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고려 전기 분묘 출토 청동용기의 등장과 전개

        허선영(Hur Sun-young) 한국중세고고학회 2019 한국중세고고학 Vol.- No.5

        이번 연구는 고려전기에 해당하는 분묘에서 출토되는 청동용기의 종류와 세부편년을 설정하고 그 변화의 의미와 고려전기 분묘의 유물 부장양상을 통해 청동용기의 사용계층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진행결과, 고려시대 전기 분묘에서 출토된 청동용기의 기종은 대부발, 발, 접시, 완등으로 일상생활기명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동반유물은 도기와 자기가 대부분이며 이외 청동숟가락과 장신구인 가랑비녀, 과대 등이 확인되었다. 이 과정에서 진안 수천리 5호에서는 기존에 완으로 분류되던 유물이 불교용구 중 하나인 경자일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청동용기의 특징을 파악하기 위해 기종과 형식의 분류를 진행하였고 이후, 함께 동반되는 유물과의 비교를 통해 시기구분과 편년을 설정하였는데, 1기는 918년~11세기 초로, 청동용기는 통일신라시대의 영향을 받은 기형이 주로 출토되었고 동반유물 중 가장 많은 수량으로 확인된 도기는 4면편명이 다수이고 그 외 편구병, 주름무늬병도 확인되었다. 청동숟가락은 부여 부소산과 황해도 평산에서 출토된 숟가락과 유사성을 보였다. 2기는 11세기 초~11세기 후반으로 편년되며 청동용기는 리벳을 이용한 그릇의 제작이 두드러지고 1기에 비해 다양한 기종과 기형이 등장하게 된다. 동반되는 유물은 청자와 숟가락이 다수를 구성하는데 특히, 청자는 내저원각식 해무리굽과 광구병을 중심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변화 양상을 통해 1기는 고려라는 새로운 왕조가 성립했음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인 그릇과 관련된 문화는 여전히 통일신라시대의 영향이 이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은 ‘실질적’ 청동용기의 상한 연대를 통일신라 말기인 9세기 말에서 고려가 건국되는 10세기로 편년될 수 있음을 의미하며 11세기를 기점으로 고려왕조의 새로운 문화가 만들어가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청동용기의 변화는 수공업의 발전을 의미하는데 그 변화의 배경은 국내의 제도 정비, 특히 장야서 등의 설치와 큰 관련이 있으며, 또한, 금속공예가 발달하였던 요와의 교류가 상당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리고 지금까지의 연구에서 몇몇 사료를 통해 고려 전기에 동기가 주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인식되어 왔으나, 이번 연구를 통해, 고려전기에 나타나는 청동용기의 매납 현황과 분포양상, 제작의 연건 등을 살펴보았을 때 청동용기는 일부 계층이 향유하던 물품으로 이해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kinds and chronology of bronze container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nd clarify user classes of bronze container by examining the meaning of a change and burial of remains in tombs. This study found that most bronze container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re household containers such as Daebubal, Bal, plate and Wan. Accompanied remains are mostly earthenware and porcelain and include bronze spoon and Garangbinyeo which is accessories and Gwadae. Remains which were classified as Wan unearthed in No. 5 Sucheonri, Jinan are likely to be Gyeongja, one of Buddhist utensils. Meanwhile, this study classified types and forms to understand characteristics of bronze container and set term and chronology by comparing accompanied remains. First term ranges from 918 to early 11<SUP>th</SUP> century. When it comes to first term, bronze containers affected by unified Silla were mostly unearthed and earthenware which account for greatest part of accompanied remains was Samyeonpyeonmyeong followed by Pyeongubyeong and Jureummunibyeong. Bronze spoon unearthed in tombs during early Goryeo Dynasty are similar to that unearthed in Busosan, Buyeo and Pyeongsan, Hwanghaedo. Second term ranges from early 11th century to late 11<SUP>th</SUP> century. As far as bronze container is concerned, bronze container using rivet is remarkable and compared with first term, more various kinds and forms appear. Celadon and spoon account for a great part of accompanied remains and especially for celadon Naejeowongaksikhaemurigup and Gwangkubyeong dominate. When it comes to first term, even though new dynasty called Goryeo was established, container related culture is stilled under influence of unified Silla. This means that upper limit period of ‘actual’ bronze container can be estimated at the end of 9<SUP>th</SUP> century, the last period of unified Shilla through 10<SUP>th</SUP> century when Goryeo Dynasty was founded and new culture of Goryeo Dynasty began to be established from 11<SUP>th</SUP> century. Such change in bronze container means development in handcraft manufacturing and it is closely related to improvement in domestic system especially installation of Jangyaseo and so on and cultural exchange with Liao Dynasty that metal work developed. Based on historical materials, some studies suggest that copper container was mostly used during early Goryeo Dynasty but it seems that bronze containers were used by some classes considering burial status, distribution and production condition of bronze container.

      • KCI등재

        기장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의 편년 연구

        허선영 ( Sun Young Hur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10 文物硏究 Vol.- No.18

        부산광역시 동북쪽에 위치한 기장군에서 도예촌 조성과 관련하여 2007년 2월부터 7월까지 지표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조사에서 장안읍 일대를 중심으로 모두 7개 지점에서 도요지 관련유적을 확인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중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는 ‘蔚山長興庫’, ‘耕負祭’ 등의 명문이 있는 분청사기와 炙??희준?보?고족배와 같은 제기가 발견되어, ??경상도속찬지리지?? 울산군에 기록된 도기소?자기소에서 하품을 생산하던 장안리현으로 추정된다. 요지는 후대의 인위적인 훼손으로 가마 유구의 현상 파악은 어려우나 지표조사에서 수습된 다량의 도자편 분석을 통해 이들 유적에 대한 편년연구가 가능하며, 부산?경남지역 도자사 연구에 기여하는 바가 높다고 판단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장안리 상장안 자기 요지의 제작시기를 살펴보기 위해 먼저, 요지 도자편의 기종과 기형, 문양, 제작수법을 검토해 보았다. 가장 많이 수습된 기종은 대접과 접시이며, 그 외 기타 도자편과 요도구 등도 확인하였다. 문양은 확인된 도자편의 크기가 대체로 작아 전체적인 문양구성을 살피는 데 한계가 있으나 일반적인 문양 구성과 위치에 근거하여 주문양과 종속문양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제작수법에서는 유태와 굽의 깎음새, 번조수법의 양상은 갑번인지 포개구이 번조인지에 대한 여부와 받침은 어떠한 것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는 광주광역시 충효동 요지의 안정된 6개 층위에서 확인된 유물의 양상, 그리고 제기형태의 변화를 통해 제작시기를 판단하였고, 또한 ??경상도속찬지리지??의 울산군조의 도기소와 자기소 기록에서 중요한 단서를 제공 받았다. 장안리 상장안 자기요지는 1450~1470년대 사이가 요업의 중심시기인 것으로 판단하였다. A research of earth surface was conducted by me from February to July 2007 on the subject of ancient formation of ceramic art villages at Gijang county, Busan. The research, though it was just a survey of earth surface, is a significant work si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ill now concerning pottery at Gijang area and reported officially to the learned circles. From the pottery located at Janganri village was discovered ‘Buncheong ware’ that retains inscriptions such as ‘Ulsan Jangheung Go(warehouse)’ and ‘Gyeongbu Je (festival).’ In addition, utensils used in religious services such as ‘Jajeop,’ ‘Hijun,’ ‘Bo’ and ‘Gojokbae’ were confirmed through the Janganri pottery. The place seems identical to ‘Janganri-hyeon’ of Ulsan recorded in ??Gyeongsang-doSokchanJiriji??(geographical book published in Gyeongsang province) where low grade chinaware were produced. The mentioned pottery was marred by posterity, so observation of its remained structure has become difficult. However, I decided that with the recovered slices, chronological research of the three remains is worth trying, so I brought it up as the object of my study. To determin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potteries, I first reviewed the kinds and techniques of production, together with patterns and abnormalities of the slices. Bowls and dishes were focal points of my survey as they are kinds that have been recovered most so far. Other items such as ceramic slices and kiln tools were also investigated. However, I have encountered limitation in studying the whole composition of pattern since most of the excavated slices were small sized. Nonetheles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main pattern and subordinate pattern based on general composition of patterns and their locations as well as their appearing ratio. As for production skill, I observed cutting shape of ‘Yutae’ (special oil painting) and bottom of the slices, their firing technique, whether they are ‘Gapbeon’ (high-grade product) or ‘Pogae Gui’ fired one, and what material was used as prop. As a result of my observing the ceramic slices from Gijang area, I came to know that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 three potteries lie in ‘Yeondang Chomun’ celadon porcelains from Sinri and Daeryong potteries, the ‘Buncheong’ chinaware (with inscription of authorities) from Janganri pottery, and the utensil production for religious service. Through the above analysis, along with study of documentary records and comparison with other remains that were recovered from stable stratum or bearing dates, I could surmise the specific production period of each pottery. As for the pottery at Janganri, I have surmised its production period through shapes of the remains recovered from 6 stable strata of pottery at Chunghyo-dong, Gwangju city, together with changed forms of religious utensils. I was also given important hint from the records on chinaware potteries at Ulsan county described in ??Gyeongsang- doSokchanJiriji??. As the result of my research I conclude that the pottery at Janganri started ceramic production somewhere between 1450?1470.

      • KCI등재후보

        기장 오리 신리 요지 편년연구

        허선영 ( Sun Young Hur ) (재)동아시아문물연구학술재단 동아시아문물연구소 2008 文物硏究 Vol.- No.13

        부산광역시 동북쪽에 위치한 기장군에서 도예촌 조성과 관련하여 2007년 2월부터 7월까지 지표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조사에서 장안읍 일대를 중심으로 청자요지 2곳, 분청사기요지 1곳, 백자요지 1곳, 옹기요지 2곳과 정관면에서 백자요지 1곳 등 모두 7개 지점에서 도요지 관련유적이 확인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 중 기장군 장안읍에 위치한 오리 신리 요지에서는 한국 도자사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인 14세기 대에 상감청자대접의 주요한 문양으로 등장하는 蓮唐草文을 비롯해 柳文·蘆文·雨點鶴文 등이 새겨진 도자편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기장 오리 신리 요지는 후대의 인위적인 훼손으로 인해 현재 가마 유구의 현상 파악은 어려우나 지표조사에서 수습된 다량의 도자편 분석을 통해 이들 유적에 대한 편년연구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리 신리 요지의 제작시기를 추정해 볼 것이다. 먼저, 요지 도자편의 기종과 기형, 문양, 제작수법을 면밀하게 검토해 보았다. 확인된 기종은 대접과 접시가 중심을 이루고, 그 외 기타 도자편과 요도구 등도 확인되었다. 문양은 도자편의 크기가 대체로 작아 전체적인 문양구성을 살피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문양 구성과 위치에 근거하여 주문양과 종속문양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제작수법에서는 유태와 굽의 깎음새, 번조수법은 갑번인지 포개구이 번조인지에 대한 여부와 받침은 어떠한 것이 사용되었는지 살펴보았다. 그리고 요지의 조성시기는 절대연대를 가지는 유물과의 비교 즉, 간지명?관아명?능명?연호명 청자 편년유물의 기형(각접시, 돌기문접시) 혹은 문양(연당초문, 변형당초문, 유문, 노문, 우점학문)과의 비교를 통해 제작시기를 가늠하였다. 그 결과 오리 신리 요지는 1350?1370년대 사이에 요업이 시작되었다. 지금까지 기장지역 도요지와 도자에 대한 조사연구가 정식으로 학계에 보고된 적이 없는 상황에서 이 지역의 연구는 지역 도자사 연구에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고 볼 수 있다. A research of earth surface was conducted by me from February to July 2007 on the subject of ancient formation of ceramic art villages at Gijang county, Busan. The research, though it was just a survey of earth surface, is a significant work since no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ill now concerning pottery at Gijang area and reported officially to the learned circles. From the pottery located at Sinri village of Ori was discovered ‘design of lotuses and arabesques,’ an important pattern frequently appeared at ‘Cheongja Sanggam Daejeop’ (celadon porcelain inlaid bowl) in the 14th century. Also found are such patterns as ‘design of willows,’ ‘design of reeds’ and ‘design of cliuds and cranes’. The mentioned pottery was marred by posterity, so observation of his remained structure has become difficult. However, I decided that with the recovered slices, chronological research of the three remains is worth trying, so I brought them up as the object of my study. To determin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potteries, I first reviewed the kinds and techniques of production, together with patterns and abnormalities of the slices. Bowls and dishes were focal points of my survey as they are kinds that have been recovered most so far. Other items such as ceramic slices and kiln tools were also investigated. I have divided the remains into daily tableware and religious utensils. However, I have encountered limitation in studying the whole composition of pattern since most of the excavated slices were small sized. Nonetheless, I have classified them into main pattern and subordinate pattern based on general composition of patterns and their locations as well as their appearing ratio. As for production skill, I observed cutting shape of ‘Yutae’(special oil painting) and bottom of the slices, their firing technique, whether they are ‘Gapbeon’ (high-grade product) or ‘Pogae Gui’ fired one, and what material was used as prop. As a result of my observing the ceramic slices from Gijang area, I came to know that the most prominent features of the three potteries lie in ‘design of lotuses and arabesques’ celadon porcelains from Sinri potteries, and the utensil production for religious service. Through the above analysis, along with study of documentary records and comparison with other remains that were recovered from stable stratum or bearing dates, I could surmise the specific production period of each pottery. In particular, I could estimate production period of ceramic kilns at Sinri villages of Ori by comparing them with the season, authorities, land and chronological era inscribed at celadon porcelain, as well as abnormalities and patterns of the remains. As the result of my research I conclude that the pottery at Sinri village of Ori began production of ceramics at a period between 1350-1370.

      • KCI등재

        학령전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대립어 이해와 표현 특성

        허선영(Hur, Sun young),김영욱(Kim, Young wook)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논총 Vol.29 No.-

        본 연구는 학령전기 다문화가정 아동의 대립어 이해와 표현을 생활연령을 일치시킨 일반가정 아동과 비교하여 살펴보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대립어 능력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검사에 사용 된 대립어는 척도반의어, 정감반의어, 역동어, 역의어 중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거주하는 생활연령 만 3세∼4세 다문화가정 아동 18명, 일반가정 아동 18명으로 하였다. 보다 정확한 연구를 위하여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가정 아동 각 만 3세 8명, 만 4세 10명씩으로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에서 정상발달을 보인 아동으로 선정하였다. 전체 검사문항은 척도반의어 6쌍, 정감반의어 3쌍, 역의어 3쌍, 역동어 3쌍씩으로 총 15쌍, 30점으로 구성하였다. 검사는 그림으로 된 도구를 제작하여 질문에 답하는 형식으로 진행되었고, 표현 검사 후 이해검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립어 이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립어 유형에 따른 이해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모든 유형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는데, 정감반의어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가정 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척도 반의어, 정감 반의어, 역의어, 역동어 순으로 높은 점수를 보였다. 셋째, 대립어 표현은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고,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대립어 유형에 따른 표현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이 일반아동에 비해 모든 유형에서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그 중 정감반의어와 역의어에서는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대립어 이해와 표현에서 다문화가정 아동은 일반아동에 비해 전체적으로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이해와 표현 모두에서 점수의 차이가 존재하나 특히 표현에서 그 차이는 더욱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문화 가정 아동의 대립어 어휘관련 지도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opposites in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cusing on error as shown in previous studi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36 children:18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chronological age(CA) 3;0∼4;11 and 18 normal children that live in Gyeonggi-do. For the accurate research, Study children:3;0∼3;1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8 people and 3;0∼3;11 normal children 8 people, 4;0∼4;11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10 people and 4;0∼4;11 normal children 10 people. This study has following results according to the analysis. First,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rehension average by opposites, normal children’s comprehen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comprehen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children’s comprehen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n all types. Concerning comprehen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rehension of subsume subjective sensations of emotions or evaluations based on subjective reactions. Third,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xpression average by opposites, normal children’s expres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and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Forth, as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expres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normal children’s expression was better than multi-cultural families children on all types. Concerning expression score by opposites types,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ression of subsume subjective sensations of emotions or evaluations based on subjective reactions and converses. Summarizing all these results, according to the developmental stage, the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vocabulary acquisition is necessary for bridging the gap between the environment. There should be made variety of maps with different languages through the characterics of comprehension and expression of opposites in preschool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for the important role of comprehension in vocabulary learning.

      • KCI우수등재
      • KCI등재

        대학생 애착유형이 그룹과제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선영(Joung Sun-Young),영림(Hur Young-Rim)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애착유형이 사회적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일반적인 그룹과제수행상황에서의 자신감과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러한 애착유형이 그룹과제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설명하는 모형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대상으로는 378명의 서울시내 K대의 대학생이 참여했으며, 애착유형을 알아보기 위해, Bartholomew와 Horowitz(1991)의 성인애착질문지를, 그룹과제수행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을 알아보기 위해, Keller(1989)의 학습동기측정검사지에서 자신감과 만족감 부분만을 연구목적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애착유형을 Bartholomew와 Horowitz(1991)에 의한 자기-타인의 이원모델에 따라 안정형, 회피형, 양가형, 공포형의 4가지로 분류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피험자의 약 60%가 안정애착유형을, 약 25%가 양가애착유형을, 나머지 10% 미만이 각각 회피와 공포의 애착유형을 보였다. 또한, 애착유형은 사회적 상호작용을 요구하는 그룹과제수행의 상황에 대한 자신감과 만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그룹과제 수행의 상황에서 집단구성원을 조직하고, 학습자가 선호하는 학습방법을 선택하는데 유의한 정보를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ttachment styles of university students on th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levels toward group project performance, involving their social interactions with others. In addition, it also sought to establish a model for predicting confidence and satisfaction levels in a group project performance environment. 378 university students at Kuniversity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as subjects. For the research instruments themselves, the researchers used revised versions of the adult attachment questionnaire (Bartholomew & Horowitz, 1991) and the learning motivation measurement instrument (Keller, 1989).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pproximately 60% of the subjects exhibited a secure attachment style, approximately 25% of them exhibited an ambivalent style, and less than 10% of them exhibited an avoidant and controlling style respectively. These attachment style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levels of confidence and satisfaction in group project performance at alpha of .05. The current research results provide useful guidance in regards to effectively organizing group members in group project performance environments and selecting appropriate learning methods based on learner's preferences.

      • KCI등재

        일반논문 : 14세기 동기(銅器)의 유행과 그 의미: 고려시대 분묘 유적을 중심으로

        신은제 ( Eun Jae Shin ),허선영 ( Sun Young Hur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1 石堂論叢 Vol.0 No.51

        14세기 고려청자에 주목할 만한 변화가 발생했다. 간지명 청자의 등장, 도식화된 문양 등은 청자 변화의 구체적 내용이었다. 청자 변화의 원인은 주로 생산체계의 변화에 따른 대량생산과 소비의 확대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최근 고려분묘에 대한 조사와 연구에 의하면, 14세기 들어 청자의 출토량은 이전시기와 감소하거나 큰 변동은 없다. 대량생산에도 불구하고 분묘에서의 소비는 크게 증가하지 않은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려시대 분묘 유적의 출토품을 검토하였다. 지역성과 시기를 고려해 상주 청리, 청주 용암, 진안 수천리, 부산 덕천동, 안산 대부도 육곡, 단양 현곡리, 경주 검단리, 청도 대전리, 고양 더부골 고려 분묘 유적을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같은 시기라고 하더라도 지역에 따라 청자가 주로 출토되는 지역과 청동기가 비교적 다수 출토된 지역이 있었다. 상주 청리는 청자만 주로 출토된 반면, 청주 용암유적에서는 다수의 동기가 출토되었다. 이러한 차이는 지역적 차이일 가능성이 높다. 둘째, 지역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11~13세기 중반까지 분묘의 부장품에는 청자가 다수를 차지하고 동합·동발·동접시 등이 공반 출토되고 있었다. 셋째, 13세기 후반 이후 동기의 출토가 급증하였다. 14세기로 편년되는 분묘에서는 청자와 함께 다수의 청동기가 공반 출토되고 있었다. 따라서 분묘의 출토양상에 의하면 14세기에는 동기가 유행하였다. 당시 동기의 유행은 문헌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홍자번의 상소 등 여러 문헌에 의하면, 원간섭기 고려에서는 동기가 상당히 유행하고 있었다. 한편 동기 확산의 배경에는 중국 화폐제도의 변화와 지배층의 취향이 자리 잡고 있었다. 원은 고래의 銅錢을 기축화폐로 사용하지 않고 은으로 지불 보증된 보초를 기축화폐로 삼았다. 기축화폐의 변화는 동을 다른 용도로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그 결과 이전보다 자유롭게 동을 이용해 동기 혹은 銅像을 주조할 수 있게 되었다. 물질적 배경이외에 문화적 변화도 있었다. 새롭게 중국의 지배층이 된 몽고족은 유목민의 전통에 따라 자기보다는 금속기를 선호했고 고려 역시 이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었다. 이런 분위기에서 고려에서는 자기가 아닌 동기를 선호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이것이 자기 산업의 쇠퇴와 자기의 질 하락을 가져온 한 배경이었을 것이다. In 14th century, as a lot of students know, Koryo celadon got some distinguished characters, the advent of celadon with the manufactured date(干支銘靑瓷), the poor patterns. Students have regarded reasons of the characters as the changes of system of production and the expanded consumption. However, according to results of recent researches of the Koryo graves, in the 14th century, the use of celadon was reduced. This deference have me to study celadon`s changes in 14th century. In this article, I`d like to study the excavated celadon from the Koryo graves. For study, I have nine remains of Koryo tumb, in regards of time and space. There are a lot of grave goods in nine remains of Koryo tumb, celadon, bronzeware, bronze spoons, and so on. From the examination of excavation reports of them, I get some conclusions. First, even same period, there is deference between grave goods as to the province in which graves were located. Some provinces of them have more celadon than bronzeware, but the other is not. Second, though the deference between provinces, I could find a important point. As a whole, there are more celadon than bronzeware in graves which were constituted during 12~13th century. Third, in the second half of 13th century, the circumstance was changed. The rate of bronzeware in grave goods got higher. In fact, there are a lot of reference to the fashion of bronzeware in ≪ Koryosa(高麗史)≫. Why bronzeware was in fashion in the 14th century? It is passible to answer the question in two ways, economy and culture. The fashion of bronzeware should base on the increase of supply of bronze. According to the study of bronze product, the bronze product in Koryo was reduced during 14th century. Though the reduce of bronze product, at that time the fashion of bronzeware was due to the importation of bronze from Yuan(元) Dynasty. Until collapse of Dynasty, Song(宋) government continued to prohibit the exportation of bronze, in order to get the raw material of the coin bronze. After the foundation of Yuan(元) Dynasty, the circumstance was changed. Yuan(元) Dynasty used the currency of Bo-chao(寶초) which was guaranteed in silver. Then Yuan(元) Dynasty didn`t need to use the much bronze than Song(宋). The surplus bronze in Yuan(元) Dynasty was exported to Koryo and Japan, and the supply of bronze got grown in Koryo. On the other hand, the cultural preference effected the fashion of bronzeware. The Mongolians as nomadic tribes prefered the matalware to celadon or ceramics. The upper class in Koryo Dynasty was heavily affected by Yuan(元) Dynasty, politically and culturally. They prefered the matalware, especially bronzeware to celadon. The fashion of bronzeware brought about the fall of celadon`s product, it might result the relative decline of the celadon`s qu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