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공디자인에서 지면밀착형 사인 활용에 관한 연구

        전성숙 ( Seongsuk Jeon ),박성룡 ( Seong-ryong Park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보행 중 스마트폰 사용률이 높아지며 스마트폰 관련 교통사고가 5년 전에 비해 두배 이상 증가했다. 스마트폰의 보급이 보행자들의 보행습관을 크게 바꿔놓은 것이다. 이 변화는 보행자들이 스마트폰에 시선을 빼앗겼을 뿐 아니라 중요한 정보들을 놓침과 동시에 안전마저 위협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보행자들은 사인을 통해 목적지로 향하는 방법을 탐색 및 결정한다. 그 일련의 과정에서 사인은 보행자에 길 찾기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 다른 여러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래서 정보의 적절한 수용은 도시민이 도시를 이용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방법이며, 이 점에서 현대 도시공간은 언제나 시대에 맞는 적절한 디자인 대책을 요구해왔다. 이런 사회현상은 공공디자인에 있어서 사인 시스템의 새로운 활용 방법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공디자인 측면에서 새로운 보행 환경에 적합한 지면밀착형 사인의 적절한 활용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먼저 공공디자인에서 사용되는 사인의 개념과 종류를 파악하고, 새로운 보행 환경에 적합한 사인 체계로서의 지면밀착형 사인의 개념을 제언한 뒤 체계화하여 분류 및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지면밀착형 사인이 활용된 통합적 사례들을 조사 및 분석해 기대효과 및 가치들에 대해 소개한다.(결과)지면밀착형 사인은 첫째로 통합정보디자인으로서의 디자인 다양화에 기여하고 정보전달을 극대화할 것으로 기대되며, 둘째로 기존 입체적 사인 물들을 정돈해 도시경관을 개선할 것으로 예상된다. 셋째로는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 공공재로서의 폭 넓은 활용이 예상된다. 시각적으로 낮은 곳에 위치하는 만큼 스마트폰 사용자, 보행자, 휠체어 이용자, 어린이, 노인까지 총 망라할 수 있는 활용이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면밀착형 사인은 접근성과 설치 및 안전 관리에 유리함을 가진다. (결론)디자인 영역에서 사인이 중요한 연구로 여겨져 왔음에도 불구하고, 지면을 활용한 사인에 집중한 연구가 부재하다는 것은 사인에 대한 고정관념의 반증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지면밀착형 사인 역시 결국은 사인의 한 형태라는 점에서 향후 다양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사인이 가진 본질적 측면보다 지면을 활용한 한정된 종류의 활용 측면을 제시한 점은 한계로 남지만 이 연구를 필두로 시대와 행동양식의 변화에 맞춰 사인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가진 연구들이 다양하게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smartphone use while walking increased, and traffic accidents related to smartphones increased to more than twice the rate of five years ago. This demonstrates that the spread of smartphones has greatly changed pedestrians` walking behavior. This change means that they miss important information, which threatens their safety, because they are distracted by smartphones while walking. Pedestrians explore and decide how to reach destinations through signs. In this process, signs play the role of conveying various types of information to them, including that about roads. Therefore, proper reception of information is very important for citizens in city life. In this respect, a proper design policy that keeps pace with the times is necessary in modern urban spaces. This social phenomenon indicates a need for study on a new, applicable sign system in public designs. Thus,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design, the present study intends to propose an appropriate method for using signs near the ground, which is suitable for the new walking environment. (Method)This study first reviews the concepts and types of signs used in public design, puts forward an idea for ground-attached signs as a suitable sign system for the new walking environment, and then categorizes and proposes the system. Last, this study examines and analyzes cases where ground-attached signs were used and explains the expected effects and values in an integrated manner. (Result)First, ground-attached sign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a diversified design as an integrated information design and to maximize information conveyance. Second, the existing cubic signs will be re-arranged, and thus the urban landscape will improve. Third, ground-attached signs will be used in various ways and areas as public goods from the viewpoint of universal design. Since they are positioned visually low, they can be more easily noticed by smartphone users, pedestrians, those using wheelchairs, children, and senior citizens. Last, ground-attached signs have some advantages in accessibility, installation, and safety management. (Conclusion)Although signage has been regarded as an important area for design research, no studies have been attempted regarding ground-based signs, which evidences that researchers are constrained by stereotypes about signs. Now that ground-attached signs are also one of the types, additional studies will be compelled to follow. Although the present study admits that it is limited to a certain type of a sign (ground-positioned sign) instead of examining the essential nature of signs, it also finds significance in that this study is the beginning of a new perspective on signage from which a variety of studies are expected to follow to keep abreast with changing trends and lifestyles.

      • KCI등재

        한글 간판 디자인 선호도에 대한 탐색적 연구

        이유진 ( Youjin Lee ),박진애 ( Jinae Park ),정주애 ( Jooae Jeong ),전성숙 ( Seongsuk Jeon ),정진우 ( Jinsoo Ju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3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종로구청이 진행하고 있는 간판 디자인 개선 사례로부터 영문 브랜드 간판 디자인과 개선한 한글 간판 디자인을 비교하여 흥미 정도와 선호 정도의 차이를 측정한 것이다. 이는 범람하고 있는 영문 브랜드 간판 디자인 속에서 고군분투하는 한글 간판 디자인의 현주소를 확인하고 향후 한글 간판 디자인 개선에 있어 필요한 논의를 이끌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영문 브랜드 간판 중에서 한글 간판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하며, 개선 이전에 설치되었던 영문 간판 디자인과 개선 이후에 설치된 한글 간판 디자인을 실험 연구의 범위로 택했다. 특히 음료(커피 전문점), 전자·통신(대리점 포함), 제과·식품의 업종별 간판 디자인을 총 18개로 선정한 후, 간판 디자인의 흥미 정도와 선호 정도를 측정하기 위해 정서적 주의도, 조형적 호감도, 이지적 선호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단행했다. 측정에 사용한 의미 분별 척도는 국어형용사 의미 분류 방법에 따라 상관적 형용사와 비상관적 형용사에서 총 6개를 추출하여 양 끝 척도로 완성했다. (결과) 분석 결과, 영문 브랜드 간판 디자인이 정서적 주의도, 조형적 호감도, 이지적 선호도에서 우세했으나 한글 간판 디자인과 비교했을 때 그 차이가 현격히 두드러진다고 볼 수 없었다. 특히 KT, 올레, 배스킨 라빈스, 던킨 도너츠의 한글 간판 디자인은 영문 브랜드 간판 디자인과 비교했을 때 그 차이 값이 척도 반 개 정도에 해당했다. 이것은 한글 간판 디자인으로 개선했을 때 브랜드의 정체성에 영향을 미칠지도 모른다는 선입견이나 편견이 기우에 불과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그러나 조형적 호감도를 묻는 문항에서 한글 간판 디자인에 대한 호감도는 10대~30대 여성의 값과 40대 이상 남성의 값이 두 집단으로 나뉘어 대립하는 양상을 보였다. 즉, 같은 한글 간판 디자인(던킨 도너츠, 배스킨 라빈스)을 보고도 10대~30대의 연령층은 `촌스럽다`는 응답률이 높았으나 40대 이상 남성 연령층에서는 `세련되다`는 응답률이 더 높게 나왔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해당 문항은 연령층에 따라 다른 해석의 차이가 나타나고 있었다. (결론) 이번 연구에서는 한글 간판 디자인과 영문 간판 디자인의 호감 정도와 선호 정도가 브랜드마다 다르지만, 그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문 브랜드 간판을 한글 간판으로 개선할 때 연령층에 따라 다른 해석의 차이를 보이므로 인구통계학적 의미 해석의 문제를 조율하기 위한 평가 도구 개발이 시급하다는 점도 파악되었다. 그러므로 더욱 과학적인 간판 디자인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과 아름다운 한글 간판 디자인의 요건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가 향후 과제로 남는다. (Background and Purpose) This study compared English signboards to Korean-language signboards based on the improvement of signboard design launched by Jongno-gu Office, and measured differences in interest and preference. The ultimate goal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language signboards amidst a flood of English ones and bring up discussion on improving Korean-language signboards. (Method) For this study, cases of participating in the Korean-language signboard design improvement program in Jongno-gu, Seoul were analyzed. In terms of scope, English signboards installed prior to this program and Korean-language ones installed after the program began were compared. In particular, 18 different signboard designs were selected by business type: beverage (coffee shop),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 (agencies included), and bakery and food. To measure the level of interest in and preferences for signboard design, a questionnaire survey covering emotional attention, formative liking, and intellectual preference was given. For scale of measurement, six words were extracted from correlative and non-correlative adjectives, according to the Korean Adjective Meaning Classification Method, and the semantic differential was completed. (Results) The study results found the following: English signboards were superior in emotional attention, formative liking, and intellectual preference. When compared to Korean-language ones, however, no considerable difference was found. In KT, Ollie, Baskin Robbins, and Dunkin` Donuts, in particular, the difference between English and Korean signboards was as small as a half scale. In other words, there is no evidence that Korean-language signboards have a negative effect on brand identity. In questions about formative liking, however, liking of Korean-language signboard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women ages 10 to 39, and men aged 40 or older. Specifically, those in the 10-39 group said that Korean-language signboards (Dunkin` Donuts, Baskin Robbins) were “corny,” while men in their 40s or older responded that they looked “refined.” In other words, different responses were observable by age. (Conclus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even though there is some difference in liking and preference between Korean-language and English signboards, it is not very large. Furthermore, different responses were found by age when English signboards were redesigned into Korean-language ones. Therefore, it is urgent to develop an assessment tool to coordinate a matter of interpreting demographic meanings. In sum,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tool to assess signboard design in a more scientific manner and investigate the requirements for more beautiful Korean-language signboards in future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