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예술은 정치·사회·환경적 변화에 따라 시대적 변화를 보여준다. 본 연구는 시대적 변화에 따른 우리나라 국립 미술관의 공간 변화에 주목하고자 한다. 국립 미술관의 건축적 변화의 분석과 해석이 아닌 환경적 변화와 미술관 역할의 변화 양상에 따른 기능적 변화를 중심으로 접근하고자 하며, 기존의 미술관 공간 연구가 건물의 외관, 내부 물리적 공간의 분석 등 건축학 측면으로 연구가 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미술관 환경의 변화, 운영의 변화, 미술 전시의 변화, 즉 기능적 측면에서 미술관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국립 미술관의 시대적 변화를 이해하고, 변화의 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의 미술관의 공간 운영 전략을 위한 학술적 연구 자료로 활용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미술관 공간의 변화의 이론적 고찰을 위하여 문헌 연구를 기반으로 진행한다. 미술관 공간의 변화를 시대적, 운영적, 사회 요구적 변화로 나누어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미술관 공간을 변화하게 하는 요인으로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측면의 세 가지로 분석한다. 이를 토대로 분석의 틀을 마련하여 미술관 공간의 변화에 대해 검증한다. (결과) 분석 결과, 오늘날 미술관 공간은 장소성이 높게 나타나며, 미술관의 특성을 가장 잘 나타내는 요인으로 분석된다. 미술관의 기능적 측면의 변화로 인한 공간의 특성은 기관의 면적과 규모가 클수록 전시·교육·연계 문화 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접근성이 우수하다고 해서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 지속성이 비례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관람 서비스 측면으로는 휴게공간이 더 넓게 제공될수록 사용자의 편리성과 이용빈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오늘날 미술관의 공간 형태는 규모가 커질수록 ‘복합문화공간’으로의 역할을 수행하며, 기능적 특성인 참여성과 공공성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환경적, 기능적, 관람 서비스적 변화가 미술관의 공간 운영 형태를 변화하게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의 국립 미술관 공간 활용 계획에 앞서 참고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art, the trends of the times for people to enjoy culture have changed with political, social, and environmental changes. The National Museum of Arts has a duty to ensure that the right of enjoyment of culture is recognized as a people's basic right. This study focuses on the spatial changes of the National Museum of Arts in Korea. It tries to derive each factor by analyzing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diachronically, and class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s. This study should serve as academic research material for the space operation strategy of the art museum in the future, by understanding the changes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and the trends of the times. (Method) This study proceeded on literature reviews fo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It analyzed spatial changes by dividing them into periodic, operational, and socially demanding ones, and then analyzed the factors of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from three aspects: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 The study then prepared a framework for analysis to verify the spatial changes in the art museum.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high placeness in the art museum, a factor that best represen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rt museum. The functional change in the art museum showed that the larger the area and scale of the institution, the higher the participation and publicity, as it has run various programs for exhibitions, training, related cultural events, and so on. However, excellent accessibility was not proportional to the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publicity, and persistence. In terms of viewing service, except for exhibition halls, the more rest facilities built, the more convenient and usable, and participation and public performance appeared in the same indicators. (Conclusions) This study showed that the spatial form of art museums today becomes a “complex cultural space” as its scale increases, with significant function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and publicity. Therefore, changes in environmental, functional, and viewing services dictate how art museums use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function as basic reference material in the future, when planning space utilization in the National Museum of Arts.

      • KCI등재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환자의 극복력 관련 요인

        이민희,박민정,Lee, MinHee,Park, MinJeo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10

        This study was aim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uncertainty, social isolation, social support and resilience of coronavirus infectious diseases-19 (COVID-19) patients and to identify factors related to resilience. Data were carried out from March 7 to May 5, 2021, and a total of 200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 WIN 24.0 program.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lower the sense of social isolation,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the satisfaction with the explanation of isolation and the economic status of 'medium' were identified as related factors for resilience. Based on the above results, a systematic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resilience of COVID-19 patients including strengthening social support through families and health care providers, reducing social isolation through non-face-to-face counseling, providing sufficient information about diseases, and providing economic support.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올림픽 마스코트 디자인 연구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수호랑’ 중심으로-

        이민희 ( Minhee Lee ),이재익 ( Jaeik Lee ) 서경대학교 디자인연구소 2019 디자인 이노베이션 연구 Vol.4 No.0

        올림픽은 최대의 국제 스포츠 경기일 뿐만 아니라 경기 후 커다란 파생효과를 일으키며 전 세계 각국의 경제발전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특히 상품문화산업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으며 그 중심에 있는 것이 ‘올림픽 마스코트’이다. 본 연구는 역대 올림픽 마스코트를 이론적 고찰을 통해 분석하고 5개의 디자인 요소를 중심으로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마스코트 ‘수호랑’과 2020년 도쿄 하계 올림픽 마스코트 ‘미라이토와’를 함께 사례연구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올림픽 마스코트 디자인은 의인화 형태로 얼굴과 몸의 비율이 짧고 몸의 굴곡이 유연하다. 둘째, 이목구비를 포함하여 몸의 구조가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지만 마스코트의 개성을 살린 특징을 강조한다. 셋째, 추상적이지 않고 구체적인 모티브가 있는 경우 대중들에게 친근감을 불러일으키며 인기가 높다. 또한 글로벌 상품 문화적 가치가 높은 올림픽 마스코트는 친근한 동물 소재의 이목구비가 단순한 얼굴과 팔, 다리, 몸통 형태로 기획 개발 되어졌으며, 개최국인 그 나라의 전통과 개성, 특징을 바탕으로 하되 외향적으로 너무 전통적인 부분을 강조하기 보다는 전 세계인에게 친근한 모습의 이미지로 디자인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Olympics are not only the biggest international sporting event, but also the post-competition derivatives are so large that they affect economic development around the world. In particular, the Olympic mascot is closely related to and at the center of the product culture industry.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his study analyzed past Olympic mascots and conducted case studies with the mascots of 2018 PyeongChang Winter Olympics Suhoerang and 2020 Tokyo Summer Olympics mascots Miritowa focusing on five design elem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Olympic mascot design has a short ratio of face and body in the form of personification and is flexible in body flexion. Second, the structure of the body, including features and features that enhance the individuality of the mascot, is simple and not complex. Third, when there are specific motifs that are not abstract, they are popular, creating familiarity with the public. Also, the Olympic mascot with high global product cultural value was designed and developed in simple face, arms, legs and torso form, and was designed as an image of being friendly to people around the world, rather than emphasizing the tradition, individuality and features of the host country, but externally too traditional.

      • KCI등재

        유전성 비만 마우스에 대한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

        이민희(Minhee Lee),남다은(Da-Eun Nam),김옥경(Ok Kyung Kim),심태진(Tae Jin Shim),김지훈(Ji Hoon Kim),이정민(Jeo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4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3 No.10

        본 연구에서는 유전성 비만 마우스를 이용하여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항비만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연구내용을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의 섭취 농도를 식이의 1%와 2%로 정하고, AIN93G diet에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 분말을 1%와 2% 섞어 diet를 제작하였다. 실험 식이를 8주간 제공한 후 실험 종료 시 실험군들의 체중 변화는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를 측정한 결과 간의 무게와 지방조직의 무게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실험동물의 혈청 지질 함량은 TG, TC, LDL-콜레스테롤이 ob/ob군에 비해 감소하였으나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고, HDL-콜레스테롤은 고농도 섭취 시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diponectin 유전자의 발현은 ob/ob군이 가장 낮았고, 실험식이 섭취군들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Adipogenic enzyme과 transcription factor인 FAS, LPL, PPAR-γ, C/EBP, SREBP 유전자의 발현은 ob/ob군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실험식이 섭취군들은 ob/ob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다. 전반적으로 본 실험에서는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leptin 유전자가 결핍된 비만 동물 모델에서 체중 감소 및 혈청 지질 함량을 개선시켜 주는 효과가 있고, adipogenic enzyme과 transcription factor 조절에 유익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아프리칸 망고 추출물이 항비만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nti-obesity effects of African mango (Irvingia gabonesis, IGOB 131™) extract in leptin-deficient obese mice. Experimental groups were treated with two different doses of IGOB 131™ (1% and 2% in each AIN93G supplement) for 8 weeks. Treatment of obese mice with both low and high dose of IGOB 131™ significantly reduced body weight gain by 10.9% and 13.3%, respectively, compared to control obese mice. Subcutaneous adipose tissue weight of mice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18% by low-dose and 23% by high-dose supplementation. This result was supported by micro-CT analysis around the abdominal regions of mice, indicating that the adipose tissue area and volume were significantly reduced by treatment with IGOB 131™. Serum levels of triglycerides in the low- and high-dose groups were reduced by 36.5% and 43.8%, respectively, upon treatment with IGOB 131™, whereas total cholesterol levels were reduced by 31.8% and 35.4%. Interestingly, the serum LDL level decreased upon treatment with IGOB 131™ while the serum level of HDL dramatically increased upon high-dose treatment with IGOB 131™, resulting in a significant reduction in the LDL to HDL ratio of 59.2%. These results were supported by the expression levels of enzymes and proteins related to lipid metabolism assessed by real-time PCR.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of in adiponectin expression as well as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expression of FAS, LPL, and lipid regulatory transcription factors such as PPAR-γ, C/EBP, and SREBP upon both low- and high-dose IGOB 131™ treatment.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low- and high-dose treat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GOB 131™ is able to regulate the serum lipid profiles by reducing triglyceride and increasing HDL levels as well as regulate expression of lipid metabolic factors, resulting in reduction of a weight gain in leptin-deficient obese mice.

      • KCI등재

        새싹보리 열수 추출물의 혈행 개선 효과

        이민희(Minhee Lee),김다경(Dakyung Kim),박수정(Soo-Jeung Park),이다솜(Dasom Lee),최다빈(Dabin Choi),최병국(Byung-kuk Choi),김기만(Ki Man Kim),이정민(Jeongmin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8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7 No.1

        본 연구에서는 새싹보리 열수 추출물의 혈행 개선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혈행 개선 관련 biomarker인 세로토닌분비, 트롬복산 A₂(TxA₂) 생성, 혈소판 응집, 활성화 프로트롬보플라스틴 시간(aPTT) 및 프로트롬빈 시간(PT)을 측정한 결과, 새싹보리 열수 추출물의 100, 200 μg/mL의 농도로 처리 시에는 세로토닌 분비, TxA2 생성, 혈소판 응집 억제, aPTT 및 PT에 효과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새싹보리 열수 추출물의 400 μg/mL의 농도로 처리 시에는 세로토닌 분비 및 TxA₂ 생성, 혈소판 응집을 억제시키고 aPTT를 유의적으로 지연시키는 것을 확인하였고, 이러한 결과가 혈행을 개선하는 기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새싹보리 추출물이 혈행 개선 효과를 가진 천연 기능성 식품의 개발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Barley sprout (Hordeum vulgare L.) is believed to have antioxidant, lipid metabolic, anti-cancer, and anti-fatty liver formation effects. However, the benefits of barley sprout to improve blood flow have not been studied ye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blood flow improvement effect of barley sprout water extract in vitro on serotonin release, thromboxane A2 release, platelet aggregation,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nd prothrombin time-induced microvesicle generation. Serotonin secre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400 μg/mL of barley sprout water extract as compared with 0 μg/mL. Thromboxane A2 secretion from the phospholipid membrane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400 μg/mL as compared with 0 μg/mL. Platelet aggregation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400 μg/mL as compared with 0 μg/mL.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in plasm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t 400 μg/mL as compared with 0 μg/mL. Prothrombin time in plasma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barley sprout water extract at 400 μg/mL ameliorated blood flow.

      • KCI등재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시기 전시 디자인 연출 특성에 관한 연구

        이민희 ( Lee Minhee ),김주연 ( Kim Jooyun ),김원길 ( Kim Wongil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전시의 경향은 콘텐츠와 전시 환경의 통합적 계획을 필요로 하는 공간 경험의 전시들이 주를 이루고 있다. 대중의 문화·예술 향유 욕구는 경험을 통하여 충족되어지며, 경험적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양질의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전시디자인 연구가 다각도로 이루어져야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시 디자인의 공간 경험에 대한 연구가 활발했던 20세기 초아방가르드 시기의 전시 디자인에 주목하고자 한다. 아방가르드 시기 대표 미술 전시들을 통해 전시디자인 특징을 시대적 측면에서 살펴보고, 동시대 현대미술 전시디자인의 공간 체험적 연출요소로 활용할 수 있는 유효한 디자인 특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아방가르드 전시의 특징을 분석하고 아방가르드 전시의 계획 방법, 계획 요인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행한다. 아방가르드 시기 전시 디자인의 특성을 추출하여 공간적, 상호 관계적, 형태적 측면으로 분석하였고, 연출에 대한 세부 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세부 요인을 분석의 틀로 계획하여 아방가르드 시기의 대표성을 띠는 현대 미술 전시에 적용하여 새로운 공간 경험에 대한 디자인 특성과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사례 분석 결과, 20세기 초아방가르드 시기를 대표하는 전시의 전시디자인 연출 요소는 관람자와의 상호 관계적 연출 요인에 따라 영향의 차이가 있지만 구축성, 역동성, 비선형성 연출 요소에 따른 공간의 확장적 특성과 동적 시각성, 공간 인식성에 따른 형태적 연출의 응시적 특성이 가장 많은 부분 나타나고 있음을 보여준다. (결론) 본 연구는 20세기 초 아방가르드 시기에 기존의 것을 타파하고 새로운 것에 대한 실험적 욕구들이 분출되면서 전시 환경에 있어서 공간적 경험이 중요시되었음을 보여준다. 또한 전시 디자인의 연출 특성이 관람 환경과 관람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음을 시사한다. 공간 경험을 위한 전시 디자인 연출 특성은 구축성과 역동성, 비선형성 요인을 통해 공간의 확장적 특성이 나타나야 하며, 시각 영역 계획을 통한 형태적 연출의 특성이 나타나야 한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향후 현대 미술 전시 디자인의 전시 환경과 몰입도 높은 공간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계획의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recent trend of exhibitions is characterized by the exhibition focusing mainly on spatial experiences that require the integrated plan of contents and exhibition environment. Thus, this study was intended to focus on exhibition design of the avant-garde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which studies on the spatial experience of exhibition design were conducted vigorously. We intend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hibition design through the perspective of fine art exhibitions representative of the avant-garde period and to analyze the valid design characteristics so as to use them as the directing elements of modern art exhibition design in contemporary times. (Method) As methodology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avant-garde exhibition was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along with that,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on the planning methods and planning factors of avant-garde exhibitions.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esign in the avant-garde period were extracted and analyzed from spatial, interrelational, and morphological aspects, and the detailed factors for directing were derived. The derived detailed factors were planned as a framework for analysis and were applied to modern art exhibitions representative of the avant-garde period so as to analyze the design characteristics and factors for novel spatial experiences. (Results) The results of analysis showed that the directing elements of design for exhibitions representing the avant-garde period in the early 20th century had differences in terms of influence according to the directing factors of interrelation with the audience, but there was a preponderance of the extended characteristics of space according to constructability and dynamicity of the directing elements and nonlinear directing elements, along with the stare-like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ical directing according to the dynamic visuality and spatial recognitio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patial experiences was considered important in the exhibition environment as the existing ones were overthrown and experimental desire surged for new things in the avant-garde period at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In addition, it suggests that the directing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esign could lead to formation of the viewing environment and viewing attitude. The exhibition design directing characteristics for spatial experience requires the expandabl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to be manifested through the constructability and dynamism of factors and non-linearity factors, and furtherm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rphological directing should manifest itself through visual domain planning. Aforesaid results of this study are intend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plan necessary for providing the exhibition environment of modern art exhibition design and highly immersive space experience in the period ahe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