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함철호(Ham Cheol Ho),이중섭(Lee Jung Seb) 경성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0 社會科學硏究 Vol.26 No.4

        본 연구는 지역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지역의 복지정책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자기이해(self-interest), 사회화, 이데올로기 그리고 수급자에 대한 태도 요인으로 범주화하고 지역별 복지의식과의 이들 관련 요인들과의 인과적 관련성을 탐색하였다. 분석결과를 정리하면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도시규모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도시의 경우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요인이 복지의식과 유미한 인과관계를 보인 반면, 소도시는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태도요인과 복지의식간의 인과적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소도시보다는 엄격한 노동윤리와 개인주의가 강한 대도시의 특성을 반영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생활권역별로도 복지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의 경우 자기이해요인이나 사회화요인보다는 이데올로기 요인이나 수급자에 대한 태도요인이 복지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영남권의 경우 자기이해요인과 사회화 요인의 영향력이 복지의식에 유의미하게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영남권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산업화세대보다는 민주화세대가 긍정적인 복지의식을 보였지만, 호남지역에서는 성별이나 세대와 복지의식간의 유의미한 인과적 관련성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지역정체성에 맞는 지역주민의 복지의식 제고 방안 마련과 수급자에 대한 부정적 인식 해소 등을 정책과제로 제안했다. Social welfare policy design and implementation at the local level is an important terrain for analyzing the transition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Local government have quite different finance conditions and welfare resources. So, Local government carry out a plan to pallin with local environment. Specially, Korea has experimented deep-tooted provincialism and its provincialism has been an effect on provincial welfar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associated factors that influencing on welfare attitudes of region. The analysis data for this study is a second data of Korea Welfare Panel Surve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st, welfare attitude of people differ slightly along local level. For instance, welfare attitude of big city is influenced by a agree about welfare tax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but welfare attitude of small town is influenced by labor market participation, education level, generation, and ideology. Second, provincialism influence on welfare attitude of region. For instance, welfare attitude of national capital district mainly influenced by ideology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Young-Nam district mainly influenced by self-interest, socialization, ideology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Specially, Socialization, self-interest, and attitude on the recipient have an influence on welfare attitude in Ho-Nam district.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that improvement in negative recognition on the recipient, strengthening value of equality, and understand change of a local resident.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계획 중장기 발전 방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함철호(Ham Cheol Ho),박태영(Park Tae Young),이재완(Lee Jae Wan),류만희(Ryu Man Hee),채현탁(Chae Hyun Tak),김종건(Kim Jong Geo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6

        본 연구는 지역사회복지계획의 중장기 발전방향을 탐색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담당공무원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 간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FGI를 병행하였다. 조사결과에 근거해 다음과 같은 발전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지역사회복지계획의 내용과 성격을 변화시켜야 한다. 기초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은 지역사업 중심으로 수립되어야 하며, 광역 시·도 지역복지계획은 ‘지원계획’으로 변경되어, 기초자치단체의 복지계획의 수립·실행·평가를 지원해야 한다. 둘째, 지역사회복지를 위한 법적 근거 강화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셋째,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실행·평가의 주체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의 활성화 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넷째, 지역사회복지계획(연차별 시행계획) 수립매뉴얼이 쉽게 만들어져야 한다. 다섯째, 연차별 시행계획 수립을 둘러싼 일선환경을 제도화할 필요가 있다. 끝으로, 지역사회복지계획 평가의 적절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long-term development direction of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For accomplishing the purpose of research, it conducted the questionnaire and FGI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ning officials and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secretaries. It was to suggest the following development direc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research. First, contents and character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should be changed.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s of city, county and ward should be established centering around local businesses, metropolitan and provincial welfare plans should be changed into "support plan" and establish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the local governments" welfare programs should be supported. Second, legal found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should be strengthened. Third, methods of activating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s the subject of establishing, performing and evaluating community welfare programs should be easy. Fourth, the security of term for establishing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 and timing adjustment are required. Fifth, (annual performance plans)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ning manual should be diversified. Sixth, general environment related to the annual performance plan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Finally, appropriateness of evaluating community social welfare plans should be secured.

      • KCI등재

        지역사회에서 보건의료와 복지의 연계실태와 연계의 틀로서 케어 매니지먼트에 대한 태도

        함철호(Cheol Ho Ham),김태숙(Tae Sook Kim),정은경(Eun Kyung Chung),문창진(Chang Jin Moon) 한국노인복지학회 2001 노인복지연구 Vol.13 No.-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ajor factors influencing the evolution and development of community care for elderly people in Korea. This study is largely concerned with understand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attitudes of healthcare dutie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in the community. I this study, 635 social work & community health workers were interviewed about their attitudes toward caremanagement as connecting framework of healthcare and social work within local community. In cases where appropriateness and cost-effectiveness considerations are clearly congruent, hard choices regarding public policy need not be made. The difficult public policy choices are found where humane ethics and quality of life considerations indicate the desirability of home and community-based service development when, at least in the short run, institutional service development would appear to be more cost-effective. However, analyses support Channeling Demonstrations which examined in-home and community-based care while questioning the cost-effectiveness of such care concluded with a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the public policy goal of appropriateness.. In this study, it is optimistic that more than 50% the respondents feel that healthcare offices and social welfare services need to be closely tied and connected. In addition, they also positively feel that within the cooperation, duties of the two parties shouldn`t be overlapped or double performed on the same target. Overall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a comprehensive model of reflecting both health care and social work within integrated or segregated system of the both parties.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거버넌스

        함철호(Ham Cheol H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4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의 메카니즘인 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발전방안을 탐색하려는 목적을 가진다. 선행연구 검토결과, 지역사회복지협의체라는 네트워크 구성요소의 특성은 행위자 측면에서 민과 관의 불평등한 권력자원에 근거한 민의 동원적 참여, 낮은 수준의 거버넌스, 그리고, 현실이 아닌 바램으로 나타난 공동목적달성으로 정리된다. 또한 전달체계로서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복지부, 시ㆍ도, 시ㆍ군ㆍ구, 읍ㆍ면ㆍ동을 연결하는 고리가 미약하며, 각 층위별 네트워크도 안정적이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전달체계?네트워크의 바람직한 구조, 제도적 거버넌스, 민간의 권력획득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본 연구의 함의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methods of development of the Community Social Security Council, a mechanism of Korea"s local social welfare governance.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dicates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 component of a network, are the civilians" mobilized participation by the government (that is, the agents" participation), the unequal authority relation between both parties, low-quality governance, and the achievement of common objectives, shown to be a desire, not the reality. In addition, as for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Council as a delivery system, the link between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cities and provinces, the Cities, Guns (counties), and Gues (boroughs), the Eups (towns), Myeons (townships), and Dongs (neighborhoods) is weak; and each hierarchy"s network is not stable.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were presented: a desirable structure of the delivery system and network, institutional rules, and methods by which the private sector can obtain power.

      • KCI등재

        공공영역 사례관리자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

        함철호(Ham, Cheol-Ho),이기연(Lee, Ki-Yeo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38

        본 연구는 공공 전달체계상에서 사례관리를 수행하고 있는 인력들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공공 사례관리의 현황과 과제를 탐색하고 대안을 제시하고자하는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은 공공전달체계상에서 사례관리를 담당하고 있는 인력들, 즉 시ㆍ군ㆍ구의 서비스 연계팀장 및 팀원, 사례관리자들에 대한 초점집단 면접법(Focus Group Interview)이다. 분석결과, 공공전달체계상 인력의 사례관리 수행경험은 ‘비효율적인 사례관리운영체계’, ‘갈피를 못잡게 하는 사례관리과정’, ‘정책변화에 따른 불투명성’, ‘지역사회자원개발: 바위에 계란 던지기’, ‘억지춘향식 민관협력’, ‘이율배반적인 인력 활용구조’. ‘불가근불가원의 딜레마’, ‘사례관리자의 인식의 전환’, ‘실천적 지식의 축적’라는 주제로 구분되었고, 각각의 영역에 대해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case management which was introduced to and has been executed in public delivery system and suggest alternatives. The Data were collected by in Focus Group Interview and documents. It used qualitative that analyzes narratives of case management personnels in public delivery system including chief and members of city and county service teams, and integrated staffs of social welfare service. As the analysis results, tasks of case management in public delivery system are categorized into seven; policy direction, case management operation system, case management process, community resources, private-governmental cooperati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dilemma, and the following alternatives for each area are suggested.

      • KCI등재

        농촌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

        함철호(Ham Cheol Ho)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3

        본 연구는 약칭 ‘사회보장급여법’ 41조 6항의 지역사회보장협의체에 대한 질적 사례연구이다. A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는 그 지역의 특성, 즉 외딴 마을에 노인인구가 많아 고립의 위험이 높으므로, ‘다함께 돌자 동네 한바퀴’ 누리단을 만들어 방문상담을 하고 사각지대 발굴시 면사무소에 연결하는 시스템을 매우 잘 운영하고 있다. 500원만 내면 탈수 있는 행복택시 운영, 조손가구 손자녀들을 위한 속옷과 생리대 제공, 릴레이후원과 같은 특화사업을 하고 있다. 이러한 사업에 대한 주민들의 반응과 변화는 다음과 같다. 즉, ‘다양한 복지서비스(협의체 특화사업)에 대해 고마워함’, ‘풍부해지고 체계적인 서비스를 위해서는 민관 협력이 중요함’, ‘민관협력에서 주민이 주도자가 되어야 함’. ‘주민들이 복지활동에 익숙해지고 참여하는 주민이 많아짐’, ‘아동, 노인 등 후원 혹은 나눔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함’. A면지역사회보장협의체의 활성화 요인과 정책적 시사점, 그리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a qualitative case study of the Community Security Council under Article 41 (6) of the Social Security Benefit Act. The A-region Social Security Council has a system that connects the residents to the labor offices when they find a blind spot and makes a visit to the village to find out the blind spot because the elderly population in the remote village is high and the risk of isolation is high. It operates very well. It has a special business such as operating a happy taxi with dehydration within 500 won, offering underwear and sanitary napkins for grandchildren"s grandchildren, and sponsoring relays. The responses and changes of residents in these projects are as follows. In other words, "Thank you for the various welfare services (consultation specialized projects)", "Public-private cooperation is important for richer and systematic services", and "Residents must be the leading figure in public-private partnership". "The number of residents participating in welfare activities has increased and they have become accustomed to welfare activities," and actively participated in sponsoring or sharing activities such as children and seniors. This study suggests follow - up researches on the activation factors and policy suggestions of A - region social security council.

      • KCI등재
      • KCI등재

        재가복지사업의 효과성 평가 연구

        함철호(Cheol Ho Ham) 한국노년학회 1997 한국노년학 Vol.17 No.1

        지금까지 약 4년여 실시되어 온 재가복지사업의 효과성을 평가하기 위해 준실험 설계라는 평가방법을 도입하여 연구하였다. 재가복지서비스를 받는 노인과 받지 못하고 있는 노인의 연령, 성별, 종교, 학력, 질병, 일상생활능력, 소득 등을 통제하여 양집단간에 사회적 지지망과 생활만족도가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양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있어서 차이가 나지는 않았으나, 생활만족도에 있어서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일상생활 동작능력에서 수혜노인보다 비수혜노인이 더 좋았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에서는 일상생활동작능력에 따라 생활만족도의 차이가 나지 않았다. 이것은 기존의 연구들과 상치되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고려할 때 양집단의 동질성은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핵심인 재가복지서비스가 사회적 관계망을 확대시키고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리라는 가설은 채택되기도 하고 기각되기도 하였다. 즉 재가복지서비스가 재가전담요원, 가정봉사원 등의 역할로 노인들의 사회적 지지망을 확대시키기는 하지만, 그것이 수혜노인들과 비수혜노인들간의 생활만족도에 차이를 발생시키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것들을 고려하여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이 내리고자 한다. 즉, 현행 사회복지관 재가복지 봉사센터의 재가복지사업은 재가전담요원, 가정봉사원 등의 노력으로 노인들의 사회적 관계망을 확대시키는 효과는 있지만, 생활만족도를 증진시키는 효과까지는 없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이러한 것은 잠정적인 결론일 수밖에 없다. This study used quasi-experimental design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 home-based services for the past four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hypotheses, that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the old people who receive the home-based services and the old people who do not receive these services offer controlling age, sex, religion, disease, the ability of daily living, income, and so forth. According to the results about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erson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However, in the ability of daily living, which has an important effect upon life satisfaction index, service non-recipients, were more likely to satisfy than service recipients. In addi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indicate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life satisfaction index. We can interpret this result that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ensured. The core hypotheses, of this research that home-based services can expand social support network and improve life satisfaction were acepted or rejected. In other words, while the home-based services expanded the old people''s social support network through the activities of social workers and volunteers, these services did not offer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index between the two groups. Considering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the current home-based services provided by social welfare centers have an effect upon increasing old people's social support network. But these services have no effect upon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dex. It may be only a tentative conclusion.

      • KCI등재

        재가장애노인을 위한 지역복지실천에 있어서 기관간 협력에 관한 사례 연구

        함철호(Cheol Ho Ham) 한국노인복지학회 2001 노인복지연구 Vol.14 No.-

        The Korean society is also being converted into a post-industrial nation via the fast industrialization, reviews complex and diverse aging problems in a new view unlike the past, therefore the more flexible and reformative social welfare service network to satisfy new desires of the elderly will be established inevitably and concretely. Considering a loss of national society owing to the untimely prevention and removal of aging problems, services of the administrative and institutional dimension will have to be propelled that whole and synthetic services may be able to be immediately practiced. That is, we have to do our best that the elderly welfare service policy may raise the elderly welfare to the lever comparable to the development of industrial parts versus finance under pan-national concerms. Policymakers of elderly welfare sufficiently understand critical problems undergone by the aged and families and an agony of our whole society due to aging problems, and they will have to have a positive volition to improve the elderly welfare more sincerely and responsibly. In this study, a comprehensive model of cooperative practices among welfare facilities and institution in caring the community living elderly; First, there is a cooperation(transfer of elderly client from a facility to another facility) between general social welfare offices. Second, there is an exchange of social services between religious versus non-religious institutions. Third, there is an exchange of idea or official position among various residential or visiting facilities. Overall in this study, because any elderly client is like to transfer from one to another location, very cooperative exchange policy is recommended.

      • KCI등재

        사회복지관의 수퍼비전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함철호(HAM- Cheol Ho),윤경필(YUN-Kyung Pil)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7

        본 연구는 사회복지관에서 이루어지는 수퍼비전과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간 영향관계를 기반으로 전문적 능력이 직무성과를 얼마나 변화시킬 수 있는지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조사는 2013년 2월에서 4월까지 약 3달간 실시되었고, 응답자는 182명의 사회복지사이다. 수집된 자료분석을 위해 SPSS 18.0 버전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수퍼비전과 직무성과 간 관계에서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의 매개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수퍼비전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이 직무성과 향상에 중요한 기제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의 매개효과를 통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파악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 향상을 위한 효과적인 수퍼비전 방안과 사회복지사의 전문적 능력향상을 위한 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ap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upervision and Work Performance among Social Welfare Center’s. We conducted survey with 182 social workers working in South Cheolla province and Gwangju in Korea The result shows the significant medicating effect of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apability in the relation of Supervision with Work Performance among Social Welfare Center’s. Based on this result, we discussed implications regarding to Social Welfare Center’s Supervision and practical suggestion for improving Social Worker’s Professional Capabilit among Social Welfare Cen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