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기호특성과 자아표현 연구: SNS 이모티콘을 중심으로

        홍장선 ( Jang Sun Ho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4 No.3

        사회관계망서비스(SNS)는 문명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언어로서 의사전달을 하지 않고, 원시 문명의 상징이라 할 수 있는 비언어로서 의사소통을 무리 없이 가능케 한다. 다양한 디자인과 도안으로 꾸며진 이모티콘으로 말이다.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이 디지털이라는 가상의 공간에서 빠른 의사전달의 수단으로 전환되어 사용되면서, 왜 이모티콘과 같은 비언어적 수단을 통해서 자신을 표현하려 하는지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의 활성화 및 SNS의 이모티콘에서 드러나고 있는 사용자들의 욕구가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수용자(이용자)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의 속성을 발견하였다. 연구를 위해서 주관성 연구방법인 Q방법론적 접근이 진행되었고, 주요인분석을 위해서 QUANL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31개의 Q 표본과 25개의 P 표본(사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제1유형인 ‘유희적 현실 추구형’, 제2유형인 ‘닮은꼴 인물 반영형’, 제3유형인 ‘일상의 상태 전달형’, 제4유형인 ‘희로애락 감정선의 전달형’, 제5유형인 ‘닮은꼴 동물 반영형’으로 모두 다섯 개 유형을 발견하였다. 이를 토대로 요인별 분석과 함께 이모티콘의 기호특성을 고려한 이미지 컨셉을 수립하였다. 새롭게 찾아낸 자아유형의 특성을 반영해서 이모티콘 이미지의 개발 및 의미의 모티브를 부여하여 산업 전략 구성의 제반을 제시하였다. In the modern society, many virtual communications have been created through SNS (Social Network Services) and people alteratively adopt emoticons more than using languages when they express their emotions on SNS. This is why researchers have named this phenomenon as ‘The Rebirth of Hieroglyphics’.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find out why people communicate through non-language communications such as emoticons more and more. This research will reveal not only the reasons of non-verbal communication phenomenon, but also the desiring attribute of emoticon users. The research adopted the Q-methodological Approach and analyzed using the QUANL PC program. Total of 31 Q Samples were sorted among 25 P samples(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Q sort distribution and have been discovered 5 categories of emoticon users. The first type is “seeking pleasurable realities”, the second is “reflecting similar man figures”, the third is “delivering the normal conditions”, the fourth is “delivering emotions” and the last one is “reflecting similar animal figures”. To sum up, on the basis of non-verbal communications, the conceptual thesis has been constructed through the analysis of 5 types and emoticon preference with semiotic consideration. By reflecting this analysis, the thesis has indicated the further development opportunity of emoticons with containing meanings and patterns to create strategies on this particular e-business.

      • 관광레저 광고의 도상학적 이미지 분석

        홍장선 ( Jang Sun Hong ) 한국문화관광학회 2008 문화관광연구 Vol.10 No.2

        This study analyzed the images in tourism & leisure advertisements with an emphasis on the iconography of Panofsky, and investigated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ed area of fantasy and the individual satisfaction of fantasy derived from tourism&leisure. The creations of images in tourism&leisure advertisements are related to the more widely defined society, cultural process, interpretation methods and overwhelming value of the subjected society. The images attract people efficiently in accordance with the common value that enables the members of the society to own a specific cultural ideal and goal. Therefore, to understand the roles of images in tourism&leisure advertisem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images in relation with the more widely defined society and the culture.

      • KCI등재

        역사다큐멘터리 제작 연구를 위한 Q 방법론 접근: 미디어 종사자의 가치체계와 실천에 관한 연구

        홍장선 ( Jang Sun Hong ),윤경철 ( Kyoung Chel Yun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8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6 No.2

        역사다큐멘터리는 과거의 사건과 사고를 ‘재현’(represented)이라는 방식으로 현실에 놓아두는 매개와도 같다. ‘실제 기록의 현실’을 매개한다는 것인데, 있는 그대로의 전달이 아니라 특정한 요소에 영향을 받아 중계가 되는 프로세스로서, 아무리 보편적이고 객관적인 역사 현실의 이야기라 할지라도 특별함이 담겨진 선택의 함축이 잘 나타나 있다. 역사다큐멘터리가 ‘실제 기록의 현실’에 대해 역사적 사실을 기록하거나 재구성하는 방식으로 현실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사회-문화-정치와 같은 이데올로기적 시각에서 매개를 위해 선택된 현실에 집중할 필요가 있다. 즉 담론적 실천의 활동과도 같기 때문이다. 그래서 과거의 지나간 사실들을 어떠한 관점에서 어떻게 판단해서 현재적 해석(interpretation)의 포인트를 설정해 만들어 가는가가 매우 중요한 사안인 것이다. 이러한 특징들을 알아보기 위해서, 본 연구는 미디어 종사자의 주관이나 가치관과 같은 가치체계(심리적 속성, 행태적 태도, 가치관, 개성, 성향 등)를 연구하는 Q 방법론을 도입하여 주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은 QUANL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총 37개의 Q 표본과 16개의 P 표본(사람)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그 결과 총 세 개의 유형을 발견하였는데, 발견된 각 유형을 대상으로 제1유형을 ‘내재된 삶의 동반자형’, 제2유형을 ‘현실의 현재적 해석형’, 제3유형을 ‘객관적인 제3자형’이라 명명화 하였다. 제1유형에서는 삶의 가치체계와 역사의 인식체계를 동일한 영역으로 인식한다. 역사를 그림자와 같은 일상의 동반자로 여기면서, 모든 산물들이 그대로 반영된 의미 구성체가 되어야 한다고 믿는다. 제2유형은 삶의 가치체계 속에서 현재인 오늘의 관점에서 표현된 객관적 흔적의 기록물을 중요시 한다. 재현하는 지금의 시점이 매우 중요하기에 철저히 자료에 입각한 근거를 바탕으로 구현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제3유형은 특정한 메시지에 의해 형성된 가치체계가 아닌 보편타당한 인식체계의 확립을 중요시 한다. 역사는 특정인의 영역이라 하기보다는 구성원 모두의 영역임을 확실히 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종사자의 게이트키핑 구조에 있어서, 의사결정의 주요 프레임을 유추할 수 있었고, 이들의 가치구조를 종합적으로 정리해서 효율적인 제작 상황과 환경을 제시하였다.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History Documentary is a ’Medium’ which represent an incident and an accident from a past. This means that History Documentary does not carry just ‘the real record of the past’, but mediates particular factors in history. So even though a certain history is such objective, it implies insignificance. It is necessary that those who make documentaries need to focus on social and cultural ideology or politic issues for the reason that History Documentary is “represented” with reconstruction of special factors. Consequently, they need to decide which perspective has to be added on manifested interpretation after collected historical sources. To identify those issues, the writer asked to broadcasting staffs to classify their subjectivities or values (psychological patterns, behaviors, distinct individualities etc.) and adopted Q-methodological Approach and used QUANL analyzing system. Total of 37 Q samples and 16 P samples have been collected an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ree categories of user types were discovered. The first type recognizes that the system of life value and the perception of history are in the same range. They believed that a history is a life companion so that all historical inventions are reflected on meaningful reality. The second type is focused on objective evidences with today’s perspective. The third type urged that Historical Documentary needs the awareness system followed by universal standards. Based on those three classification, broadcasting staffs analogize the main frame for the structure of gatekeeping. Also this research guides them to build up the efficient production process and circumstances using the modified value structure.

      • KCI등재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미디어 채널 선호특성을 위한 Q 방법론적 접근 -한국과 영국 대학의 다문화 유학생의 비교를 중심으로-

        홍장선 ( Jang Sun Hong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2

        현대사회에서 우리는 다문화 유학생을 이해하는 방식과 그 구성원들이 해당 사회를 이해하는 방식에 대해서 확인하는과정이 필요하다. 동시에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이들을 위한 효율적인 커뮤니케이션 디자인도 요구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유학생의 문화 간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미디어 채널 선호특성에 대해서 개인의 자아가 어떠한 방식으로 표출되는지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서 Q 방법론적 접근이 진행되었고, 주요인분석을 위해서 QUANL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27개의 Q 표본과 30개의 P 표본(사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세 개의 유형이 발견되었다. 제1유형인 ‘직접적인 개인매체 선호형’은 직접적인 개인매체를 추구한다. 직접적으로 메시지가 전달되어 효율성을 강화하는 것으로서 ‘나에게’ 또는 ‘나를 위한’ 방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제2유형인 ‘시대적 실용매체선호형’은 현 시점에서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실질 매체를 추구한다. 시대에 맞는 매체를 사용하여 효율성을 강화하는 것으로서 ‘나와 타인에게’ 또는 ‘나와 타인 모두를 위한’ 방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제3유형인 ‘보편적 접촉 오픈매체 선호형’은 개방화된 환경에서 접촉할 수 있는 보편적 매체를 추구한다. 메시지가 평등하고 공평하게 전달되는 공유성이 중요한 것으로서 ‘모두에게’ 또는 ‘모두로부터’ 라는 방식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구분된 유형을 토대로 한국과 영국의 다문화 유학생의 성향을 비교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미디어 채널의 사용 컨셉과 함께 커뮤니케이션의 합리적인 전략을 디자인하였다. In the modern society, It is required to research both characteristic of Multicultural Students and their community as well. At the same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truct the professional tool for better communications with them.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preferred media channels of Multicultural Community Students when they face with the cross-cultures. The research adopted the Q-methodological Approach and analyzed using the QUANL PC program. Total of 27 Q Samples were sorted among 30 P samples(people) in accordance with the Q sort distribution.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ree categories were discovered. The first type, “the Direct Personal Media” tends to prefer the direct Media. The message is delivered directly to improve the efficiency and has a ‘I’ feature of the system, or ‘to me’. The second type, “the Practical Media Era” tends to be pursued a substantial media used by the public. It is caracterised as ‘for me and others’ characteristics or ‘both for me and others’. This type has a tendency to use the media for a period to earn and expand the effect of media. The third type, “the Universal Contact to Open Media”, as a versatile carrier, tends to contact all media liberally. This type thinks that any message has to be delivered to anyone equally in the community. To sum up, on the basis on three types of Multicultural Community Students in this thesis, university students between Korea and the United Kingdom were researched and the rationale of communication strategies has been constructed using the concept of media channels.

      • KCI등재

        스마트 미디어 모바일 다시보기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세분화 연구: Q 방법론적 접근

        홍장선 ( Jang Sun Hong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5 No.4

        새로운 미디어의 등장은 기존 미디어와의 상호 존속성을 필요로 한다. 기술과 자본에 의한 헤게모니 다툼이 아니라 어떻게 활용 보완할 것인가, 혹은 공존과 함께 대체재로서의 매개 역할을 할 것인가에 대한 융합적 시선이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지상파 방송의 드라마 시청률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케이블 TV, 인터넷, 스마트 모바일 등을 통한 재방송 혹은 다시보기(VOD)가 증가하고 있다. 일방적으로 보여주기 식에 일관했던 방송의 개념이 점차 희석되고 다양한 스마트 미디어 모바일 플랫폼이 대두되면서 방송 콘텐츠를 적극적으로 사고파는 `소비`의 형태가 일반화됐다. 즉 스마트 미디어 서비스를 통해 시청자였던 개인이 능동적으로 방송 콘텐츠를 구매하는 행위가 활성화된 것이다. 오픈 네트워크형 매체이자 개인화된 매체의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스마트 미디어 모바일 시청자의 미디어 스위칭 현상이 자연스럽게 이행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는 시청자의 심리적 속성, 행태적 태도, 개성, 주관적 성향 등을 연구하는 Q 방법론을 도입하여 주요인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서 QUANL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총 32개의 Q 표본과 30개의 P 표본(사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독특성을 지닌 3개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연구 분석의 원활함을 위해서 제1유형을 `가벼운 그림자형 - routine`, 제2유형을 `절친한 친구형 - usefulness`, 제3유형을 `까다로운 이성형 - technical` 이라 각각 명명화 하였다. 이를 토대로 유형별로 나타난 특징을 반영해서 모바일 다시보기 영상 프로그램의 유통 및 판매의 방향성이 도출될 수 있도록 새로운 시각에서 다시보기(VOD) 프로그램의 시청자 세분화 전략방안을 제시하였다. It is commonly acknowledged that the new media acquired mutual interaction with old media. It can be avoided any hegemony conflict between them, it is also required how to remedy their shortcomings to be more merged productively as a desirable media. Whilst soap operas in terrestrial TV channels have became more competitive to earn viewer ratings, another new cable carriers and new media such as internet and Smartphone broadcastings have joined aggressively with the media contents, `The Replays or VOD`. It gives people that the one-sided broadcasting has been faded away and the active consumption of VOD has been created as a new smart media mobile on the diverse broadcasting platforms. Namely smart media mobile service is widely used by viewer`s proactive and direct search. Because the smart media mobile is used with a personal device in open networks, the most of Smartphone users frequently and easily switch medias when they consume broadcasting contents. To identify the viewer`s psychological patterns, viewer`s behaviors, distinct individualities and subjective views of media consuming, the writer adopted Q-methodological Approach and used QUANL analyzing system. Total of 32 Q samples and 30 P samples have been collected and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ree categories of user types were discovered. The first type is named `routine`, the second is `usefulness` and the third type is `technical`. This three types have delivered the appropriate direction of VOD content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in the new perspective.

      • KCI등재

        카카오톡 이모티콘을 통한 자아표상과 이에 따른 기호특성 연구

        홍장선(제1저자) ( Jang Sun Hong ),이종윤(교신저자) ( Jong Y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4 기초조형학연구 Vol.15 No.4

        카카오톡은 스마트폰과 컴퓨터 플랫폼을 기반으로 인터넷 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을 실현하고 쌍방향 텍스트의 교환을 가능하게 해준다. 본 연구에서는 카카오톡 이모티콘 이용자들이 카카오톡 이모티콘 캐릭터 이미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개인의 자아가 어떠한 방식으로 표상되고 있는지 알아보았다. 또한 그 표상들이 어떤 기호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는데, 이를 위해서 가치관이나 신념체계와 같은 주관성의 구조에서 그 결과를 찾아 유형화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방법으로 Q방법론을 적용하였고, 발견된 각 유형들을 바탕으로 유형별 특징을 고찰하였다. QUANL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총 31개의 Q 표본과 24개의 P표본(사람)을 연구에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세 가지의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제1유형인 ‘긍정 표현의 자연형’ 자신의 즐거움을 표현, 희(喜, 기쁨)와 락(樂, 즐거움)의 이미지를 선호. 자신의 감정들을 이모티콘을 통해서 귀엽고 사랑스럽고 애교스러운 모습으로 이상적인 삶을 표현. 제2유형인 ‘의도적 추상 과장형’ 자신의 노(怒, 노여움), 애(哀, 슬픔)감정을 과장되게 표현. 제3유형인 ‘표현의 현실 투영형’ 자신의 감정을 실생활의 구체적 포인트가 담긴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묘사, 희(喜, 기쁨), 노(怒, 노여움), 애(哀, 슬픔), 락(樂, 즐거움)에 맞추어 표정이나 포인트를 강조. 현실 세계에서 표현하고자 하는 자신의 감정들을 실제 생활에서 표현이 가능한 이모티콘 이미지를 통해서 표현.구분된 유형들을 바탕으로 이모티콘 이미지 기호특성을 고려한 컨셉 이미지에 대해서 방안을 제시하였다. KakaoTalk enables online communication and interactive exchange of texts through smartphones and computer platforms. This study examined how the personalities of individual Kakaotalk users are reflected in the messenger`s emotions. Furthrmore, to analyze the symbolic features of these representations, this study categorized the structure of subjectivity based on value or belief systems. The Q methodology was applied for the analysis,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dentified category were examined. A total of 31 Q samples and 24 P samples (people) were analyzed using the QUALN system. On the basis of the analysis, three categories were discovered. The first category, a type of expressing positive expressions naturally, expresses their happiness and prefers joyful and pleasant images. They also represent their notions of an ideal life by expressing their emoticons through cut, lovely, and charming emoticons. The second category, a type of intentional exaggerated abstraction, exaggeratedly expresses their anger and sadness. The third category, a type of reflecting reality in expressions, describes their emotions by using emoticons to represent specific aspects of daily life. Moreover, they emphasize facial expressions and aspects based on joy, anger, sorrow, and pleasure and show their emoticons as desired through emoticon images that can represent practical lifestyle. Concept based images are then proposed based on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emotions.

      • KCI등재

        음식 TV 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들의 주관성 연구

        윤선민(Sun-Min Yoon),홍장선(Jang-Sun Hong),김명희(Myung-Hee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1

        음식프로그램들이 인기를 끌면서 음식과 접목시킨 다양한 소재의 방송프로그램이 대거 출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경쟁력 있는 프로그램 제작을 위하여 각 프로그램들은 시청자들의 기획의도에 대한 선호유형을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에 본 연구는 음식프로그램과 기획의도에 대한 시청자들의 선호유형을 도출하였고 총 3개의 유형을 발견하였다. 제1유형은 능동적 실용정보 습득형으로 실용성과 오락성을 중요하게 여기며 휴식의 수단으로써 음식과 음식프로그램을 즐기는 유형이다. 제2유형은 문화적 교양지식 추구형으로 전문적 정보를 탐구하는 유형이다. 이들은 음식의 본질적 의미와 올바른 정보전달에 주안점을 둔다. 마지막으로 제3유형은 동질적 생활밀착 투영형으로 명명하였다. 주로 음식프로그램과의 상호작용에 만족감을 느끼는 유형으로 방송프로그램이 제공하는 스토리텔링과 소통에 즐거움을 느낀다. 이와 같이 각 유형들은 서로 다른 성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이것을 토대로 음식프로그램의 컨셉 디자인을 제안하였다. With the rising popularity of food shows driven by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food-incorporated broadcasting programs based on various materials are produced in large numbers. This situation has raised a need for each program to examine viewers preference factors for planning intentions in order to produce competitive programs. This study thus examined viewers preference factors for food programs and planning intentions and discovered total three factors. The first factor places importance on practicality and entertainment and enjoys food and food programs as a means of resting. The second factor searches for specialized information and focuses on the essential meanings of food and the delivery of the right information. Finally, The third factor gets satisfaction from interactions with food programs and finds joy in storytelling and communication provided by broadcasting programs. These factors have different tendencies from one another, and the present study proposed a concept design for food broadcasting programs based on them.

      • KCI등재

        여행 유튜브 제목에 대한 Z세대의 인식 유형 연구

        최원주,홍장선,Choi, Won Joo,Hong, Jang Sun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2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8 No.6

        Travel YouTubers who cross the boundary between tradition and novelty communicate by sharing their activities with others through SNS-based media. Media content should not only satisfy individuals, nor should it be too purpose-oriented. YouTube channels should be operated so that users can easily access content naturally, and more diverse methods can be pursued based on usage patterns and satisfaction theory. This study is about the type of perception of Generation Z on travel YouTube titles. As a result of conducting QUANL program analysis on 34 Q samples and 28 P samples from the Q methodological perspective, a total of three types were found. For types with unique characteristics, the first type was named "attention of keywords that draw imagination," the second type was "preferred to stories that stimulate curiosity," and the third type was "image satisfaction reflecting expectations." In additio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found, the scalability and strategic plan of the activities that Generation Z travel YouTubers want to unfold were presented.

      • KCI등재

        한과 소비자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

        이선임 ( Lee Sun-im ),홍장선 ( Hong Jang-sun ),김명희 ( Kim Myung-h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0 No.-

        디저트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전통한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한과는 건강한 디저트 음식을 선호하려는 소비자와 문화적 가치를 함께 즐기고자 하는 소비자들에게 적당한 음식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과 소비자 인식에 관한 주관성 연구로서 한과에 대한 다양한 주관적 견해와 유형을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그 결과 총 4개의 유형이 발견되었으며 각각의 유형에서 독특한 특성을 확인하였다. 제1유형은`박물관에 박제된 전통문화`로 현대인들의 입맛에 맞지 않는 음식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제2유형은 `한국적 팔방미인의 진수`로 시대에 상관없이 모두가 즐겨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제 3유형은 `감성적 추억의 향수`로 음식으로서의 매력보다 마음을 채워주는 음식으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4유형은 `외형뿐인 폐쇄된 전통음식` 으로 현대인들과 소통이 단절된 전통문화이며 그에 대한 아쉬움을 표출하고 있었다. 각 유형들은 한과에 대한 개인들의 주관적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각 유형별 특성을 분석한 후 상품개발에 필요한 컨셉을 제시하였다. As dessert consumers increase, interest in Hangwa, a traditional Korean confectionery, is also on the rise. Hangwa can be a good dessert food particularly for consumers who want to enjoy healthy dessert food as well as cultural values. This study is aiming to investigate consumers` various subjective opinions about Hangwa in order to identify factors of consumers` perception of Hangwa.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re were four different factors of consumers` perception about Hangwa and each factor had its unique characteristics. The first factor of perception is viewing Hangwa as `a stuffed traditional culture`, in which Hangwa was perceived as a food that was not to the taste of modern people. The second factor is the consumers` perception that Hangwa is `the essence of an all time favorite Korean food` that everyone can enjoy. In the third factor of perception, consumer perceived it as a food that filled their mind rather than as a tasty food, which is dubbed as perception of `the fragrance of emotional memories.` Finally, the fourth factor is labelled as the perception of ` a vestige remains of traditional food`, in which consumers viewed it as a traditional culture that is being cut off from modern culture and they expressed regret about it. Since each factor of perception was different depending upon individual perceptions of Hangwa, the current study proposed the communication message relevant to each factor of perception along with the product positioning strategy for product development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factor.

      • KCI등재

        음식콘텐츠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시청자 선호유형 연구 -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

        윤선민 ( Yoon Sun-min ),홍장선 ( Hong Jang-sun ),김명희 ( Kim Myung-hee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구 시각디자인학회) 2017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61 No.-

        음식콘텐츠 방송프로그램의 인기가 지속되면서 시청자들의 건강을 좌우하는 식생활라이프 스타일에 지대한 영향을 미쳐 그 중요성이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프로그램을 시청하는 시청자들의 식생활 라이프스타일을 중심으로 유형별 인지성향을 파악하였고 그 결과 4가지의 유형이 발견 되었다. 제1유형은 ‘자극적 재미를 쫓는 유목민’으로 음식콘텐츠 방송프로그램에 대한 낮은 신뢰도로 인해 건강과는 무관하다는 의견을 보일 뿐더러 요리에도 무관심하여 단순히 재미를 위해 시청한다. 제2유형은 ‘개인적 정보 탐색자’로 식욕에 대한 대리만족을 느끼지 못하면서 건강에 악영향을 받는다. 직접 요리하고자 건강, 음식정보에 관심을 두고 있으나 여건상 유용하게 이용하지 못하고 있다. 제3유형은 ‘비본질적 정보 애착자’로 요리에 무관심한 태도를 보이며 음식과 건강에 대한 상관관계를 느끼지 못한다. 부수적인 요소들에 만족을 느끼는 유형이다. 제4유형은 ‘범국가적 문제 해결자’로 음식콘텐츠 방송프로그램이 주는 웰빙 식생활, 건강, 요리 정보가 주는 교육효과에 긍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 본 연구는 유형들의 인식차이를 확인하였으며 각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것을 토대로 유형별 콘셉을 제안하였다. As food content TV programs continue to enjoy their popularity, have enormous impacts on dietary lifestyles to determine the health of viewers and thus gain importance.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cognitive tendencies of viewers of food content TV programs according to their factors with a focus on their dietary lifestyles. And there were divided into four factors. The first factor saying that such programs had nothing to do with their health. Furthermore, watching such programs simply for fun. The second factor did not have vicarious satisfaction with their appetite through such programs. In addition, such programs had negative impacts on their health. Although they took interest in food information to cook themselves, they did not make helpful use of them. The third factor found no correlations between food and health. Instead, they felt satisfied with subsidiary elements. The last factor accepted positively the educational effects of wellbeing dietary life, health and cooking information provided by such programs. The present study checked differences in the perceptions of viewers according to their factors,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posed a concept for each factor based on the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