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상 행복추구권과 성년후견제도에 관한 연구

        채현탁 ( Hyun Tak Chae ),백윤철 ( Yun Chul Baek )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37 No.1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in Korea shall be implemented from July 1, 20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a meaning of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constitutional right to pursue happiness and to examine the emergence of this system and principles of practice, the main contents. Based on this, this study proposes a preparations to implement of this system. As a study result, It was examined that the adult guardianship system has a character of social security as the constitutional right to pursue happiness. And the following contents are required : specific standards for guardians and guardianship director, a procedures on how to apply this system for a ward, standards of think reflects for a ward, prescripts to necessary for the guardian education and management, solutions to problems of cost due to the use of the system.

      • KCI등재

        사회보장수급권 강화를 위한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 발전방향 ―희망복지지원단 통합사례관리사업을 중심으로―

        채현탁 ( Hyun Tak Chae ),백윤철 ( Yun Chul Baek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2012 世界憲法硏究 Vol.18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보장수급권을 강화하기 위한 공공사회전달체계의 개편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회보장수급권의 의의와 법적 성질, 사회보장권과 보훈권, 사회보장수급권 실현을 위한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운영 사례,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로서 희망복지지원단의 통합사례관리사업 운영 실태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보장수급권 강화를 위한 공공사회복지전달체계의 개편을 위해 지역주민의 안전한 보호를 위한 지리적인 권역 단위의 개념도입, 전문성을 갖춘 공공영역 통합사례관리자의 육성,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의 실질적인 연계ㆍ협력,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사례관리 과정의 재정립 등이 필요함을 제언할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the ways to reorganize the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or enhancing social security right of recipience. In line with this, significance of social security right of recipience and legal nature, social security right and veterans right, operating practices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for the realization of social security right of recipience, operating analysis about case management of Hope Welfare Supporters as a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has been explored. In order for reorganization of public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to enhance the social security right of recipience, introducing the concept of living community for the safe protection of the local residents, upbringing of case managers with expertise in public sector, cooperation of substantial public and private sectors, redefining the process of community-based case management are determined.

      • KCI등재

        지역사회 복지의제의 정치 담론화 과제에 관한 연구

        채현탁(Chae, Hyun-tak),조영진(Cho, Young-Ji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8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6

        본 연구는 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 제기된 복지의제와 이것이 정치 담론화되는 과정을 확인하고 이러한 내용과 과정에서 제기되는 문제와 해결과제는 무엇인지를 검토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의 민선 6기 도지사의 공약, 제3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의 수립, 민선 6기(제10대 경상북도의회)의 사회보장 관련 조례의 제·개정 과정을 중심으로 복지의제의 내용과 정치 담론화 과정을 분석해 보았다. 분석 결과, 경상북도지사가 공약한 복지의제는 행정 지자체 내부에서 제안한 기존 사업을 확대하는 방향으로 기획되었고, 지자체, 지방의회, 사회복지현장관계자, 주역주민 간에 정치담론화가 매우 형식적이고 제한적으로 이루어진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경상북도의 제3기 지역사회보장계획에서 제시된 복지의제로서 세부사업은 정부나 지자체의 기존 사업을 유지하거나 확대한 수준에 있으며, 지자체와 지역주민이 배제된 정치 담론화 과정이 이루어진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경상북도의회의 복지의제로서 사회보장관련 조례는 전통적인 사회복지영역인 돌봄 영역의 관심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조례가 제·개정되는 과정에서의 정치 담론화는 조례 발의자의 발의 원안이 조례화 되는 특징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제기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①지역사회 정치 주체들의 복지의제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개발 역량 강화, ②지역사회 복지의제의 정치 담론화를 지원하는 행정시스템 마련, ③지역사회 복지의제의 정치 담론화 과정에서 주민참여의 활성화, ④지역사회 복지의제에 대한 입법지원 체계의 강화 등을 과제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welfare system proposed by the local government entity and the process of its discourse on politics, and to examine the problems and the problems posed by these contents and processes. For this purpose, the pledge of the 6th provincial governor to Gyeongsangbuk-do Province, establishment of the 3rd social security plan, the first and the revision process of the social security-related ordinance of the sixth term of the elected(the 10th Gyeongsangbuk-do Assembly), I analyzed the contents of welfare and political discourse proces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The welfare system promised by the governor of Gyeongsangbuk-do Province was designed to expand the existing projects proposed within the administrative local government,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olitical discourse between the local government, a local assembly, social welfare workers, and local residents was very formal and limited. And the welfare system proposed in the 3rd Social Security Plan in Gyeongsangbuk-do is the level of maintenance or enlargement of the existing projects of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 and that the process of political discourse was excluded from the local government and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he social security ordinance as the welfare system of the Gyeongsangbuk-do provincial council is relatively low in the care which is a traditional social welfare area. The political discourse in the course of the revision of the Ordinance was able to confirm the characteristics of the ordinance initiator"s initiative.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raised through this ①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community political entities" welfare system, empowerment development ②Providing administrative system to support the political discourse of proposal of community welfare ③Activation of residents" participation in the process of political discourse on the proposal of community welfare ④Strengthening the legislative support system for the community welfare proposal, I can suggest them as an assignment.

      • KCI등재

        연구논문 : 헌법상 노인의 사회보장권 강화를 위한 노인학대 관련 법률의 합리화 방안

        채현탁 ( Hyun Tak Chae ),백윤철 ( Yun Chul Baek ) 국제헌법학회,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2

        본 연구는 우선 헌법상 노인에게 인정되는 기본권으로서 사회보장권에 관한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우리나라 법률 가운데 노인학대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는 법률을 중심으로 그것의 내용과 법적처리절차를 분석해 봄으로써 노인학대 관련 법률의 합리화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헌법상 노인의 사회보장권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인학대 관련 법률의 합리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노인학대 피해자의 사회보장권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노인복지법의 정비가 우선 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학대에 노출되기 쉬운 노인을 보호하기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학대 관련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정·성폭력관련 전문기관과 노인복지·의료관련기관 간의 연계 및 협력을 노인학대 관련 법률에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인학대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형사절차상의 노인보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This study reviews social security rights of the elder people as their basic constitutional rights. It also aims to strengthen and find out ways to justify laws related to elder abuse by analyzing laws about elder abuse in Korea and their legal procedures. Through this analysis, several measures to justify laws related to elder abuse to strengthen their social security rights have been identified as follows. First, law revision for The Elderly Welfare Act is required in order to secure basic rights of the victims against elder abuse. Second, improvement of the provisions about abuse in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should be made in order to protect elders from the elder abuse specially for those who may be easily exposed to it. Third, collaboration between institutions for sexual harrassment or family problems and aged welfare or medical care should be stipulated in elder abuse relevant law. Fourth, legal proceeding to protect victims from the second victimization should be strengthened.

      • KCI등재

        지방정부 사회복지 분권화의 과제와 방향에 관한 연구

        채현탁(Chae, Hyun tak),박종철(Park, Jong cheol)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7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62

        본 연구는 지방정부 차원에서 사회복지 분권화를 위해 고민해야 할 과제와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우선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분권화의 개념과 내용을 검토하여 이와 관련한 바람직한 방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현시점에서 이것이 작동되고 있는 지역사회복지현장의 쟁점을 검토하여 과제를 도출하였으며, 이에 기초하여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분권화를 위한 방향을 몇 가지로 나누어 제시하였다. 지역사회 복지주체간의 활동 쟁점을 사회복지 관련 계획, 각종 위원회, 사회서비스로 나누어 검토해 본 결과, 지자체의 주도적·통합적 역할과 관련한 무기력함, 지자체의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와 의지 부족, 복지사업 담당인력 기획능력 및 전문성 부족, 공공영역 내 및 민·관간의 협의 조정 능력 부족, 민·관의 기능과 역할 중복·누락, 연계·협력 미비, 민간영역의 적극적인 참여와 주도성 부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바탕으로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분권화의 방향을 복지권에 대한 지방정부의 실질적인 책임 및 권한 강화, 지방정부의 사회복지 분권역량 제고, 민․관의 역할 명료화와 상보적 협력, 민간영역의 적극적인 지역사회복지사업 참여와 주도로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sirable direction by examining the concept and contents of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in local governments to derive the tasks and directions to be elaborated for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And, at the present time, this study examined issues in the community social welfare field where this is working, and derived the tasks. And on the basis of this, the directions for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are divided into several parts, and presented. As a result of studying the issues of social welfare activities among the social welfare related plans, various committees and social service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the helplessness associated with the dominant and integrated role of local governments, lack of understanding and willingness of local governments" community social welfare, lack of welfare project personnel inadequate planning ability and expertise, lack of public‐private coordination within the public domain, duplication and omission of public·private functions and roles, lack of succession and cooperation, and lack of active participation and initiative in the private sector, etc. Based on these tasks,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direction of social welfare decentralization of local governments should be strengthening the practical responsibilities and powers of local governments on social welfare rights, strengthening the social welfar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clarification of public‐private roles and complementary cooperation, and private sector’s active participation and leadership of community social welfare.

      • KCI등재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에 따른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의 협력방안

        채현탁(Chae, Hyun-ta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2

        본 연구는 정부의 읍면동 복지기능 강화로 인해 제기된 지역사회복지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 사회복지협의회가 적절히 기능할 수 있는 협력방안을 모색하는데 초점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정부의 사회복지전달체계 개편에 따른 방향성을 지역성, 통합성, 주체성으로 도출하였고, 이를 중심으로 두 조직의 활동 및 협력실태와 문제점 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지역성 측면에서 읍면동 단위에서의 협력 논의는 시기적으로 매우 빠른 감이 있으나 정부의 강한 정책 추진 의지에 따라 새로운 협력 방안 모색이 요구되고 있다. 통합적 측면에서는 두 조직 모두 통합성을 구현할 기반이 취약하고, 지역사회의 한정적인 자원으로 인해 자원 확보 경쟁 및 이로 인한 갈등 가능성마저 야기될 수 있다. 또한 주체성 측면에서는 사회복지협의회의 주민참여 활동 경험을 지역사회복지협의체와의 협력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를 중요한 과제로 제시해 볼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역성(읍면동 단위 등)을 고려한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의식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보장적 기능/사회복지협의회는 개발적 기능으로 핵심 기능 정립,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주민생활 중심/사회복지협의회는 복지 중심으로 조직 구성상의 통합성 강화, 지역사회복지협의체는 공식적 자원 조직화/사회복지협의회는 비공식적 자원 조직화로 읍면동 단위의 다중 안전망 구축 등을 제안 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find strategies for cooperation between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for their adequate functioning in consideration of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suggested by the government’s reinforcement of the welfare function of eup, myeon, and dong. With this purpose, this study derived regionality, integrity and subjectivity as the directions of community social welfare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restructuring of the social welfare delivery system, and in terms of these directions, examined the activities and cooperation of the two organizations and related probl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s follows. From the aspect of regionality, it may be too early to discuss cooperation in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but it is required to find new cooperation strategies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determined will to promote the policy. In the aspect of integrity, both of the two organizations do not have a solid foundation for implementing integrity, and even the limited resources of community communities may cause competition and conflicts for securing resources. From the aspect of subjectivity, it is an important question how the experience of resident participation activities of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will be utilized for its cooperation with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In order to resolve these issues, this study suggested conscientization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in consideration of regionality (the units of eup, myeon, dong, etc.), establishment of welfare function and developmental function as the key functions of, respectivel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reinforcement of the integrity of organizational structure centering on residents’ life for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on welfare for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and construction of multi?layered safety net for the units of eup, myeon, and dong through organizing official resources by Community Social Welfare Association and unofficial resources by the Council on Social Welfare, etc.

      • KCI등재

        시군구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매뉴얼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채현탁(Hyun-tak, Chae),유애정(Ae-jung, Yoo),박태영(Tae-young, Par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48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지역사회복지계획 매뉴얼 작성의 필요성 및 매뉴얼 개발 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요소들을 일본의 지역복지계획 수립의 선행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에 근거하여 제1기~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매뉴얼을 계획수립의 주체, 욕구 및 자원조사를 포함하는 지역사회복지조사, 복지계획내용, 주민의견 수렴 등을 포함하는 주민참여, 심의확정 및 보고절차 등의 주요 내용을 중심으로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향후 지역사회복지계획 수립 매뉴얼을 발전시켜 나감에 있어 상시적인 계획 수립 및 평가의 실행체계 마련, 지역사회복지조사방법의 다양화, 핵심과제 해결계획의 정교화를 위한 관련 사례 및 자료의 풍부한 제공, 주민참여가 강조된 계획 수립절차의 마련, 지자체의 책임성을 담보할 수 있는 지방의회와의 협력 시스템 마련 등을 발전방향으로 제시하였다. In this study, the need for community welfare plan should be examined when establishing the essential elements of community welfare planning in Japan mainly looked at the experience of the preceding. Based on this first stage and the third stage, the community planning manual for planning the welfare of subjects, including research needs and resources research community welfare, plan information, including citizen participation, deliberation and reporting procedures established center of the main content of a comprehensive analysis. This allows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community welfare planning manuals on the exit plan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 constantly running system laid, investigated how the diversification of social welfare, for the elaboration of the key challenges related to planning practices and provide a wealth of data, citizen participation in the planning process system, to guarantee the accountability of local governments can establish local councils and the development of partnerships with the direction of the system proposed.

      • KCI등재

        사회복지법인 운영이 지역 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

        채현탁(Hyun-Tak Chae),임우현(Woo-Hyun Im),김영길(Young-Kil Kim)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7

        본 연구는 사회복지법인이 설립․운영됨으로써 지역사회에 미치는 경제적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산업연관분석 모형을 이용하여 대구광역시 소재 사회복지법인 운영의 지역경제파급효과를 분석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총생산유발효과가 43,445억원, 총부가가치유발효과가 19,400억원, 총고용유발 효과가 37,411명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에 대한 소비지향적인 인식을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 둘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에서 제공하는 사회서비스와 연계한 고용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이를 위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별도의 지원체계를 구축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에서 창출되는 부가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다양한 분야에서 확대시킬 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넷째, 사회복지법인 및 산하 시설 · 기관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지역사회로 적절히 홍보함으로써 사회서비스 제공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책임성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grasp the economic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by establishing and operating it. For this purpose, the effects of the social welfare law of Daegu Metropolitan City on the regional economy were analyzed using the input-output analysis model. As a result, the effects of GDP was 43,445 billion won, the total value-added effect was 1,940 billion won, and the total employment inducement effect was 37,411. Based on thes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ocial welfare corporation is suggest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erception of consumer-oriented welfare toward welfare that contributes to the activation of the local economy. Second, efforts should be made to continuously expand employment linked to social welfare services,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jobs can be created from a long-term perspective, and to establish a separate support system. Third, the value-added created by the social welfare foundation should be newly recognized and sought to be expanded in various fields. Fourth, efforts should be made to secure the legitimacy of social service provision and ensure accountability by appropriately promoting the economic ripple effects of social welfare foundation to the local community.

      • KCI등재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를 위한 지방정부의 대응전략에 관한 연구

        채현탁(Chae, Hyun-tak)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0 No.50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대응전략을 모색하고자 지역단위(시?군?구)에서 사회복지서비스를 집행하는 지역사회복지실천 주체들 간의 혼란과 갈등 현상을 구체적으로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지역단위에서는 다양한 지역사회복지 추진체계들이 활동하고 있지만 지방정부 중심의 형식적 거버넌스 형태, 민간부문의 부족한 역량과 공공부문과의 제한적이고 수직적인 관계 양상, 지역사회 중심적인 사업 수행보다 공공조직 중심적인 사업 수행 등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대응전략으로 지방정부가 중심이 된 거버넌스에서 벗어나 지역사회복지 거버넌스로 변화시키려는 인식 전환과 이를 위한 시스템 개선이 필요하며, 지역 내 민간부문의 역량을 강화하여 제한적이고 수직적인 관계를 다차원적이고 수평적인 관계로 전환?개선하려는 노력이 요구되고, 지역사회 혁신에 초점을 두고 이를 지역사회와 공유하려는 노력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concretely examined chaos and conflicts between bodies of community welfare practicing social welfare services in regional district units (shi, gun, gu) to explore coping strategies for establishing local government’s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Through the exploration above, this study identified problems such as formal governance types centered on local governments, lacking competence of civil sectors and their limited and vertical relation aspects with public sectors, and public organization centered work performances other than community centered ones. As for coping strategies to improve those problems, it is necessary to make systemic improvement for perceptional shift to community welfare governance by breaking away from local government centered governance, which requires endeavors to convert and improve relations from limited and vertical to multi-dimensional and horizontal by reinforcing civil sector competence within the region, an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be necessities of endeavors to share them with the community focusing on community innovation.

      • KCI등재

        헌법상 노인의 사회보장권 강화를 위한 노인학대 관련 법률의 합리화 방안

        채현탁(Hyun-Tak Chae),백윤철(Yun-Chul Baek) 세계헌법학회 한국학회 2011 世界憲法硏究 Vol.17 No.2

        본 연구는 우선 헌법상 노인에게 인정되는 기본권으로서 사회보장권에 관한 내용을 검토해 보았다. 그리고 이를 보다 강화하기 위해 우리나라 법률 가운데 노인학대 관련 내용을 다루고 있는 법률을 중심으로 그것의 내용과 법적처리절차를 분석해 봄으로써 노인학대 관련 법률의 합리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헌법상 노인의 사회보장권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노인학대 관련 법률의 합리화 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노인학대 피해자의 사회보장권이 강화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노인복지법의 정비가 우선되어야 한다. 둘째, 노인학대에 노출되기 쉬운 노인을 보호하기 위해 노인장기요양보험법의 학대 관련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셋째, 가정ㆍ성폭력관련 전문기관과 노인복지ㆍ의료관련기관 간의 연계 및 협력을 노인학대 관련 법률에 명문화할 필요가 있다. 넷째, 노인학대범죄 피해자의 2차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형사절차상의 노인보호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This study reviews social security rights of the elder people as their basic constitutional rights. It also aims to strengthen and find out ways to justify laws related to elder abuse by analyzing laws about elder abuse in Korea and their legal procedures. Through this analysis, several measures to justify laws related to elder abuse to strengthen their social security rights have been identified as follows. First, law revision for The Elderly Welfare Act is required in order to secure basic rights of the victims against elder abuse. Second, improvement of the provisions about abuse in Act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Senior Citizens should be made in order to protect elders from the elder abuse specially for those who may be easily exposed to it. Third, collaboration between institutions for sexual harrassment or family problems and aged welfare or medical care should be stipulated in elder abuse relevant law. Fourth, legal proceeding to protect victims from the second victimization should be strengthe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