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성적 분석 방법을 활용한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 효과분석 및 체계 제안

        허보영,박소순 한국방재학회 2016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6 No.2

        As interest in overall safety issues including natural disasters and living safety accidents is rising, preparing countermeasures against these problems has emerged as an important issue. Up to the present, mostly the government-initiated safety measures have been established and the system is such that safety service or safety information is provided unilaterally for the people. However, as questions as to its effectiveness are raised, demand for preparation of diverse forms of alternatives is increasing. Recently, breaking away from the government-led forms, the resident participation types of policies and safety improvement projects are attempted as part of the vitaliz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Accordingly, the necessity to objectively and statistically investigate and analyze the residents’feeling effects such as feeling degree about the safety against disasters in the residential regions, the necessity of and the participation in the projects has been raised.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n 1,277 residents living in 20 places of the 2015 safety community projects, the effects of the projects such as the safety feeling degree of the residents of the applicable regions, the necessity of the detailed projects and participation intention, resident communities’disaster prevention capabilities (disaster risk awareness state, evacuation guidance abilities, the degree of autonomous preparation for evacuation, disaster and safety community activities, the degree of residents’participation, surveillance and security readiness, information delivery readiness) were analyzed. Through this, the items and the system of th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afe community building projects were proposed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be utilized not only in these projects but also similar projects. 자연재난과 생활안전사고를 포함한 안전 전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중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지금까지는 대부분 정부 주도로 안전대책을 수립하고 안전서비스나 안전정보를 일방적으로 국민에게 제공하는 체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 효과에 대한 의문이 제기 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대안 마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정부주도의 형식에서 벗어나 시민참여 활성화의 일환으로 주민 참여형 정책과 안전개선사업이 시도되고 있다. 이에 주민들이 거주하는 지역의 재난안전에 대한 체감도와 사업의 필요성 및 참여의향 등 주민체감 효과를 객관적·통계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 20개소에 거주하는 주민 1,27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지역 주민들에게 안전체감도, 세부사업의 필요성 및 참여의향, 주민공동체 방재역량(재해위험인지 상태, 피난유도 능력, 자주피난대비 정도, 재난안전 공동체 활동 및 주민참여 정도, 감시경계 태세, 정보전달 태세) 등의 사업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안전마을 만들기 사업의 효과분석 항목과 체계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본 사업뿐만 아니라 유사사업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붕괴위험지구 투자우선순위 결정 개선방안

        허보영,최우정,Heo,Bo Young,Choi,Woo Jung 한국방재학회 2012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2 No.2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중 붕괴위험지구의 피해위험지역 설정에 따른 투자대비 예방효과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을 통해 붕괴위험지구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결정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과거재해이력 등을 고려하여 11개 붕괴위험지구를 선정하였으며, 피해위험지역 설정방법에 따른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여 사업효과를 분석하였다. 붕괴위험지구에 대한 비용편익 분석을 실시하기 위하여 급경사지 범위기준과 수치모의 범위기준으로 피해위험지역을 설정하였으며, 자연재해 복구지침, 풍수해보험, 시가표준액, 교통혼잡비용으로 피해위험지역 내의 편익항목들을 산정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비용편익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함으로써 붕괴위험지구에 대한 투자우선순위 결정 방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we suggested an improvement methodology in determining the investment priority for collapse hazard areas us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on the investment effect for the damage area criteria. Eleven area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in order to consider historical disaster records, and analyzed the its effect using the benefit cost analysis based on the damage area design criteria. Damage areas using steep slop standard and numerical simulation standard (rockfall 4.0) are established, calculated in terms of benefit cost analysis on damaged areas using the guideline for the recovery of natural disasters, disaster insurance, statutory standard price of fair market value, traffic congestion costs, and studied the benefit cost analysis in collapse hazard areas.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improve the determination of the investment priority for collapse hazard areas.

      • 전자부품 폐기물로부터 귀금속 침출, 회수에 관한 연구

        허보영,조권구 경상대학교 환경보전연구소 1993 環境保全硏究所報 Vol.1 No.1

        Electronic scrap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sources of raw material for the precious metal refiner. Because of the significant technological changes and growth taking place in the electronics industry, electronic scrap supplies are also expected to undergo significant change. In this paper we will discuss only obsolute electronics scrap. It was found using a crushing electronics scrap that silver can respectively be dissolved at much greater rate by acidic solutions of thiourea and by conventional cyanidation techniques. Dissolution rates are dependent on thiourea and oxidant and oxidant concentration, and appear to be controlled partially by chemical phenomina and by transport of ions to the scrap.

      • KCI등재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투자효과분석

        허보영,유순영,김성욱,Heo, Bo-Young,Yu, Soonyoung,Kim, Sung-Wook 대한자원환경지질학회 2013 자원환경지질 Vol.46 No.3

        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질적 수준제고를 위하여 재해위험지구 정비 사업을 대상으로 비용 대비 편익을 분석하였다. 최근의 재해이력을 고려하여 8개의 분석대상 지구를 선정하였고, 비용편익비(B/C)를 사용하여 투자효과를 분석하였다. 편익 산정은 해당지역의 과거재해이력을 활용하였으며, 비용은 총사업비로 평가하였다. 8개의 분석대상 지구에 대한 분석결과는 영향범위, 할인율 등의 인자에 따라 다른 범위에서 1보다 큰 B/C를 보여주고 있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4% 할인율과 5 km 영향거리 조건에서 8개 대상 지구에 대한 평균 B/C는 4.1로 1이상을 나타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재해위험지구 정비 사업은 비용 대비 효율이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assurance of the disaster mitigation projects, the economic effect of these projects in the hazardous areas was analysed. Eight project sites were selected for analyses based on the disaster data during the previous 10 years, and the investment effect was evaluated using a benefit cost ratio (B/C). The benefit was estimated using the historical disaster data and presumed to continue for 30 years, while the cost was assumed with the total project cost. Analysis results indicate the B/C ratio is larger than 1 in the difference range, depending on factors such as impact areas and discount rate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B/C of the eight projects is 4.1 with assuming the discount rate of 4% and the impact diameter of 5 km, which implies that a disaster management project in hazardous areas will give the positive investment effects.

      • KCI등재

        정량·정성적 분석방법을 활용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 효과분석

        허보영,Heo. Bo Young 한국방재학회 2013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3 No.3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질적 수준제고를 위하여 지금까지 수행된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에 대해 정량 정성적인 방법으로 효과성을 분석했으며, 분석결과를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예산확보 필요성을 설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국내외 유사사업의 효과분석 사례를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정비사업에 대한 효과분석 방법을 제시하였다. 효과분석은 크게 정량적 분석과 정성적 분석으로 구분하였다. 정량적 분석은 비용편익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정성적 분석은 설문조사를 통해 (1) 만족도, (2) 정비사업 전 후의 피해경감효과를 분석하였으며, 더불어 일반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알 수 있는 기술적 통계분석 결과 외에 자연재해위험지구 정비사업과 유사한 공공사업인 농업, 산림, 수산업 등의 정책평가에서 사용된 구조방정식모형을 통한 (3) 타당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결과 정량적 분석에서는 비용편익비가 1이상을 나타냈으며, 정성적 분석에서도 사업에 대한 효과를 긍정적으로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분석된 효과는 정비사업의 예산확보에 기여 및 향후 정비사업의 효율적인 추진방향 설정에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effect analysis of the Maintenance Project on Natural Disaster Prone Areas was analys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the project. The result obtained from this analysis is used as fundamental data to acquire the continuous and stable budget status.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rehabilitation projects of natural disaster risk districts, the cases of effectiveness analysis of similar projects at home and abroad were investigated, and based on this, the methods of effectiveness analysis on rehabilitation projects were presented. The effectiveness analysis was divided roughly into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quantitative analysis utilized the cost-benefit analysis, and the qualitative analysis conducted the analysis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on (1)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2) the damage reduction effectiveness before and after the rehabilitation projects, and (3) the validity analysis through, besides the results of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generally obtained by questionnaire surve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used in the policy evaluation of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y industry projects, which are the public projects similar to the rehabilitation projects of natural disaster risk distric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the cost-benefit analysis ratio was more than 1, and also in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s was positively perceived.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securing the budget for the rehabilitation projects and to be utiliz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efficiently promoting the rehabilitation projects going forwar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