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앨리스 샤프(Alice H. Sharp)의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7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7

        본 논문은 1908년에 재내한하여 1939년까지 충청지역 여성 전도사업과 교육사업을 위해 헌신했던 앨리스 샤프 선교사의 선교 업적을 정리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작성하였다. 앨리스 샤프가 충청지역에서 벌인 선교 사업은 크게 순회전도여행, 사경회, 전도부인 양성, 그리고 교육 사업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8년 공주로 돌아오자마자 순회전도 여행을 시작하였다. 1년 중에 상반기에는 사경회를, 하반기에는 순회전도여행에 집중하였다. 1909년만 해도 73곳의 교회와 마을을 방문했다. 쉬지 않고 순회전도활동을 한 결과, 선교사업을 재개한지 5년만인 1913년에는 동 지방에 여성교인이 남성교인의 수를 넘어서는 놀라운 사실을 기록했다. 앨리스 샤프가 여성선교를 착수한 지 12년만인 1916년, 마침내 남자들이 독점하고 있던 ‘홀아비 교회’를 탈피하게 되었고 여자교인수가 남자교인수를 넘어서게 되었다. 사경회 진행 횟수는 해마다 늘어 1929년에 이르면 49회에 달했다. 1916년에는 ‘가정성경공부 과정’(Home Study Course)을 개설했다 전도부인 양성 훈련 역시 중요한 사역이었다. 앨리스 샤프는 1909년 공주에서, 1910년에는 논산에서 전도부인 양성을 위한 강좌를 열었다. 1916년에 ‘십일조회(날연보, tithing class)’를 개설하였고 1922년에 공주에 성경학원이 세워졌다. 앨리스 샤프와 더불어 충청지역 여선교사들이 추구했던 여성교육의 긍극적 목적은 ‘여성차별적인 무지한 관습과 미신에서 진리로의 해방’이었다. 이를 위해 설립한 학교는 공주·논산·강경을 포함하여 최소한 20개가 넘었다. 또한 강경·홍성·진천·대전·논산 등지에 유치원도 설립하였다. 앨리스 샤프를 통하여 복음과 교육을 받아들인 충청지역 여성들은 하나님의 자녀로서 “새로운 여자가 되었다”고 고백하며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갔다. 앨리스 샤프는 실로 ‘충청지역 여성교육의 어머니’라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This article has written to describe the achievement from mission work by Ms. Alice Sharp which had been conducted in Chung-cheong region where she devoted her potential from 1908 to 1939. Mostly, Sharp"s Mission work primarily consist of Mission Itinerating travel over the work, Bible study, Women Training and education work. Soon after she came back to Kong Ju, she concentrated on mission tour to visit 73 churches and village on 1909. From this committed effort, five years after she re-started her mission work, the number of women believers outstanded that of men, surprisingly. The ‘widower churches’ had broken from the convention and soon became Women"s church. Bible study was taken place more and more frequently so that its number increased about 49 times a year in 1929. Moreover in 1916, ‘Home Study Course’ had been opened. Training Bible women was also the very important work of her mission. Sharp had opened the lecture at Kong Ju, 1909, but also started at Non-san next year. Furthermore, She opened Tithing class in 1916 and established Bible school at Kong Ju. Including Sharp, Female Missionaries" ultimate purpose on same age was ‘Liberation from ignorant tradition and convention and Advancement to Holy Truth’. For this goal, missionaries established more than twenty schools and kindergartens all around in Chungcheong region. Those who became Christian through Sharp’s effort confessed that they"ve born in new way and tried to find their own identity. To sum, It would be not an exaggeration that Mrs. Sharp is the ‘Mother of Education in Chung-cheong’.

      • KCI등재

        선교사 마렌 보딩(Maren Bording)의 공주ㆍ대전 지역 유아(乳兒)복지와 우유급식소 사업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1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34 No.-

        여선교사 마렌 보딩(Maren Bording, 한국명 보아진)은 1923년 미 감리회 해외여선교회(The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에 의해서 공주로 파송받았다. 공주로 오자마자 공주에서 의료선교를 하고 있던 파운드(Norman Found)와 함께 순회 방문 진료를 시작하였다. 집집마다 부녀자와 아기들의 진료를 하던 가운데 먹을 것이 없어 생명 부지뿐 아니라 건강하게 살아가지 못하던 한국유아들을 목격했다. 파송된 이듬해인 1924년 본격적으로 유아복지(Infant Welfare) 사업을 착수 하였다. 우선 진료소 방 한 칸에서 ‘유아진료소’를 시작하였다. 아기들의 질병과 건강관리를 주로 하였다. 유아를 위한 순회 방문 진료 역시 계속해 나갔다. 그러나 영양부족으로 인하여 사망하거나 질병에 걸리는 경우는 여전하였다. 이윽고 시작한 것이 ‘우유급식’사업이었다. 그녀는 보고서에서 “나는 1살 내지 3살짜리 아이가 하루에 1~2병의 우유를 먹을 수 있다면, 질병으로부터 보호하는데 있어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고 하였다. 1926년 6월에 공주에 한국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우유급식소(Milk Station)’를 정식으로 열었다. 공주의 유아복지와 우유급식사업의 성과는 사업을 시작한지 불과 2~3년만인 1927년 보고서에서 한국의 전체 사망률 35%에 비하여 공주의 유아복지 혜택을 받는 유아 사망률은 5%라고 보고할 정도였다. 이 사업은 다른 선교지역인 서울과 제물포, 평양, 해주로 확대되었다. 공주유아복지사업은 다양하게 진행되었다. 소녀들에게는 위생학을 가르쳤고, 1927년 봄에는 공주유아복지센터(영아원)에 공중위생간호 학원(Post-Graduate Course)이 설립하였다. 또 다른 새로운 특색 사업으로 산전(産前) 클리닉과 조산(Prenatal and Midwifery Care) 프로그램이 있었다. 산전클리닉과 출산, 출산 후 섭생과 신생아 돌보는 일, 우유 급식, 탁아소 그리고 더 나아가서 사업에 필요한 인력 양성까지 자연스러운 시스템으로 진행되었다. 공주의 유아복지와 우유급식 사업은 1932년 공주에 있던 도청이 대전으로 옮겨가면서 대전지역에도 공주와 똑같은 사업을 실시하게 되었다. 공주와 대전에 세워진 유아복지센터를 보딩은 ‘Baby Life Saving Stations’(유아생명 구조본부)라고 불려지기를 원했다. “더 나은 건강과 더 행복한 가정을 위해 손을 펼치고, 더 나아가 지역사회를 도우며 영향력을 끼치게 하기” 위해서였다. 선교사 보딩의 ‘아기 생명 사랑’에는 국경이 없었다. 암울했던 민족적 상황에서 버려지고 방치되어 있던 충남을 아우르는 공주와 대전지역의 조선아이들 뿐만 아니라, 부모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던 일본아이들까지 돌봄으로써 그리스도의 사랑을 몸소 실천하였다. Maren Bording, who is woman missionary, was sent to Gongju in Korea by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in 1923. Arriving at Gongju, She began to do medical work with Dr. Norman Found who had performed medical missionary therein. During her medical missionary, she witnessed Korean babies who could not survive daily life for the lack of food. She launched infant welfare project in earnest in 1924 just one year after she came in Korea. So she opened baby clinic center at a small room in the hospital. She mainly took care of children's disease and health and kept round visiting care. But there are many children who died of malnutrition and serious disease which could not be controlled by her. She figured out new work, milk station project, to protect children's health from malnutrition. She reported, “I found that if children from 1 year to 3 year have one or two bottle of milk a day they can live well without serious disease. so finally my project may be successful.” Under this situation Milk Station opened formally in the first time at korea in 1926. The performance of Milk Station and children's welfare project in Gongju was great. By the 1927 report just 2 or 3 years after the project began, the children's death rate of Gongju was very little 5 % compared with 35 % total in korea. This project which could be good model at that time extended to seoul, Jemulpo, Pyongyang and Haeju and was kept going well variously. Girls could learn hygienics by the project and Post-graduate course of public hygienics nursing was established early in 1927. Also there are other new character projects like prenatal clinic and prenatal and midwifery care. Prenatal clinic and childbirth, care of health after delivery and care of baby, supply of milk, kindergarten, and furthermore education of manpower and so forth worked successfully with good system. The Gongju project was carried out in Daejun similarly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seat of a provincial main office from Gongju to Daejun in 1932. Maren Boarding wanted baby welfare center to be called ‘Baby Life Saving Stations’ so that it may help and influence on the local community for the better health and family. There is no National boundary of love for the baby's life. She practiced christ's love by herself by caring children who were korean or japanese abandoned from society in Daejun and Gongju under the circumstance of National darkness and frustration.

      • KCI등재

        1920년대 내한(來韓) 여선교사들의 공중보건위생과 유아복지사업

        황미숙(Mee?Sook Hwang) 한국기독교학회 2017 한국기독교신학논총 Vol.103 No.-

        본 논문은 여성선교사들이 벌인 선교사업 중에 1920년대 공중위생보건사업과 유아복지사업에 대하여 그 내용과 성과 및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자 작성하였다. 19세기 말 내한하기 시작한, 초기 기독교(개신교) 선교사들은 교육과 의료를 중심으로 선교활동을 하기 시작하였다. 여성과 어린이에 대한 의료 활동은 정동 보구여관, 동대문 부인병원, 평양 여성병원(후에 평양연합기독병원)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초기 여성과 어린이를 위한 의료사업이 1920년대에 이르러 공중보건위생사업과 유아복지사업으로 확장되었다. 공중위생보건과 유아복지사업은 의사나 간호사 자격을 가진 여선교사들이 한국인의 위생상태와 유아사망률의 심각성을 인식한 데서 비롯되었다. 특히 유아들은 불결한 환경에 노출되기 쉬운 약자였기 때문에 공주보건위생사업과 유아복지사업(Public Heath and Child Welfare Work)은 함께 진행되었다. 내한 여선교사들은 서울을 비롯하여 인천, 해주, 평양, 영변, 공주, 개성, 원산, 춘천 선교 스테이션에 사회복지관을 설립하여 각종 복지사업을 벌였다. 공중보건위생사업은 서울 태화복지관에서 1924년 1월 25일 선교사 로젠버거(Elma Rosenberger)와 한국인 간호사 한신광에 의해 처음 시작되었다. 사업의 내용은 크게 특별강연을 통한 계몽사업과 건강검진사업 두 가지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유아복지사업은 1924년 1월 공주 스테이션의 마렌 보딩(Maren Bording)에 의해서 처음 시작되었다. 사업의 내용은 건강아기 진료소, 산전관리, 가정방문, 학교건강검진, 위생 강연, 자모회, 무료 목욕소, 우유급식사업, 1년에 한 번 간호사들을 위한 건강 학원, 예방접종, Out–patient obstetrical, 육아법에 관한 간호와 교육, 베이비 주일 등 다양했다. 1930년대에 이르러 사업은 교파를 초월하여 확대되었으며 사업의 성과가 나타났다. 「동아일보」 1926년 8월 24일자에 보도된 5세 미만 사망률이 49.6%였던 것이 유아복지의 혜택을 받은 곳의 유아사망률은 5%에 불과할 정도로 현저하게 성과가 나타났다. 1931년 10월 14일자 「기독신보」는 마마와 호열자로 죽는 50세 전후의 사람들이 현저하게 줄고 있을 정도로 질병이 감소하였다고 보도하였는데, 치료방법과 예방법 실천 때문이라고 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conduct research on the contents and fulfilment of public health campaign and child welfare program driven by 1920’s female Protestant missionaries and to analyse the historical contexts. In the late 19th century, the early Protestant missionaries who arrived in Korea started their missions especially focused on education and medical services. The medical services for women and children were offered in the Poku Nyo Kwan, East Gate Women’s hospital, and Pyeong-yang Women’s Hospital. Since female missionaries with medical licenses had been shocked by severe hygiene problem and death rate of Korean children, these services had been extended up to national public health programs and child welfare services. Especially, the children were easy to be exposed to unclean environment. For this reason, public health and child welfare work had to be progressed together. In January 25, 1924, Elma Rosenberger and Han Sin–kwang(한신광) started their work at Seoul Tai Wha Welfare Center(Social Evangelistic Center). Early program was divided into enlightenment lectures and medical checkup for Koreans. Later, the female missionaries in Korea established social welfare center at mission station in Seoul, Incheon, Haeju, Pyeongyang, Yeongbyeon, Gongju, Gaesung, Wonsan, and Chuncheon. Moreover, Maren Bording concentrated her effort on the children’s welfare program from 1924 on. Her work included welfare program such as baby clinic, prenatal, home visiting, school health examination, hygiene lecture, mother’s class, free bath, milk station, nurse academy(annual), vaccination, out–patient obstetrical, maternity class, baby week, etc. In the 1930s, welfare work expanded beyond denomination and made a great fulfillment. According to 「기독신보」 published in October 14th, 1931, death rate around age 50 who were killed by smallpox and cholera remarkably decreased thanks to medical prevention and cure. Furthermore, as reported in 「동아일보」, August 24th, 1926, the infant mortality rate dropped drastically from 49.6% to only 5% in the area which had been served by children welfare programs.

      • KCI등재

        미국 북감리회 선교사 프랭크 윌리엄스(F.E.C. Williams, 禹利岩)의 교육사업과 농촌선교사상

        황미숙 ( Hwang Mee Sook ) 한국교회사학회 2022 韓國敎會史學會誌 Vol.63 No.-

        본 고는 1906년에 내한하여 1940년까지 공주를 비롯한 충청지역에서 교육사업과 복음전도사업을 벌인 북감리회 선교사 프랭크 윌리엄스((F.E.C. Williams) 교육사업과 교육사상에 대한 연구이다. 그의 농업선교의 중심 사상은 “쌀과 종교”였다. 그는 한국의 농민들에게 농사에 대한 지식과 정보를 제공해 주었으며, 노동을 중시하는 기독교의 이념이 마음속에 굳게 자리 잡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educational project and educational ideas of F.E.C. Williams, a missionar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who visited Korea in 1906 and conducted educational projects and evangelical projects in Chungcheong, including Gongju, until 1940. The central idea of his agricultural mission was “rice and religion.” He provided Korean farmers with knowledge and information on farming and providedpresented an opportunity for the Christian ideology that values the firm establishment of labor to be firmly established in their minds.

      • KCI등재

        언더우드의 고아원 사업에 대하여(1886-1897)

        황미숙(Hwang Mee-Sook) 한국기독교역사연구소 2016 한국기독교와 역사 Vol.- No.44

        언더우드는 곤궁한 처지에 있는 집 없는 아이들과 사생아들을 위하여 옷을 입혀주고 음식을 먹여주는 고아원 사업을 통하여 ‘복음전파’를 달성하고자 하였고 “언젠가 한국에 대학교와 신학교를 세워 기독청년들을 키우겠다”는 소망을 담고 한국의 기독청년들을 길러내고자 하였다. 조선정부는 이러한 고아원 사업을 복지사업의 의미로 선교사들의 제안을 수용하였다. 언더우드는 독자적으로 건물을 마련하여 한 명의 소년을 데리고 1886년 5월 11일 고아원 사업을 시작하였다. 초기 고아원학당의 운영은 비교적 순조롭게 진행되었다. 의식주를 해결해 주었으며, 영어, 한문, 한글을 가르쳤다. 교사는 선교사들과 조선인이었다. 어려움도 있었다. 한국인들의 인식 부족으로 인한 오해, 재정적인 어려움, 그리고 고아원 운영을 놓고 발생하는 선교사들 간의 갈등이 난제였다. 무엇보다도 재정적인 어려움이 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아원학당 사업은 자리를 잡아가고 있었다. 언더우드와 헤론은 이를 토대로 수차례 학교 설립청원을 제출한 바 있었으나 긍정적인 회신을 받지 못했다. 학교 설립청원이 현실화되지 않는 가운데, 고아원학당 사업은 마펫 선교사가 내한하여 담당하면서 고아원 방식이 아닌 남학교(Boy"s school)’로 전환이 이루어졌다. 선교부 역시 자치, 자립, 자전이라는 네비우스 원칙들을 수행하기 위해 1891년 일련의 규칙들과 정관들을 채택했다. 규칙 적용 중 하나가 고아원에 관한 새로운 운영방침이었다. 즉, 학교에 다니고 있는 소년들 일부는 학비를 부담해야 하며, 방학 중에는 집이 없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신들의 집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마펫은 이를 즉각 행동으로 옮겨 실지로 그런 아이들만 남도록 조치하였다. 그리하여 1891년 2월 남학교가 되었다. 학교로의 전환으로 마펫이 말한 학교 운영의 목적인, ‘선한 사역’, 즉 복음을 전하는 일에 훨씬 집중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게일을 거쳐 밀러가 내한하면서 학당의 책임을 맡으면서 보다 탄탄한 모습의 학교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학교 운영방침은 “학생들이 자신의 고향 사람들에게 진리를 전하는 설교자 내지는 교사로 준비시키기 위한 것”이었다. 밀러는 교과과정의 개편을 통하여 다양한 과목을 가르쳤다. 숙식을 제공받는 학생들의 경우 학교에서 필요한 물품을 스스로 마련하거나 봉사를 하도록 하였다. 북장로교의 고아원학교는 윌리엄 베어드(William M. Baird)가 1896년에서 1897년까지 일하게 되면서 기독교 교육만을 추구하는 학교로의 전환이 이루어졌다. 1897년 8월 북장로회 선교부 제13차 연차대회가 열렸다. “기독교학교의 주된 목적은 현지 교회와 지도자들을 성장시켜 자국민들 사이에서 생동감 있는 기독교 활동을 하게 하는 것이다”라며 그동안 진행되어 왔던 교육 사업에 대한 개혁의지를 피력하였다. 이러한 교육정책에 따라서 선교사들은 복음을 전하는 전도사를 양성하는 전문가가 되어야 했다. 이러한 선교정책 혹은 선교철학은 한국 선교부의 강력한 반기관적인 태도(Anti-institution attitude)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고아원 남학교 사업을 계속하는 것은 재정 낭비와 선교사들의 시간낭비라고 여겼다. 결국, 1897년 10월 선교부는 고아원학교의 완전 폐쇄를 결정했다. 이후 북장로교의 학교사업은 교회 내에 초등학교를 두는 한편, 중학교의 경우 1901년 게일이 연못골에 서양식 커리큘럼을 중심의 교육제도를 강화한 ‘중학교(Intermediate School)를 설립하면서 이어갔다. 언더우드가 시작한 고아원 사업은 기독교적이며 근대적인 고아원이었으며, 선교초기 한국에서 벌인 북장로교의 사회복지선교사업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선교가 수월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하는데에 도움을 주었다는 설립 목적을 성취한 것도 사실이었다. 그런 의미에서 언더우드 고아원 사업은 목적은 복음전파이며 수단은 복지사업이었다. 그러나 북장로교 선교정책에 입각한 고아원학교가 폐쇄조치에 따라, 고아원과 같은 복지의 의미를 담고 있는 사업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게 되었다. H. G Underwood started orphanage work in 1886 to raise Korean children who were in miserable situation without home and guardian, by which he intended to achieve gospel dissemination in Korea. Moreover, he hoped to establish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to support Korean Christian young people. Since Korean government accepted missionaries’ proposition, Underwood bought a building by himself and opened the home for orphans on May 11. Initial management gave success as serving the children with shelter and foods, additionally teaching English, Chinese, and Korean. Missionaries and Korean teachers shared educational work. Despite some financial hardships, Orphan school service became stable. Based on this, H. G. Underwood and J. W. Heron petitioned the government for foundat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 but they couldn’t get positive response. In this situation, orphanage work switched into Boy’s school under the control of Samuel A. Moffett in 1891, Missionaries also changed their rules and articles to follow the Nevius Method(Principle) which emphasize “self-propagation, selfgovernment, and self-supporting” From this changeover, Some of the students needed to pay tuition from this time and to go back to their home on vacation season. Missionaries were able to concentrate on the “evangelical work”. Since then, Boy’s school developed into complete institutional form by J. S. Gale and F. S. Miller who took charges after Moffettt. Their policy of management was “Foster the students to be not only missionaries but also be teachers who would disseminate gospel all over the country”. Miller reorganized the curriculum in which student can learn various subjects and volunteer to procure their own board and lodging. Presbyterian Orphanage school was changed into pure Christian educational institution over the period of 1896 to 1897, when William M. Baird served for management position. In August 1897, The 13th Conference of the Presbyterian Missionaries held. Missionaries expressed their determination as “The main goal of Christian school is nurture local churches and people to do active christian work among Korean”. In terms of this kind of their own policy, Missionaries had to be expert to educate preachers under the Anti-institution attitude. By this point, they started to estimate orphanage work as waste of time and money so that they determined termination of the work in October 1897. In spite of this closure, the Presbyterian’s educational work continued as the form of Elementary and Intermediate school at Yeon-mot gol(연못골) in 1901. To Sum, Underwood’s Orphanage service was modern and evangelical social welfare work operated in Korea at early time of missionary. In addition, He could achieve original purpose that to prepare mission work by orphanage, even though the interest upon social welfare work of the Presbyterian decreased from the time of closure.

      • KCI등재

        교양체육 참여 대학생들의 진로통제소재가 진로포부와 진로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정원정(Won, Chung-chung),윤미정(Yoon, Mee-Cheong),김희진(Kim, Hee-Jin),이수정(Lee, Soo-Jeong),김도연(Kim, Do-yeon),황미숙(Hwang, Mi-Sook) 한국사회체육학회 2021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 No.83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and correlation among the career locus of control, career aspirations, and careers self-efficacy. Method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 universities by nonprobability sampling. The total subjects were 287 (male=128 and female=159). αset was .05.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for the hypothesis confirmation. Results: First, ‘internal factor’ in career locus of control affected ‘leadership’ in career aspiration factor. ‘Influence from others’ and ‘lethargy" in career locus of control affected ‘professionalism’ factor in career aspiration. And ‘internal control’& ‘influence from others’ in career locus of control factor affected career aspiration factor ‘job satisfaction’. Second, in career locus of control factor ‘internal control’, ‘influence from others’, ‘fortune’, and ‘lethargy’ did not affect ‘information setting’, ‘career planning’, ‘solution’ and ‘self-evaluation’ in career self-efficacy factor. Third, in career aspiration factor ‘leadership’, ‘professionalism’, and ‘job satisfaction’ did not affect career self-efficacy factor ‘information setting’,‘ career planning’, ‘solution’, and ‘self-evaluation’. Conclusion: In summary, the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 behavior like career locus of control affects career aspiration to promote as an important variables for the career development promotion after the graduation for a career de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